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811B1 -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811B1
KR100193811B1 KR1019950055749A KR19950055749A KR100193811B1 KR 100193811 B1 KR100193811 B1 KR 100193811B1 KR 1019950055749 A KR1019950055749 A KR 1019950055749A KR 19950055749 A KR19950055749 A KR 19950055749A KR 100193811 B1 KR100193811 B1 KR 10019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x
sending
command
facsimil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740A (ko
Inventor
안충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5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811B1/ko
Publication of KR97005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811B1/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방법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서 문서의 송수신후 상대국으로부터 음성호출시 자동으로 OGM을 송출하고 ICM을 저장함으로써 통화시간과 통화요금을 절약한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문서송신후 송신측 팩시밀리의 음성호출 요구시 부재중인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송신측 팩시밀리로 외출메세지를 송출하는 방법은, 상기 음성호출 요구후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일정시간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부터 피알아이_이오피 명령이 지정횟수만큼 계속 입력되면 피아이피 명령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아이피 명령을 전송하고 난 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오프후크 되면 미리 녹음된 부재중의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외출메세지를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송출하고,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일정시간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끊기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으로 해결하고, 문서송신후 송신측 팩시밀리의 음성호출 요구시 부재중인 수신측 팩시밀리의 수신메세지 저장방법은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가 일정시간 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부터 피알아이_이오피 명령이 지정횟수만큼 계속 입력되면 피아이피 명령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아이피 명령을 전송하고 난 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오프후크된 후에 수신메세지가 있으면 이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일정시간 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으면 끊기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으로 해결한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방법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에 이용된다.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팩시밀리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출을 나타내는 프로토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출에 응답을 나타내는 프로토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OGM의 송출 및 ICM의 저장과정을 나타내는 프로토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OGM의 송출 및 ICM의 저장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프로토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20 : NCU
30 : 모뎀 40 : 자동응답부
50 : 마이크로폰 60 : 스피커
70 : OPE 80 : 메모리
90 : 센서 100 : 프린터
110 : 스캐너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Out Going Message; 이하 OGM이라 칭함) 송출 및 수신메세지(In Coming Message; 이하 ICM라 칭함)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서의 송수신후 상대국의 음성호출시 자동으로 OGM을 출력하고 ICM을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응답장치를 가지고 있는 팩시밀리에서 사용자가 문서를 송수신하고 난 뒤에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데 상대방이 팩시밀리 가까이 없거나 부재중이면 자동응답장치는 OGM을 송출하거나 ICM을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사용자는 문서의 송수신이 완전히 끝난 후 다시 전화를 걸어 자동응답장치에 메세지를 남겨야 하는 불편함과 시간과 전화요금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팩시밀리에서 문서의 송수신후 상대국의 음성호출시 자동으로 OGM을 출력하고 ICM을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서송신후 송신측 팩시밀리의 음성호출 요구시 부재중인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송신측 팩시밀리로 외출메세지를 송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호출 요구후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일정시간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부터 피알아이_이오피 명령이 지정횟수만큼 계속 입력되면 피아이피 명령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아이피 명령을 전송하고 난 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오프후크 되면 미리 녹음된 부재중의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외출메세지를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송출하고,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일정시간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끊기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문서송신후 송신측 팩시밀리의 음성호출 요구시 부재중인 수신측 팩시밀리의 수신메세지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가 일정시간 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부터 피알아이_이오피 명령이 지정횟수만큼 계속 입력되면 피아이피 명령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아이피 명령을 전송하고 난 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오프후크된 후에 수신메세지가 있으면 이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축 팩시밀리가 일정시간 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으면 끊기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될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의 블럭구성도이다.
OGM 출력프로그램과 ICM 프로그램에 따라 OGM의 출력과 ICM의 저장에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라장치(10)와, 상기 OGM 출력프로그램과 ICM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데이터와 문자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80)와, 다수의 키를 가지며, 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키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팩시밀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OPE(70)와, 원고를 스캐닝하여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디지털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스캐너(11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송신할 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모뎀(3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전화라인의 통화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모뎀과 전화라인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NCU(2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100)와, 기록지의 잔략을 감지하거나 문서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90)와, 상기 NCU(20)에 연결되어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하는 자동응답부(40)와, 상기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자동응답부(40)로 입력하는 마이크로폰(50)과, 상기 자동응답부(4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6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동응답부(40)는 음성메세지를 송신, 수신 혹은 전달의 형태에 따라 OGM과 ICM의 메모(MEMO)의 형태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OGM은 자동응답부(40)의 사용자가 상대방이 전화를 걸어왔을 경우 미리 녹음한 부재중의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음성응답 메세지이다. 즉, 호출에 자동으로 응답하고 부재중임을 알리기 위한 음성메세지이다. 그리고 ICM은 전화를 건 호출자가 부재중인 사용자에게 전달할 메세지를 수신하여 기록한 메세지이다. 즉, 호출자로부터 전송된 메세지를 기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메모는 주로 가족들간에 전달할 메세지가 있을 때 원하는 녹음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OGM, ICM,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자동응답부(40)는 자기기록매체를 이용한 기록장치, 혹은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기록장치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출을 나타내는 프로토콜도이다.
(2a)는 문서를 송신한 후 송신측 사용자가 수신측으로 음성호출을 요구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수신측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안들 경우 3초간격으로 PRI_EOP(Procedure Interrupt_End Of Procedures)를 보낸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측에서는 링이 울린다. 여기서 PRI_EOP는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의 음성호출을 요구하는 명령이다.
(2b)는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음성호출을 요구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음성호출명령 PIP(Procedural Interrupt Positive)를 한번 보내고 송신측에서 송수화기를 안들 경우 T3시간동안 링을 울린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호출에 응답을 나타내는 프로토콜이다. (3a)는 송신측에서 음성호출하는 동안 수신측에서 송수화기를 들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PIP명령을 송신측으로 보냄을 나타내고, (3b)는 수신측에서 음성호출하는 동안 송신측에서 송수화기를 들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PRI_EOP명령을 송신측으로 보냄을 나타낸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OGM의 송출 및 ICM의 녹음을 나타내는 프로토콜도인데, 제2도의 (2a)의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음성호출을 요구하여 송신측에서 송수화기를 안들 경우와 (2b)의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음성호출을 요구하여 송수화기를 안들 경우 제1도의 자동응답부(40)에 저장되어 있는 OGM을 출력하고 ICM을 저장한다. 이러한 각각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4a)는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음성호출을 요구하여 송수화기를 안들 경우 3초간격으로 PIP_EOP명령을 보낸다. 이에 대하여 수신측에서는 PIP_EOP명령을 받아 PIP명령을 송신측으로 보낸다. 이는 수신측에서 송수화기를 들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송신측에서는 PIP명령을 수신하여 자동응답부(40)를 동작시킨다. 또한 (4b)는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음성호출을 요구하여 송신측에서 송수화기를 안들 경우 T3시간이후 송수화기를 들은 것과 같이 송신측은 수신측으로 PRI_EOP를 보내고 자동응답부(40)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이후의 동작은 제5도에 나타나 있다.
제5도를 참조하면, (5a)는 음성호출을 요구한 송신측에서 T3시간동안 링이 울림과 동시에 송수화기를 들 경우 수신측으로 송수화기를 들었다는 신호로 PRI_EOP명령을 보낸다. 이때 자동응답부(40)를 동작시켜 미리 녹음한 부재중의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OGM을 출력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5b)는 송신측으로 음성호출을 요구한 수신측에서 T3시간동안 링이 울리고, 이때 송신측은 수신측으로 송수화기를 들었다는 신호로 PIP명령을 보낸후 자동응답부(40)를 동작시켜 ICM을 저장한다. 한편, (5a)의 (c)에서 수신측이 송수화기를 안 들면 T3시간후에 DCN(Disconnect)명령을 보내고 라인을 끊는다. 또한 (5b)는 (d)에서 송수화기를 안 들면 T3시간 후에 수신측에서는 PIP대신 DCN명령을 보내고 라인을 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서의 송수신후 상대국의 음성호출시 자동으로 OGM을 송출하고 ICM을 저장함으로써 통화시간과 통화요금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문서송신후 송신측 팩시밀리의 음성호출 요구시 부재중인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송신측 팩시밀리로 외출메세지를 송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호출 요구후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에서 일정시간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부터 피알아이_이오피 명령이 지정횟수만큼 계속 입력되면 피아이피 명령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아이피 명령을 전송하고 난 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오프후크 되면 미리 녹음된 부재중의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외출메세지를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송출하고,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일정시간동안 오프후크 상태가 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끊기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알아이_이오피 명령은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에 대하여 음성호출시 발생되는 명령임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아이피 명령은 상기 피알아이_이오피 명령이 지정횟수만큼 계속되어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가 상기 외출메세지를 송출하기 위한 오프후크 상태로 되었음을 나타내는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방법.
  4. 문성송신후 송신측 팩시밀리의 음성호출 요구시 부재중인 수신측 팩시밀리의 수신메세지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팩시밀리가 일정시간 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부터 피알아이_이오피 명령이 지정횟수만큼 계속 입력되면 피아이피 명령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아이피 명령을 전송하고 난 후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오프후크된 후에 수신메세지가 있으면 이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측 팩시밀리가 일정시간 동안 오프후크 상태로 되지 않으면 끊기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KR1019950055749A 1995-12-23 1995-12-23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KR10019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749A KR100193811B1 (ko) 1995-12-23 1995-12-23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749A KR100193811B1 (ko) 1995-12-23 1995-12-23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740A KR970056740A (ko) 1997-07-31
KR100193811B1 true KR100193811B1 (ko) 1999-06-15

Family

ID=6661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5749A KR100193811B1 (ko) 1995-12-23 1995-12-23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8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740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811B1 (ko) 팩시밀리의 외출메세지 송출 및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KR100205596B1 (ko) 자동응답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에서 전화요청 메세지 출력방법
JPH02233050A (ja) データ通信装置
JP260298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284423A (ja) 電話機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JP288104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のキャッチホン対応方法
KR100233719B1 (ko) 팩시밀리에서 부재중시 팩스메시지 수신통보방법
KR100223649B1 (ko) 팩시밀리 장치의 메세지 수신방법
JP356785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337836B1 (ko) 통신환경정보 제공방법
JPH0316795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29518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738192B2 (ja) 通信装置
JPH0530035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237310A (ja) 留守番電話機能付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49454A (ko) 아나로그 출력단자를 갖는 디지탈 자동응답 팩시밀리와 전화기
JPH0521929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3266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送信方法
KR19990016141A (ko) 통화 요구에 따른 통화 피요구자 호출방법
JPH07203057A (ja) 留守番電話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JPH01243660A (ja) 情報通信装置の動作制御方法
JPH04167852A (ja) 電話機内蔵型ファクシミリ送受信装置
JPH062210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245843A (ja) 留守録機能付通信装置
JPH11164047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