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12B1 -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 중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제초제 또는 그 유도체 중의 한개를 함유하는 제초성 배합물 - Google Patents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 중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제초제 또는 그 유도체 중의 한개를 함유하는 제초성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412B1
KR100193412B1 KR1019910007808A KR910007808A KR100193412B1 KR 100193412 B1 KR100193412 B1 KR 100193412B1 KR 1019910007808 A KR1019910007808 A KR 1019910007808A KR 910007808 A KR910007808 A KR 910007808A KR 100193412 B1 KR100193412 B1 KR 10019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
chloro
combination
phenoxyaniline
combina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021A (ko
Inventor
베르나르 띠에리
Original Assignee
크리스티앙 쥘랭
롱-쁘랑 아그로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티앙 쥘랭, 롱-쁘랑 아그로쉬미 filed Critical 크리스티앙 쥘랭
Publication of KR92002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01N37/3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hav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b) 특히,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 또는 헵타노에이트를 언급할 수 있는 히드록시벤조니트릴 타입의 제조체의 1 또는 그 이상으로 부터 생성된 신규 제초제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a/b의 중량비는 0.1~10이 바람직하다.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은 약한 제초성 또는 비-제초성 투여율로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 배합물은 곡물 및 옥수수의 출현후 단계에 잡초를 제어하는 방법에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 중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제초제 또는 그 유도체 중의 한 개를 함유하는 제초성 배합물
본 발명은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 또는 그 유도체 중 하나로 부터 선택된 벤조니트릴 타입의 제초제를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과 배합물하여 생성된, 농작물의 잡초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데에 매우 적합한 제초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조성물의 형태로, 제초제에 의한 신규 배합물의 용도 및 그 배합물 또는 조성물에 의한 농작물내의 잡초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로목시닐이나 아이옥시닐 또는 그 유도체로 부터 선택된, 벤조니트릴 타입의 제초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논밭에 있는 쌍자엽식물 타입의 잡초의 출현후 방제하는 데 매우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 제초제는 간단히 HBN 또는 히드록시벤조니트릴이라고 한다. HBN중에서 하기의 것들이 특히 언급된다 : 브로목시닐 또는 3,5-디브로모-4-히드록시벤조니트릴, 상응하는 에스테르인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 또는 브로목시닐 헵타노에이트, 아이옥시닐, 또는 4-히드록시-3,5-디요오도벤조니트릴, 상응하는 에스테르인 아이옥시닐 옥타노에이트, 또는 아이옥시닐의 칼슘 또는 나트륨염.
농작물의 출현 후, HBN이 일찍 사용되면, 갈퀴동굴(Galium Aparin), 라미움 푸르푸레아(Lamium purpurea)또는 베로니카 페르시카(Veronica persica)같은 특히 해로운 잡초에 대한 그 활성이 상당히 증진될 수 있지만, 수 많은 잡초에 대해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알려져 있는 아클로니펜(aclonifen)또는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이 있는데, 이것은 해바리기 및 완두 작물에 선택적인 제초제이며, 2kg/ha 이상의 양으로 보통 사용된다.
제초제의 활성 속도 뿐 아니라 제초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항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한, 사실상 무수한 가능성중에서 선택이 한정되어 이후로부터 기술된 내용에서 더욱 잘 이해될 커다란 장점을 제공하는 신규 배합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배합물은 전혀 예상밖으로, 농작물에 대한 선택성을 보존하고 있는 반면, 특히 농작물에 해로운 수 많은 잡초에 대한 두가지 활성물질의 각각 분리된 활성을 현저하고도 놀라울 정도로 증진 시키는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활성 스펙트럼의 향상 및 사용된 각 활성물질의 각각의 양을 줄 일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며, 후자의 양적인 측면은 쉽게 이해가 가능한 생태학적 이유에서 특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배합물은 Isoboles, une representation graphique de synergie dans les pesticides [Isoboles 제초제의 상승효과에 대한 그래프상의 표현]라는 제목의 논문인 PML Tammes, 네델란드, Journal of Plant Pathology, 70(1964), P. 7380, 또는 하기 콜비식((Colby)가 사용)을 따르는 Limpel. L.E., P.H. Schuldt 및 D, Lamont, 1962, Proc, NEWCC 16 : 48-53에 의해 정의된 현저한 상승효과 정도를 나타낸다:
상기식에서, E는 한정량의 두 제초제 혼합물의 기대되는 생장저해 백분율이며, X는 한정량의 제초제 A의 관측된 생장저해 백분율이고, Y는 한정량의 제초제 B의 관측된 성장저해 백분율이다.
만일 배합물의 관측된 저해 백분율이 E보다 크면, 상승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아클로니펜이 공업적 측면에서 그 자체는 제초성이 되지않는 양으로 상용될 때 (즉, 효력이 0이거나 불충분하게 사용되는 경우), HBN의 제초효과를 가능하게 하거나 상당히 증가시킨다는 예상 밖의 사실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 경우 이것은 상기 HBN의 사용방법에 대한 결과에 있어서 상당한 혁신이다.
본 발명은, a)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b) 3,5-디할로-4-히드록시벤조니트릴 타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초제,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 화합물의 에스테르 또는 염의 배합물으로 부터 생성된 제초 배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3,5-디할로-4-히드록시벤조니트릴 타입의 제초제는 특히 알카논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카논산)을 갖는 페놀형 내에, 아민, 칼륨 또는 나트륨 염으로서, 또는 에세트르형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언급되는 제초제는 브로목시닐인 3,5-디브로모-4-히드록시벤조니트릴, 또는 아이옥시닐인 4-히드록시-3,5-디요오도벤조니트릴이다.
브로목시닐에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형태는 곡물 및 옥수수의 경우에는 에스테르 형이며, 옥수수의 경우에는 페놀형이다. 페놀형은 일반적으로 에스테르 형 보다 훨씬 더 높은 비율의 양으로 사용되지만 (보통 1.8배 내지 2배), 식물 독성이 더 낮아서, 특정 조건하에 사용하게 된다.
아이옥시닐에 있어서, 이 물질은 특히 곡물에, 가끔 사탕수수, 쌀 또는 양파에, 에스테르 형으로 또는 칼륨이나 나트륨염의 형으로 보통 사용된다. 아이옥시닐 에스테르와 아이옥시닐 염 간의 작용상 차이는 브로목시닐 에스테르와 페놀형의 브로목시닐 간의 차이보다 더 작다.(약)
사용되는 형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카논산을 갖는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의 에스테르이다.
브로목시닐 부티레이트, 헵타노에이트 또는 옥타노에이트 또는 이들 화합물 둘 또는 세 개의 혼합물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가장 바람직한 형은 브로목시닐 헵타노에이트, 또는 옥타노에이트이며, 훨씬 더 유리하게는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이다.
이들 배합물은 HBN에 의한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매우 광범위한 중량비로 제초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량비는 처리 작물, 기후조건, 토양의 성질, 문제 부위에서 주된 잡초들의 처리단계, 및, 만일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그 면적이 완전히 깨끗하게 되는 원하는지 또는 잡초를 모두 파괴시키지 않고도 만족을 느끼는지에 일부 달려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배합물은 바람직하지 못한 식물, 특히 농작물에 존재하는 잡초에 대한 제초처리를, 동시에, 각각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문제가 되는 농작물의 성질은 논의 중인 HBN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제는 하기에서, 처리방법을 다루는 부분으로 관점을 돌린다.
동시 사용의 경우(바람직한 경우), 상기의 활성 물질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미리 만들어져 있는 배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문제가 발생했을 때, 활성물질을 섞음으로써, 사용 직전에 제조된 배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용도는 활성물질인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HBN을 연속해서, 식물에 본 발명에 따르는 배합물을 형성하도록, 보호 대상 작물을 처리함으로써, 배합물을 이용하는 것에 달려있다.
바람직한 변형중, 브로목시닐의 경우에는 페놀보다는 에스테르가 사용되며, 아이옥시닐의 경우에는 염보다는 에스테르가 사용된다는 사실 때문에,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3,5-디할로-4-디히드록시벤조니트릴의 중량비가 0.1 내지 20인 범위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변형이 자연적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브로목시닐 페놀의 경우, 물질이 더 요구되므로 상기 비(ratio)가 더 낮은 범위 구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브로목시닐 에스테르 또는 아이옥시닐 에스테르의 경우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이다.
배합물은 가장 흔하게는 이원타입 이지만, 때로는 하나 또는 더 다른 상용 제초제(살진균제 또는 살충제 포함)를 갖는 삼원 또는 사원 배합물을 고려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출원하는 회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중 하나는 HBN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이 힘을 주는 역할을 하며, 작물 보호의 기술적 용어로는 이를 상승화제(synergist)라고 한다.
이 경우, 상기한 바람직한 비율이 마찬가지로 적합하나,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양은 제초성이 약하거나 없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이후의 사용방법 항을 참조).
그러므로 본 배합물은 HBN을 기재로 하며, 증폭제로서, 그 자체로는 언급한 양(g/ha)으로 제초성이 없거나 약한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을 포함하는 제초제 배합물로 정의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는 HBN에 있어서 바람직한 변형체도 마찬가지로 본 용도로 좋다. 따라서 증폭제로서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을 여전히 갖는 에스테르형의 HBN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배합물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농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제조배합물을 제외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제초조성물의 형태로 대개 사용된다.
출현시 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각 활성 물질은 조성물의 형태이다. 반대로, 미리 혼합되어 있는 경우, 그것은 조성물 형태인 배합물 자체이다.
때때로, 시판하는 제형을 고려해 보면, 조성물을 함유하고 있는 미리 만들어진 조성물을 구입할 수 있다.
때로는, 기술에 능숙한 범위 내에서의 적당한 제형이 필요하기도 하다.
상기한 바 대로의 본 발명에 따르는 활성 물질이나 배합물 이외에도,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의 농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역시 농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통상적인 불활성 담체 및 통상적인 계면활성제가 특히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보통 본 발명에 따라서 0.5 내지 95%의 활성물질 또는 배합물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백분율은 중량에 의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담체라는 용어는 천연 또는 합성의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말하며, 이 담체와 함께 활성 물질이나 배합물이 결합하여 식물, 종자 또는 토양에의 사용을 촉진 시킨다. 따라서 이 담체는 보통 활성이 없으며 특히 처리 식물에 대해서 농업적으로 허용 가능하다. 담체는 고체 (점토, 천연 또는 합성 실리케이트, 실리카, 수지, 왁스, 고체비료 등) 또는 액체 (물,알코올,케톤,석유분획물,방향성 또는 파라핀성 탄화수소,염소화된 탄화수소,액화 기체 등)이 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이온성 유화제, 분산제 또는 습윤제가 될 수있다. 언급한 예로는 산화 에틸렌과 폴리아크릴산염, 리그노술폰산염, 페놀술폰산이나 나프탈렌술폰산염, 또는 지방질 알코올 또는 지방산이나 지방질 아민의 축합 중합물, 치환된 페놀(특히 알킬페놀이나 아릴페놀), 술포숙신산 에스테르염, 타우린 유도체(특히 알킬 타우레이트), 알코올의 포스포린산 에스테르 또는 페놀과 산화 에틸렌의 축합 중합물이다. 배합물(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HBN) 내에서 활성물질이 수용성이 아니며, 사용하기 위한 운반제가 물이므로 적어도 하나의 계면 활성제의 존재가 필요하다.
다음은 조성물의 농업적 형태로서 기재된다 : 뿌리거나 분산시키는 분말(100%까지 될 수 있는 활성 성분 함유), 및 특히 사출, 입자화된 담체의 압축이나 함침, 또는 분말의 입자화에 의해 수득되는 입자 (본 기재된 경우에 입자내에 활성성분 양은 1 내지 80%이다) 이다.
다음은 액형 조성물, 또는 사용시 액체 조성물을 만드는 형태로서 기재되어 있다 : 유화성 농축물, 유제, 유동제, 습윤 가능 분말 (또는 분무형 분말) 및 페이스트.
이러한 형태의 제형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관측결과를 예시하기 위해 이후에 나타나 있다 :
-유화성 농축물은 대부분 10 내지 80%의 활성물질이나 배합물, 0.5 내지 15%의 계면활성제, 0.1 내지 10%의 농화제(thickeners), 및 0 내지 10%의 적당한 첨가제도 포함한다 ;
-습윤 가능 분말 (또는 분무형 분말)은 보통 20 내지 95%의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보통 고형 담체외에, 0 내지 5%의 습윤제, 3 내지 10%의 분산제 및, 필요한 경우, 0 내지 10%의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적당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부동유제(Suspoemulsions ; 고체 및 액체를 모두 함유하는 제형) 또는 분산된 활성 물질(수성층에 저융점 고체 및 용매가 있는 물질)은 대부분 10 내지 50%의 활성물질이나 배합물, 0.5 내지 15%의 계면활성제, 0.1 내지 10%의 농화제, 및 0 내지 10%의 적당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유동제는 보통 10 내지 75%의 활성물질 또는 배합물, 0.5 내지 15%의 계면 활성제, 0.1 내지 10%의 농화제, 및 10%의 적당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들 적당한 첨가제 중 다음의 것들이 언급된다. : 틱소프로픽 콜로이드(thixo tropic colloids), 침투제, 안정화제, 격리제(sequestering agents) 등.
더욱이, 상기 조성물은 살충 성질(특히 살충제 또는 살진균제), 또는 식물 생장에 좋은 성질 (특히 촉진제), 또는 이 모든 활성물질들 간에 주요 비 양립성이 없다는 조건을 지닌 생장-조절성을 갖는 다른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형 HBN의 경우에, 식물-보호 배합물의 제형 기술한도 내에서 최적화 시킨다는 조건하에, 에스테르형의 유화성 HBN 농축물 및 유동성 형태의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으로부터 부동유제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제형에 있어서,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은 부유하는 미세입자 형태이며, 혼합물이 모두 안정한 유제 형태 내에 있는 용해된 형태의 HBN 에스테르이다.
HBN이 페놀형인 경우,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공업적 가능성에 대한 동일 조건하에 자연적으로 고요한 유동성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활성물질 간의 용융해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를 해야한다.
HBN가 염형태인 경우, HBN염은 용해되고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은 부유하는 유동제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농작물이 자라는 환경, 또는 농작물을 재배하려는 장소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배합물을 포함하는 상기한 바 대로의, 유효량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잡초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중,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브로목시닐 에스테르 (특히 헵타노에이트 및/또는 옥타노에이트)의 배합물은 곡물 (밀,보리 등) 및 옥수수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페놀형의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브로목시닐은 옥수수에, 그리고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아이옥시닐 에스테르 (특히 헵타노에이트 및/또는 옥타노에이트)또는 페놀의 배합물은 곡물, 사탕수수, 쌀 및 양파에 사용된다.
사용할 때, 그 양은 농작물에 영구적인 큰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잡초 생장을 제어하기에 충분하도록 해야한다. 유효량은 여기에서 평균으로 이해되며 실제로 수득되는 결과를 따르는 양이다.
농작물의 출현 후 단계에 사용한다. 출현 후란 재배식물이 토양으로 부터 출현한 후 배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혼합물은 잡초의 입에 작용하지만, 토양에도 살포하여 뿌리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르는 배합물은, 출현전 작용, 즉 식물이 토양으로 부터 아직 출현하기 전에도 마찬가지로 작용이 가능하지만, 잡초가 출현한 후에 작용한다.
배합물은 해당 활성물질 및 처리식물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잎-작용 및 뿌리-작용이 있다.
배합물 (동시에, 따로따로 또는 수차적으로 사용 가능)은 3,5-디할로-4-히드록시벤조니트릴의 성질에 따라, 150g/ha 내지 1,100g/ha 의 투여율이 보통 사용한다.
상기 배합물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잡초를 하기에 기재하였다 :
*주로 곡물 경작지에 나타나는 쌍자엽 식물 :
인테미스 아르벤시스(Anthemis arvensis), 안테미스 코툴라(Anthemis cotula), 브라시카 니그라(Brassica nigra : 겨자과),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크리산테뭄 세게툼(Chrysanthemum segetum), 갈퀴덩굴 (Galium aparine),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라미움 푸르푸레움(Lamium purpureum), 랍사나 코무니스(Lapsana communis), 마트리카리아 이노도라(Matricaria inodora), 파파베르 로에아스(Papaver rhoeas), 라파누스 라파니스트룸(Raphanus raphanistrum), 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 시나피스 아르벤시스(Sinapis arvensis), 별꽃(Stellaria media), 베로니카 헤데리폴리아(Veronica hederifolia) 베로니카 페르시카(Veronica persica), 비올라 아르벤시스(Viola arvensis), 비올라 트리컬러(Viola tricolor);
* 주로 옥수수 경작지에 나타나는 쌍자엽 식물 :
아부틸론 테오프라스티(Abutilon theophrasti), 털비름(Amaranthus retroflexus), 아트리플렉스 파툴라(Atriplex patula), 비덴스 필로사(Bidens pilosa),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독말풀(Datura stramonium), 이포메아 푸르푸레아(Ipomea purpurea), 여뀌종(Polygonum spp.) (예,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폴리고눔 콘볼불루스(Polygonum convolvulus), 및 풀리고눔 페르시카리아(Polygonum persicaria)),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솔라눔 니그룸(Solanum nigrum),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
* 곡물 경작지에 주로 나타는 풀 :
알로페쿠루스 미오수로이데스 (Alopecurus myosuroides), 아페라 스피카-벤티(Apera spica-venti) ;
* 옥수수 경작지에 주로 나타는 풀 :
좀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강피 (Echinochloa crus-galli), 강아지풀(Setaria viridis).
변형체에 따라서 다음과 같다 :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 또는 헵타노에이트/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배합물은 특히 밀이나 보리 같은 곡물, 또는 옥수수에 사용된다.
헥타르당 투여율은 유리하게는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이 50 내지 500g/ha 이며,
브로목시닐 에스테르가 100 내지 400g/ha,
매우 유리하게는 :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이 100 내지 400g/ha 이며, 브로목시닐 에스테르가 120 내지 300g/ha이다 ;
-브로목시닐 페놀/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배합물은 헥타르당 다음과 같은 투여율로, 옥수수에 사용된다 :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은 50 내지 500g 이며, 브로목시닐-페놀이 200 내지 800g 이고,
바람직하게는 :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은 100 내지 400g 이며, 브로목시닐-페놀이 240 내지 600g 이다.
본 발명은 분명하게 이해되도록, 예시에 의해 명시되며 상기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 구체적인 사용실시예를 토대로 이제 기재된다.
방법을 단순화하며, 더 우수한 비교기준이 되게 하기 위하여,
-갈퀴 덩굴(Galium aparine),
-비올라 트리컬러(Viola tricolor),
-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
-라미움 푸르푸레움(Lamium purpureum),
-베로니카 페르시카(Veronica persica),
가 밀잡초에 대한 배합물의 활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그리고 이 농작물에서의 배합물의 선택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선택되었다.
[일반적인 실험 장치]
사용은 식물종이 출현 후 시행된다.
많은 종자들(수량은 식물종 및 종자크기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이 가벼운 농업토양으로 채워진 9×9×9cm 포트에 파종된다.
그리고 나서 종자가 약 3mm 두께의 토양층으로 덮히며, 적당한 단계에 발아하여 묘목이 된다. 풀의 경우, 처리단계는 제2잎 형성단계이다. 쌍자엽식물의 경우, 처리단계는 제1잎인 펼쳐진 떡잎이 발생하는 단계이다.
그후, 사용율 50ℓ/ha 에 해당하는 양으로 분무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써 포트를 분무 처리한다.
재형화된 배합물은 물로 희석시켜서 혼합물을 수득한다.
다음의 제형화된 배합물이 활용되었다 :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유동액, 600g/ℓ challenge 600,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 유화성 농축물, 225g/ℓ Buctril.
이들 제형은 올바로 인정되어 있으며 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그후 포트를 하기 관개(subirrigation)에 의해, 관개수를 담는 용기내에 두고, 주위온도 및 60% 상대습도에서 24시간 동안 둔다.
24일 후, 시험중에 있는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혼합물로 처리한 포트 내에서 살아있는 식물수와, 동일조건 하에 활성물질이 없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처리한 대조 포트내에서 살아있는 식물 수를 센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한 식물의 파괴 백분율을 비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결정한다. 파괴 백분율이 100% 이면 해당 식물종이 완전히 파괴되었음을 의미하며, 백분율이 0%이면 처리 포트내에 살아있는 식물수가 대조포트의 그것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내지 6의 표에서,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양은 첫 번째 열(column)에 있으며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의 양은 첫 번째 줄(row)에 있다. 두 양은 모두 g·a·i/ha(헥타르당 활성성분 그램)으로 주어진다.
[실시예 1]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와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배합물의 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상에서의 생물학적 상승효과 성질을 나타나는 시험 :
파종한 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 종자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한다.
하기의 표는 1온실시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각 투여율의 경우에, 더 높은 값은 수득된 값이고, 낮은 값은 콜비(Colby)식에 따라 계산된 기대값이다.
명세서 처음 부분에 주어진 식을 참고로 하여, 상기표에 주어진 결과는 본 발명의 배합물로 수득된 상승효과의 우수성과 기대밖의 정도를 분명히 나타낸다.
[실시예 2]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와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배합물의 갈퀴덩굴(Galium aparine)상에서의 생물학적 상승효과 성질을 나타내는 시험 :
파종한 갈퀴덩굴(Galium aparine)종자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하다.
하기의 표는 1 온실시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각 투여율의 경우에 더 높은 값은 수득된 값이고, 낮은 값은 콜비식에 따라 계산된 예측값이다.
명세서 처음 부분에 주어진 식을 참고로 하여, 상기표에 주어진 결과는 본 발명의 배합물로 수득된 상승효과의 우수성과 기대밖의 정도를 분명히 나타낸다.
[실시예 3]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와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배합물의 비올라 트리컬러(Viola tricolor)상에서의 생물학적 상승효과 성질을 나타내는 시험:
파종한 비올라 트리컬러(Viola tricolor)종자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한다.
하기의 표는 1 온실시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각 투여율의 경우에, 더 높은 값은 수득된 값이고, 낮은 값은 콜비식에 따라 계산된 예측값이다.
명세서 처음 부분에 주어진 식을 참고로 하여, 상기표에 주어진 결과는 본 발명의 배합물로 수득된 상승효과의 우수성과 기대밖의 정도를 분명히 나타낸다.
[실시예 4]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와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배합물의 라미움 푸르푸레움(Lamium purpureum)상에서의 생물학적 상승효과 성질을 나타내는 시험:
파종한 라미움 푸르푸레움(Lamium purpureum)의 종자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한다.
하기의 표는 1 온실시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각 투여율의 경우에, 더 높은 값은 수득된 값이고, 낮은 값은 콜비식에 따라 계산된 예측값이다.
명세서 처음 부분에 주어진 식을 참고로 하여, 상기 표에 주어진 결과는 본 발명의 배합물로 수득된 상승효과의 우수성과 기대 밖의 정도를 분명히 나타낸다.
[실시예 5]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와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배합물의 베로니카 페르시카(Veronica persica)상에서의 생물학적 상승효과성질을 나타내는 실험 :
파종한 베로니카 페르시카(Veronica persica)의 종자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한다.
하기의 표는 1 온실시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각 투여율의 경우에, 더 높은 값은 수득된 값이고, 낮은 값은 콜비식에 따라 계산된 예측값이다.
명세서 처음 부분에 주어진 식을 참고로 하여, 상기 표에 주어진 결과는 본 발명의 배합물로 수득된 상승효과의 우수성과 기대밖의 정도를 분명히 나타낸다.
[실시예 6]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와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배합물의 트리티쿰 아에스티붐(Triticum aestivum)상에서의 식물독성이 없음을 나타내는 시험 :
밀 종자를 파종한 후에 상기한 바대로 시험을 수행하여, 하기표에 나타나 있는 결과를 얻는다.
그리하여, 상기한 배합물이 밀에 식품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반면, 실시예에 주어진 잡초에 대한 두가지 활성 물질의 각각의 활성을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Claims (13)

  1. 하기 a) -b) 성분이 배합되어 수득된 제초 배합물 : a)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b)브로목시닐인 1종 이상의 3,5-디브로모-4-히드록시벤조니트릴 제초제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스테르나 그의 염.
  2. 제1항에 있어서, 제초제 b) 가 4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카논산을 지닌 브로목시닐 에스테르인 배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제초제 b) 가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나 헵타노에이트, 또는 그들의 혼합물인 배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HBN에 대한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중량비가 0.1 내지 10인 배합물.
  5.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브로목시닐 에스테르에 대한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의 중량비가 0.2 내지 5인 배합물.
  6. 제1 내지 제3항 및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제초성 또는 약한 제초성을 갖는 양의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을 함유하는 배합물.
  7. a)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b) 브로목시닐인 3,5-디브로모-4-히드록시벤조니트릴 제초제 또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에스테르나 염과함께 불활성 담체, 계면 활성제 또는 둘 모두를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르는 배합물은 0.5 내지 95%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
  9. 제2항에 따르는 배합물을 곡물 (밀이나 보리) 또는 옥수수에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50 내지 500g/ha 및 브로목시닐에스테르 100 내지 400g/ha 의 비율로, 상기 농작물의 출현 후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역에서의 잡초 생장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배합물을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100 내지 400g/ha, 그리고 브로목시닐에스테르 120 내지 3008/ha 의 비율로 사용하는 제어방법.
  11. 제1항에 따르는 배합물을 1헥타르당 양으로 옥수수에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50 내지 500g/ha 및 브로목시닐 페놀 200 내지 800g/ha 의 비율로, 상기 농작물의 출현 후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역에서의 잡초 생장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배합물을 :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100 내지 400g/ha, 및 브로목시닐페놀 240g 내지 600g/ha 의 비율로 사용하는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비-제초성 또는 약한 제초성을 갖는 양의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을 함유하는 배합물.
KR1019910007808A 1990-05-14 1991-05-14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 중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제초제 또는 그 유도체 중의 한개를 함유하는 제초성 배합물 KR100193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006209A FR2661800B1 (fr) 1990-05-14 1990-05-14 Association herbicide comprenant l'aclonifen et au moins un herbicide choisi parmi le bromoxynil ou l'ioxynil ou l'un de leurs derives.
FR90-06209 1990-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021A KR920021021A (ko) 1992-12-18
KR100193412B1 true KR100193412B1 (ko) 1999-06-15

Family

ID=939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808A KR100193412B1 (ko) 1990-05-14 1991-05-14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 중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제초제 또는 그 유도체 중의 한개를 함유하는 제초성 배합물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0457695B1 (ko)
JP (1) JP2939002B2 (ko)
KR (1) KR100193412B1 (ko)
CN (1) CN1030637C (ko)
AT (1) ATE116803T1 (ko)
AU (1) AU641500B2 (ko)
BR (1) BR9102028A (ko)
CA (1) CA2042505C (ko)
CS (1) CS136591A3 (ko)
DE (1) DE69106582T2 (ko)
DK (1) DK0457695T3 (ko)
EG (1) EG19363A (ko)
ES (1) ES2066399T3 (ko)
FR (1) FR2661800B1 (ko)
HU (1) HU210430B (ko)
IE (1) IE66686B1 (ko)
IL (1) IL98124A (ko)
MY (1) MY106372A (ko)
TR (1) TR25201A (ko)
ZA (1) ZA9135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3603B1 (fr) * 1996-09-25 1998-10-30 Association herbicide a base de triazine et d'autres herbicides utilisable pour le desherbage du mais
DE19650955A1 (de) * 1996-12-07 1998-06-10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Herbizide Mittel mit N- [(4,6-Dimethoxypyrimidin-2-yl)aminocarbonyl] -5-methylsulfonamidomethyl-2-alkoxycarbonylbenzolsulfonamiden
AR093997A1 (es) 2012-12-18 2015-07-01 Bayer Cropscience Ag Agentes herbicidas que contienen aclonifeno
AR093999A1 (es) 2012-12-18 2015-07-01 Bayer Cropscience Ag Agentes herbicidas que contienen aclonifeno
AR094006A1 (es) 2012-12-18 2015-07-01 Bayer Cropscience Ag Agentes herbicidas que contienen aclonifeno
AR094000A1 (es) 2012-12-18 2015-07-01 Bayer Cropscience Ag Agentes herbicidas que contienen aclonifeno
AR093998A1 (es) 2012-12-18 2015-07-01 Bayer Cropscience Ag Agentes herbicidas que contienen aclonifeno
AU2013363890B2 (en) 2012-12-18 2017-03-30 Bayer Cropscience Ag Herbicidal agents containing aclonifen
WO2014095597A1 (de) 2012-12-18 2014-06-26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e mittel enthaltend aclonif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258A (tr) * 1978-07-15 1980-12-08 Celamerck Gmbh & Co Kg 2-klor-6-nitroanil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16803T1 (de) 1995-01-15
AU641500B2 (en) 1993-09-23
IE66686B1 (en) 1996-01-24
AU7700991A (en) 1991-11-14
FR2661800A1 (fr) 1991-11-15
ES2066399T3 (es) 1995-03-01
CN1030637C (zh) 1996-01-10
CN1056395A (zh) 1991-11-27
HUT57004A (en) 1991-11-28
DE69106582D1 (de) 1995-02-23
ZA913594B (en) 1992-02-26
EP0457695B1 (fr) 1995-01-11
JP2939002B2 (ja) 1999-08-25
BR9102028A (pt) 1991-12-24
IL98124A (en) 1995-12-31
IL98124A0 (en) 1992-06-21
MY106372A (en) 1995-05-30
EG19363A (fr) 1994-12-30
CS136591A3 (en) 1992-01-15
EP0457695A1 (fr) 1991-11-21
JPH04226903A (ja) 1992-08-17
KR920021021A (ko) 1992-12-18
DK0457695T3 (da) 1995-03-20
CA2042505A1 (en) 1991-11-15
TR25201A (tr) 1993-01-01
FR2661800B1 (fr) 1993-12-24
DE69106582T2 (de) 1995-05-24
CA2042505C (en) 2001-07-17
HU210430B (en) 1995-04-28
IE911632A1 (en) 199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5816B2 (ja) ペノキシスラムおよびベンゾビシクロンまたはクロマゾンおよびベンゾビシクロンの施用からの相乗的雑草防除
JP7239641B2 (ja) L-グルホシネートおよびインダジフラムを含む除草剤組み合わせ
KR20150038266A (ko) 4-아미노-3-클로로-5-플루오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피리딘-2-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제초 조성물
KR20150038247A (ko) 4-아미노-3-클로로-5-플루오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피리딘-2-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미세관 억제 제초제를 포함하는 제초 조성물
KR20150039785A (ko) 4-아미노-3-클로로-5-플루오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피리딘-2-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vlcfa 합성 및 지방산/지질 합성 억제 제초제를 포함하는 제초 조성물
KR20150036749A (ko) 4-아미노-3-클로로-5-플루오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 피리딘-2-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제초 조성물
CN101528041A (zh) 除草组合
KR20100029103A (ko) 벼농사에 사용되는 벤조일사이클로헥산디온 그룹의 상승적 작물 내성 제초제 배합물
BG110457A (bg) Синергични хербицидни смеси
AU2016254233B2 (en) Herbicide combinations comprising glufosinate and indaziflam
KR100297335B1 (ko) 제초제혼합물
BG61631B1 (bg) Хербицидни състави
KR100193412B1 (ko)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및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 중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제초제 또는 그 유도체 중의 한개를 함유하는 제초성 배합물
CZ284508B6 (cs) Herbicidní prostředek
SK275892A3 (en) Herbicidal agent
KR20140098201A (ko) 페녹스술람 및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을 함유하는 상승작용성 제초제 조성물
US5985796A (en) Herbicidal mixtures
CZ180593A3 (en) Herb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of weed growth control
KR950002851B1 (ko) 제초 조성물
TWI763751B (zh) 包含經二甲氧基三基取代的二氟甲磺醯苯胺之除草劑組合
HU191900B (en) Sinergetic herbicides containing as active substance 2-/alfa-naftoxi/-n,n-diethyl propionamid and n-benzil-n-izoprophil-piralamid
EA040926B1 (ru) Гербици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l-глуфозинат и индазифлам, их получ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