KR100193902B1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3902B1 KR100193902B1 KR1019970002208A KR19970002208A KR100193902B1 KR 100193902 B1 KR100193902 B1 KR 100193902B1 KR 1019970002208 A KR1019970002208 A KR 1019970002208A KR 19970002208 A KR19970002208 A KR 19970002208A KR 100193902 B1 KR100193902 B1 KR 1001939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ndruff
- hair cosmetic
- cosmetic composition
- polyquaternium
- hai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듬균에 대한 살균 및 항균 작용을 갖는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Iodopropynyl Butylcabamate)와,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동시에 함유하여 비듬감소, 가려움 방지 및 살균작용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듬균에 대한 살균 및 항균 작용을 갖는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Iodopropynyl Butylcabamate)와,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동시에 함유하여 비듬감소, 가려움 방지 및 살균작용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이란, 인체의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생긴 두피의 죽거나 벗겨진 세포들이 두피 피지선의 분비물과 함께 말라붙어서 생긴 각질형태의 덩어리를 말한다. 비듬은 점차 정상 피부와 뚜렷한 경계를 가지며, 붉게 되어 두피에 인설이 증가하여 통상 가려움과 염증을 수반하는 지루피부염으로까지 진행된다.
이처럼 심한 비듬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나, 일반적으로 내분비 호르몬의 불균형, 영양대사의 불균형, 스트레스 등의 신경적 요인, 두피세포의 지나친 증식에 의한 상피조직의 생화학적 변화, 두피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 대기오염에 의한 염증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청결하지 못한 두피에 존재하는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e)라는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는 비듬과 가려움증을 악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오래 전부터 인지되어 왔고, 근래들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비듬 및 가려움증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의 경우, 비듬발생의 주요 원인인 미생물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의 증식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두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신진대사활동을 정상화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듬 및 가려움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예로는, 아연피리치온(아연-2-피리디네치올-1-옥사이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다(미국특허 제2,809,971호, 미국특허 제4,323,683호, 미국특허 제4,345,080호, 미국특허 제4,470,982호, 유럽특허 제285,388호). 그러나, 아연피리치온은 25℃의 물에 15ppm 밖에 녹지 않는 용해도가 매우 낮은 한계를 갖는 1㎛내외의 구상형태를 갖는 불수용성 고체입자로, 수용성 기재를 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특히 샴푸 조성물에서 침전 등에 의한 분리현상을 유발하여 그 사용성에 있어서 제한되며 인체에 자극과 안전성의 문제로 국내 장원기와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stration)에 의해 그 함량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아연피리치온 등의 공지의 항비듬제제들보다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한 항비듬제제에 대해서 연구하게 되었고, 본 출원인은 박테리아나 효모에 대하여 살균력을 갖고 있어 일반 방부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 중에서 비듬발생의 주요 원인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에 대해 살균 및 항균효과를 갖는 물질을 검토하던 중,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Iodopropynyl Butylcabamate)가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에 대해 살균 및 항균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항비듬제제로서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를 함유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특허 출원하였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비듬방지 효과가 새롭게 밝혀진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를 함유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거듭 연구하여 왔으며,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와,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동시에 함유하는 경우 비듬 감소, 가려움방지 및 살균효과 등에 있어서 상승된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듬 감소, 가려움 방지 및 살균작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와,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동시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듬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로서, 그 제조방법 및 제조공정이 미국특허 제 4,259,350호, 미국특허 제 4,841,088호, 미국특허 제 5,321,151호 및 미국특허 제 5,326,899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는 박테리아 및 효모(Yeast) 등에 대해 항균력이 있는 물질로서, 물에는 난용성이지만 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용해성이 좋으며, 알코올과 글리콜유도체에 좋은 용해성을 나타내므로 모발제품에 처방이 용이하다. 또한, 70∼80℃ 온도, pH 4∼10에서 안정한 물질이며, 안전성과 독성자료에 있어서도 공지의 항비듬제인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의 Acute Oral LD50(rats)이 354 mg/kg인 것과 비교하여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의 Acute Oral LD50(rats)이 1470 mg/kg이므로 아연피리치온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특성을 지닌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20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드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양이온화 구아검),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상승제의 함량이 0.001중량%미만인 경우에는 상승된 비듬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상승제중에서 요소는 흡착촉진제로서,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드의 두피투과율을 증진시켜서 비듬방지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또한, EDTA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금속이온 봉쇄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그램-네가티브 박테리아(gram-negative bacteria), 효모, 곰팡이(fungi)에 효과적인 살균제와 복합사용시에 상승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smetic and drug Preservation, p323∼337, 1984).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트리트먼트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샴푸 조성물을 예를 들어 대표적인 기제 성분과 첨가물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 특히 샴푸 조성물은 활성성분인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과 상승제인 양이온화 구아검,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를 제외하고는 통상의 샴푸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하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한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합성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에테르 설페이트로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된다.
상기 식중, R은 탄소수 10∼22의 알킬기이며, n은 0∼4의 정수이고, M은 암모늄, 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수용성 양이온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R의 탄소수가 12∼16개인 알킬설페이트 및 알킬에테르설페이트가 좋다. 알콜은 지방, 예를 들어 야자유 또는 우지로부터 유도할 수 있거나 합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야자유로부터 유도된 라우릴 알코올 및 직쇄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코올을 에틸렌 옥사이드 약 1∼4몰, 특히 3몰과 반응시키고, 예를 들어 알코올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평균 3몰을 갖는 분자중의 생성 혼합물을 황산화시키고 중화시킨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베타인 및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으로, 화학식 4 및 화학식 5로 표시된다.
상기 식중, R1은 탄소수 8∼18의 알킬기이며, R2CO는 탄소수 8∼18의 알콕시기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카르복시메틸베타인, 라우릴디메틸카르복시메틸베타인, 라우릴디메틸 α-카르복시에틸베타인, 세틸디메틸카복시메틸, 코코아미도 프로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칸올아미드 및 알킬아민옥사이드로 화학식 6 및 화학식 7로 표시된다.
상기 식중, R1는 탄소수 8∼18의 알킬기이며, R2및 R3는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며, R4CO는 탄소수 8∼16의 알콕시기이고, n은 0또는 1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디에틸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사용할 수 있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임의성분으로는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진주박 보조제,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물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진주박 보조제;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화합물과 같은 방부제;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점도조절제; 구연산, 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pH 조절제;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콘코폴리올, 가수분해 동물성 단백질과 같은 모발 컨디셔닝제; 수용성 타르와 같은 염료가 사용되며, 향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두피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원료명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3 | 4 | 5 | |
1. 폴리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황산나트륨 3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2. 라우릴황산나트륨 28%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3. 라우릴 디에탄올 아마이드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5 |
4. 프로필렌글리콜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5.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6.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7. 향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8. 구연산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9.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 0.5 | | | - | | | | | | |
11. 폴리쿼터늄6 | - | | - | | | | 0.5 | | | |
12. 폴리쿼터늄7 | - | 0.5 | - | | | | - | | | |
13. 폴리쿼터늄10 | | | 0.5 | | | | | | | |
14. 폴리쿼터늄11 | | | | | | | | 0.5 | | |
15. 요소 | | | | 0.5 | | | | | | |
16. 아존 | | | | | | | | | 0.5 | |
17. 에탄올 | | | | | | | | | | 0.5 |
18. EDTA | | | | | 0.5 | | | | | |
19.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시험예 1] 항균력 비교 시험
상기한 비교예와 실시예의 샴푸를 농도별로 함유한 한천 플레이트에 시험균을 스트리킹하고, 비듬 원인균을 호기성 조건하에서 2일간 배양한 후, 균의 생육유무를 관찰함과 동시에 시험균이 자라지 않는 최저저해농도(MIC)를 측정하여 비듬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하였다.
1. 시험균
비듬 원인균 :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rum ovale) ATCC 12087
2. 사용배지
혈액 한천배지(혈액 한천 베이스 + 최종 농도 5%의 양, 혈액), BHI 한천
시료 시험균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3 | 4 | 5 | |
피티오스포름 오발레 | 0.58 | 0.89 | 0.75 | 0.39 | 0.05 | 1.34 | 1.33 | 1.34 | 1.33 | 1.32 |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비듬제제인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1보다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와,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를 함유하는 실시예들에서 비듬균에 대한 MIC감소 효과가 크게 상승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다른 양이온화 고분자와 흡착촉진제인 폴리쿼터늄-6, 아존 및 에탄올을 함유한 비교예들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듬 생성의 예방, 비듬 치료 및 경감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시험예 2] 항비듬균 효과 시험
항비듬균 효과는 스킨 디스크 확산법(Skin Disc Diffusion Method)으로 측정한다. 먼저, 한천 플레이트에 시험균을 스트리킹하고, 비듬 원인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를 호기성 조건하에서 37℃로 2일간 배양한다. 스킨디스크를 70% 에탄올로 멸균처리한 후 상기의 비교예와 각 실시예의 샴푸를 10배로 희석하여 처리한 후 정제수로 씻어낸다. 이 처리된 스킨디스크를 한천 플레이트에 올려놓아 37℃에서 48시간후에 저해영역(Inhibition Zones)을 측정하여 3번 반복실시하여 평균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저해영역은 스킨디스크의 크기를 제외한 반지름(mm)의 크기이다.
시료 시험균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3 | 4 | 5 | |
저해영역(㎜) | 22.58 | 20.63 | 20.52 | 23.54 | 27.83 | 18.55 | 18.56 | 18.59 | 18.59 | 18.62 |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와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를 함유하는 실시예들에서 가장 탁월한 비듬방지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동일한 함량을 사용한 상승제 중에서 EDTA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5)에 비듬방지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비듬 감소 효과 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19세∼35세의 남성 56명을 선정하여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샴푸에 대하여 8명씩 7개 그룹으로 1개월간 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 개시전에 보통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세발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3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종료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 장치로써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여, 하기 식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였다.
시료 시험균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3 | 4 | 5 | |
비듬감소율(%) | 78.8 | 65.3 | 67.5 | 75.6 | 86.7 | 59.8 | 59.9 | 60.0 | 59.7 | 59.8 |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와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를 함유하는 실시예들에서 평균 비듬감소율이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 단독으로 함유한 비교예 1보다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발견된 비듬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의 증식 및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와,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상호간의 상승작용에 의해 매우 우수한 비듬 및 가려움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Iodopropynyl Butylcabamate)와,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동시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요소 및 EDT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2208A KR100193902B1 (ko) | 1997-01-27 | 1997-01-27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US08/861,730 US5886031A (en) | 1997-01-27 | 1997-05-22 | Hair-care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dandruff formation-suppressing effect |
FR9708135A FR2758722B1 (fr) | 1997-01-27 | 1997-06-27 | Composition cosmetiques de soins capillaires avec effet de suppression de formation de pellicules |
JP17456997A JP3434435B2 (ja) | 1997-01-27 | 1997-06-30 | ふけ形成抑制効果を有する毛髪化粧料組成物 |
FR9712825A FR2758720B1 (fr) | 1997-01-27 | 1997-10-14 | Compositions cosmetiques de soins capillaires avec effet de suppression de formation de pellicules |
US09/220,802 US6054450A (en) | 1997-01-27 | 1998-12-28 | Hair-care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dandruff formation-suppressing effect |
JP2001352658A JP3819765B2 (ja) | 1997-01-27 | 2001-11-19 | ふけ形成抑制効果を有する毛髪化粧料組成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2208A KR100193902B1 (ko) | 1997-01-27 | 1997-01-27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6566A KR19980066566A (ko) | 1998-10-15 |
KR100193902B1 true KR100193902B1 (ko) | 1999-06-15 |
Family
ID=6595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2208A KR100193902B1 (ko) | 1997-01-27 | 1997-01-27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39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54233A4 (en) * | 2016-12-16 | 2020-07-22 | Vertellus Holdings LLC | QUATERNARY AMINE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
-
1997
- 1997-01-27 KR KR1019970002208A patent/KR1001939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6566A (ko) | 1998-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86031A (en) | Hair-care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dandruff formation-suppressing effect | |
KR102028382B1 (ko) |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 |
EP3723714B1 (en) | Propanediol monoacetate mononitrate | |
KR100193902B1 (ko)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
KR0174807B1 (ko)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
KR100448434B1 (ko) |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 |
KR100193901B1 (ko)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
KR0150577B1 (ko) | 솔잎 추출물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 |
KR100517553B1 (ko) |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 |
KR100324630B1 (ko)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
JP4492918B2 (ja) | 抗菌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抗菌製品 | |
KR20190056979A (ko) | 신규한 용도 | |
KR0163533B1 (ko)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 | |
KR100340086B1 (ko) | 비듬방지용 샴푸조성물 | |
KR100843167B1 (ko) | 비듬 방지 샴푸 조성물 | |
EP3612153B1 (en) |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treating dandruff | |
JP2004323476A (ja) | 抗真菌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抗菌製品 | |
KR100199855B1 (ko)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
KR910001916B1 (ko) | 샴푸 조성물 | |
KR100454149B1 (ko) | 해면추출액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
JP2002370921A (ja) | 化粧料組成物 | |
KR0163534B1 (ko) |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샴푸 조성물 | |
JPH083042A (ja) | ふけ防止剤 | |
KR20030080338A (ko) | 비듬방지 및 제거효과를 갖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
KR19980016515A (ko) | 비듬억제 작용을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O035 |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 ||
O132 |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O074 |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