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924B1 -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 Google Patents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924B1
KR100191924B1 KR1019960013388A KR19960013388A KR100191924B1 KR 100191924 B1 KR100191924 B1 KR 100191924B1 KR 1019960013388 A KR1019960013388 A KR 1019960013388A KR 19960013388 A KR19960013388 A KR 19960013388A KR 100191924 B1 KR100191924 B1 KR 10019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nformation
buffer
shift register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762A (ko
Inventor
윤서용
Original Assignee
김동연
텔슨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연, 텔슨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동연
Priority to KR101996001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924B1/ko
Publication of KR970072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5Selective call 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정보가 포함되는 어드레스를 디코더에서 디코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에러 콜렉팅된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13), 고유의 자기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버퍼(14)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된 어드레스와 제1버퍼(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5)를 구비하고 있는 어드레스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된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아 지역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로서 외부의 CPU로 전달하는 제2버퍼(12)를 더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광역 무선호출기에서와 같이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디코딩을 CPU에서 수행하지 않고 디코더에서 처리하도록 할 수 있어, 무선호출기에서의 지역인식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CPU의 처리속도를 높이지 않아도 되는 특징적인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제1도는 일반적 인 POCSAG 신호 디코더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어드레스 검출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컨버터 12 : 지역 어드레스 버퍼
13 : 시프트레지스터 14 : 어드레스 버퍼
15 : 비교기
본 발명은 POCSAG 신호를 디코딩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어드레스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제1도는 일반적인 POCSAG 신호 디코더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디코더는, POCSAG 신호를 입력받던 중 프리엠블(preamble)신호를 입력받으면 정보의 본격적인 입력으로 인식 한 후, 동기코드(sync code)를 검색한다. 디코더가 동기코드를 검출하면 밧데리 on/off 회로를 인에이블시켜 RF 수신회로를 on시키고, 이에 따라 뒤이어 입력되는 자신의 어드레스 정보와 메세지 정보를 입력받아 디코딩을 수행한다.
그리고 아이들 정보가 입력되거나 다른 어드레스 정보가 입력되면 RF 수신회로를 off시켜 디코딩을 종료하고 다시 POCSAG 신호를 스캐닝하는 모드로 돌아간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호의 대기 상태에서 밧데리 on/off 제어기(8)는 POCSAG 신호의 1배치(batch)구간의 정보 일부를 사전에 정해놓은 일정시간 동안 만 주기적으로 검출되도록 RF수신부(1)를 인에이블 시킨다. 그 기간동안 프리엠블(preamble)검출기(2)에서 프리엠블 신호 검출된 후, 동기코드 검출기(3)에서 동기코드가 검출되면 뒤이어 들어오는 어드레스가 자기 어드레스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BCH 디코더(6)를 인에이블시킨다. BCH 디코더(6)에서는 RF수신부(7)를 거친 수신신호에 대해 에러 콜렉팅을 수행하고, 어드레스 검출기(5)로 어드레스가 전달도록 한다. 어드레스를 입력받은 어드레스 검출기(5)는 자신의 어드레스와 입력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자기 어드레스인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어드레스로 판명되면 메세지 버퍼(7)를 인에이블시켜 어드레스 다음에 이어져 입력되는 메세지가 메세지 버퍼(7)에 저장되도록 하고, 메세지 버퍼(7)가 모두 차면, 외부의 CPU에서는 버펴 풀(frill)신호를 감지하여 메세지 버퍼(7)의 내용을 읽어 가고, 다 읽어 간 후에는 메세지 버퍼(7)를 클리어 한다.
이 때, RF 수신부(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서 아이들(idle)코드가 아이들 코드 검출기(4)에서 검출되면, 아이들 코드 검출기(4)는 이를 밧데리 on/off 제어기(8)와 메세지 버퍼(7)에 통보하여 밧데리 on/off 제어기(8)의 제어에 의해 RF 수신부(1)가 OFF 되도록 하고, 메세지 버퍼(7)가 디저블(disable)되도록 한다.
한편, 메세지 버퍼(7)는 어드레스 검출기(5)가 다른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도 어드레스 검출기(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디저블(disable)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디코더는 POCSAG 신호의 1 코드 워드(code word)내의 어드레스와 메세지 정보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들어 무선호출 서비스에 광역 서비스 개념이 도입되어 광역 서비스 제공이 개시되면서, 광역 서비스를 위한 지역정보를 POCSAG 신호내에 포함시켜 전송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선호출기가 자기 지역을 벗어나 타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이동한 지역이 어떤 지역인가를 알려주는 지역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이제까지 제안된 방식은 두 가지가 존재하였다.
그 방식은 지역정보를 1코드 워드 내의 어드레스 영역에 실어 보내는 방법과 메세지 영역에 지역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방법의 두가지인데, 본 발명의 경우는 어드레스 영역에 지역정보를 포함시킨 POCSAG 신호를 처리하는 디코더 장치에 적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광역 무선 호출기에 사용되는 디코더는 어드레스 영역에 포함되어 입력되는 지역정보를 디코딩하여 지역을 인식하도록 제공하여야하는데, 제1도에 도시한 일반적인 POCSAG 디코더는 메세지 정보만 출력하고 지역 정보 어드레스를 출력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지역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갖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공개된 선 특허출원(광역권에서 사용가능한 무선호출기와 호출 제어방법; 출원번호 93-10457) 발명인 종래의 광역 무선 호출기에서는, 동기코드 검출기(3)에서 동기가 검출되면 이를 CPU에서 인터럽트로 인식하여 자체의 카운트 클럭으로 계수하면서 이어서 입력되는 어드레스와 메세지 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지역인식을 위한 정보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동기코드 검출이후에 입력되는 데이타에 대해 동기를 계속 유지시키면서 데이타를 받아들이지 않고 사전에 자체적으로 설정된 카운트에 의한 기계적인 클럭발생에 의한 데이타 입력이 이루어지므로 비트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기가 유실되어 올바른 데이타를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입력받은 데이타에 대해 실시간으로 BCH 디코딩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프로그램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시간이 길고, 처리시간을 실시간으로 하기 위해서는 CPU의 처리속도를 높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 높아지는 CPU 클럭에 의해 다른 주변 RF 기능부가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이 또한 문제점으로 남게된다.
결국, 광역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어드레스를 디코더에서 에러 콜렉팅, 디코딩 처리하여 CPU에서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역정보가 포함되는 어드레스를 디코더에서 디코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러 콜렉팅된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고유의 자기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버퍼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된 어드레스와 제1버퍼에 기 저장되어 있던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구비하고 있는 어드레스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된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아 지역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로서 외부의 CPU로 전달하는 제2버퍼를 더 구비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와 제2버퍼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를 소정의 비트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2버퍼에 제공하는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검출기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컨버터, 12는 지역 어드레스 버퍼, 13은 시프트 레지스터, 14는 어드레스 버퍼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어드레스 검출기의 구조에 컨버터(11)와 지역 어드레스 버퍼(12)를 부가한 구성을 갖는다.
광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역 모드가 아닌 일반 서비스제공시의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과 동작은 다음과 같다.
BCH 디코더(6)로부터 에러 콜렉팅이 수행된 어드레스 정보가 입력되면 이는 시프트 레지스터(13)로 입력되고, 입력된 비트가 POCSAG 신호이 어드레스 크기인 18비트 모두 채워지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3)에 연결된 비교기(15)는 어드레스 버퍼(14)내에 저장하고 있던 자기 어드레스 정보와 시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된 어드레스와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어드레스가 동일한 경우에 비교기(15)는 자기 어드레스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따라 메세지 버퍼(7)는 인에이블되고 뒤이어 입력되는 메세지 정보가 메세지 버퍼(7)내에 입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광역 모드인 경우에는 외부의 CPU에서 광역 모드임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는 컨버터(11)를 인에이블 시킨다. 이에 따라 시프트레지스터(13)에 연결된 컨버터(11)는 시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된 어드레스 정보를 일정 비트수의 정보로 변환하여 지역정보로서 지역 어드레스 버퍼(12)에 출력하고, 이 지역 어드레스 버퍼(12)에 저장된 정보는 외부 CPU의 읽기 신호에 의해 외부 CPU로 제공되어 CPU의 비교에 의한 지역 인식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컨버터(11)는 입력된 어드레스를 CPU에서 다루기 편한 크기의 데이타로 변환할 뿐, 새로운 정보를 부가하는 변환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마람직한 실시예로서 입력된 18비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컨버터(11)에서 5비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입력된 어드레스 성분 18비트를 CPU로 그대로 제공할 경우에는 CPU에 이 데이타 처리를 위한 소정의 부하를 인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CPU의 부하경감을 위하여 5비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와 같이 18비트에 수용될 수 있는 가입자의 최대수인 210만을 10만단위로 구분할 경우 21가지로 구분되고 이들 20의 경우의 수는 5비트로 모두 표현될 수 있으므로, 미리 컨버터(11)에서 입력된 18비트의 어드레스가 21가지 경우의 수 범위에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5비트로 변환하여 제공하면, 18비트를 비교 인식하도록 제공하는 것보다 CPU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컨버터(11)를 삽입 구성하지 않고 수신된 18비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지역 어드레스 버퍼(12)에 직접 입력하여 전체비트를 CPU로 전달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지역을 인식하기 위한 어드레스 검출 기능 수행시 비교기(15)의 출력신호는 메세지 버퍼(7)를 인에이블 시킬 수도 있지만 이때는 외부의 CPU에서 메시지 버퍼(7)를 액세스할 것인지 아닌지는 CPU의 판단사항이므로 지역인식을 위한 동작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종래의 광역 무선호출기에서와 같이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디코딩을 CPU에서 수행하지 않고 디코더에서 처리하도록 할 수 있어, 무선호출기에서의 지역인식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CPU의 처리속도를 높이지 않아도 되는 특징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에러 콜렉팅된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13), 고유의 자기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버퍼(14)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된 어드레스와 제1버퍼(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5)를 구비하고 있는 어드레스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된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아 지역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로서 외부의 CPU로 전달하는 제2버퍼(1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3)와 제2버퍼(12)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3)에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를 소정의 비트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2버퍼(12)에 제공하는 컨버터(11)를 더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KR1019960013388A 1996-04-29 1996-04-29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KR10019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388A KR100191924B1 (ko) 1996-04-29 1996-04-29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388A KR100191924B1 (ko) 1996-04-29 1996-04-29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762A KR970072762A (ko) 1997-11-07
KR100191924B1 true KR100191924B1 (ko) 1999-06-15

Family

ID=1945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388A KR100191924B1 (ko) 1996-04-29 1996-04-29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9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762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1527B2 (ja) 移動メッセージ受信機に送られた符号化送信を解析する復号器および復号方法
US60384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power in portable, battery-operated radios
KR100191924B1 (ko) 지역 정보 검출을 위한 어드레스 검출기
KR950011078B1 (ko) 선택 호출 수신기
US5497145A (en)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battery saving features and method therefor
JP2759176B2 (ja) 予め定められた信号の一部のための電力節約方法および装置
US5933779A (en) Protocol for exchanging signaling signals in a cordless telephone
KR970703684A (ko) 디지털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서 페이드 회복 방법(Fade recovery in digital message transmission systems)
GB2284915A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940003839B1 (ko) 이중화 다중 주파수 신호 검출 회로 및 방법
KR10040713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부호급 회선의 유휴코드 탐지장치
KR0137449B1 (ko) 무선호출기의 동기신호 검출방법
JP270562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断検出方式
KR100386558B1 (ko) 데이터 전송 속도의 고속 검출 방법
KR100263472B1 (ko) 에이치디엘씨 디코더의 데이터 선(先)검출방법
KR100200048B1 (ko) 엠팩-2 전송스트림 및 엠팩-1 시스템스트림 자동구분/처리시스템 및 방법
KR0178838B1 (ko) 광역서비스 무선호출수신기의 전원절약방법
KR20000019922A (ko) 메시지 수신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 및 그 제어 방법
KR920000388B1 (ko)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JPH0779219A (ja) 同期ワード検出方式
KR900006489Y1 (ko) 텔레텍스트의 전치데이터 매칭회로
KR19980073172A (ko) 비동기식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에러 검출 방법
JPH06284121A (ja) 同期ワード検出方式
KR960013808B1 (ko) 터미널의 전송정보 자동인지 방법
JPH098863A (ja) 通信プロトコル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