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047B1 - 원통형 로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원통형 로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047B1
KR100191047B1 KR1019910017849A KR910017849A KR100191047B1 KR 100191047 B1 KR100191047 B1 KR 100191047B1 KR 1019910017849 A KR1019910017849 A KR 1019910017849A KR 910017849 A KR910017849 A KR 910017849A KR 100191047 B1 KR100191047 B1 KR 10019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hassis
assembly
opening
r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302A (ko
Inventor
이.로비다 제임스
티.라이트코프스키 제이알.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데이빗 에이. 길다
코빈 러스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빗 에이. 길다, 코빈 러스윈 인크. filed Critical 데이빗 에이. 길다
Publication of KR92000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05Cylindrical or tubula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77C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62Bolt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Hing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원통형 로크 조립체(20)은 도어(326)과 조립되는 내부 보조립체(22)와 외부 보조조립체(24)와 외부 보조조립체(24)를 포함한다. 각 보조조립체(22, 24)는 로즈라이너(26,38)과 귀환 스프링 카세트(28, 40), 로즈(30, 42), 레버(32, 46) 그리고 레버 인서트(34, 48)을 포함한다. 내부 보조조립체(22)는 또한 회전버튼(36)을 포함하고, 외부 보조조립체(24)는 실린더 로크(44)를 포함한다.
한쌍의 장착 블록(258, 260)이 도어(326)의 각 측면상에 조립된 로즈 라이너(26,28)로 샤시의 나사 연결을 원활하도록 샤시(50)내에 내장되며, 샤시를 위한 회전 방지 장착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원통형 로크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원통형 로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도어에 부착된 제1도의 원통형 로크 조립체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특정 원리를 이용한 제1도의 원통형 로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및 제5도는 제3도의 샤시의 구성부품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원통형 로크 조립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로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로킹 장치의 링크 바아의 부분 평면도.
제8도는 제3도의 샤시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특정 원리를 이용한 장착한 블록의 샤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특정 원리에 따른 도어아 함께 조립된 샤시 및 장착한 블록을 파선으로 도시한 부품들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내부 보조 조립체 24 : 외부 보조 조립체
26,28 : 로즈 라이너 28,40 : 치환 스프링 카세트
30,42 : 로즈 32,46 : 레버
34,48 : 레버 인서트 36 : 회전 버튼
44 : 실린더 로크 46 : 레버
50 : 샤시 52 : 래치 조립체
54 : 래치 볼트 56 : 스트라이크 박스
58 : 스크라이크 142 : 리트랙터
202,216 : 노치 258,260 : 블록
276,278 : 축받이
다음 출원들은 본 출원과 관련 출원으로, 미합중국에서 동일자로 출원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함께 기술되어 있다.
1.발명의 명칭 : 원통형 로크 조립체
대리인 참조 번호 : 4300-01
출원인 : 제임스 이. 로비다, 케니드 더블류. 스트릭랜드
2. 발명의 명칭 : 원통형 로크 조립체
대리인 참조 번호 : 4301-01
출원인 : 모하메드 에이. 하크, 에드워드 티. 라이트코스키, 제이알.
3. 발명의 명칭 : 원통형 로크 조립체
대리인 참조 번호 : 4360-01
출원인 : 제임스 이. 로비다, 케니드 더블류. 스트릭랜드
4. 발명의 명칭 : 실린더 토크
대리인 참조 번호 : 4299-01
출원인 : 제임스 이. 로비다, 블라디머 프레일리히, 리차드 엠. 데비디안
본 발명은 원통형 로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조립체의 작동시 샤시의 회전을 방지하는 작동기를 가진 원통형 로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원통형 로크 조립체는 도어와 함께 조립되며, 특히 노브 및 레버와 같은 작동기를 지지하는 샤시의 대향 측면상에 연장된 롤백(rollback) 또는 슬리브를 가진 샤시를 포함한다. 래치볼트는 샤시로부터 연장되며, 조작물의 회전시 이동가능하다. 한쌍의 로즈라이너는 샤시에 부착되며, 작동기의 회전시 샤시의 회전에 다소 반대로 마련되도록 도어에서 개구내에 위치된 탭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역회전 장피가 노브 작동기에 사용될 때 효과적인 반면, 레버 작동기가 사용될 때 비효과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래치볼트와 샤시사이에서의 누출 및 연결이 잘못되고 그리고 래치볼트가 움직이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에 의해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레버가 작동될 때 래치볼트의 자유스럽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레버의 회전시 샤시의 회전에 충분한 저항을 마련하게 될 역회전 장치를 필요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체 작동기의 작동시 조립체의 샤시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 방지 장치를 포함한 원통형 로크 조립체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체 작동기의 작동시 조립체의 래치볼트의 해제작동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 원통형 로크 조립체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래치볼트 및 래치 위치와 비래치 위치 사이에서 래치볼트를 움직이기 위한 장치를 내장한 샤시를 포함한 도어를 가진 조립체를 위해 원통형 로크 조립체를 기재하고 있다. 슬리브는 샤시로부터 연장되며, 슬리브의 회전시 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샤시에 부착된다. 작동기는 슬리브의 선택적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슬리브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수단을 슬리브상에 장착되며 도어에 샤시를 부착하기 위해 도어에 부착가능하다. 회전 방지 수단은 샤시상에 장착되며, 작동기의 회전시 샤시의 회전에 저항력을 마련하기 위해 주착한 수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 그리고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범위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완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로크 조립체(20)은 내부 보조 조립체(22)와 외부 보조 조립체(24)를 포함한다. 내부 보조 조립체(22)는 로즈 라이너(26, rose liner), 귀환 스프링 카세트(28), 로즈(30), 레버(32), 레버 인서트(34, lever insert) 및 회전 버튼(36)을 포함한다. 외부 보조 조립체(24)는 로즈 라이너(38), 귀환 스프링 카세트(40), 로즈(42), 실린더 로크(44), 레버(46) 및 레버 인서트(48)을 포함한다.
샤시(50)은 내부 보조 조립체(22)와 외부 보조 조립체(24)사시에 위치한다. 래치 조립체(52)는 샤시(38)에 작동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위치하고, 샤시(50)으로 부터 먼 방향으로 연장 또는 래치 위치로 래치 조립체로 부터 외측 연장된 래치 볼트(54)를 포함한다. 스트라이크 박스(56)과 스트라이크(58, strike)는 원통형 로크 조립체(20)과 상호작동되도록 (도시되지 않은) 도어 프레임에 장착된다.
로즈 라이너(26, 38)은 각각 원형으로 그 외주연에 4개의 균등 이격된 슬롯(60)을 형성하고 있다. 각 라이너(26, 38)에는 라이너(26)의 경우에는 도면부호(26)인 축방향 개구를 형성하구 있으며, 그 둘레에는 한 측면상에 라이너(26)의 경우에는 도면부호(64)인 원형 오목부를 각각 형성한 동시에 그 다른 측면상에는 라이너(38)의 경우에 도면부호(66)인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64)안에 그리고 돌출부(66)을 관통하여 한쌍의 나사 구멍(68)이 형성되고, 그 둘레에 여유벽(70)이 형성된다. 로즈 라이너(26, 38)을 통해 구멍(74)를 펀칭함으로써 한쌍의 탭(72)가 형성되고, 탭은 다른 로즈 라이너 쪽으로 연장된다.
각 카세트(28, 40)은 디스크형의 공동(80)을 형성하도록 측벽(78)이 마련된 원형 하우징(76)을 포함한다. 공동안에는 4개의 균등 이격된 패드(82)가 형성되며, 이는 측벽(78)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다. 패드(82)는 로즈라이너(26, 38)의 슬롯(60)의 형상과 일치되는 외형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포스트(84, 86)이 두 개의 대향 이격된 패드(82)상에 형성되고 공동(80)으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포스트(84)에는 나사 형성된 축방향 구멍(88)이 마련되고, 구멍은 포스트를 관통 연장되지만 카세트(28)에서 설명한 외부 표면(90)을 관통 연장되지는 않는다. 포스트(86)에는 외부 표면(90)을 통해 연장된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구멍(92)가 마련되어 있다.
코일 또는 비틀림 스프링(94)와 레버 아버(96, arbor)은 공동(80)안에 동축으로 위치하여, 아버가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허브(100)과 외부 표면(90)을 관통 연장된 축방향 개구(98)을 통해 그안으로 및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아버(96)은 하우징(76)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스프링(96)의 외측 단부는 외측 단부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공동(80)의 인접 부분에 부착된다. 스프링(94)의 내측 단부는 아버와 함께 운동하도록 아버(96)에 부착되어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도록한다. 커버(102)는 공동(80)안에 그리고 코일 스프링(94)와 아버(96)위에 위치하고, 스프링과 아버를 공동과 동축으로 정렬 유지시키도록 하우징(76)에 체결된다.
로즈(30,42) 각각에는 원형 표면(104)와 측벽(106)이 형성된다. 축방향 개구(108)은 표면(104)를 통해 형성되고, 표면으로 부터 외측 연장된 허브(110)을 통해 연장된다.
실린더 로크(44)는 원통형 플러그(114)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축방향 개구를 구비한 원통형 쉘(112)를 포함한다. 테일피스(116, tailpiece)는 플러그(114)의 한 단부로 부터 그리고 나사 캡(120)에 의해 쉘(112)와 고정된 테일피스 앵커 판(118)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텀블러 지지 리브(122)는 쉘(112)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로 부터 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다. 텀블러 커버(124)는, 키이 작동 로크 구조를 마련하도록 플러그(114)이 맞물림부와 정렬되어 리브안에 내장된 핀 텀블러들을 내장하도록, 리브(122)의 외측 부분 위에 위치한다.
각 레버(32, 46)은 허브(128)과 일체로 형성된 핸들(126)을 포함한다. 돌출부(130)은 핸들과 허브위 접합부의 내부 코너에 핸들(126)과 허브(128)과 일체로 형성된다. 허브(128)에는 돌출부(130)안에 형성된 개구(134)와 연통된 축방향 개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허브(128)안에는 허브안에 형성된 축방향 개구(132)의 외측 단부 부분과 연통된 슬롯(136)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138)은 개구(132)의 직경보다 그 직경이 작다.
회전 버튼(36)에는 한 단부의 레버(32)의 개구(138)로부터 통상 돌출되어 있는 손가락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의 대향 단부에는 버튼의 회전에 의해 신장 또는 래치 위치로 래치 볼트(54)를 로크시키도록 샤시(50)안의 부품과 맞물리기 위한 부착 구조물을 형성하고 있다.
제1도 및 제3도에 의하면, 샤시(50)은 리트랙터(142)를 포함하고, 이에는 후방 지지부(144)와 한쌍의 수직 이격 및 수평 연장된 아암(146, 14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44)의 후방부안에는 한쌍의 압축 스프링(154, 156)의 한 단부를 수용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한쌍의 포켓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154, 156)의 대향 단부들은 일체로 형성된 리테이너(162)의 한쌍이 이격된 핑거(158, 160) 위로 각각 위치한다. 리트랙터(142)에는 그 한 측면에 한쌍의 캠면(164, 166)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과 유사한 (도시되지 않은) 한쌍의 캠면이 리트랙터(142)의 대향측명상에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롤백(rollbacks) 또는 슬리브(168, 170)에는 각각 그 한 단부에 축방향 광통 구명(172)와 슬롯(174, 176, 178)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74, 178)은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고, 슬롯(176)은 슬롯(174, 178)로부터 90℃ 각도로 이격되어 슬리브(168,170)의 한 측면상에 위치한다. 슬리브(168)에는, 슬리브 원통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슬리브의 롤링 백 부분에 의해 형성된 한쌍의 캠요소(180, 182)가 형성되어 있다, 단일 캠 요소(184)는 슬리브(174)로부터 형성된다, 탭(186)은 각 슬리브(168, 17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186)은 슬리브(17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슬리브(168)의 탭(186)은 제3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슬리브의 하부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면, 샤시(50)은 또한 케이스(188)과 슬리브(190)을 포함한다, 케이스(188)은 베이스(192)와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레그(194, 196)을 구비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92)에는 레그와 베이스의 접합부에 각각 레그(194, 196)안에 형성된 한쌍의 노치(200, 202)와 연통된 개구(198)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92)에는 또한 개구(198) 안으로 약간 돌출된 탭(204)가 형성되어 있다. 레그(194)에는 레그의 자유단부에 한쌍의 이격된 후크형 탭(206, 218)이 형성되어 있고, 탭사이의 레그 자유단부에 노치(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레그(196)에는 레그의 자유단부에 한쌍의 이격된 후크형탭(212, 214)가 형성되어 있고, 탭사이의 레그 자유단부에 노치(21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90)은 원통형 형상이고, 그 한단부에 케이스(188)의 개구(19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218)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90)의 외주연은 나사 사공되어 있으며, 그안에 종방향슬롯(2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방향 슬롯(222)가 슬리브(190)의 내벽안에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190)의 나사부는 레그(194)와 레그(196)사이로 그리고 케이스(188)의 개구부(198)을 통해 삽입되고, 플랜지(218)은 개구부에 인접한 베이스(192)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리세트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슬리브(190)의 나사부는 케이스 조립체(224)를 형성하도록 베이스(192)의 외부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케이스(188)과 결합된다.
제4도에 의하면, 내측 절곡 탭(226)은 케이스(188)의 레그(194)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내측 절곡 탭(228)은 탭(226)과 이격 및 정렬된 상태로 케이스(188)의 레그(196)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제 3도 및 제 5도에 의하면, 캡(230)은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개구안으로 내측 돌출된 탭(234)와 중앙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캡(230)의 외주연에는 한쌍의 반경방향으로 대향한 슬롯(236,238)이 형성되어 있다. 캡(230)안에는 4개의 이격된 관통 구멍(240, 242, 244, 246)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48)은 원통형 형상이고, 개구부(2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250)이 그 한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48)의 외주연 표면은 나사 가공되어 있고, 종방향 슬롯(252)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48)의 내부벽에는 종방향 슬롯(252)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30)과 슬리브(248)이 조립되어 캡 조립체(256)을 형성하고, 슬리브의 나사부는 개구(232)를 통해 삽입되어 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플랜지(250)은 캡(230)의 표면에 접촉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50)은 또한 한쌍의 이격된 장착 블록(358, 260)을 포함한다. 블록(258)에는 몸체의 표면(266)의 양단부로 부터 외측 연장된 한쌍의 이격된 축받이(262, 264)와 중앙 몸체(261)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포스트(268, 270)이 블록(258)의 몸체(274)와 양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몸체와 포스트를 통해 종방향으로 나사구멍(272)가 연장되어 있다. 블록(260)에는, 몸체(274)와 몸체의 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이격된 축받이(176, 178)이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포스트(280, 282)가 몸체(274)의 양단부로 부터 연장되고 몸체와 포스트를 통해 종방향으로 나사 구멍(284)가 연장되어 있다.
제3도에 의하면, 샤시(5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인 하우징(286)을 포함한다. 하우징(286)의 한 측면(288)은 완전히 개구되어 있으며 다른 측면(290)에는 이격된 구멍(294, 296)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86)의 외주연 표면(300)에는 개구(298)이 형성되어 있다. 샤시(50)은 또한 지지링(302)를 포함한다.
샤시(50)의 부품조립시에, 캠 요소(180, 182)를 캠 면(164, 166) 사이에 위치시키고 캠 요소(184)를 리트랙터(142)상의 대응 캠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도록, 슬리브(168, 170)을 위치 시킨다. 스프링(154, 156)의 전방 단부를 리트랙터(142)의 맞물림 포켓안에 위치시키고 스프링의 후방 단부를 핑거(158, 160)위에 위치 시킨다. 그러면, 이트랙터 조립체가 형성된다.
그 연후에, 리트랙터 조립체를 슬리브(168)이 슬리브(190)의 축방향 개구를 통해 위치하고 이로부터 외측 연장되도록, 위치 시킨다. 이러한 위치에서, 리트랙터(142)는 레그(194)와 레그(196)사이의 공간에 그리고 베이스(192)의 내부표면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리테이너(196)에는, 케이스(188)의 탭(226, 228)위에 놓여져서 스프링(154, 156)을 내장 위치로 지속적으로 압축되도록 위치시키는 한쌍의 이격된 슬롯(304, 306)이 형성되어 있다.
그 연후에 캡 조립체(256)을 슬리브(170)위에 위치시키고, 케이스(188)의 탭(206, 208, 212, 214)를 각각 구멍(240, 242, 244, 246)안에 그리고 이를 통해 위치시킨다.
이러한 형태에서, 리트랙터(142)와 슬리브(168, 170)의 내측 단부와, 스프링(154, 156) 그리고 리테이너(163)는 캡 조립체(256)과 케이스(188)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덮개안에 내장된다.
블럭(258)의 축받이(262, 264)를 케이스(288)의 각 노치(200, 210)안에 위치 시키고, 블럭(260)의 축받이(276, 278)을 케이스의 각각 노치(202, 216)안에 위치시킨다. 그 연후에, 하우징(286)을, 슬리브(168)이 하우징의 개구(29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슬리브(170)이 하우징의 개구측면(288)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조정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고정된 캡 조립체(256)과 케이스(188) 그리고 그안에 내장된 요소는 하우징(286)안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개구(298)을 통해 리트랙터(142)의 립(150, 152)가 노출된다.
지지 링(3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 안에 샤시(50)의 요소들을 지지하도록 하우징(286)의 측면(290)에 대하여 그리고 슬리브(190)의 나사부 둘레에 위치한다.
조립된 샤시(50)에 있어서, 블럭(158, 260)의 나사 구멍(272, 284)는 각각 캡 조립체(256)의 슬롯(236, 238)과 하우징(286)의 구멍(294, 296)과 정렬됨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즈 라이너(38)은 슬리브(170)과 캡 조립체(256)의 슬리브(248)의 나사부 위에 위치하고 하우징(286)의 개방측면(288)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로즈 라이너(38)은 슬리브(170)과 캡 조립체(256)의 슬리브(248)의 나사부 위에 위치하고 하우징(286)의 개방 측명(288)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로즈 라이너(38)의 나사 구멍(68)들은 각각 블록(258, 260)의 나사 구멍(272, 284)와 정렬된다. 그러면 나사는 로즈 라이너(38)의 나사구멍(68)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고, 블록(258, 260)이 구멍(272, 284)의 한 단부안에 나사 고정될 수 있어서, 로즈 라이너를 샤시(50)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도 및 제3도에 의하면, 래치 조립체(52)는 전방판(309)에 대하여 그 한단부에서 고정된 래치 케이스(308)을 포함한다. 래치 볼트(54)는 케이스(308)안에 부분적으로 내장되고 이로부터 신장위치로 전방판(309)안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연장된다. 래치 볼트(54)는 수축 또는 비래치위치로 케이스(308)안으로 수축가능함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래치볼트(54)는 신장 또는 래치위치와 수축 또는 비래치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피스 또는 링크(310)에는 그 한단부에 헤드(312)와 측면 관통 구먼(314)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310)에는 그 한 단부에 T형 테일(316)이 형성되고, 크로스 아암(318, 320)을 포함한다. 헤드(312)는 래치볼트(54)의 후방부엔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슬롯안에 위치하고, 래치 볼트안에 형성된 구멍(324)와 헤드안에 형성된 구멍(314)를 포함하는 정렬된 구멍들을 통해 삽입되는 핀(322)에 의해 이에 피버트 가능하게 고정된다.
헤드(312)와 헤드가 부착된 래치볼트(54) 부분은 케이스(308)안에 내장된다. 테일(316)은 케이스(308)의 후방부로 부터 연장되고, 결국 하우징(286)의 개구부(298)을 통해 위치되도록 설계되어, 크로스 아암(318, 320)이 리트랙터(142)의 립(150, 152)뒤에 위치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슬리브(168 또는 170)의 회전에 따라 캠요소(180, 182)는 캠표면(164, 166)과 맞물려서 스프링(154, 156)력에 대하여 리트랙터(142)를 후방으로 누르게될 것이다. 리트랙터(14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링크(310)은 리트랙터와 함께 당겨져서 래치볼트와 수축 위치로 제거한다.
제1도의 원통형 로크 조립체(20)의 부품의 조립시에, 래치조립체(52)의 케이스(308)을 추후 샤시(50)을 수용하는 큰 도어 개구와 연통되는(제2도어의) 도어(326)의 모서리안에 (도시되지 않은) 개구안에 위치시킨다. 부착된 로즈 라이너(38)과 함께 샤시(50)을 하우징(286)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도어(326)안의 샤시(50)을 큰 개구안으로 이동시킬 때, 샤시는 래치 케이스(308)의 테일 단부와 맞물리고 이에 부착된다. 또한, 로즈 라이너(38)의 캡(72)는 도어안의 노치안으로 이동되고, 로즈 라이너는 도어의 인접 표면과 정렬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하우징(286)을 도어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슬리브(168, 170)과 도어 개구안에 위치 시킨다. 그 연후에, 링크(310)의 테일(316)을 상술한 방법으로 리트랙터(142)에 부착시키고, 판(309)를 공지의 방법으로 도어(326)의 모서리에 고정시킨다. 그 연후에, 로즈 라이너(26)를 슬리브(168)위로 그리고 도어(326)쪽으로 이동시켜서, 캡(72)를 도어의 인접 표면안에 형성된 노치안으로 이동시키고, 나사 구멍(68)을 각각 블럭(258, 260)의 나사 구멍(272, 284)의 다른 단부와 정렬시킨다. 그 연후에 축방향 나사 구멍(325)와 함께 육각 플랜지(321)과 슬리브부(323)을 구비한 육각 너트(319)를, 육각 플랜지가 로즈 라이너(26)의 오목부(64)안에 안착될 때까지, 슬리브(190) 상에 나사 장착시킨다. 나사(327)과 같은 나사를 로즈 라이너(26)의 구멍(68)을 통해 위치 시키고 구멍(272, 284)안으로 나사 결합시켜 조립위치로 로즈 라이너를 고정시킨다. 이 위치에서, 나사(327)의 헤드는 육각 플랜지(321)의 인접한 인접 평면의 외주연 가까이 위치하여 나사 헤드가 육각너트(319)의 헐거워짐을 방지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로즈라이너(26, 38)을 조립할 때, 로즈 라이너(26)의 슬롯(60)은 로즈 라이너(38)의 대응 슬롯(60)과 정렬함을 알아야 한다. 그 연후에 카세트(28, 40)을 슬리브(168, 170)위로 위치시켜서 탭(186)을 카세트의 아버(96)의 원통형 개구부안에 형성된 종방향 슬롯안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아버(96)은 슬리브(168, 170)에 키이되어 슬리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카세트(28, 40)을 슬리브(168, 170)위로 이동시킬 때, 카세트의 패드(82)는 각각 로즈 라이너(26, 38)의 각 슬롯(60)안에 위치한다, 카세트(28, 40)이 이러한 형태로 조립되었을 때 카세트의 각 포스트(84, 86)은 도어(326)안의 (도시되지 않은) 대응 개구안에 위치한다. 이러한 정렬 상태에서, 카세트(40)의 포스트(84)는 카세트(28)의 포스트(86)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카세트(40)의 포스트(86)은 카세트의(28)의 포스트(84)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나사(329)의 나사 단부를 카세트(28)의 외부 표면(90)으로 부터 포스트(86)의 비나사 구멍(92)를 통해 카세트(40)의 포스트(84)의 나사구멍(88)안으로 위치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다른 나사(329)의 나사 단부를 카세트(40)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포스트(86)의 비나사 구멍(92)을 통해 카세트(28)의 포스트(86)의 나사 구멍(88)안으로 위치시킨다. 그 연후에, 나사(329)를 카세트(28, 40)을 도어(326)의 양측면상의 고정 위치로 당기도록 조여서, 나사의 헤드가 포스트 구멍(86)과 정렬되도록 카세트의 외부 표면(90)의 대등 오목 구멍안에 안착 시키도록 한다.
그 연후에 로즈(30, 42)를 각각 카세트(28, 40)위로 위치시키고 로즈와 카세트안에 상호 보완 형태로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오목부 및 걸쇠 구조물에 의해 조립체 안에 고정시킨다. (도시되지 않은) 오목부 및 L형 걸쇠 구조물과 같은 다른 구조물을 사용하여 로즈(30, 42)를 각각 카세트(28, 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 버튼(36)의 한 단부를 샤시(50)안의 통상의 로크 기구와 맞물리도록 슬리브(168)안에 위치시켜서, 회전 버튼의 회전에 따라 신장 위치에서 래치볼트(54)의 선택적인 로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서트(34)를 레버(32)의 돌출부(130)의 내측 개구부안에 위치시킨다. 그 연후에, 레버(32)의 개구(138)을 슬리브(168)위에 위치시켜서, 회전버튼(36)의 손가락 파지 단부(140)을 개구(138)의 외측 단부를 통해 신장시킨다.
회전버튼(36)은 슬리브(168)로부터 외측으로 스프링 바이어스 되지만 신장된 손가락 파지 단부(140) 보다 개구(138)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의 버튼의 이동을 저지하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한쌍의 이격된 종방향 리브가 레버의 작동에 따라 슬리브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슬리브(168)의 슬롯(174, 178) 안으로 끼워진 레버(32)의 개구(132)안에 방사상 내측으로 형성됨을 알아야 한다. 아버(96)이 슬리브의 하부면상에 탭(186)에 의해 슬리브(168)에 키이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94)는 작업자에 의해 레버(32)의 작동에 따라 압축될 것이다. 압축된 스프링(94)는 작업자에 의해 이완됨에 따라 그 원래 위치로 레버(32)의 개구(132)에는 허브(128)안에 횡단 슬롯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개구는 슬리브(168)안에 형성된 슬롯(330)과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스프링 바이어스 걸쇠 또는 캐치판은 슬롯(330)을 통해서 개구(132)의 오목부로 연장되어, 레버(32)를 슬리브(168)과 함께 지지한다. 허브(128)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작은 구멍이 연장되고, 기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개구부(132)안의 오목부와 연통되어 스프링 바이어스 걸쇠를 수축시키고 조립체로부터 레버(32)가 빠져나오도록 한다.
실린더 토크(44)를 레버(46)의 허브(128)의 축방향 개구(132)안에 위치시켜서 리브(122)와 커버(124)를 레버슬롯(136)을 통해 이를 지나 돌출부(130)의 개구안(134)으로 이동시킨다. 그 연후에 인서트(48)를 레버(46)과 조립시켜 인서트의 일부분이 슬릇(136)을 덮고 다른 부분이 개구(134)를 덮도록 한다. 이는 돌출부(130)과 허브(128)의 인접한 외부 부분의 형성과 구조적으로 조합되고 이러한 형상에 따른 개구(134)와 슬롯(136)을 위한 외부 커버를 제공한다.
그 연후에 레버(46)을 실린더 로크(44)와 이와 조림된 인서트(48)을 함께 조정하여 슬리브(170)위로 축방향 개구(132)를 위치시킨다. 개구(132)안에 형성된 리브를 슬리브의 슬롯안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리브(122)와 로크 조립체(44)의 커버(124)를 슬롯(174)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한 슬롯으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된 슬리브(170)의 먼 측면상의 슬롯안으로 이동시킨다. 결국, 스프링 바이어스 걸쇠 또는 캐취판의 일부분은(제3도의) 슬롯(330)을 통해 연장되고, 슬리브(170)은 원통형 로크 조립체(20)의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슬리브(170)과 함께 레버를 지지하도록 레버(46)의 허브(128)안의 횡단 슬롯 또는 오목부 안으로 이동된다. 슬리브(170)에는 슬롯(174, 176, 178)이 형성된 슬리브(168)과 같은 3개의 슬롯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에 의해 슬리브 (168, 170)은 단순히 슬리브를 180° 수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호맞물릴 수 있어서, 슬롯(174)는 슬리브(168)의 위치를 위해서는 바닥부상에 그리고 슬리브(170)의 위치를 위해서는 상부상에 위치가능하다.
제6도에 의하면, 원통형 로크 조립체(20)과 작동하는 로크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해 제1도 요소들의 일부로써 로크기구(322)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로크 기구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리브(168, 170)을 샤시(50)의 리트랙터(142)의 양측면상에 위치시킨다. 슬리브(170)과 리트랙터(142)사이에는 보조 슬리브 또는 롤백(334, rollback)과 플런저 조립체(336) 그리고 로킹 도그(338, locking dog)를 삽입시킨다. 플런저 조립체(336)은 플런저 헤드(340)과 스프링(342), 플런저 몸체(344) 그리고 핀(346)을 포함한다. 스프링(342)와 헤드(340)을 몸체(344)의 한 단부안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개구(348)안으로 삽입시킨다. 그 연후에 핀(346)을 긴 슬롯(350)을 통해서 헤드(340)안에 형성된 구멍(352)안으로 삽입시킨다. 스프링(342)는 정상시에 개구(348)로부터 외측으로 헤드(340)을 가압하지만 핀(346)의 조립체 때문에 개구 밖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핀(346)이 긴 슬롯(350) 안에 위치하므로, 헤드(340)은 슬롯의 한정된 길이 내에서 개구(348)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조 슬리브(334)에는 한 단부에 축방향 개구(354)가 그리고 다른 한 단부에 커버(356)이 형성되고, 커버에는 실린더 로크(44)의 테일피스(116)의 수용을 위해 위치한 중앙 위치 크로스 슬롯(358)이 형성되어 있다. 캠요소(360)은 보조 슬리브(334)의 개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로킹 도그(338)에는 축방향 구멍(362)와 구멍으로부터 축방향 연장된 귀부(364)가 형성되어 있다. 귀부(364)의 자유단부는 항상 (제3도의) 슬리브(248)의 슬롯(254)안에 내장되어, 도그(338)의 회전을 방지하지만 그 축방향 운동을 허용한다.
링크 바아(366)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68)의 외측면상에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위치한다. 링크 바아(366)은 금속의(제7도의) 두 평면 스트립(368, 370)을 함께 리벳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스트립(368, 370)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스트랩으로부터 벌어진 중간 모서리를 따라 각각 스프링 바이어스 핑거(372, 374)가 형성되어 있다. 스트립(369, 370)에는 또한 링크 바아(366)의 탭(380)을 형성하도록 조립체로 결합된 캡(376, 37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컵형 캡(382)는 링크 바아(366)의 외측단부에 부착되고, 이에는 한쌍의 대향 이격된 구멍(384)와 슬롯(386)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단부(388)은 견부(390)을 형성하도록 그 폭이 감소되어 있다.
회전 버튼(36)에는 한쌍의 대향 이격된 내측 돌출 탭(39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버튼(36)은 캡(382)위에 위치하여, 탭(392)가 버튼을 캡과 링크 바아(366)과 함께 지지하도록 구멍(384)안에 위치하도록 한다.
조립시에, 회전 버튼(36)과 함께 링크바아(366)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먼저 단부(388)을 슬리브(168), 리트랙터(142) 및 도그(338)의 개구(362)를 통해 이동시킨다. 도그(338)의 개구(362)는, 단부(388)의 유입을 허용하고 회전 버튼(36)이 회전할 때 도그와 독립적으로 단부와 바아(366)이 회전되도록 하며 견부(390)이 도그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플런저 조립체(336)은 보조 슬리브(334)의 개구(354)안으로 삽입되고, 이는 슬리브(170)의 개구(172)안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보조 슬리브(334)의 캠요소(360)은 슬리브(170)의 캠요소(184)에 인접위치 한다.
링크 바아(366)은 캠요소(184)에 인접한 슬리브(170)의 개구(172) 부근에 위치되도록 (제3도의) 슬리브(248) 안으로 도그(338)을 이동시키도록 보다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도그(338)의 귀부(364)는 슬리브(170)안에 형성된 슬롯(394)안으로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위치한다. 플런저 몸체(344)는 링크 바아(366)의 단부(388)과 도그(338)에 대하여 가압되어, 스프링(342)에 의해 링크 바아와 회전 버튼(36)의 스프링 바이어스를 제공하다.
링크 바아(366)이 슬리브(168)을 통해 이동될 때, 핑거(372, 374)는 슬리브 내부의 통로를 통해 이동하고, 이어서 모두가 함께 가압되고 그 연후에 제7도에 도시된 위치로 스프링에 의해 귀환된다. 이는 핑거(372, 374)의 자유 단부를 슬리브(168)안에 견부를 맞물리도록 위치시켜서, 슬리브안에서의 링크 바아(366)의 완전한 수축을 저지하지만 제한된 축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링크 바아(366)이 비로크 위치에 있을 때, 바아는 탭(380)이 호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리브(168)안의 제 1탭 차단 부재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 위치에서, 스프링(342)는 도그(338)을 바이어스하여 귀부(364)가 슬리브(170)의 슬롯(394) 외측에 위치하여, 슬리브는 레버(46)의 작동에 의해 회전 될 수 있다. 그 결과, 래치 볼트(54)는 래치 위치로부터 비래치 위치로 이동된다.
회전 버튼(36)을 사용하여 조립체(20)을 로크시킬 필요가 있다면, 버튼을 축방향 내측으로 눌러서 탭(380)으로 슬리브(168)안의 제 1탭 차단 부재를 제거한다. 이제, 회전버튼(36)은 탭(380)을 원호에 따라 슬리브(168)의 제 2탭 차단부재의 내측면상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버튼(36)을 해제시키면, 탭(380)은 제2탭 차단부재와 맞물리고, 그 위치에서 링크 바아(366)과 회전 버튼을 지지하도록 제2탭 차단 부재에 대하여 가압된다.
링크 바아(366)을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회전시키면, 견부(390)은 도그(338)을 (제3도의) 슬리브(248)을 통해 슬리브(170)의 슬롯(394)안에 귀부(364)가 위치하는 위치로 보다 이동시킨다. 이는 슬리브(17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체(20)이 외부레버(46)의 사용에 의한 조립체의 작동에 대하여 로크 상태로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 로크(44)는 조립체(20)의 내측면쪽으로 연장된(제1도의) 테일피스(116)을 포함한다. 조립체(20) 부품의 조립시에, 테일피스(116)은 슬롯(358)안으로 삽입된다. 실린더 로크(44)가 로크상태에 있을 때, 테일피스(116)은 회전이 저지되고, 이에 의해 조립체(20)은 외부로부터 로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래치 볼트(54)를 외부 레버(46)의 작동에 의해 래치 위치로부터 이동시킬 수가 없다. 키이를 실린더 로크(44)안으로 삽입하고 이에 따라 로크 텀블러 핀이 적절히 정렬되었을 때, 키이 그리고 이에 따라 테일피스를 회전 시킬 수가 없다. 이는 보조 슬리브(334)를 회전 시켜서, 캠요소(360)을 이동시키고, 리트랙터(142)를 이동시켜, 래치볼트(54)를 수축시킨다.
레버(32)의 작동시에, 슬리브(168)은 캠면(166) 안으로 리트랙터(142)를 이동하기 위해 캠요소(182)를 강제하며 상기에 기재한 것과 같이 래치볼트(54)를 후퇴시키도록 회전 된다. 리트랙터(142)가 제거됨으로서, 케이스(188)과 샤시(50)이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만일 회전이 발생한다면, 샤시(50)은 래치볼트(54)와 정렬되지 않으며 부품들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리트랙터(142)의 작동시 샤시(50)의 부품들의 회전 가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장착 블록(258, 260)은 샤시(50)내에 조립되며 상기에 기재한 방법으로 로즈라이너(26, 38)에 부착된다.
레버(46)의 조작시 동일한 크기의역회전력이 발생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축받이(276, 278)이 케이스(188)의 노치(202, 206, 제3도)내에 위치하도록 상부에 장착 블록(260)이 위치되어 있다. 노치(202,126)과 축받이(276, 278) 크기 때문에, 장착 블록(260)은 블록의 수평면에서 어떠한 움직임도 방지된다. 또한, 케이스(188)의 레그(96, 제3도)은 블록의 내측 이동을 방지하며, 블록은 하우징(286)에 의해 외측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블록(260)은 설치된 위치에서 고정되며 djEJ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포스트(278.280)의 단부들은 로즈 라이너(26, 28)에서 구멍(68)로 연장되며 구멍과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한쌍의 나사(400,402)는 구멍(68)을 통해 그리고 구멍의 한쪽 측면상에 샤시 구멍(296)과 구멍의 다른 측면상에 개구(288)을 통해 삽입된다. 다음에, 나사(400, 402)는 나사구멍(284)의 대향 단부안으로 끼워지며, 제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로크(20)의 조립된 부품을 고정하도록 단단히 당겨진다
동일한 조립방법이 장착 블록(258)에 적용됨을 유의하여야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스프링 카세트(28, 40)은 로즈 라이너의 보완 슬롯(60)내에 위치한 카세트의 패드(82)와 각각 로즈 라이너(26, 38)위에서 조립된다. 이러한 장치는 각각 로즈 라이너(26, 38)과 카세트(28, 40)에 결합하며, 이들은 각각 다른 것에 적절하게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나사는 카세트(28)의 무나사 구멍(92)를 통해, 도어(326)과 정렬된 슬롯(68)을 통해, 그리고, 카세트(40)의 나사 구멍(88)을 통해 삽입된다. 유사한 형태에서, 나사는 카세트(40)의 무나사 구멍(92)를 통해 카세트(28)의 나사 구멍(88) 안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나사는 조립된 부품과 도어(326)을 고정하도록 조여진다.
샤시(50)내에 블록(258, 260)을 조립하고 상술한 샤시의 외부 설비에 블록을 고정하는 방식의 장점에 의해, 장착한 블록들은 샤시로 이동할 수 있는 어떠한 회전력도 제한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와 함께 로즈라이너(38)은 상기에 설명한 것과 같이 공장에 조립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폭이 4.5㎝인 도어와 같은 표준크기의 도어에 적용되도록 미리 설정된다. 만일 다른 폭의 도어가 사용된다면 도어의 폭에 따라 표준 폭으로부터 폭의 변화를 적용시키도록 다른 길이의 나사를 블록(258, 260)상의 나사(402)의 위치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육각 너트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리이브(190)의 나사부분 위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조립체 상에 로즈 라이너(26)의 개구(62)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나사(400, 402)가 조립될 때, 나사의 헤드는 개구(62)에 중첩될 것이며, 조립된 위치에서 육각너트를 고정시키고 너트가 헐거워 지는 것을 방지한다.
간단하게, 블록(258, 260)의 사용으로 샤시(50)의 회전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샤시(50)을 표준크기 도어를 위해 공장에서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앵커 포인트를 마련하며, 비표준 크기의 도어용의 다른 길이 나사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리이브(190)상에 육각 너트는 나사(400,402)의 헤드 위치에 의해 헐거워짐을 방지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에 기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았다. 변경 및 다른 선택적 구조물이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서 한정한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1)

  1. 도어와 조립되는 원통형 로크 조립체에 있어서, 래치볼트와, 래치 위치와 비래치 위치 사이에서 래치볼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내장한 샤시와, 샤시로부터 연장되며 슬리브의 회전시 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샤시에 부착된 슬리브와, 슬리브의 선택적 회전을 용이하게 슬리브상에 장착된 작동기와, 샤시에 장착되며, 작동기의 회전시 샤시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마련하기 위한 부착수단에 연결된 회전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로크 조립체.
KR1019910017849A 1990-10-12 1991-10-11 원통형 로크 조립체 KR100191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6,881 1990-10-12
US07/596,881 US5123682A (en) 1990-10-12 1990-10-12 Cylindrical lock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302A KR920008302A (ko) 1992-05-27
KR100191047B1 true KR100191047B1 (ko) 1999-06-15

Family

ID=2438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849A KR100191047B1 (ko) 1990-10-12 1991-10-11 원통형 로크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23682A (ko)
JP (1) JPH07116874B2 (ko)
KR (1) KR100191047B1 (ko)
AU (1) AU639872B2 (ko)
CA (1) CA2053166C (ko)
MX (1) MX174028B (ko)
MY (1) MY106877A (ko)
ZA (1) ZA9180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223A (en) * 1990-10-12 1992-09-08 Emhart Inc. Cylindrical lock assembly
GB2277124B (en) * 1991-11-12 1995-09-27 Gainsborough Hardware Privacy adaptor for door furniture
AU653083B2 (en) * 1991-11-12 1994-09-15 Gainsborough Hardware Industries Limited Privacy adaptor for door furniture
US5651568A (en) * 1992-10-09 1997-07-29 Gainsborough Hardware Industries, Limited Privacy snib mechanism
US5335948A (en) * 1992-10-16 1994-08-09 Corbin Russwin, Inc. Cylindrical lockset
GB2290341B (en) * 1994-06-15 1998-04-22 Nt Architectural Hardware Ltd Operating member mounting means
US6131970A (en) * 1997-09-25 2000-10-17 Yale Security Inc. Latch assembly with keyed rose plate for adjustment to doors of differing thickness
US6698803B2 (en) 2001-01-12 2004-03-02 Schlage Lock Company Door latching mechanism
US6802546B2 (en) * 2001-02-23 2004-10-12 Schlage Lock Company Convertible door lock latch mechanism
US6616203B1 (en) 2002-08-26 2003-09-09 Corbin Russwin, Inc. Door latch operator mount
AU2004200529B2 (en) * 2002-12-20 2006-01-05 Assa Abloy Australia Pty Limited A Three Mode Lock
SG158759A1 (en) * 2004-01-30 2010-02-26 Assa Abloy Australia Pty Ltd A three mode lock
US7870770B2 (en) * 2004-01-30 2011-01-18 Assa Abloy Australia Pty Limited Three mode lock
US20060131897A1 (en) * 2004-12-17 2006-06-22 The Steelworks Corporation Door latch mounting bracket
JP4853711B2 (ja) * 2006-11-29 2012-01-11 株式会社ユニオン レバーハンドルの取付座
CN101245676A (zh) * 2007-02-16 2008-08-20 阿萨阿布洛伊澳大利亚有限公司 带有烟雾警报器接口的锁
AU2009201703B2 (en) * 2008-07-24 2012-08-23 Allegion (Australia) Pty Ltd A door furniture mount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912A (en) * 1929-04-03 1935-08-27 American Hardware Corp Lock
US3293892A (en) * 1964-10-09 1966-12-27 Independent Lock Co Lock adapter
US4067599A (en) * 1976-04-09 1978-01-10 Walter Kidde & Company, Inc. Trim alignment for mortise locks
US4728133A (en) * 1985-06-05 1988-03-01 Unatech Door handle attachment apparatus
AU4379589A (en) * 1988-10-31 1990-05-03 Pittella Imports Pty. Ltd. Means for securing door furniture in position
US4930822A (en) * 1989-03-28 1990-06-05 Shen Chao C Retention plate assembly for retaining a lock
US5516854A (en) * 1990-07-27 1996-05-14 Thioko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thermoplastic elastomers having alternate crystalline structure such as polyoxetane ABA or star block copolymers by a block linking process
IL99662A (en) * 1990-10-12 1994-10-21 Emhart Inc Cylindrical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9872B2 (en) 1993-08-05
MX174028B (es) 1994-04-14
JPH07116874B2 (ja) 1995-12-18
MX9101561A (es) 1992-06-01
US5123682A (en) 1992-06-23
CA2053166A1 (en) 1992-04-13
JPH04315682A (ja) 1992-11-06
AU8570291A (en) 1992-04-30
KR920008302A (ko) 1992-05-27
CA2053166C (en) 1996-08-13
ZA918095B (en) 1992-07-29
MY106877A (en) 199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047B1 (ko) 원통형 로크 조립체
KR100191046B1 (ko) 원통형 로크 조립체
CA2435341C (en) High strength lever handle lock mechanism
US6357270B1 (en) Free-wheeling door lock mechanism
CA2053167C (en) Cylindrical lock assembly
US5927765A (en) Dogging device for a latch assembly
AU2002236783A1 (en) High strength lever handle lock mechanism
IL166713A (en) Locking mechanism for securing a class
WO2000071841A1 (en) Door locking device
US6893059B2 (en) Cylindrical lock with improved resistance to torque
US6116663A (en) Casket Lock
US5695227A (en) Lock platform
JPS62228575A (ja) 錠装置
KR100191045B1 (ko) 원통형 로크조립체
US3773370A (en) Privacy lock
US5005886A (en) Latch mechanisms
GB2123070A (en) Lockable door latch
JPH04231564A (ja) シリンダロック
RU2017002C1 (ru) Дверная защелка
JP2738649B2 (ja) ハンドルロック
EP0905340A1 (en) Double action pawl latch
CA2008489C (en) Cylindrical lever type lock structure for handicapped people
CA2248714A1 (en) Casket lock
CA2004983C (en) Latch mechanisms
DE4436474C2 (de) Steckschlüsselbetätigbarer, arretierbarer Vorreiberverschlu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