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005B1 - Digital sync. correction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 Google Patents

Digital sync. correction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005B1
KR100190005B1 KR1019950066860A KR19950066860A KR100190005B1 KR 100190005 B1 KR100190005 B1 KR 100190005B1 KR 1019950066860 A KR1019950066860 A KR 1019950066860A KR 19950066860 A KR19950066860 A KR 19950066860A KR 100190005 B1 KR100190005 B1 KR 10019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e
synchronization signal
horizontal synchronizati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6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7236A (en
Inventor
권성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6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005B1/en
Publication of KR97005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2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0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를 위한 동기 보정 방법을 공개한다.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동기 보정부 및 보정된 수평동기신호를 입력하여 OSD를 위해 사용하는 OSD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는 그 방법은, 수평동기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수평동기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동작 구간을 결정할 기준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와, 동작모드가 잠금 모드인가 해체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작 모드가 잠금 모드이면, 동작 구간에 따라 수평동기신호 또는 미리 예측한 의사 동기 신호를 OSD부로 출력하고, 잠금 구간의 폭을 가변하여 강제로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모드로 들어오게 하는 잠금모드단계 및 동작 모드가 해체 모드이면 수평동기신호를 OSD부로 출력하고,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예측하는 해체모드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VTR의 재생시에 안정된 동기신호로 보상해 주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for an on screen display (OSD). A system comprising a synchronization separator for separating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rom a signal receiv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 synchronization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nd outputting a frequency of the separate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OSD unit for inputting the correcte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OSD. In the method of correcting the frequency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is input, measuring a reference signal to determine an operation section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is input, and whether the operation mode is a lock mode. Determining whether it is in the dismantling mode and,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lock mode, outputs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or a pseudo-synchronization signal predicted in advance to the OSD s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ction, and varies the width of the locking section to force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to be locked If the lock mode to enter the mode and the operation mode is the disassembled mode,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OSD uni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ssolution step mode to predict the period of the synchronizing signal, and is effective to compensate a stable synchronizing signal 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a VTR.

Description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Digital Sync Correction Method for On-Screen Display

제1도는 종래의 수평 동기 보정 회로의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horizon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circuit.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수행되는 종래의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circuit in whic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의 세부적인 블럭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onventional digital synchronous correction circuit shown in FIG.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의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에 도시괸 제58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플로우차트이다.FIG. 5 is a conven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58th step shown in FIG.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제62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플로우차트이다.FIG. 6 is a conven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ixty-second step shown in FIG.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56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로우차트이다.7 is a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tep 56 shown in FIG.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제92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본 발며에 의한 플로우차트이다.FIG. 8 is a flow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tep 92 shown in FIG.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 video tape recorder)에서 영상 신호에 문자를 표시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 on screen display)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 디스플레이 동작의 기준이 되는 입력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를 안정하게 만드는 OSD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 screen display (OSD) circuit that displays characters on an image signal in a video tape recorder (VTR), and particularly, to an input horizontal sync signal that is a reference for character display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for an OSD which makes a frequency stable.

OSD 회로에서 입력 수평 동기신호에 지터(jitter)가 생겨서 주파수가 어느 정도 흔들리면 문자 표시의 기준 위치가 흔들리게 되어 문자가 떨게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빌생한다. 즉, 방송국에서 수신한 신호의 전계가 소정값보다 작을 경우(보통 약전계라고 함.), 수신한 신호로부터 동기 분리회로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의 지터가 크게 되어 이를 직접 OSD회로에 입력하면 치명적인 문자 떨림 현상이 발생한다.In the OSD circuit, jitter is generated in the input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when the frequency is shaken to some extent,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character display is shaken, which causes a fatal problem of shaking the character. That is, when the electric field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usually called a weak electric field), the jitter o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separated from the received signal is increased from the received signal, which is fatal if directly inputted to the OSD circuit. Character blurring occurs.

제1도는 종래의 수평 동기 보징 회로의 블럭도로서, 동기 분리부(10), 위상동기루프(PLL : phase locked loop)(20)를 구성하는 위상 검출부(22), 루프 필터(24), 전압 제어 발진기(VCO :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26) 및 분주기(28)로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horizontal synchronous retaining circuit, and includes a phase detector 22, a loop filter 24, and a voltage constituting a synchronous separator 10, a phase locked loop (PLL) 20. It consists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26 and a divider 28.

제1도에 도시된 동기 분리부(10)는 입력단자 1N을 통해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위상 동기 루프(20)의 VCO(26)는 입력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진시키며 VCO(26)의 출력 주파수는 주파수를 분주하는 분주기(28)에 의해서 N분주되어 위상검출부(22)로 궤환된다.The sync separator 10 shown in FIG. 1 input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hrough an input terminal 1N, and separates and outputs a horizontal sync signal. The VCO 26 of the phase locked loop 20 oscillates the same frequency as the frequency of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frequency of the VCO 26 is divided by N by a divider 28 that divides the frequency into the phase detector 22. Feedback.

분주기(28)의 출력 주파수는 위상 동기 루프(20)가 잠긴 상태에 있을 경우 위상 검출부(22)로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와 같다. 즉, 약전계에서 발생한 수평 동기 신호의 지터를 아날로그 PLL(20)이 억압하여 출력단자 OUT를 통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OSC회로가 입력하는 수평동기신호는 지터가 거의 없게 되고, 따라서, 약전계의 경우에도 문자 떨림이 생기지 않게 된다. 종래 OSD 회로는 아날로그 PLL(20)을 이용함으로서, 많은 특성을 개선할 수 있었지만, 아날로그 특성이 갖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The output frequency of the divider 28 is equal to the frequency of the signal input to the phase detector 22 when the phase locked loop 20 is locked. That is, the analog PLL 20 suppresses jitter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generated in the weak electric field and outputs it to the on-screen display circui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Therefore,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input by the OSC circuit has almost no jitter, and therefore, character shake does not occur even in the case of a weak electric field. Conventional OSD circuits have been able to improve many characteristics by using analog PLL 20, but still suffer from various problems with analog characteristics.

즉, 아날로그 회로를 사용함으로서, 잡음에 민감한 영향을 받고, 온도, 소자값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되며, 또한, VCO(26)는 높은 주파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잡음의 원천으로 작용하여 인접회로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by using an analog circuit, it is sensitive to noise, and greatly affected by changes in temperature and device values. Also, since the VCO 26 operates at a high frequency, it acts as a source of noise to provide an adjacent circuit. There is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게다가, 종래에는 위상 동기 루프(20)에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기가 자동 주파수 조절 카운터(후술되는 제2카운터)의 클럭 주기에 정확한 정수배가 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잠금 구간을 가변하여 입력 수평동기신호의 주기를 트랙킹할 필요성을 갖는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period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to the phase locked loop 20 has not been an exact integer multiple of the clock period of the automatic frequency control counter (second counter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track the period of the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by varying the lock period.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의해 사용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지터를 디지탈적으로 억압하여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를 안정하게 만들어 약전계에서 문자 떨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잠금 모드에서 잠금 구간을 가변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itter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used by the on-screen display is digitally suppressed to stabilize the frequency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resulting in character shaking in the weak electric fiel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that varies the lock section in the lock mode so as not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 상기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동기 보정부 및 상기 보정핀 수평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는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은, 상기 수평동기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와, 상기 수평동기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동작 구간을 결정할 기준 신호를 측정하는 신호측정단계와, 동작모드가 잠금 모드인가 해체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잠금 모드이면, 상기 동작 구간에 따라 상기 수평동기신호 또는 미리 예측한 의사 동기 신호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잠금 구간의 폭을 가변하여 강제로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모드로 들어오게 하는 잠금모드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해체 모드이면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예측하는 해체모드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synchronization separator for separating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rom a signal receiv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ynchronization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nd outputting the frequency of the separate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correction pin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 a system including an on-screen display to be used for input on-screen display, the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for correcting the frequency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first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A signal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reference signal to determine an operation section when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a second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is a lock mode or a disengagement mode; and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lock mode, the operation sectio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r the pseudo-prediction signal predict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on-screen Outputting to the lean display unit and varying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to force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to enter the lock mode; and outputting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dismantling mode. Preferably, the decompression mode step of predicting the period of the pseudo-synchronous signal.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이 수행되는 종래의 디지탈 보정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onventional digital correction circuit for performing a digital synchronous correction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수행되는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동기분리부(30),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32) 및 OSD부(34)로 구성되어 있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circuit in whic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nd is composed of a synchronization separator 30, a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circuit 32, and an OSD unit 34.

제2도에 도시된 동기 분리부(3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32)로 출력한다.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32)는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출력한다.The sync separator 30 shown in FIG. 2 separates only the horizontal sync signal from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and outputs it to the digital sync correction circuit 32. The digital synchronous correction circuit 32 corrects the frequency o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여기서, 동기분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기를 Ti, 디지탈 동기 보정 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기를 To, 지터가 없는 이상적인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Th,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32)에/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의 지터를 각각 J(i) 및 J(o)라 할 경우, 주기 Ti, To 및 J(o)와 J(i)는 다음과 같다.Here, the period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ynchronization separator 30 is Ti, the period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circuit 32 is To, and the period of the ideal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without jitter is Th,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When the jitter of the signal input / output to / from the circuit 32 is J (i) and J (o), respectively, the periods Ti, To, J (o) and J (i) are as follows.

Ti = Th + J(i) --------- 식(1)Ti = Th + J (i) --------- Formula (1)

To = Th + J(o) -------- 식(2)To = Th + J (o) -------- Formula (2)

J(o) ≪ J(i) --------- 조건1J (o) ≪ J (i) --------- Condition 1

조건1은 본 발명의 목적에 해당한다.Condition 1 corresponds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에 도시된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32)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동작 모드가 있다.The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circuit 32 shown in FIG. 2 has two operation modes as follows.

먼저, 해체(unlock)모드는 잠금(lock)모드를 찾아가는 과도상태로서, 동기분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이상적인 주기(Th)를 예측한다. 다음으로, 잠금모드는 잠긴 상태로서, 잠금 구간(range)에 들어오는 수평동기신호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보정 없이 출력한다. 그러나, 잠금 구간밖에 수평동기 신호가 들어올 때, 해체 구간에서 예측한 이상적인 주기(Th)를 가지는 의사(pseudo) 동기 신호를 잗금 구간 밖에 들어온 수평 동기 신호 대신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출력한다.First, the unlock mode is a transient state in which the lock mode is searched, and predicts an ideal period Th of the horizontal sync signal output from the sync separator 30. Next, the lock mode is locked,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coming into the lock range is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without correction. However,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comes out of the lock section, a pseudo synchronizing signal having an ideal period Th predicted in the dismantling section is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instead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entered outside the current section. .

한편,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32)는 두 가지의 동작 구간들 즉, 잠금 구간 및 풀-인-구간(pull in lock range)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circuit 32 has two operating sections, that is, a lock section and a pull in lock range.

먼저, 잠금 구간은 잠금 모드에서 수평동기신호의 입력이 허용되는 구간이고, 풀-인-구간은 해체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전환시에 제2변수를 카운팅하는 구간이다.First, the lock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is allowed in the lock mode, and the pull-in section is a section counting the second variable when the lock mode is switched from the disassembly mode.

여기서, 제2변수는 잠긴 수(lock in number)를 가리키며, 이는 잠금 모드와 해체모드를 전환하는 변수값으로서, 잠금 구간에 수평동기신호가 들어온 총 횟수를 의미한다.Here, the second variable indicates a lock in number, which is a variable value for switching between the lock mode and the unlock mode, and means the total number of times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entering the lock section.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32)의 세부적인 블럭도로서, 제1신호가 입력되면 증분시키고, 제2신호가 입력되면 감소시키고, 제1 및 제2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변화시키지 않은 프리셋값을 출력하는 제1카운터(40), 프리셋 값 및 프리셋 인에이블 신호(c)에 응답하여 프리셋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력에 응답하여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는 제2카운터(42) 및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프리셋 인에이블 신호(C)를 발생하고, 수평 동기신호가 해체 모드에서 잠금 구간보다 먼저 입력되면 제1신호를 발생하고 늦게 입력되면 제2신호를 발생하고 잠금 구간에 입력되면 제1 및 제2신호들을 발생하지 않고,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될 때의 제2카운터(42)의 카운팅값을 미리 설정된 값들과 비교하여 동작 구간을 설정하고 의사 동기 신호를 예측하며, 제2카운터(42)의 값과 동작 구간을 비교하여 동작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고, 잠금 모드에서 동작 구간에 따라 분리된 수평동기신호 또는 의사 동기신호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44)로 구성되어 있다.FIG.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onventional digital synchronous correction circuit 32 shown in FIG. 2, which increments when a first signal is input, decreases when a second signal is input, and first and second signals. A first counter 40 which outputs a preset value which is not changed if it is not input, a preset counter in response to the preset value and the preset enable signal c, and a second counter which performs a counting operation in response to a clock input from the outside 42 and a preset enable signal C are generated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and a first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earlier than the lock section in the disassembly mode, and a second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later and locked. If the input is input to the interval,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re not generated, and the operation value is set by comparing the counting value of the second counter 42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with the preset values and setting the pseudo synchronization signal.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operation mode by comparing the value of the second counter 42 with the operation section, and selectively select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r the pseudo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ction in the lock mode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The control unit 44 outputs the data.

제3도에 도시된 제1카운터(40)는 상향/하향 카운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카운터(42)의 프리셋값 즉, 제1변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ounter 40 shown in FIG. 3 may be implemented as an up / down counter, and determines the preset value of the second counter 42, that is, the first variable.

제1카운더(40)로 입력되는 제1 및 제2신호들은 제어부(44)로부터 출력되고, 출력단자 OUT를 통해 출력되는 보정된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있는 신호들이다. 제1카운터(40)는 해체모드에서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보다 앞서서 입력될 때 마다 제어부(44)에서 1회 발생된 제1신호에 응답하여 프리셋 값을 1 증가하고, 잠금 구간보다 뒤져서 입력될 때 마다 제어부(44)로부터 1회 발생된 제2신호에 응답하여 프리셋값을 1 감소한다. 그리고, 제1 카운터(40)는 잠금 구간에서 수평동기 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프리셋값을 변환시키지 않는다. 즉, 프리셋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는다.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nput to the first counter 40 are output from the controller 44 and are synchronized with the correcte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The first counter 40 increases the preset value by one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generated once by the controller 44 whenever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input in advance in the dismantling mode before the lock section. Each time, the preset value is decreased by one in response to the second signal generated once from the controller 44. The first counter 40 does not convert the preset value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in the lock section. That is, it does not increase or decrease the preset value.

제2카운터(42)는,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단자 IN1을 통해 제어부(44)로 입력될 때 제어부(44)로부터 발생되는 프리셋 인에이블 신호(C)에 응답하여 제1카운터(40)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셋값을 입력하고, 입력한 프리셋 값에 응답하여 프리셋된다. 그리고, 프리셋된후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에 맞춰 상향 카운팅 동작을 수행한다.The second counter 42 outputs from the first counter 40 in response to the preset enable signal C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44 when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44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1. Inputs a preset value, and is preset in response to the entered preset value. After the preset operation, an up count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lock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2.

제어부(44)로 수평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 제2카운터(42)에서 카운팅된 값을 기준 신호라 하고 제2카운터(42)에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의 주기를 Tck라 하면, 제어부(44)로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기(Ti)는 다음 식(3)과 같다.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44, a value counted by the second counter 42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signal, and a period of a clock inputt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2 to the second counter 42 is Tck. The period Ti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to the controller 44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Ti = (기준신호 - 제1변수) × Tck -------- 식(3)Ti = (reference signal-first variable) × Tck -------- Equation (3)

이 때, 식(3)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구간 밖의 구간에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출력되는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예측하기 의해서 사용된다.In this case, equation (3) is used by estimating the period of the pseudo synchronizing signal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in the section outside the lock section in the lock mode.

결국, 제어부(44)는 기준 신호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값들을 비교하여 동작 구간을 결정하고, 해체 모드와 잠금 모드의 동작 전환을 제어하고,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제2카운터(42)로 프리셋 인에이블 신호(C)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단자 OUT를 통해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를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로 할 것인가, 의사 동기 신호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제1 및 제2신호들을 제1카운터(40)로 출력한다.As a result, the controller 44 compares the reference signal with preset values and determines an operation section, controls the operation switching between the dismantling mode and the lock mode, and presets the second counter 42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The enable signal C is output.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is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1 or a pseudo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re first counter 40. Will outpu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a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제어부(44)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수평 동기신호가 입력되었는가 판단하여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제50 및 제52단계), 동작 모드에 따라 보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제54단계∼제58단계)로 이루어져 있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44 shown in FIG. 3, and outputs a reference signal by determining whether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as been input. Steps 50 and 52, and a step of performing a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teps 54 to 58).

제3도에 도시된 제어부(44)는 수평동기 신호가 입력되었는가 판단하여(제50단계), 입력되었으면, 제2카운터(42)의 카운팅값인 기준 신호를 측정한다(제52단계). 제52단계후에, 동작 모드를 확인한 다음(제54단계), 잠금 모드이면 동작 구간에 따라 잠금 구간의 폭을 가변하고,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의사 동기 신호를 OSD부(34)로 보내고(제56단계), 해체 모드이면 수평동기신호를 0SD부(34)로 보내고, 의사동기신호의 주기를 예측한다(제58단계).The controller 44 shown in FIG. 3 determines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step 50), and if so, measures the reference signal which is the counting value of the second counter 42 (step 52). After operation 52, the operation mode is checked (step 54), and in the lock mode,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is var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ction, and a horizontal sync signal or a pseudo sync signal is sent to the OSD unit 34 (step 56). In the disassembly mode,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sent to the 0SD unit 34, and the period of the pseudo-synchronization signal is predicted (step 58).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58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플로우차트로서,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이 수평 동기 신호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출력하고 제3도에 도시된 제2카운터(42)를 초기화하는 단계(제60단계)와, 제60단계후에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된 동작 구간에 따라 제1변수와 제2변수를 가변시키는 단계(제62단계)와, 제62단계후에 제2변수가 소정 임계값을 초과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제64단계) 및 제2변수가 소정 임계값을 초과했으면 해체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제66단졔)로 이루어져 있다.FIG. 5 is a conven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tep 58 shown in FIG. 4, and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is input,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is immediately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Initializing the second counter 42 shown in FIG. 60 (step 60), and varying the first variable and the second varia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after the 60th step (step 62). And after step 62,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variable has exceede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step 64); and if the second variable has exceede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switching from the disassembly mode to the lock mode (step 66). Consists of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제62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플로우차트로서, 풀-인-구간 및 잠금 구간과 수평동기신호의 입력 구간을 비교하여 변수들을 가변시키는 단계들(제70단계∼제86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해체 모드의 동작 구간은 기준 신호에 따라 구분된다.FIG. 6 is a conventional flowchart for describing in detail the sixty-second step shown in FIG. 5, wherein the variables are varied by comparing the pull-in-section and the locking section with the input section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70 to 86). The operation section of the dismantling mod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signal.

즉, 기준 신호가 잠금구간내에 있으면 잠금 구간으로, 기준 신호가 풀-인-구간내에 있으면 풀-인-구간으로 동작구간을 구분한다.In other words, if the reference signal is within the lock period, the operation period is divided into a lock period, and if the reference signal is within the pull-in period, the operation period is divided into a pull-in period.

제5도에 도시된 제62단계는, 수평동기신호가 풀-인-구간에서 벗어났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제70단계)와, 수평동기신호가 풀-인-구간에서 벗어났으면 제1변수를 증가하고, 제2변수를 감소하는 단계(제72단계), 수평동기신호가 풀-인-구간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면,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밖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제74단계),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밖에 있으면 제1변수를 증가하고, 제2변수는 변화시키지 않는 단계(제76단계),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밖에 있지 않으면,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안에 들어왔는가를 판단하는단계(제78단계),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안에 들어왔으면 제1변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제2변수를 증가시키는 단계(제80단계 ),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안에 들어오지 않았으면 풀-인-구간안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제82단계), 수평동기신호가 풀-인-구간안에 있으면 제1변수를 감소하고, 제2변수는 변화시키지 않는 단계(제84단계) 및 수평동기신호가 풀-인-구간안에 있지 않으면 제1변수 및 제2변수를 모두 감소시키고, 제5도에 도시된 제64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Step 62 of FIG. 5 determines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out of the pull-in-section (step 70), and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out of the pull-in-section, the first variable. Increasing the number and decreasing the second variable (step 72),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out of the pull-in period, determining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outside the lock period (step 74), and horizontal synchronization If the signal is outside the lock period, the first variable is increased, and the second variable is not changed (step 76). I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not outside the lock period, determining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within the lock period. (Step 78), i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in the lock section, but not changing the first variable, and increasing the second variable (step 80), i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not in the lock section, pull-in- Determining whether it is in the section ( Step 82), the first variable is decreased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 the pull-in period, the second variable is not changed (step 84), and the first variable is not in the pull-in period. The variable and the second variable are both reduc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4 shown in FIG.

즉, 해체 모드에서는 잠금 구간앞에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면 프리셋값인 제1변수를 증가시키고, 잠금 구간뒤에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제1변수를 감소시키므로, 식(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카운터(42)는 적절한 프리셋값(제1변수)을 갖게 되며,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기를 따라 가게 된다. 이 때,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기(Ti)와 제1 카운터(40)로부터 출력되는 제1변수는 다음 식(4)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That is, in the dismantling mode, when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input in front of the lock section, the first variable, which is a preset value, is increased, and when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s input after the lock section, the first variable is decreased, as can be seen from Equation (3). The second counter 42 has an appropriate preset value (first variable), and follows the cycle of the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t this time, the period Ti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1 and the first variable output from the first counter 40 have a relationship as shown in Equation (4).

Ti = (1r - 제1변수) × Tck -------- 식(4)Ti = (1r-first variable) × Tck -------- Equation (4)

여기서, 1r은 잠금 구간에서의 기준신호를 나타낸다.Here, 1r represents a reference signal in the lock section.

한편,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에 들어오면 잠금 구간에 들어온 횟수인 제2변수는 1 증가시키고, 풀-인-구간에서 벗어나면 제2변수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잠금 구간 밖에 있으나 풀-인-구간에 있을 경우에는 제2변수를 변화시키지 앓는다. 이는 입력신호의 지터에 의해 잠금 구간 안에 들어오거나 잠금 구간 밖으로 나갈 경우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enters the lock section, the second variable,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e lock section has entered, is increased by one, and when the horizontal sync signal is out of the pull-in section, the second variable is decreased. In addition, the second variable does not change when the lock period is outside the pull-in-section. This is to minimize the effect of entering or exiting the lock section by the jitter of the input signal to the maximum.

식(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는 지터를 갖게 되므로 제1변수는 수시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지터의 평균치가 0이고, 지터가 없는 입력주기 Th가 나올 확률이 높으므로, 제2변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어설 때의 프리셋 값은 지터가 없는 입력주기 Th에 대응된다.As can be seen from equation (4), since the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as jitter, the first variable changes from time to time. However, since the average value of jitter is 0 and the probability of the jitter-free input period Th is high, the preset value when the second variabl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corresponds to the jitter-free input period Th.

이와 같이, 의사 동기 신호의 이상적인 주기(Th)를 예측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deal period Th of the pseudo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predicted.

따라서, 제2 변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어설 경우, 해체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전환을 하고, 프리셋값(제1변수)을 고정시킨다.Therefore, when the second variabl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switch is released from the dismantling mode to the lock mode and the preset value (the first variable) is fixed.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56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로우차트로서, 모드 전환되기 바로 전의 값으로 제1변수의 값을 고정시키는 단계(제90단계), 수평동기신호의 동작 구간에 따라 잠금 구간의 폭을 가변하여 수평동기신호 또는 의사 동기 신호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출력하면서, 제2변수를 변하시키는 단계(제92단계) 및 제2변수가 소정 임계값을 넘은가를 판단하여(제94단계), 넘으면 해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제96단계)로 이루어져 있다.7 is a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tep 56 shown in FIG. 4, the step of fixing th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to the value immediately before the mode change (step 90), horizontal synchronization The second variable is changed (step 92) and the second variable is changed while outputting a horizontal sync signal or a pseudo sync signal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by varying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period of the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reshold value has been exceeded (step 94), and when the threshold value is exceeded, the process is switched to the dismantling mode (step 96).

잠금 모드에서는 기준 신호가 잠금 구간내에 있으면 잠금 구간으로, 기준 신호가 풀-아웃-구간내에 있으면 풀-아웃-구간으로 동작 구간이 구분된다. 여기서, 풀-아웃-구간(pull-out-range)이란, 잠금 모드에서 해체모드로 전환시에 제2변수를 카운팅하는 구간을 의미한다.In the lock mode, the operation section is divided into a lock section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in the lock section and a pull-out section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in the pull-out section. Here, the pull-out-range means a section in which the second variable is counted when the lock mode is released from the lock mode.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제92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로우차트로서, 제90단계후에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의 앞이나 또는 뒤에 들어 왔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제100단계)와,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의 앞이나 뒤에 들어왔으면 의사 동기 신호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잠금 구간 종료시에 출력하면서, 기준신호를 초기화하며, 제2변수를 감소시키고, 잠금 구간의 폭을 증가시키는 단계(제102단계),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의 앞이나 뒤에 들어오지 않았으면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안에 들어왔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제104단계),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안에 들어왔으면,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된 수평 동기신호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출력하면서, 기존신호를 초기화하며, 제2변수를 증가시키고, 잠금 구간의 폭을 초기화하는 단계(제106단계) 및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 안에 들어오지 않으면 의사 동기신호를 잠금 구간이 종료하는 시간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34)로 출력하면서, 기준신호를 초기화하며, 제2변수를 감소시키고, 잠금 구간의 폭을 증가시키고, 제94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제108단계 )로 이루어진다.FIG. 8 is a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step 92 shown in FIG. 7 in detail. After step 9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enters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lock section. Step), and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comes before or after the lock section, the pseudo sync signal is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at the end of the lock section, and the reference signal is initialized, the second variable is decreased, (Step 102),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in front of or behind the lock section, determining whether the horizontal sync signal is in the lock section (step 104), and the horizontal sync signal is locked. If inside,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1 is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and the existing signal is initialized, the second variable is increased, and the lock is performed. Initializing the width of the liver (step 106) and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does not fall within the lock section, the pseudo sync signal is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34 at the time when the lock section ends, and the reference signal is initialized. The second variable is decreased,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is increas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4 (step 108).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출력 타이밍과 제2카운터(42)가 프리셋되는 프리셋 타이밍은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가 어느 동작 구간에서 제어부(44)로 입력되느냐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즉,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에 들어오면 잠금 구간의 폭을 가변시키지 않고 초기 설정된 값으로 잠금 구간의 폭을 초기화하고,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구간에 들어오지 않으면 잠금 구간의 폭을 증가시켜서 강제로 잠금 모드로 들어오게 한다.The output timing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circuit 32 and the preset timing at which the second counter 42 is preset are input to the controller 44 in any operation section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1. You can see that it depends. That is, when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enters the lock section,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is initialized to the initial value without changing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I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does not enter the lock section, the lock section is forcibly increased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Enter the mode.

그리고, 잠금 구간 밖에 있으나, 풀-아웃-구간안에 있을 경우에는 제2변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이는 입력신호의 지터에 의해 잠금 구간 밖으로 쉽게 나갈 경우가 있으므로 잠금 모드가 지터의 영향을 받아 쉽게 풀리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가 바퀴어 지터가 없는 입력주기가 달라지거나, 입력신호의 지터가 풀-아웃-구간을 벗어날 정도로 심할 경우에는, 제2변수가 임계값보다 작아져서 해체 모드로 모드의 전원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variable is not changed when it is outside the lock period but in the pull-out period. This is to prevent the lock mode from being easily released due to the jitter because the jitter of the input signal may easily go out of the lock section. When the input horizontal sync signal is changed to the input period without jitter or the jitter of the input signal is severe enough to go out of the pull-out section, the second variable become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the power of the mode is turned off in the dismantling mode. Is do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의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은 디지탈적으로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아날로그 회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방숭국 신호의 주기(Th)와 디지탈 동기 보정회로의 클럭주기(Tck)는 모두 수정발진기(X-TAL)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주하여 사용하므로 주기의 편차가 거의 없다(Th=910.5*Tck). 그러나, 예를 들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재생시에, 입력신호 즉,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Ti)는 Ti = Th - (제2변수 - 제1변수) *·Tck이 되어 입력신호 주기의 편차가 커지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은 잠금 구간을 가변하여 정상신호의 주기(Th)값으로 입력 신호의 주기(Ti)를 트랙킹하여 줌으로써, 입력 신호의 지터를 보상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synchronous correction method using the on-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analog circuit because it digitally corrects the frequency o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Since both the period Th and the clock period Tck of the digital synchronous correction circuit divide and use the signal output from the crystal oscillator X-TAL, there is almost no variation in the period (Th = 910.5 * Tck). However, for example, at the time of reproduction in a video tape recorder, the period Ti of the input signal, i.e.,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becomes Ti = Th-(second variable-first variable) * Tck so that the deviation of the input signal period is varied. It becomes bigger. At this time, the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mpensating jitter of the input signal by varying the lock period and tracking the period Ti of the input signal by the period Th of the normal signal. have.

Claims (3)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 상기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동기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수평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위해 사용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는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 상기 수평동기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동작 구간을 결정할 기준 신호를 측정하는 신호측정단계, 동작모드가 잠금 모드인가 해체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잠금 모드이면 상기 동작 구간에 따라 상기 수평동기신호 또는 미리 예측한 의사 동기 신호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잠금 구간의 폭을 가변하여 강제로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잠금 모드로 들어오게 하는 잠금 모드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해체 모드이면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예측하는 해체모드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A synchronization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rom a signal receiv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 synchronization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nd outputting a frequency of the separate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on-screen display for inputting the correcte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 a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for correcting a frequency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 a system including a screen display unit,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and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determine an operation section. A signal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reference signal, a second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is a lock mode or a release mode; and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lock mode,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r a pre-predicted pseudo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ction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A lock mode step of forc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to enter the lock mode and outputt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if the operation mode is the release mode, and predicting a period of the pseudo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dismantling mode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단계는 모드 전환되기 바로 전의 값으로 제1변수의 값을 고정시키는 변수값 고정단계,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동작 구간에 따라 상기 잠금 구간의 폭을 가변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 또는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제2변수를 변화시키는 변수가변 및 타이밍 결정 단계, 상기 제2변수가 소정 임계값을 넘는가를 판단하는 제3판단 단계, 및 상기 제2 변수가 상기 소정 임계갑승ㄹ 넘으면 상기 해체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는 (기준신호-제1변수)×외부클럭주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cking mode step comprises: a variable value fixing step of fixing a value of a first variable to a value immediately before a mode change, and varying a width of the locking sec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section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 variable variable and timing determining step of changing a second variable while outputting a synchronizing signal or the pseudo synchronizing signal to the on-screen display, a third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variabl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And a mod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the dismantling mode when the two variables excee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box, wherein the period of the pseudo synchronization signal is (reference signal-first variable) x external clock period. Digital synchronization correction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가변 및 타이밍 결정단계는 상기 변수값 고정단계우후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상기 잠금 구간의 앞이나 또는 뒤에 들어왔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평동기호가 상기 잠금 구간의 앞이나 뒤에 들어왔으면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잠금 구간 종료시에 출력하면서, 상기 기준신호를 초기화하며, 제2변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잠금 구간의 폭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상기 잠금 구간의 앞이나 뒤에 들어오지 않았으면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상기 잠금 구간 안에 들어왔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상기 잠금 구간 안에 들어웠으면, 상기 수평동기 신호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기준신호를 초기화하며, 상기 제2변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잠금 구간의 폭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상기 잠금 구간 안에 들어오지 않으면 상기 의사동기신호를 상기 잠금 구간이 종료하는 시간에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기준신호를 초기화하며, 상기 제2변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잠금 구간의 폭을 증가시키고, 상기 잠금 구간의 폭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3판단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동기 보정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ariable variable and timing determining step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in front of or behind the lock period after the variable value fixing step. Initializing the reference signal, decreasing a second variable, and increasing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while outputting the pseudo sync signal to the on-screen display at the end of the lock section if it is later entered. Determining whethe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within the lock period when not in front of or behind the locking period; and outputt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within the lock period. While initializing the reference signal, increasing the second variable, Initializing the width of the lock section; and if the horizontal sync signal does not fall within the lock section, outputting the pseudo-synchronous signal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at the time when the lock section ends, and initializing the reference signal. Reducing the two variables, increasing the width of the locking section, increasing the width of the locking section, and proceeding to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KR1019950066860A 1995-12-29 1995-12-29 Digital sync. correction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KR100190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860A KR100190005B1 (en) 1995-12-29 1995-12-29 Digital sync. correction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860A KR100190005B1 (en) 1995-12-29 1995-12-29 Digital sync. correction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236A KR970057236A (en) 1997-07-31
KR100190005B1 true KR100190005B1 (en) 1999-06-01

Family

ID=1944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6860A KR100190005B1 (en) 1995-12-29 1995-12-29 Digital sync. correction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0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045B1 (en) * 1999-08-04 2002-02-19 윤종용 External clock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tv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236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328A (en) PLL circuit having a switched charge pump for charging a loop filter up or down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686968A (en) Synchronizing signal generation circuit
EP0713627B1 (en) Synchronizing arrangement and method
KR100315246B1 (en) Pll circuit for digital display device
JP2928255B2 (en) Lin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KR100190005B1 (en) Digital sync. correction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KR0175037B1 (en) Digital synchronous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for on-screen display
KR100358615B1 (en) Phase-locked loop circuit
JPH084323B2 (en) Synchronous circuit for video equipment
JPH1023293A (en) Synchronizing signal generator and image display device
KR0175038B1 (en) Digital synchronous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for on-screen display
KR100360958B1 (en) HOUT position control circuit and multisync monitor
JP2880187B2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JP2003198874A (en) System clock generating circuit
JP3257490B2 (en) Synchronous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KR100200726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digital synchronization
KR100782802B1 (en) A apparatus for compensating jitter of image signal
JP2962391B2 (en) PLL circuit
JPH0241976Y2 (en)
JPH10210375A (en) Presence of absence deciding method for image synchronization signal and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system
KR100207633B1 (en) Phase locked loop circuit
KR100195086B1 (en) Synthesizer circuit of phase locked loop frequency
JP4055428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clock generation circuit
JPH08251445A (en) Weak electric field detection circuit
JPH08149332A (en) Synchronizing regenerator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re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