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364B1 - 광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광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364B1
KR100191364B1 KR1019950007160A KR19950007160A KR100191364B1 KR 100191364 B1 KR100191364 B1 KR 100191364B1 KR 1019950007160 A KR1019950007160 A KR 1019950007160A KR 19950007160 A KR19950007160 A KR 19950007160A KR 100191364 B1 KR100191364 B1 KR 10019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ermochromic layer
thermochromic
type compound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노리 가와니시
미끼야 구로다
Original Assignee
슈즈이 다케오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즈이 다케오,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슈즈이 다케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364B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재생 출력 신호의 열화가 없는 고밀도 기록용 광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정보 신호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부분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투과성 기판과, 상기 투과성 기판상에 제공되며, 서모크로믹층이 레이저 빔 스포트의 열을 흡수하므로써 임계값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질 때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서모크로믹층이 냉각되는 것에 의해 임계값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때 낮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과 일렉트론 억셉턴트 디벨로퍼의 혼합, 및 분극화된 화합물과 페놀형 디벨로퍼의 혼합이 상기 서모크로믹층의 재료로서 사용되며, 플루오란형 화합물과 스피로피란형 화합물, 프탈리드형 화합물, 및 락탐형 화합물은 상기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에 이용되는 서모크로믹층과, 상기 서모크로믹층 위에 제공된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빔 스포트로 조사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서모크로믹층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도록 서모크로믹층에 접촉된, 투과성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열방사층이 더 제공된다.

Description

광 기록 매체
본 발명은 1994년 11월 8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출원 제 335,905 호의 CIP 출원이며, 레이저 빔의 광 픽업(optical pickup)이 장착된 고밀도 기록 및 재생 장치용으로 사용되는 개선된 광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히 레이저 빔의 실효 스포트 직경(effective spot diameter)을 작게하여 고밀도 기록 및 재생으로 광디스크를 효과적으로 실행시키는 레이저 빔으로 인한 온도 변화에 대응하는 가변 광투과율을 갖는 서모크로믹 물질(thermochromic material)을 포함하는 광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크, 테이프 및 카드 형태의 광 기록 매체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기록 매체들에 있어서, 고밀도 기록 가능성이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광디스크에서, 다양한 종류의 광디스크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오디오 콤팩트 디스크(CD로 칭해짐)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즉 12cm의 직경을 갖는 광 디스크의 한면상에서 고화질 디지털 비디오 정보가 2시간 동안 기록되어져야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오디오 CD의 밀도보다는 높은 5 내지 10배의 기록 밀도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므로써 광디스크 상에서 레이저 빔의 스포트 직경보다 더 작은 기록된 마크(mark)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 밀도는 원칙적으로 한계를 갖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렌즈 시스템을 사용하므로써 얻어진 상기 스포트 직경은 상기 렌즈 시스템의 포커싱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심각한 한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광디스크의 고밀도 기록 가능성은 재생용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빔의 스포트 직경을 얼마나 최소화하느냐에 달려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록된 마크로부터 얻어진 재생기능의 반복적인 파장은 λ/2NA의 공식에 의해 주어지며, 여기서 λ는 사용되는 광의 파장을 나타내며 NA는 렌즈의 개구수를 나타낸다.
사기 λ/2NA의공식으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기록된 마크로부터 가장 짧은 파장을 식별하여 재생하기 위해, 더욱 짧은 파장을 갖는 판독 광 및/또는 더 큰 개구수를 갖는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최근 조사 레이저빔(irradiating laser beam)의 파장을 줄이며, 큰 개구수를 갖는 렌즈를 얻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령, 단파장을 갖는 레이져 빔 소스로서 비선형 광학 소자를 사용하므로써, 800nm의 파장을 갖는 SHG(제 2 고조파 발생) 광으로부터 400nm의 파장을 갖는 광을 추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변환효율, 코스트 또는 안정성의 모두 면을 고려할 때 아직 실용적인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따라서, 광학 소스로서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반도체의 가장 단파장은 기껏해야 670nm가 한도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광학 재생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렌즈의 가장 큰 개구수는 렌즈의 초점거리 또는 디스크용으로 필요한 엄격한 물리적 정도(accuracy)(두께, 뒤틀림 및 만기)를 고려할 때, 기껏해야 0.6이 한도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광학 소스로서 670nm의 파장을 방출하는 반도체 레이저와 더물어 0.6의 개구수를 갖는 렌즈가 광디스크 장치에 사용된다할지라도, 획득가능한 기록 밀도는 기껏해야 CD의 기록 밀도의 2.5배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된 요구가 충족될 수 없다.
대안으로서, 저온 즉, 실온에서 부전도성으로 유지되는 가변 광투과 물질(이하, 서모크로믹 물질로 칭해짐)로 이루어진 광학 마스크층이 제공된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고밀도의 기록 및 재생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서모크로믹 물질의 광 투과율은 레이저 빔으로 조사되는 것에 의해 고온에서 증가하며, 저온에서 냉각되는 것에 의해 저온에서 감소한다.
정보 기록 및 재생용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빔의 광 강도 분포는 일반적으로 가우스 분포를 나타낸다. 이러한 레이저 빔이 상술된 서모크로믹 물질상에 조사될 때, 상기 서모크로믹 물질은 더 큰 강도, 즉 레이저 빔의 주변부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를 갖는 레이저 빔 스포트의 중심부에 의해 조사되는 부분에서만 투과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빔 스포트의 중심부 이외의 다른 부분이 비투과되기 때문에, 레이저 빔이 상기 중심부 이외의 다름 부분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마스크 효과가 발생하며, 이러한 것을 레이저 빔의 실제 스포트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기록된 마크(mark)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도의변화에 따라 광투과율을 변화시키는 서모크로믹 물질은 상기 광투과율의 역변환동안, 즉 열량을 흡수한 것에 의한 온도 상승에 의해 야기되는 작은 광투과율 상태에서 큰 광투과율 상태로의 변화에 필요한 제 1 시간 간격과 냉각되는 것에 의한 온도하강에 의해 야기되는 큰 광투과율 상태에서 작은 광투과율 상태로의 변화에 필요한 제 2 시간 간격의 시간 간격과 관련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물론, 상기 각각의 시간 간격이 짧아짐에 따라, 상기 마스크 효과는 더욱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거의 모든 광투과성 물질은 지금까지 CD의회전 속도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특히, 상술의 제 2 시간 간격에서, 레이저 빔에 의해 가열된 서모크로믹 물질은, 동일 트랙이 냉각을 위한 적당한 시간이 제공되지 않는 광디스크의 재생에서 판독 레이저 빔에 의해 연속적으로 조사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재가열되기 때문에, 더욱 길어진 시간 간격은 상기 서모크로믹 물질의 온도 상승을 유발시킨다. 그 결과, 고열량이 서모크로믹층에 축적된다.
이것은 고온의 영역이 서모크로믹층에 퍼지게 하며, 그 결과로 레이저 빔 스포트의 실효 스포트 직경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거시킨다.
특히, 광디스크상에 형성된 기록 트랙이 레이저 빔으로 조사되는 것에 의해 주사될 때, 레이저 빔으로 조사되는 것에 의해 큰 광투과율을 갖는 부분은 조사된 레이저 빔 스포트에서 후방으로 줄무늬가 형성되어 혜성과 같은 모양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는 열량이, 작은 열전도성으로 인한 서모크로믹 물질에 국소적으로 축소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고온의 영역은 특히 정지 화상 재생 동작시에 축적된 열량의 증가에 의해 서모크로믹 물질에서 확장된다. 열량의 증가는 상기 서모크로믹 물질의 절절한 마스크 효과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기 단점이 제거되는 신규하고 유용한 광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목적은 광디스크에 제공된 서모크로믹 물질 층에 인접하게 열방사층을 설치하므로써 정지 화상 재생 동작시에 재생 신호의 저하가 없는 광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목적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정보 신호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 부분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투과성 기판과, 상기 투과성 기판상에 제공되며, 서모크로믹층이 레이저 빔 스포트의 열을 흡수하므로써 임계값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질 때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서모크로믹 층이 냉각되는 것에 의해 임계값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때 낮은 광투과율을 갖는 서모크로믹 층과, 상기 서모크로믹 층상에 제공된 반사층을 포함하는 광기록 매체에 있어서, 레이저 빔 스포트로 조사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서모크로먹층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도록 서모크로믹층에 접촉된, 투과성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열방사층이 더 제공된 광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목적은 안내홈(guide grooves)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진 투과성 기판과, 상기 투과성 기판상에 제공되며, 서모크로믹층이 레이저 빔 스포트의 열을 흡수하므로써 임계값보다 높은 온도를 가질 때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서모크로믹층에 냉각되는 것에 의해 임계값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때 낮은 광투과율을 갖는 서모크로믹층과, 상기 서모크로믹층상에 제공되어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정보 신호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정보 기록층상에 제공된 반사층을 포함하는 광기록 매체에 있어서, 레이저 빔 스포트로 조사되는 것에의해 상기 서모크로믹층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도록 서모크로믹층에 접촉된, 투과성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열방사층이 더 제공된 광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재생 광디스크의 기록 트랙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기록 가능 광디스크의 직경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2도는 제1(a)도 및 1(b)도에 도시된 서모크로믹 (thermochromic)층의 광투과율의 온도 의존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마스크층의 정지 화상 응답 특성의 일에를 나타내는 그리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생 광디스크 2 : 투과성 기관
3 : 열방사층 4 : 서모크로믹층
5 : 반사층 6 : 보호층
요즘, 가장 널리 사용되는 광디스크는 수지로 이루어진 기판을 사용한다. 이 수지는 또한 장래에 대량 생산과 생산비를 고려할 때 실용화될 고밀도 기록 광디스크의 기판용으로 사용된다. 상술의 수지는 일반적으로 높은 단열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수지는 레이저 빔의 열에너지를 흡는 것에 의해 서모크모믹층에서 발생된 열의 소산을 방지시킨다.
또한, 요즘, 거의 모든 광디스크는 금속 반사층이 제공된 반사형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금속 반사층은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다. 이러한 것은 상기 서모크로믹층에서 국소적으로 축적된 열을 소산시킨다. 열소산과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오히려 상기 금속 반사층이 열이 축적된 영역을 퍼지게하여 서모크로믹층의 마스크 효과를 저하시키는데, 그것은 금속 반사층이 매우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지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투과성의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열방사층은 광기록층내의 서모크로믹층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무기 물질은 서모크로믹층 및 수지로 이루어진 기판의 열전도성보다 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며, 금속 반사층의 열전도성 보다 더 낮은 열전도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서모크로믹층에 의해 흡수된 열은 열반사층에 방사되며 또한 이 열방사층을 통해 금속 반사층에 방사된다. 그러므로, 상기 서모크로믹층에 열이 국소적으로 축적되는 것을 방해하여, 레이저 스포트의 주사가 오프된 후 서모크로믹층에서 고온을 유지하는 부분의 냉각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서모크로믹층이 과거의 낮은 광투과율을 갖는 상태로 복귀하는 시간 간격을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특히, 수지기판과 서모크로믹층 사이에 놓여진 열방사층을 형성하므로써 수지로 이루어진 기판에 의해 기인된 단열 효과를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 언급될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광디스크내의 서모크로믹층을 샌드위치형으로 만들도록 한쌍의 열방사층이 제공된 경우와 수지 기판과 서모크로믹층 사이에 오직 하나의 열방사층이 제공되는 다른 경우의 모든 경우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제 1(a)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재생 광디스크의 기록 트랙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제 1(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직경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1(a)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재생 광디스크(1)는 레이저 빔으로 판독가능한 정보 피트(information pits)(2A)가 형성된 투과성 기판(기판으로 칭해짐)(2), 열방사층(3), 서모크로믹층(4), 반사층(5) 및 보호층(6)의 순서로 포함한다.
제 1(b)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가능한 광디스크(11)는 안내홈(12A)이 동심원적으로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투과성 기판(12), 열방사층(3), 기록 및 재생가능한 물질로이루어진 정보 기록층(13), 반사층(5) 및 보호층(6)의 순으로 쌓여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2, 12)용으로 사용되는 투과성 수지로서, 폴리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에폭시 수지 같이 통상의 광디스크에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없다.
상기 정보 피트(2A)와 안내홈(12A)의 형성 방법에 대한 한계는 없다. 이러한 정보 피트(2A)와 안내홈(12A)은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한다.
상기 열방사층(3)에 사용되는 물질로서, 메탈 옥사이드, 비금속 옥사이드, 금속 할로겐화무물, 금속 황화물, 및 금속 질화물과 같은 무기 물질의 한 그룹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이산화물, 세륨 산화물, 마그네슘 플루오라이드, 세륨 플루오라이드, 네오디뮴 플루오 라이드, 아연 황화물, 게르마늄 황화물, 실리콘 질화물, 탄탈 질화물 및 NaAlF6은 상기 목적용으로 유용하다.
상기 열방사층(3)에 사용되는 상기 물질 이외의 다른 물질로서, 수지로 이루어진 기판(2, 12) 보다 더 높은 열전도성과 투과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이 물질은 서모크로믹층(4)에 대해 열방사층(3)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열방사층(3)의 두께가 매우 얇을 때, 상기 열방사층(3)은 방사 효과를 일으킬 수 없다. 그와 반대로, 상기 열방사 층의 두께가 매우 두꺼울 때, 광디스크(1, 11)는 더 큰 강도의 레이저 빔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감광도의 저하가 예상된다.
또한, 열방사층(3)을 형성할 때, 만약 안정한 양을 얻을 수 없다면, 최악의 경우로 열방사층(3)에 균열이 전개될 수 있다.
본 발명자에 의해 이행된 실험 결과에 따르면, 비록 상기 열방사층(3)의 물질에 따라 최적 범위가 다르다할지라도 열방사층(3)의 두께가 5 내지 100nm의 범위로 될 때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열방사층(3)은 5 내지 100nm의 두께 제1(a) 도 및 1(b) 도에 도시된 광디스크(1, 11)에서, 단 하나의 열방사층(3)이 기판(2)과 서모크로믹층(4) 사이에 제공되지만, 열방사층(3)이 열방사층(3)과 서모크로믹층(4) 사이에 샌드위치형으로 놓여지는 방식으로 서모크로믹층(4)과 반사층(5) 사이에 또 다른 열방사층(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모크로믹층(4)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투과율 특성을 갖는다.
제2도는 제1(a)도 및 1(b)도에 도시된 서모크로믹층의 광투과율의 온도 의존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특히,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서모크로믹층(4)은 임계 온도값 보다 낮은 온도에서 광투과율의 감소에 기인하여 광기록 및 재생에서 사용되는 파장의 광을 흡수하며, 임계 온도값 보다 높은 온도에서 광투과율의 증가에 기인하여 광을 통과시킨다.
상기 서모크로믹층(4)이 임계값 보다 낮은 온도에서 냉각된 후 서모크로믹층의 광투과율은 감소되고 본래의 더 낮은 값으로 복위한다. 그리하여, 상기 임게값 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된 영역이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는 반면 상기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이 낮은 광투과율을 유지하기 때문에 레이저 빔으로 조사된 광 스포트의 유효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광을 흡수하여 서모크로믹층을 광이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상술의 성질을 갖는 임의의 물질은 상기 서모크로믹층(4)의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electron Ddonative color compound)과 일렉트론 억셉턴트 디벨로퍼(electron acceptant developer)의 혼합물과, 분극화된 화합물(또는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과 페놀형 디벨로퍼의 혼합물을 상기 목적용으로 유용하다.
특히, 상기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에 대해서는 플루오란형 화합물, 스피로피란형 화합물, 프탈리드형 화합물 및 락탐형 화합물이 존재한다.
상기 반사층(5)은 광디스크에 널리 사용되는 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층(5)상에 제공된 보호층(6)은 스핀-코트(spin-coat) 방법 또는 기상 증착 방법을 사용해서 경화 수지에 자외선을 코팅하므로써 용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11)상에 제공된 정보 기록층(13)은 상기 스핀-코트 방법 또는 기상 증착 방법을 사용해서 널리 공지된 광 기록 물질을 코팅하므로써 형성된다. 위상 변화형 물질 및 자기-광학 물질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물질은 정보 기록층(13)용으로 유용하다.
다음에, 재생가능한 광디스크로서 제조된 실시예(1-1) 내지 (1-5)와 비교예(1-6) 내지 (1-8)를 평가하기 위해 설명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 로서 제조된 광디스크(1-1)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기판(2)을 갖는다. 정보 피트(2A)는 인젝션 몰드(injection mold) 방법에 의해 기판(2)상에 형성되어, CD의 기록 밀도의 4배 만큼의 기록 빌도를 갖느다. 상기 기판(2)상에서, 열, 방사층(3)은 진공 증착 방법에의해 무기 물질층으로서 MgF2층을 증착하므로써 30nm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서모크로믹층(4)은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로서의 GN-169(야마모또 화학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 대 디벨로퍼로서의 비스페놀(bisphenol)의 비가 모니터상에서 1 : 2 가 되는 방식으로 진공 증착 방법에의해 120nm의 두께로 상기 열방사층(3) 위에 형성된다. 상기 반사층(5)은 진공 ㅈㅇ착 방법에 의해 알루미늄을 증착하므로써 상기 서모크로믹층(5)상에 70nm의 두께로 형성된다. 보호층(6)은 경화 수지 SD-17 (Dainippon Ink Co. Ltd)를 자외선으로 코팅하므로써 상기 반사층(5)위에 대략 7μm의 두께로 형성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 로서 제조된 광디스크(1-2)에 있어서는 열방사층(3)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광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상기 열방사층(3)은 80nm 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으로서 제조된 광디스크(1-3)에서는 열방사층(3)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광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상기 열방사층(3)은 50nm의 두께 ZnS로 형성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로서 제조된 광디스크(1-4)에서는 열방사층(3)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광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상기 열방사층(3)은 40nm의 두께의 SiO2로 형성된다.
[실시예 5 ]
실시예 5로서 제조된 광디스크(1-5)에서는 부가적인 다른 열방사층(3)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광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상기 다른 열방사층(3)은 진공 증착 방법에 의해 FMg2를 증착하므로 30nm의 두께로 상기 서모크로믹층(4)과 상기 반사층(5)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모크로믹층(4)은 상기 열방사층(3, 3) 사이의 중간에 놓여진다.
[비교예 1]
비교예 1 로서 제조된 광디스크(1-6)에서는 열방사층(3)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광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상기 열방사층(3)은 상기 광디스크에 제공되지 않는다.
[비교에 2]
비교에 2 로서 제조된 광디스크(1-7)에서는 열방사층(3)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광디스크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상기 열방사층(3)은 120nm의 두께로 형성된다.
[비교예 3]
비교예 3 으로서 제조된 광디스크(1-8)에서는 열방사층(3)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 의 광디스크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상기 열방사층(3)은 3nm의 두께로 형성된다.
690nm의 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반도체 레이저가 장착된 재생 장치에 상술의 광디스크((1-1) 내지 (1-8))를 장착 하므로써 평가 테스트가 이행된다.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일정의 선형 속도 (CLV) : 3m/s
회전수 : 1000rpm
재생전력 : 1.4mw
가장 짧은 피트의 재생 신호 진폭비 내지 가장 긴 피트의 재생 신호 진폭비가 정지 화상 재생 동작하에 5분동안 측정되어, 상기 디스크((1-1) 내지 (1-8))의 재생 특성을 평가한다. 그 결과는 표 1에 도시된다.
주석 :
Subst. : 기판
MgF2, ZnS, 및 SiO2: 열방사층용으로 사용되는 물질
thermo. : 서모크로믹층
ref. : 반사층
진폭비(%) : 재생 신호 진폭비
norm. rep. : 표준 재생
still rep. : 정지 화상 재생
표 1 로부터 알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5의 광기록 디스크((1-1) 내지 (1-5))는 표준 재생(연속 재생)에 대해 75 내지 84%의 재생 신호 진폭비를 나타냈다. 게다가 그것들은 5분 동안의 정지 화상 재생에 대해 50 내지 70%의 양호한 결과의 재생 신호 진폭비를 나타냈다. 따라서, 상기 열방사층(3)은 상기 서모크로믹층(4)에 축적된 열을 방사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어서, 그 결과 상기 서모크로믹층(4)은 양호한 재생 특성을 얻기 위해 충분한 마스크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광기록 디스크((1-6) 내지 (1-8))에서, 재생 신호 진폭비는 5분 동안의 정지 화상 재생에 대해 대략 40%로 감소했다. 따라서, 상기 서모크로믹층(4)은 레이저 빔 스포트의 유효직경을 감소시키므로 충분한 마스크 효과를 가져올 수 없어서, 결과적으로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비교예 2 의 광디스크(1-7)의 열방사층(3)은 너무 두꺼워서,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발생된 열이 과도하게 방사되고, 그 결과 상기 서모크로믹층(4)의 마스크 효과는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없다. 그 결과 진폭비는 연속하는 표준 재생에서 열화된다. 또한 비교예 3의 광디스크(1-8)의 열방사층(3)은 너무 얇아서,그 결과 상기 열방사층(3)에 기인한 방사 효과는 정지 화상 재생에서 열화된다. 5분 동안의정지 화상 재생후 상기 광디스크의 진폭비가, 열방사층(3)이 제공되지 않은 광디스크(1-6)의 진폭비와 비교할 때 약간 나아졌다 하더라도 그 진폭비는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다.
제3도는 광디스크(1-1)(실시예 1)와 (1-6)(비교예 6)의 진폭비와 정지 화상 재생 기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방사층(3)의 부재로 인해 마스크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에, 광디스크(1-6)의 진폭비는 정지 화상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현저히 열화된다.
이러한 것은 재생된 신호의 에러를 유발시킨다.
한편, 광디스크(1-1)의 진폭비는 5분동안의 정지 화상 재생 중에 약간 열화된다. 하지만, 상기 열화의 정도는 광디스크(1-6)의 열화와 비교할 때 아주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효과가 적절히 발휘되어, 상기 광디스크(1-6)의 진폭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재생된 신호의 에러를 보상하는 회로를 간단화하게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 빔 스포트의 유효 직경을 감소시키는 서모크로믹층을 갖는 광디스크에 따라, 투과성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열방사층은 상기 서모크로믹 물질이 흡수한 열을 방사 시키기 위해 서모크로믹 물질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이 열방사층은 상기 서모크로믹층에 열이 축적되지 못하게 하며, 그 결과, 특히, 정지 화상 재생에서의 경우와 같은 동일 트랙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경우에 마스크층에서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마스크 효과에 의해 우수한 재생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방사층은 적어도 본 발명의 광디스크내의 서모크로믹층과 수지 기판 사이에 제공되며, 따라서, 열방사층이 수지 기판의 단열 효과를 제공하여 서모크로믹층의 마스크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하므로써 연장된 시간동안 일정한 재생 신호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정보 신호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부를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투과성 기판과, 상기 투과성 기판위에 제공되는 서모크로믹층으로서, 서모크로믹층이 레이저 빔 스포트의 열을 흡수하므로써 입계값보다 높은 온도를 가질 때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서모크로믹층이 냉각되는 것에 의해 임계값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때 낮은 광투과율을 갖는데,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과 일렉트론 억셉턴트 디벨로퍼의 혼합, 및 분극화된 화합물과 페놀형 디벨로퍼의 혼합이 상기 서모크로믹층의 재료로서 사용되며, 플루오란형 화합물과 스피로피란형 화합물, 프탈리드형 화합물, 및 락탐형 화합물은 상기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로 이용되는, 상기 서모크로믹층과, 상기 서모크로믹층 상에 제공되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빔 스포트로 조사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서모크로믹층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도록 서모크로믹층에 접촉된, 투과성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열방사층이 더 제공되는 광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사층이 상기 투과성 기판과 상기 서모크로믹층 사이에 놓여지는 광 기록 매체.
  3.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안내홈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투과성 기판과, 상기 투과성 기판상에 제공되는 서모크로믹층으로서, 이 서모크로믹층은 레이저 빔 스포트의 열을 흡수하므로써 입계값보다 높은 온도를 가질 때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며, 서모크로믹층이 냉각되는 것에 의해 임계값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때 낮은 광투과울을 갖는데,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과 일렉트론 억셉턴트 디벨로퍼의 혼합, 및 분극화된 화합물과 페놀형 디벨로퍼의 혼합이 상기 서모크로믹층의 재료로서 사용되며, 플루오란형 화합물, 스피로피란형 화합물, 프탈리드형 화합물, 및 라탐형 화합물은 상기 일렉트론 도너티브 컬러 화합물로 이용되는, 상기 서모크로믹층과, 상기 서모크로믹층 위에 제공되어,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정보 신호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정보 기록층 위에 제공된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빔 스포트로 조사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서모크로믹층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도록 서모크로믹층에 접촉된, 투과성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열방사층이 더 제공되는 광 기록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사층이 상기 투과성 기판과 상기 서모크로믹층 사이에 놓여지는 광 기록 매체.
KR1019950007160A 1994-03-31 1995-03-31 광 기록 매체 KR100191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86038A JP2917808B2 (ja) 1994-03-31 1994-03-31 光記録媒体
JP94-086038 1994-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364B1 true KR100191364B1 (ko) 1999-06-15

Family

ID=1387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160A KR100191364B1 (ko) 1994-03-31 1995-03-31 광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17808B2 (ko)
KR (1) KR100191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01B1 (ko) 2012-12-07 2014-05-2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윈도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01B1 (ko) 2012-12-07 2014-05-2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써모크로믹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17808B2 (ja) 1999-07-12
JPH07272321A (ja)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8499B1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JP3057516B2 (ja) 光記録媒体の信号再生方法
US4460636A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 member
US6049521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A005347B1 (ru) Оптический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и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
KR100796327B1 (ko) 광학기록매체 및 광디스크장치
US5419999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therefor
US7682678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adout methods using the sam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adout device
US5631056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US7436755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US5694379A (en)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therefor
US7813258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US5295121A (en) Magneto-optic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and magneto-optic recording medium used for them
KR100191364B1 (ko) 광 기록 매체
JPH06236578A (ja) 光ディスク
JP3240040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822620A (ja) 光記録媒体の再生方法及びその再生装置
JPH0549472B2 (ko)
JPH06267113A (ja) 再生専用の光ディスク
KR960003417B1 (ko) 정보기록매체
JPH04319531A (ja) 光情報再生方法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H10147068A (ja) 光記録媒体
JPH07262617A (ja) 光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方法
JPH08147757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方法
KR20080032216A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