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842B1 - 아나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 - Google Patents

아나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842B1
KR100191842B1 KR1019900005530A KR900005530A KR100191842B1 KR 100191842 B1 KR100191842 B1 KR 100191842B1 KR 1019900005530 A KR1019900005530 A KR 1019900005530A KR 900005530 A KR900005530 A KR 900005530A KR 100191842 B1 KR100191842 B1 KR 100191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stem
rotor
pole
aforemen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834A (ko
Inventor
트리포네즈 안드래
래배아우드 잰-필립
Original Assignee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filed Critical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Publication of KR90001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8Mounting, assembling of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14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a stepping motor
    • G04C3/146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a stepping motor incorporating two or more stepping motors o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모터(100)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고정자(2)는 편평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보강 플레이트(68)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비-자기 재 또는 필요하다면 매우 낮은 투자율 재로 만들어지고 함께 재가열을 받기전에 용접에 의해 고정자에 부착되어 동작 중 동작 뒤에 사용할 수 없도록할 변형 또는 파괴의 위험으로부터 고정자를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의 플레이트가 시계내에서 공간을 차지하는 불필요 부분이 되는 것을 막기위해 시계의 또다른 요소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같은 요소는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매뉴얼 제어스템(184)의 안정된 위치를 만들기 위해 트리거 피이스(212)와 협동하는 트리거 피이스 점피 스프링(72)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날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
제1도는 모우터와 문자판이 결합된 전자시계의 수동 제어장치의 부분을 부가적으로 형성하도록 구비된 보강판에 의해 덮힌 두 개의 로터를 가지는 모우터용의 고정자의 보기의 평판도.
제2도는 제1도의 고정자의 변형을 위로부터 부분적으로 본 도면.
제3도는 이 시계의 부분을 위로부터 본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선 IV-IV를 따라 확대한 부분가로단면으로 시계를 위한 표식수단이 부가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자(stator) 4,6,8,24,26,28 : 극부품(pole pieces)
10,12,14,30,32,34 : 목(necks) 18,33 : 내벽(internal wall)
16,36,54 : 중공부(cavities) 44 : 직간(right angle)
46,48 : 축부(side) 50 : 돌기(protuberance)
52 : 슬롯트(slot) 55,58,80,82,84,192 : 구멍(hole)
60,62,64,66,94,96 : 노치(notches) 68,140 : 가곡판(flexible plate)
70 : 메인포션(main portion) 72,74 : 돌기(tongues)
86 : 안부(the end) 89,90 : 돌기(projection)
100 : 모우터(motor) 102 : 인쇄된 회로(printed circuit)
104,110,116,122 : 코아(core) 106,112,118,124 : 와인딩(winding)
108a,108b,114a,114b,120a,120b,126a,126b : 나사(screw)
128,154 : 로터(rotor) 130,156 : 케이손(caisson)
134 : 플랜지(flange) 136 : 바닥(bottom)
138,142 : 베어링(bearings) 144 : 샤프트(shaft)
146 : 2극 자석(bipolar magnet) 148 : 피봇(pivot)
152a,152b : 스퍼어(spurs) 158a,158b : 스투드(studs)
160,178 : 튜브(tube) 162,166 : 칼라(collar)
163 : 분침축(minute axis) 164 : 분치차(minutes wheel)
168,206 : 접합부(ferrule) 170 : 스톱링(stopping ring)
172 : 플랜지(flange) 174 : 분침(minute hand)
176 : 시침휠파이프(hour wheel pipe) 180 : 시치차(hour wheel)
182 : 시침(hour hand) 184 : 슬라이딩스템(sliding stem)
186 : 크라운(crown) 188 : 가이드부분(guidance protion)
190 : 시계케이스(watch case) 194 : 지지표면(support surface)
196 : 환상그루브(annuler groove) 198 : 팩킹(packing)
200,202 : 캠(cams) 204 : 그루브(groove)
206 : 접착부(ferrule) 208 : 트리거부품(trigger piece)
210 : 고정축(fixed axis) 212 : 중앙부분(control portion)
214,216,216 : 브랜치(branches) 220a,222a : 자유단부(free ends)
220,222,224 : 접촉날(contact blades) 226 : 베이스(base)
228,230 : 접촉표면(contact surface)
232,234,236,238 : 도체트랙(conductive tracks)
본 발명은 아날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로터(electromagnetic rotor)를 가진 전자석 모우터와
로터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그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극부품(pole part)을 포함하는 기본적으로 편평한 고정자(a flat stator)와
이 고정자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와인딩(winding)과 시간을 표시하지 위한 표시수단과 이 표시수단을 운동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치차셋트(wheel sets)와
이 모우터의 고정자를 위해 이 고정자의 일측이 전술한 극부품에 부착되고 부분적으로 전술한 로터를 둘러싸면서 덮고 동시에 하나의 다른 시계 요소를 구성하는 보강판(a reinforce plate)과
전술한 보강판이 고종자의 극부품에 단단히 결합되어 메인 포션(main portion)의 작동을 유도하는 일련의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표시판을 가진 전자시계를 얻는데 있다.
현존하는 아날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의 대부분은 표시기구(the indicating organs)가 극성 펄스(polarity pulses)에 따라 180°의 과정으로 회전하는 2극 단상형(the bipolar monophase stepping type)의 전자석 모우터에 의해 작동되는 그런 종류의 것이다.
이런 형태의 신기원 모터(a certain epoch motors)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영구자석을 가진 로터(a rotor)와 로터를 둘러싸도록 하기 위한 원통 형태의 극면(polar faces)이 있고 또한 좁은 슬롯트(slots)에 의해 후자의 양측이 분리된 두 극 부품(the polar pieces)으로 형성된 고정자(a stator) 및 극부품(the pole pieces)이 고정되도록 코아(a core)를 둘러싸는 와인딩(a winding)을 각기 포함하고 있다.
또 고정자의 극부품은 180°로 각이 분리되는 두 개의 고정 휴지위치(stable rest positions)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들의 극면이 로터의 회전축에 따라 반대위치에서 약간 엇갈려 있고, 여기서 그의 자화축(magnetization axis)이 이런 부품들사이의 분리슬롯트를 연결하는 축과 약 45°을 형성하도록 조절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모우터를 사실상 심각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효과적으로 이들의 기증의 최적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들 극부품의 극면(polar faces)의 편심이 아주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베이스판(base plates)과 같은 극부품이 회동할 수 있는 스투드(studs)가 구비된 지지체에 먼저 모우터를 장착하고, 그 다음 특별한 공구의 도움으로 편심에 따라 가감속도의 효과가 생기고 이들 극부품은 나사못에 의해 지지체에 고착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작조업은 시간이 아주 많이 걸린다. 또, 시계의 무부먼트(watch movements)는 로터의 인접부에 위치된 극부품의 부분이 편심부에 접근하는 위치로 블록킹나사(blocking screws)로 고정시켜 모터를 위치하게 하는 연결방식이 필요하다. 끝으로 시계를 해체할 필요가 있을 때 혹은 충격을 받았을 때, 동일한 조정작업을 되풀이 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우터는 짧은 기간동안에 지금까지 여러 시계에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현재의 모우터는 기본적으로 그들의 고정자의 형태에 따라 3 형태로 구별된다.
가장 최근의 것은 연질의 자석재료의 판으로부터 잘라낸 단일부품(a single piece)으로 형성되고 그의 중앙부분에, 기본적으로 원통형인 하나의 로터가 동심으로 위치된 형태의 내벽에 의해 묶인 중공부를 포함하는 고정자를 소유하며, 이 모우터에는 극부품이 목(necks), 즉 자속(the magnetic flux)에 의해 연결되며 이 부분은 실제 이전의 모우터의 극부품사이의 슬롯트(the slots)와 같은 역할을 하며 이들 극부품의 편심도는 고정자의 내벽에 의해 눌린 노치(notches) 혹은 정반대로 배열된 편평부분에 대체된다.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일종의 시계로 볼 수 있는 다른 두 형태의 2극 단상모우터에서는 두 개의 구별된 극부품을 발견할 수가 있다.
한 경우는 이들 극부품이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모우터의 것과 같은 동일차감극면을 가진다. 그러나 이들은 이 경우 로터의 어느 일측에 비자성재료의 단일블록 고정자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들 사이를 결합하고 용접한다.
다른 경우에는 이들 극부품이 슬롯트에 의해 계속 분리되지만, 실린더의 부분형태인 그들의 극면은 더 이상 엇갈리지 않는다. 모우터는 모우터가 장착된 베이스판에 고정된 비자성재료의 원통형 슬리브(sleeve)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이는 로터를 동심으로 둘러싸고 또한 극부품의 극면을 위한 위치 설명 및 지지요소로서의 역할과 작용을 한다.
이들의 채택한 방식이 어느것이든지, 이들 단상 2극 모우터는 간단하고 체적이 적으며, 제조단가가 낮은 장점을 가지나 한가지 심각한 결함이 있다.
이들이 보통의 시계에 사용되었을 때 즉, 이들이 설계된 방식 및 표시 수단의 진행방식으로 회전하게될 때, 표시정보를 수정하고 무엇보다도 시간 셋팅을 수정하려면, 시간의 표시를 빠르게 혹은 늦게 고정할 수 있는 기계장치 혹은 모든 방향으로의 교정을 보장하는 전자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초의 경우에는, 모우터가 교정중에, 고정된 주파수의 펄스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정상모우드(the normal mode)의 작동에 의한 펄스의 속도보다 명백히 큰 수동제어요소의 작동속도를 받게된다. 동시에, 교정펄스의 각각에 반응하게 하기 위해, 이 주파수는 충분히 느리게, 일반적으로 32 혹은 64Hz를 넘지 않게 남아있어야 하므로, 이로 인해 교정을 얻기 위한 시간은 아주 길게되므로 초침을 가지는 시계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
실제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적어도 실제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보이는 종래의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제1의 것은 이 2극 단상스탭핑 모우터를 유지하여 이를 특별한 형태로 조절함에 따라 뒤로도 회전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형태의 모우터는 장점을 가지지만 역방향의 성능은 통상 전방작동에 의해 얻어진 것보다 열등하다.
제2의 해결책은 미국특허 제4,371,821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양방향 모우터를 사용하는 것이나, 이는 이 결점을 충분히 제거하지는 못했다.
180°의 스탭에 의해 회전되는 이 모우터는 단상모우터와 같은 동일한 로우터를 포함하고, 고정자는 단일부품으로 3개의 극부품이 목(necks)에 의해 연결되고 또 그 자신은 모터를 싸고 있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인 중공부를 가지고 중공부를 둘러싸는 내벽에 노치(notches)를 가져 이 로터를 위해 서로 180°에서 두 개의 휴지위치를 갖으며 두 개의 날개가 극부품의 하나를 다른 두 개에 각기 기계적으로 그리고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두 개의 코아(cores)를 둘러싼다. 이런 모우터는 체적이 크고 단상모우터의 제조단가보다 그 제작 단가가 더 비싸다.
이들 두 해결방법은, 전자식으로 시간셋팅을 할 수 있게 했으나, 예를 들어, 시침과 분침만 가지는 시계에서는 더 빠른 시간구역의 이룰 수 있으나 그러나, 초침 및/혹은 시간표시가 있는 시계는 적용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이는 종전에 표시기구의 그룹 혹은 표시기구들을 별도로 구동하기 위해 두 개의 모우터를 가진 시계를 제조하기 시작한 원인중 하나이다.
또다른 이유는 여기서 얻어지는 에너지 절약이다. 이는 특히 두 모우터가 한편으로는 초침을 구동시키고 다른 한편에서는 시침과 날짜표시기를 구동시키는 시계의 경우 혹은 초침, 분침, 시침이 제1의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고 날짜판이 제2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로 이를 위해서는 시간과 날짜셋팅을 전자식으로 조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3의 이유는 시계가 담당하는 많은 기능, 예를 들어 크로노그래프, 알람 등 기능의 수를 쉽게 증가시킬 수는 있다는 것이다.
끝으로, 4번째 이유는 시계의 치차열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에, 단일모우터에 한정되지 않고 4개 또는 5개의 기능을 동시에 갖추는 시계제조에까지 도달했다.
결점을 두 모우터 시계는 단일모우터 시계보다 두배 비싸고 시계내의 체적도 두배를 차지하며 혹은 이들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으면 실제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쉽게 두 로터이상을 가지는 공통의 고정자를 가진 모우터에 대한 관심에 다다르게 되었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는 적어도, 2극 단상모우터(bipolar monophase motors)는 서두에서 설명한 것처럼 편평고정자 혹은 극부품을, 연질의 자기재료의 판으로부터 출발하여, 한 번의 혹은 연속 블랭킹에 의해 필요한 형상으로 만들고, 그 다음 이들을 벌크상태로 홀더(holders)에 넣어, 오븐에서 가열하고 여기에 이들을 형성한 재료의 결정을 재정렬할 수 있게 하는 소둔작업(an annealing operation)을 받도록 하여 내부기계적 응력을 억제하는 대량생산 편평고정자 혹은 극부품에 사용되기 위해 이 재료에 블랭크작업의 순간에 변형작업시 잃게되는 양호한 자기특성을 재주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식의 작업은 문제를 일으킨다. 편평고정자 혹은 그들의 극부품의 고정자의 목 혹은 로터를 둘러싸도록 하기 위해 있어야 하는 호온(horns)의 경우이다. 따라서, 이들 고정자 혹은 이들 극부품이 홀더내에 벌크상태로 위치되는 순간과 그로부터 비워지는 순간 혹은 단순히 이들의 운반중에 비틀리거나, 변형되거나 깨지거나 혹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있어, 이는 손상되지 않고 남아있는 것들로 만드는 모우터의 단가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 고정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이들이 포함하는 부서지기 쉬운 부분이 커지게 되고, 변형과 파괴증가의 위험이 더 많아지고 또 폐기되는 각 부품으로 인한 손실이 더 커져 제조단가와 이들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투자비용이 훨씬 커지게 된다.
따라서, 두 로터를 가지는 모우터의 고정자를 위해 이 문제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되었다. 만일 이 배열이 서는 로터가 가능한대로 이런 형태의 모우터에 의해 구비된 시계의 치차수를 가능한대로 줄이기 위해 서로 매우 가깝게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이 도욱 중요하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이미 설명한 두-부품 고정자가 가지는 단상모우터의 조정의 어려움을 제거하기 위한 접을 발견하고 동시에 이러한 모우터의 문제를 제거하도록 하는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영국특허 제1,457,676호의 목적물이고 2-3년 동안 사용되어왔던 이 해결방법은 연질자석재료의 판으로부터, 중공부를 갖는 부품을 먼저 잘라내어 이의 내부와 외부윤곽이 용접전에 그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허용하기 위해 보다 큰 크기의 둥근 구멍을 가지고 있는 고정자의 극부품의 상대위치와 형상에 정확이 일치하게 구성하고 그후 이 부품은 비자성재료의 지지판에 완전히 용접된다. 이의 원주는 그의 중공부벽에 외접되고, 이후 또다른 블랭크 작업(blanking operation)을 하며 두 극부품을 분리하는 슬롯트를 얻고 어셈블리를 가열하여 고정자를 소둔작업한다. 이 소둔작업중에 냉각순간에 극부품이 응력과 변형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또 이들이 서로에 관해 바르게 위치되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판을 고정자와 동일한 열팽창계수 혹은 거의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미 실시된 것에 비해, 이 지지판은 고정자의 극부품을 보강하고 또한 완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는 있다.
특히, 이런 역할을 유지하고 또 가끔, 이런 고정자의 취성부분(the fragile portion)을 발견하는 구역을 덮도록 하기 위해 그의 범위를 한정하여 편평한 고정자에 이런 보강판을 연결하는 것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있어서는 두 개의 다른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첫째, 이들 보강판의 사용이 단가와 또는 이들을 이런 고정자에 혹은 고정자를 이들에 부착하는 비용에도 불구하고보강판이 소둔된후 폐기되는 위험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하고 고정자의 단가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면 이런 고정자 혹은 취성인 그의 극부품을 이의 대량생산의 경우에는 현재의 것보다 아주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유니트의 일정한 비율의 손실을 피하기 위해 보강판을 구비하는 것은 경제적일 수 없다. 이는 가끔 아주 비경제적이되고 따라서 모든 잇점이 없어진다.
제2의 문제는 이후 시계에서 발견되는데 이런 보강판은 시계의 부품 요소의 숫자만 증가시키고 아무런 유용성 없는 공간만 차지하는 요소가 된다.
한편 스위스 특허출원 제627,044호에는 두 개의 극부품이 판에 장착되고 이 판이 모우터의 회전자와 시계의 치차열의 어떤 요소를 위한 베아린 작용을 하도록 한 단상 모우터를 갖춘 전자시계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판(plate)을 베아링 작용을 위하여 판만을 사용하는 것은 장착이 브리즈(a bridge)와 같은 시계부품을 짓누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런 생각은 만족할만한 그리고 유용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며 특허 모우터에 보강판을 추가로 설치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비용이 들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해결책을 마련하고 동시에 스위스 특허출원 제627,044호에 것보다 더욱 이용가치가 있고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이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시계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로터를 가진 전자석 모우터와 로터에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그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극부품(pole parts)을 포함하는 편평한 고정자와, 이런 고정자에 자기적으로 연결된 와인딩과,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표식구단, 이런 표식수단을 운동학적으로 모우터에 연결하기 위한 치차셋트(wheel sets)와 이던 모우터의 고정자를 위해 이 고정자의 일측이 전술한 극부품에 부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술한 로터를 둘러싸면서 덮고, 동시에 시계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시계요소를 구성하는 보강판과 그리고 이런 보강판은 모우터의 고정자의 극부품에 단란히 고착되는 메인 포숀(a main portion)과 이 고정자에 연관되어 이동하고 시계의 또다른 요소를 구성하는 신축부(a flexible part)를 포함하고 있는 일련의 구조를 갖는 아날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 요소(element)는 이후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순수하게 기계적인 것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전기접점의 날(blade)과 같은 전자기계적으로 처리할 수가 있다.
아날로그 문자표시를 갖춘 시계에 있어 신축요소(flexible element)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시계의 표면이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보강판의 구성을 선택할 수가 있다.
한편 이들 신축요소는 때때로 다소 복잡한 형태의 소형부품을 갖게되므로 그 제작과 조립에 있어 메인 프래이트(a main plate)나 부리즈(a bridge)의 것보다 비용이 들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현실적이고 경제적으로 성취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판은 모우터의 로터용 베아링이나 가능하면 치차열(the wheel train)의 요소(element)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이 설명을 위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로터를 가지는 모우터를 위한 편평고정자(the flat stator)(2)는 예를 들어, 상표명VACOPERM 또는 상표명PERMIMPHY로 시판되고 있는 철-니켈 합금(a ferro-nickel allay)으로된 하나의 부품(a single piece)으로 되어있다.
이 고정자는 제1도의 선 A-A에 의해 분리되고 서로에 관해 수직하게 배열되며 이미 인용된 미국특허 제4,371,821호의 목적물을 형성하는 양방향 모우터의 고정자의 각각과 일치하는 두 부분 P1과 P2로 형성되어 있다.
부분 P1은 3개의 극부품(pole piece)(4,6 및 8)을 가지고, 이들은 목(necks)(10,12 및 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중공부(a cavity)(16)는 이들 극부품과 목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인 원통형 내벽(18)에 의해 둘러싸이고 2극 영구자석을 가지는 로터를 수용한다. 두 개의 정반대로 배열된 노치(notches)(20a와 20b)가 내벽(18)에서 이런 로터를 위한 180°분리된 두 개의 휴지위치(two rest position)를 만든다.
부가적으로, 이 부분 P1은 나사 등에 의해 두 코아(cores)가 그에 고착되도록 하기 위해 4개의 구멍(22a,22b,22c,22d)이 형성되고 천공되어 있으며 코아의 각각은 와인딩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것은 극부품(the pole piece)(4)은 제1도의 선 A-A으로 표시된 극부품(4)의 양쪽에 평행하게 위치된 극부품(6 과 8)에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자(2)의 부품 P2는 각기 부품 P1의 부품(4,6 및 8)에 일치하는 3개의 부품(24,26 및 28)을 포함한다. 그러나 부품(4)은 약간 다른 부품(24)만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칫수를 갖지 않는다.
특히, 부분 P2에서 두 개씩 극부품(24,26 및 28)을 연결하는 3개의 목(30,32 및 34)을 볼 수 있다. 중공부(36)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인 내벽(38)에 의해 묶이고, 2극 자석을 가진 또다른 로터의 하우징을 위한 부분 P1의 벽(wall)(18)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벽(38)내의 두 개의 정반대로 배열된 노치(40a와 40b)와 구멍(42a,42b,42c,42d)은 극부품(24)을 극부품(24)의 양측에 위치된 극부품(26과 28)에 연결되지만 이 경우 실질적으로 제1도의 선 A-A에 수직하게 될 두 개의 다른 와인딩에 의해 둘러싸인 두 개의 다른 코아에 의해 부착된다.
부가적으로, 고정자의 부분 P1과 P2의 구성과 배열은
1. 제1도의 선 A-A를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극부품은 부품(8과 26)이며,
2. 부품(8)은 고정자가 제1도의 선 A-A로부터 거의 직각(44)이고 수직인 직선측부(46)와 여기에 돌출부(50)가 있는 또다른 측부(48)의 모서리를 가진 다른 것보다 명백히 크다.
3. 중공부(16과 36)가 서로 가깝고 그들의 중심이 제1도의 선 A-A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직선상에 위치한다.
4. 극부품(28)은 부품(6)에 가깝게 있으나 극부품(6과 28)을 각기 부품(8과 26)에 연결시키는 목(14와 34)을 형성하게 하도록 중공부(54)에 의해 고정자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선 A-A의 방향으로 배향된 평행변부를 가지는 슬롯트(52)에 의해 극부품(28)이 부품(6)과 분리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고정자(2)는 두 개의 다른 원통형구멍(56과 58)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의 용도는 이후 설명될 것이다. 먼저 이들중 하나인 구멍(56)은 그의 축이 중공부(16과 36)의 것에 같은 거리에 있고, 작은 직경을 가진 제2의 구멍(58)은 돌기(50)의 단부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중공부(54)의 바닥에 가깝게 위치된다.
제1도를 보면, 중공부(16과 36), 슬롯트(52), 중공부(54)와 극부품(4와 6,4와 8, 24와 26, 24와 28)을 각기 분리하는 4개의 깊고 얕은 노치(notches)(60,62,64 및 66) 때문에, 이 고정자는 보통 이들 모든 개구부를 둘러싸는 특히 부서지기 쉬운 전체 구역을 가진다. 여기서 쉽게 휘거나 비틀리며 주고 조심없이 조작될 때 파괴점에 도달하게 될 목(10,12,14,30,32 및 34)부근이 휘거나 비틀린다.
이는 두 개의 밀접하게 위치된 로터를 포함하고 보강판의 존재가 특히 정당화된 모우터에 관해 이미 설명된 것을 확인한다.
이경우에, 판(68)으로 표시된 이 보강판은 주부품(70)으로 형성되고, 이의 역할은 변형과 파괴로부터 고정자(2)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며, 선호적으로 용접에 의해 혹은 가끔 접착제에 의해 고착된다. 두 개의 돌기(72와 74)가 이 두 부분에 부착된다. 이들 자신은 고정자에 연결되지 않았다.
한편, 판(68)은 고정자(2)의 두께보다 명백히 작은 두께, 예를 들어, 약 3분지 1의 두께를 가진다. 이를 형성하는 재료는 돌기(72와 74)가 쉽게 만곡될 수 있는 비-자성재료(a non-magnetic material) 뿐만이 아니라 이의 열팽창 계수는 고정자재료의 것에 같거나 거의 같은 충분히 탄성이 큰 재료가 좋다. 고정자가 상표명 VACOPERM 혹은 상표명 PERMIPHY의 것일 때, 이 보강판의 재료는 철, 코발트, 크롬, 니켈 및 몰리브덴의 합금강C철인, IMPHY회사의 상표명 PHYNOX로 시판되는 베릴륨(beryllium), 구리 또는 강철이 유리하다.
주부품(70)을 보면, 이 부품이 극부품(6,26 및 28), 슬롯트(52), 중공부(54) 및 노치(60,62,64와 66)를 거의 전부 덮고 또한 중공부(16과 36)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구역에 있는 극부품(4,8 및 24)의 일부까지도 덮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단단히 보호한다. 또 코아(the cores)를 날개(the wings)에 고착하기 위하여 각기 구멍(22c,22d,42c 및 42d)과 동축인 7개의 원통형 구멍(76a,76b,78a,78b, 80,82 및 84)을 관통하여 중공부(16과 36)에 또 구멍(56)에 고착시킨다.
주부품(70)에 배열된 구멍들은 고정자의 구멍들 보다 매우 크며 또 구멍(76a,76b,78a 및 78b)으로부터 구멍(80과 82) 그리고 구멍(84)으로 갈수록 직경의 크기가 커진다.
구멍(80과 82)과 중공부(16과 36)에 관해, 이 직경의 차이가 충분히 실질적이고 보강판(68)이 사실상 목(10,12 및 14) 뿐만 아니라 목(30,32 및 34)도 덮지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들을 연결하는 극부품이 서로에 관해 완전히 부동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후자의 보호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끝으로, 고정자의 모서리(44)에서와 판(68)의 주부품(70)에서 자유로이 남겨진 부분에 이 모서리의 측부(46)에 거의 평행한 두 개의 돌기(72와 74)가 있음이 발견된다. 이 측부(46)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돌기(74)는 측부(48)의 높이에 거의 도달하고, 그의 연장부에 돌기(50)를 가진다. 한편, 측부(46)에 매우 가까운 돌기(72)는 측부(48)너머로, 내부에 두 개의 작고 둥근 끝의 돌기(88과 90)를 가진 초생달형으로 단부(86)에 의해 돌기(50)의 오른쪽으로 끝난다. 이로부터 이들 사이에 또 초생달의 점(92)으로 두 개의 노치(94와 96)를 형성한다.
고정자 극부품(6과 28)사이의 슬롯트(52)는 고정자의 부분 P1과 P2에 일치하는 모우터의 두 부품의 자기회로를 분리하도록 명백히 후자사이에 고율의 자기 저항(magnetic reluctance)지대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모우터의 두 부품은 별도로 기능을 행할 수 없고 설사 이들중 하나에 여자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교대로 여자하더라도 정상적으로 기능을 행할 수 없으므로 에너지 소비의 문제의 관점에서 두 개의 독립된 모우터의 경우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발생하는 문제는 이 슬롯트(52)로 극부품(6과 28)의 하나가 보강판을 고정자에 부착할 때 동일판에 때때로 정확한 위치에 부착이 되지 않아서 이 구역에서 떨어지게 되며 이때 고정자가 변형되고 파괴될 위험이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택할 수 있다. 즉, 고정자 목(98a와 98b)을 성형하는 순간에 극부품(6과 28)들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모우터의 두 부품의 작동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아무런 변화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만일 제3도에서 도시된 시계의 부품에 주위한다면, 인쇄회로(a printed circuit)(102)상에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된 이 모우터(100)를 각기 와인딩(a winding)(106,112,118 및 124)에 의해 각기 둘러싸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각 쌍의 나사들(108a과 108b,114a와 114b, 120a와 120b 및 126a와 126b)에 의해 그에 부착되어진 고정자의 두 부분 P1과 P2의 다른 극부품들을 연결하는 4개의 코아(cores)(104,110,116 및 122)와 보강판(68)에 의해 장착된 그의 고정자(2)를 쉽게 구분할 것이다.
한편, 이 도면에서 볼 수 없는 것은 두 로터가 형성되는 방식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계를 위한 표시수단과 표시수단을 두 로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는 치차열(wheel sets)을 보여주는 제4도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제4도의 우측부품을 보면, 고정자(2)의 극부품(8)이 속하는 모우터(100)의 부품의 로터(128)가 작은 케이손(a small caisson)(130)내에 싸여지도록 되어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케이손은 비-자성질 재료 즉, 고정자의 중공부(16)속으로 강제구동되고 보강판(68)의 구멍(80)의 벽에 의해 싸여진 플랜지(134)에 의해 이동이 되지 않는 베릴륨 구리(beryllium copper)의 스커트(a skirt) 형태의 부품(132)을 포함한다. 부품(132)의 바닥(136)에는 로터를 위한 제1 베어링(138)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구멍이 뚫려있다. 또, 이 부품의 구멍은 로터(128)를 위한 제2 베어링(142)을 구성하기 위한 중앙구멍을 가진 판(140)에 의해 차단된다.
이 로터(128)는 샤프트(144)를 포함하고 여기에 2극자석(146)이 장착되고 이의 단부중 하나는 베어링(138)과 결합되는 피봇(148)을 형성한다. 이 샤프트의 다른 단부(150)는 베어링(142)을 통과하고 출력피니온(output pinion)의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스투드(152a와 152b)에 의해 연장된다.
따라서, 로터(128)를 먼저 케이손(caisson)(130)에 조립하고 그후 이 후자를 고정자에 고착함으로서, 이 로터를 무브먼트의 전체 어셈블리중에 고정자에 중심에 연결해야하는 정밀한 작업을 피하게 됨을 명백하다.
먼저, 이 도면의 우측부분을 보면, 제2 로터(154)가 제1의 것과 동일하고 고정자의 다른 부분 P2의 중공부(36)속에서 구동되는 다른 케이손(156)에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되지만 그러나 반대로 이는 스투드(158a 와 158b)가 보강판(68)을 지지하는 반대편의 고정자의 측부에 위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같은 제4도를 계속보면, 두 로터(128과 154)사이에, 고정자의 원통형 구멍(56)을 볼 수가 있다(제1도 참조). 여기에는 고정자(2)의 전방에서 연장하고, 고정자의 전면에서 지지되는 보강판(68)의 구멍(84)에 내장된 칼라(162)를 통과하는 중앙튜브(160)의 단부들중 하나가 위치한다.
이 튜브(160)를 통하여 로터(154)의 스투드(158a와 158b)와 맞추어지는 분침치차(a minutes wheel)(164)를 고정자 너머와 한 단부에서 지지하는 분침축(163)이 통과한다.
이 축(163)은 치차(164)의 바로 전방에 있는 칼라(166)와 접합부(168)로 연결되고 분침(174)이 부착되는 플랜지(172)를 가진 스톱링(170)에 의해 튜브(160)에 축방향으로 적절히 고정된다.
끝으로, 중앙튜브(160)의 상부부분 주위에는 튜브(160)의 칼라(166)에 의해 또 링(170)의 플랜지(172)에 의해 축상으로 보지되고 시침(182)을 지지하는 튜브(160)를 가진 시침 치차파이프(176)가 조립된다. 시침치차(180)는 로터(128)의 스퍼어(152a와 152b)와 맞추어지는 튜브(178)에 고착된다.
다시한번 제3도를 참조하면, 수동으로 시계의 전자시간 셋팅 뿐만 아니라 날짜의 정상시간을 표시하는 것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능을 선택하고 제어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모우터와 그에 연결된 시침으로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수동제어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 배열은 회전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한 스템(184)과, 이런 스템이 정상적으로 위치하는 중립 혹은 휴지위치 사이에서 축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정상과 회복을 조절하는 시스템과, 안정위치와 밀려들어간 불안정위치의 위치설정과 귀환을 위한 시스템 및 전자적 제어와 교정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작동하는 스위치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어시스템(184)은 크라운(186)을 포함한다. 그래서 시계케이스(190)를 통하여 이것이 통과하도록 하는 가이드 부분(188)은 도면에서는 극히 부분적으로 또 도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듯이, 구멍(192)을 통하여 이동과 회전을 보장하고, 또 크라운의 특부상에 있는 지지표면(194)으로 인하여 그의 밀어넣는 위치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특히, 일반적으로 가이드부분(188)은 그와 케이스 사이에 팩킹(198)을 수용하기 위해 환상그루브(198)를 구비한다.
또 스템(184)은 서로 나란히 고착된 두 개의 캠(200과 202) 및 제2 캠(200)과 접합부(a ferrule)(206)사이에 위치하는 그루브(204)를 포함한다.
캠(200과 202)은 미국특허 제4,379,642호의 물품인 전자시계의 제어배열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것에 유사하다. 그러나 여기서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이고 스템의 축이 그의 중심을 통과하며 그들의 주축이 약 45°의 각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스템(184)은 그의 접착부(206)와 그루브(204)가 돌기(72)의 단부(86)의 반대편의 모우터(100)의 고정자의 돌기(50)에 매우 가깝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또 이 그루브(204)의 바닥이 고정자의 전면에 또 후자의 뒷면에 위치되는 평면에 동시에 접선 혹은 거의 접선이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스템이 위치설정 및 귀환시스템은 트리거부품(trigger piece)(208)과 보강판(68)의 두 개의 탄성돌기(72와 74)를 포함한다.
트리거부품(208)은 고정자의 돌기(50)의 구멍(58)을 통과하는 고정된 축(210)주위를 피봇회동(pivot)하고 이 축에 의해 항상 혹은 거의 고정자와 접촉하여 돌기(72와 74) 및 스템의 그루브(204)와 협동할 수 있도록 보지되는 평면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같을 이유로, 이 트리거부품은 축(21)을 둘러싸고 이로부터 3개의 브랜치(branches)(214,216 및 218)가 나타나는 환상의 중앙부품(212)을 포함한다. 이들 브랜치중 첫 번째(214)는 그루브(204)에 정합되고, 스템의 이송운동을 트리거부품의 회전운동으로 바꾸면서 이런 스템이 항상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의 제1의 것의 연장부에 위치된 제2 브랜치(216)는 그의 3각 형상을 가지고 이의 둥글게 된 단부는 돌기(72)의 단부(86)의 내측변부와 영구적으로 접촉하며 이들 두 노치(notches)중 하나는 다른 곳에 배치된다. 제3 브랜치(218)에 관해서 설명하면, 이는 제2의 것과 닮은 형상을 가지며 그의 중앙부품의 변부가 보강판(68)의 주요부품(70)의 측부로부터 돌기(74)의 단부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제어스템(184)이 중립위치에 있을 때, 트리거부품의 이 제3 브랜치(218)의 변부는 이때 휴지위치에 있는 돌기(74)의 것과 접촉하고 제2 브랜치(216)의 단부는 또 휴지의치에 있는 돌기(72)의 노치(96)에 접촉한다.
스템이 이 중립위치에 유효하게 위치되고, 이들 밖으로 잡아당긴다고 가정하자, 가해지는 견인력이 브랜치(216)의 점이 돌기(90)를 돌기(72)가 휘도록 하기에 충분하게 크지 않는 한, 트리거부품(208)을 회전하지 않고 이런 점을 노치(96)에 남아있거나 혹은 만일 조작자가 스템을 풀었을 때 약간 분리가 되었어도 다시 제위치로 되돌아간다. 한편, 만일 격발력이 일정값 이상으로 크다면, 트리거부품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의 브랜치(218)는 돌기(74)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그의 브랜치(216)의 점은 돌기(72)의 다른 노치(94)내에 위치되도록 된다.
만일, 스템을 그의 밖으로 뺀 위치로 계속 옮긴 후, 조작자가 보통의 힘으로 계속 당긴다면, 다른 돌기(90)보다 현저한 돌기(72)의 돌출부(88)는 브랜치(216)의 점이 노치(94)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이 돌출부(88)는 이 목적에 맞는 형태를 가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스템을 중립위치로, 귀환시키기 위해, 트리거부품(208)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또 브랜치(216)의 점이 노치(96)로 귀환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크라운(186)에 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돌기(72)는 이 스템이 중립위치에와 당겨진 위치에 있을 때 트리거부품과 스템의 위치에 걸림을 보장하는 트리거부품을 위한 점퍼 스프링(jumper spring)을 구성한다.
지금, 조작자가 스템을 그의 중립위치로부터 그의 밀어넣은 위치로 보내도록 하기 위해 크라운(186)에 압력을 가한다고 가정하자, 트리거부품(208)은 이때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는 그의 브랜치(218)가 돌기(74)상에 지지되도록 하며, 이동안 그의 다른 브랜치(216)의 점은 그로부터 이탈되고, 그리고 돌기(72)의 노치(96)로부터 그의 점(92)의 측부로부터 분리되면서 돌기를 가볍게 만곡시킨다.
조작자가 스템을 풀어줄 때, 돌기(74)는 이완되고 빠르게 그의 휴지위치로 돌아간다. 이는 트리거부품은 반대로 회전하게 하여 스템을 중립위로 옮긴다. 이 시간중에 돌기(72)는 또 그의 휴지위치로 돌아가고 트리거부품상의 돌기(74)와 같은 방식으로 그의 브랜치(216)의 점은 노치(96)로 자동적으로 다시 옮기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그의 작용은 아주 덜 효과적이고 스템을 중립위치로 급속히 귀환시킴을 보장하는데 단독으로 충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돌기(74)가 단독으로 트리거부품(208)을 위한 귀환스프링을 구성하는 것을 고려하게 된다.
끝으로, 수동제어장치로 작동 조작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그의 스위치시스템에 대한 문제가 좀더 연구되어야 한다.
이 스위치시스템은 3개의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탄성접점날개(220,222,224)를 포함해야 하고, 이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또 제어스템의 축에 수직하게 배열되며 또 이들은 예를 들어, 시계를 위한 공급전압의 전원의 양극에 연결된 인쇄회로(102)에 이들을 고착한 베이스(226)와 단일 한 부품만으로 형성한다.
제1의 두 날개(220과 222)는 각기 캠(200과 202) 아래를 조작자가 스템(184)을 돌려올렸을 때 후자가 이들에 작용하는 방식으로 통과하여, 이들의 자유단부(220a와 222a)가 이때 교대로 접촉되고 또 인쇄회로(102)에 구비된 두 개의 해당 고정접점표면(228과 23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인쇄회로는 도체트랙(conductive tracks)(232)과 (234)에 의해 시계의 집적회로(도시하지 않았음)에 또 후자를 통하여 시계의 전압원의 음극에 연결된다.
미국 특허 제4,379,642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두 캠(200과 202), 날개(220과 222) 및 표면(228과 230)으로 형성된 것과 같은 어셈블리는 스템의 회전에 응답하여 서로에 관해 45°변위된 두 열의 펄스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런 위상변위의 방향은 스템의 회전방식에 따르고 각 펄스의 주파수는 그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또 제3의 접점날개(224)는 스템 아래를 지나고 후자의 그루브(204)에 결합된다.
스템이 중립위치에 있을 때, 도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지만 그의 자유단부는 역시 도면에서 표시되지 않은 두 개의 전기 도체트랙(236과 238)에 의해 시계의 집적회로에 연결된 두 개의 다른 접점표면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조작자가 스템을 당겨 빼낸 위치로 혹은 밀어넣은 위치로 옮겼을 때 이 날개(224)의 자유단부는 이들 두 다른 표면의 하나 혹은 다른 것과 접촉하게 된다.
그와 같은 제어배열로는, 시간셋팅을 효과적으로 하고, 스템을 당겨 빼낸 위치로 옮기고 이를 또 바르게 제1의 경우를 위해서는 천천히 그리고 제2의 경우를 위해서는 빠르게 어느 방식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시간영역을 전후로 변화시키고, 또 스템의 회전을 이용하여 또 그의 당겨빼고 밀어넣은 위치에서 알람기능을 조절하고 혹은 푸쉬버턴에서와 같이 스템상에 작용하여 크로노그래프기능(chronograph function)을 조절하게 된다.
크로노그래프기능과 짧은 시간간격의 측정을 위한 기능이 있어야 한다면 모우터가 분침(174)이 초침으로 시침(182)이 분침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되어진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하는 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자성재료의 보강판을 이용하지 않고,경우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 극히 낮은 자기투과성의 재료의 판으로 만들 수 있다.
또 판을 고정자에 용접이나 접착제가 아닌 리벳(riveting)이나 나사로 고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비용이 더 들게 된다.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 판은 캘린더 스프링(calender spring) 혹은 이미 이해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클램프, 제3도의 시계의 부품으로 형성된 것과 같은 발생 제어신호를 하기 위한 하나 혹은 여러 탄성날개 혹은 주변 목적을 위한 또다른 접점날개로 구성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혹은 여러부품으로된 편평고정자를 가진 형태의 모우터를 구비한 각종 시계에 아주 잘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판은 지지체로 작용할 수 있도록, 또 영국특허 제1,457,676호에서 설명된 판의 방식으로 서로에 관해 정확한 위치에 고정자의 여러부품들을 그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넓게 분리된 로터를 가질 수 있는 큰 고정자를 가진 모우터에 있어 단일한 보강판이 아니고 여러개의 보강판을 서로 배열하여 각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8)

  1.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하나의 영구자석로터(electromagnetic rotor)(128,154)를 가진 전자석모우터(100)와 로터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그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 두 개의 극부품(pole parts)(4,6,8,24,26,28)을 포함하는 기본적으로 편평한 고정자(2)와 그리고 이 고정자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와인딩(winding)(106,112,118,124)과 시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indicator means)(174,182)과 이 표시수단을 운동학적(kinematically)으로 모우터와 연결하기 위한 치차세트(wheel sets)(163,164,176,178)와 이 모우터의 고정자를 위해 이 고정자의 일측이 전술한 극부품에 부착되고 부분적으로 전술한 로터를 둘러싸면서 덮고 동시에 하나의 다른 시계 요소(element)를 구성하는 보강판(a reinforce plate)(68)과 전술한 보강판이 고정자의 극부분에 단단히 고착된 메인 포션(70)과 이 고정자와 연관되어 대치되는 유연부(a flexible part)를 함유하는 일련의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표시판을 가진 전자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시간표시수단(174,182)에 의해 표시되는 시간정보의 수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1과 제2의 안정위치와 전술한 제어스템과 연결된 트리거부품(a trigger piece)(208)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수동제어스템(manual control stem)(184)을 포함하는 시계에 있어서 전술한 보강판(68)이 가곡부(flexible portion)의 메인 포션(main portion)(76)에 부착된 제1 돌기(a first tongue)(72)와 이 제1 돌기가 전술한 트리거 부품과 연결되어 전술한 제어스템의 고정 포션(stable protion)을 형성하게 되는 트리거부품 점퍼스프링(trigger piece jumper spring)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3.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스템(stem)(184)이 전술한 제1 안정위치와 제3의 불안정위치사이에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시계에 있어서, 전술한 보강판(68)이 전술한 메인포션(70)에 부착되고 전술한 고정자(2)와 연관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되고 제2의 가요성 설편이 전술한 스템이 전술한 제3 위치로 이동된 후 풀렸을 때 전술한 스템을 전술한 제1 안정위치로 자동적으로 귀환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트리거부품(208)이 작용하는 복귀스프링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4. 제3항에 있어서, 스템(184)의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부분들이 각기 휴지위치(a rest position), 당겨-빼낸 위치(a drawn-out position)와 밀어넣은 위치(a pushed-in position)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5.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트리거부품(208)이 전술한 고정자(2)의 극부품(4,6,8,24,28)중 하나와 일체인 고정축(a fixed axis)(210)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고 또한 여기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편평부품(a planar part)에 의해 형성되는 trigger piece(208)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내에 위치하는 전술한 편평부품과 전술한 설편(72,74)과 전술한 제어스템의 그루브(groove)(204)에 결합되는 제1 브랜치(a first branch)(214)와 제1 설편(72)의 단부(the end)의 변부(the edge)와 영구적으로 접촉하는 점(a point)이 있고 그들을 분리하고 이때 제1의 일편이 만곡되도록 미는 돌기(90)를 넘어 작동하는 제1의 설편의 단부(the end)의 두 노치(notched)(94,96)에 교대로 놓이고 제1의 설편(72)의 단부와 제2 브랜치가 영구히 접하는 한 점(a point)을 가진 제2 브랜치(216)와 전술한 스템이 그의 제1 안정위치에 있을 때 제2 설편(74) 그리고 전술한 스템이 그의 제3 위치로 갈 때 단부만 그의 변부가 접촉하고 전술한 제2 설편을 만곡하도록 미는 단부의 변부를 가진 제3 브랜치(a third branch)(21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6.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모우터(100)가 실질적으로 두 개의 평행한 축을 둘레를 회전하도록 장착된 두 개의 영구자석으로부터(128,154)와 이 로터의 제1 로터(128)가 위치되는 제1의 오목부(a first recess)(16)를 형성하도록 목(necks)(10,12,14)에 의해 서로 연결된 3개의 제1의 극부품(first pole parts)(4,6,8)과, 제2 로터(154)가 위치하는 제2 오목부(36)를 형성하도록 목(30,32,34)에 의해 서로 함께 연결되는 3개의 제2의 극부품(24,26,28)과 단일부품의 고정자와 고정자의 전술한 제1 극부품의 두 개중 하나(4)를 연결하여 제1 로터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각 코아(104,110)들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제1 와인딩(first windings)(108,112)과 전술한 제2 극부품의 하나(24)를 다른 두 개(26,28)에 연결하여 전술한 제2 로터(154)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두 개의 다른 각각의 코아(two other respective cores)(116,122)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제2 와인딩(second windings)(118,124)과, 전술한 보강판(68)이 전술한 제1과 제2 극부붐의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전술한 로터의 각각을 밀접하게 둘러싸기 위한 두 개의 구멍(holes)(80,82)을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7. 제6항에 있어서, 전술한 고정자(2)의 극부품(4,6,8,24,26,28)이 제1의 극부품들중 하나(6)가 제2의 극부품들중 하나(28)로부터 오직 하나의 슬롯트(a slot)(152)에 의해서만 분리되고 전술한 보강판(68)이 이들 두 극부품(pole pieces)과 슬롯트(slot)를 거의 완전히 덮도록 형성되고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8.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보강판(68)이 비자성재료(non-magnetic material)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19900005530A 1989-04-21 1990-04-20 아나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 KR100191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535/89-2 1989-04-21
CH1535/89-2 1989-04-21
CH1535/89A CH677997B5 (ko) 1989-04-21 1989-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834A KR900016834A (ko) 1990-11-14
KR100191842B1 true KR100191842B1 (ko) 1999-06-15

Family

ID=421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530A KR100191842B1 (ko) 1989-04-21 1990-04-20 아나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393606B1 (ko)
JP (1) JP3127297B2 (ko)
KR (1) KR100191842B1 (ko)
CN (1) CN1028676C (ko)
CH (1) CH677997B5 (ko)
DE (1) DE69000514T2 (ko)
HK (1) HK1919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4044B5 (fr) * 1992-09-25 1995-01-13 Ebauchesfabrik Eta Ag Pièce d'horlogerie analogique pouvant afficher des informations supplémentaires.
TW288222B (ko) * 1994-08-26 1996-10-11 Ebauchesfabrik Eta Ag
FR2724271B1 (fr) * 1994-09-02 1996-10-25 Ebauchesfabrik Eta Ag Transducteur electromecanique comportant deux rotors
EP0698957B1 (fr) * 1994-08-26 1998-01-07 Eta SA Fabriques d'Ebauches Transducteur électromécanique comportant deux rotors
CH688600B5 (fr) 1994-12-01 1998-06-15 Asulab Sa Pièce d'horlogerie à affichage analogique comportant des moyens de sélection d'une information numérique.
EP0847130B1 (fr) 1996-12-04 2003-03-19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Transducteur électromécanique biphasé et dispositif électromécanique comprenant au moins un tel transducteur
EP3208664B1 (de) * 2016-02-19 2023-08-16 Omega SA Uhrwerk oder uhr ohne magnetische signatu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7044GA3 (en) * 1978-07-13 1981-12-31 Electronic quartz watch
US4483627A (en) * 1981-02-24 1984-11-20 Eta S.A., Fabriques D'ebauches Electronic timepiece
JPH0684991B2 (ja) * 1984-01-13 1994-10-2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電子時計
US4800545A (en) * 1987-04-03 1989-01-24 Timex Corporation Removable stem and switch actuator for electronic wristw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91996A (en) 1996-10-25
KR900016834A (ko) 1990-11-14
EP0393606A1 (fr) 1990-10-24
CN1028676C (zh) 1995-05-31
CH677997GA3 (ko) 1991-07-31
DE69000514D1 (de) 1993-01-14
CN1046802A (zh) 1990-11-07
EP0393606B1 (fr) 1992-12-02
JPH02296188A (ja) 1990-12-06
CH677997B5 (ko) 1992-01-31
JP3127297B2 (ja) 2001-01-22
DE69000514T2 (de) 199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8418A (en) Alarm wristwatch
US4681464A (en) Timepiece move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stepping motors and an electronic time base
US5751086A (en) Multipolar motor with two rotors
KR100191842B1 (ko) 아나로그 문자판을 가진 전자시계
KR0149010B1 (ko) 적어도 두개의 모우터를 포함하는 시계
US4277704A (en) Motor for electronic watch
ATE87147T1 (de) Elektromechanisches zeitmessgeraet mit schrittmotor.
US3248867A (en) Clock motor and movement
US3469389A (en) Electromechanical vibrator assembly for a timepiece
US5172349A (en) Electronic timepiece with analog display
KR100792080B1 (ko)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
US4324992A (en) Electromagnetic motor
CA1299378C (en) Quartz analog watch movement with lavet-stepping motor and large energy cell
US3496718A (en) Clock movement with improved shaft bearing means facilitating assembly thereof
US4912832A (en) Method for making a timepiece stepping motor
CA1069572A (en) Stepping motor with stator pole extensions to provide magnetic detent
EP0238934B1 (en) Stepping motor and frame plate assembly for a wristwatch movement
US5059840A (en) Stator assembly for a timepiece stepping motor
GB1586056A (en) Pulse motors
KR100204919B1 (ko) 전자기계적 시계
US3498048A (en) Alarm control apparatus for alarm clock
JPH10170665A (ja) 特に時計式の単相電気機械変換器およびこのような変換器を少なくとも一つ備えた電気機械的装置
US3498046A (en) Alarm apparatus and clock movement
CN111090231B (zh) 钟表用机芯和钟表
US4207732A (en) Hand-indication type electronic time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