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478B1 - 기록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478B1
KR100189478B1 KR1019900001566A KR900001566A KR100189478B1 KR 100189478 B1 KR100189478 B1 KR 100189478B1 KR 1019900001566 A KR1019900001566 A KR 1019900001566A KR 900001566 A KR900001566 A KR 900001566A KR 100189478 B1 KR100189478 B1 KR 10018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tape
gear
loading
tap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489A (ko
Inventor
도요미 후지노
히데끼 노노야마
쯔또무 도요구찌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0001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록 및 재생장치는 카세트 삽입구에서 삽입 조작되는 테이프 카세트를 이송하고 그 테이프 카세트내에 지지되며 테이프 몸체가 권장된 테이프릴에 릴축을 결합시키는 카세트 이송 기구와, 제1 결치 기어를 포함하며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카세트 이송 기구에 전달하는 제1 구동력 전달 기구와, 상기 카세트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된 테이프 카세트에서 상기 테이프 몸체를 인출 조작해서 테이프 주행 경로로 안내하는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 및, 제2 결치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로 전달하는 제2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록 및 재생 장치
본 발명은,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의 소정 위치로의 이송을 행하는 테이프 카세트 이송 기구와, 이송된 테이프 카세트에서 테이프 몸체를 끌어내어 조작하는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를, 각각 결치기어를 포함하며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 구동력 전달 수단으로 구동 조작하도록 해서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기술)
종래, 1쌍의 테이프 릴사이에 자기 테이프를 권취해서 수납하는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구성된, 소위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DAT)등의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에 쓰이는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반부내에 수납되는 자기테이프의 완전한 보호를 도모하기 위해,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되지 않는 보관 등의 비사용시에는 밀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제25 도 및 제2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상하 반부(301a, 301b)를 맞대어서 형성하여 이루는 카세트 반부(301)을 가지고 있으며, 이 카세트 반부(301)내에는 1쌍의 테이프 릴(302, 30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1쌍의 테이프 릴(302, 303)에는 이들 1쌍의 테이프 릴(302, 303)사이에 걸쳐서, 자기 테이프와 같은 테이프 몸체(304)가 권장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몸체(304)는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면측 양측에 형성된 테이프 인출 구멍(305, 306)을 거쳐서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면측 외쪽으로 연장되어서, 한쪽의 테이프 릴(302)로부터 다른쪽의 테이프 릴(303)에 걸쳐서 권장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릴(302, 303)에는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의 릴축이 삽입 결합해서 이들 테이프 릴(302, 303)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릴축 결합구멍(302a, 303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릴축 결합구멍(302a, 303a)은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저면측에 돌출 설치된 1쌍의 릴축 삽입구멍(309,310)에서 외쪽으로 대면하고 있다.
또,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면측에는, 이 테이프 카세트의 비사용시에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면측에 연장된 테이프 몸체(304)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하여 리드(307)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리드(307)는 회전측(308)에 권장된 토션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면측에 연장된 테이프 몸체(304)를 덮는 폐쇄 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저면측에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비사용시에, 상기 1쌍의 릴축 삽입구멍(309, 310)을 폐쇄하여 그 카세트 반부(301)내로의 티끌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프 몸체(304)의 보호를 도모하는 단면 그자 형상을 이루는 하부커버(311)가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 커버(311)에는 1쌍의 삽입구멍(312,313)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하부커버(311)가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후방측으로 이동 되었을 때, 제2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삽입구멍(312, 313)이 상기 1쌍의 릴축 삽입구멍(309, 310)과 일치 되어서,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의 1쌍의 릴축이 상기 카세트 반부(301)내에 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311)는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방측으로 이동되었을 때는, 상기 1쌍의 삽입구멍 (312, 313)과 상기 릴축 삽입구멍(309, 310)이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짐과 더불어,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면측에 형성된 테이프 인출부(314) 덮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는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저면 전방측이 절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면측에 연장된 테이프 몸체(304)의 내측에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안내부가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커버(311)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1쌍의 릴축 삽입구멍(309, 310) 및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311)에는 상기 카세트 반부(301)에 설치되며 외방측으로 가압된 1쌍의 록크편(315, 316)이 결합해서 그 하부커버(311)를 걸어맞추기 위한 전방측 결합구멍(317, 318) 및 후방측 결합구멍(319, 320)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쌍의 록크편(315, 316)이 상기 후방측 결합구멍(319, 320)에 결합되므로서, 상기 하부 커버(311)가 상기 1쌍의 릴축 삽입구멍(309, 310) 및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걸어맞추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록크편(315, 316)이 상기 후방측 결합구멍(319, 320)에 결합함으로서 상기 하부 커버(311)의 상기 1쌍의 릴축 삽입구멍(309, 310)및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걸어맞추게 되어 있다.
상기 각 결합구멍(317, 318, 319, 320)은, 상기 하부커버(311)의 저면에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전후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1쌍의 오목조홈(321, 322)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1쌍의 오목조홈(321, 322)은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의 하부커버(311)에 대한 걸어맞춤 해제 수단이 진입하기 위한 것이며, 이 1쌍의 오목조홈(321, 322)에 진입한 상기 걸어맞춤 해제 수단이 상기 1쌍의 록크편(315,316)을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내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하부커버(311)에 대한 걸어맞춤을 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반부(301)에는 이 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에 장착되었을때 상기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멍(3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과 같은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한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소위 프론트 로딩 방식이라고 불리는 카세트 로딩 기구를 가지고 이루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같은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제25 도 중에 화살표 m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307)가 설치된 전면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어서 상기 디지탈·오디오·레코더에 장착된다.
즉, 이 카세트 로딩 기구에 의하면, 제2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에 케이싱(324)의 전면측에 형성된 카세트 삽입구멍(325)에 의해 상기 리드(307)를 전방측으로 하여 삽입 조작된 테이프 카세트는 도시되지 않는 카세트 이송틀에 지지되며, 우선 제27 도 중에 화살표 m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테이프 릴(302, 303)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이동 조작된다. 이 이동조작때에, 상기 1쌍의 오목조홈(321,322)에 볼록조등의 걸어맞춤 해제 수단이 진입해서 상기 하부커버(311)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더불어, 이 하부커버(311)의 전단테두리에 돌편등의 하부커버 조작 수단이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커버(311)가 상기 카세트 반부(301)에 대해서 이동 조작되어서 상기 1쌍의 릴축 결합구멍(302a, 303a)이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외쪽에 면해진다. 다음에,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제27 도중에 화살표 n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테이프 릴(302, 303)의 회전축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이동조작되며, 상기 1쌍의 릴축 결합구멍(302a, 303a)에 릴축(326)이 삽입 결합된다. 이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때에, 상기 리드(307)에 리드 조작 수단이 맞닿아서 그 리드(307)를 개방 상태로 한다. 또한, 이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내에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성하는 테이프 안내 몸체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안내 몸체는, 상기 케이싱(324)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에 의해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외쪽에 걸쳐서 이동 조작되므로서 상기 테이프 몸체(304)를 인출 조작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안내 몸체가 소정 위치까지 이동 조작됨으로써, 상기 테이프 몸체(304)는 소정의 테이프 주행 경로에 안내되며, 상기 케이싱(324)내에 배치된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 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프 안내 드럼(327)에 감기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은 소위 프론트 로딩 방식의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삽입 조작된 테이프 카세트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 기구인 카세트 로딩 기구와, 카세트 로딩된 테이프 카세트에 의해 상기 테이프 몸체(304)를 인출 조작하는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인 테이프 로딩 기구는, 각각 별개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 조작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가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의 동작이 완료 되었을때 작동을 개시토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장치 구성이 복잡화되어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또한, 제조 조립이 번잡해져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되는 것이며, 카세트 이송 기구와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를 동일한 구동 수단으로 구동 조작될 수 있게해서, 장치 구성의 간소화, 소형화가 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카세트 삽입구멍에서 삽입 조작된 테이프 카세트를 이송하고 그 테이프 카세트내에 지지된 테이프 몸체가 권장된 테이프 릴에 릴축을 결합시키는 카세트 이송 기구와, 제1의 결치 기어를 포함하고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카세트 이송 기구에 전달하는 제1의 구동력 전달기구와, 상기 카세트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의해 상기 테이프 몸체를 인출 조작해서 테이프 주행 경로에 안내되는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와, 제2의 결치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에 전달하는 제2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중요부가 되는 카세트 로딩 기구 및 테이프 로딩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 도는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 및 테이프 로딩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 및 테이프 로딩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제2 도와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릴(reel)축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 5 도는 상기 릴축의 카세트 로딩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6 도는 상기 릴축의 카세트 로딩 완료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카세트 로딩 완료시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 8 도는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리드 조작 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중요부의 측면도.
제 9 도는 상기 리드 조작 레버의 카세트 로딩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중요부의 측면도.
제10 도는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카세트 홀더의 이동을 도시하는 중요부의 측면도.
제11 도는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2 도는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를 구성하는 캠판의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3 도는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의 카세트 로딩 개시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4 도는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의 카세트 로딩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5 도는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의 카세트 로딩 완료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6 도는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 및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제17 도는 상기 복수의 기어중의 결치 기어와 날밑부착 기어가 맞물린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18 도는 상기 결치 기어에 의해 날밑부착 기어가 정지 상태로 지지된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19 도는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의 테이프 로딩이 개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0 도는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의 테이프 로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1 도는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의 전방측의 기록 및/또는 재생 모드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2 도는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의 후방측의 기록 및/또는 재생 모드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3 도는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성하는 테이프 로딩 제어 캠의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24 도는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성하는 제어 캠 조작판의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25 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그리고 종래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쓰이는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6 도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리드 및 바닥 커버가 조작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7 도는 종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 카세트 홀더
3 : 카세트 로딩 제어틀 5 : 모터
63 : 제1 결치기어 70 : 제1 안내 롤러
72 : 제 3 안내 롤러 73 : 테이프 안내 핀
98 : 제2 결치기어 201 : 카세트 삽입구
301 : 카세트 반부
본 발명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 카세트 이송 기구는 제1 결치 기어를 포함하는 제1 구동력 전달 기구를 거쳐서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 조작되고,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는 제2의 결치 기어를 포함하는 제2 구동력 전달 기구를 거쳐서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조작되므로, 상기 구동 수단이 계속적으로 구동하여도, 각각의 걸치 기어에 의해 소정 시간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예는 본 발명을 상기 제25 도 및 제26 도에 도시한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하고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도록 구성된 소위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DAT)에 적용한 예이다.
이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는, 테이프 레코더 본체의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의해 삽입 조작된 테이프 카세트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고 장착하는 테이프 카세트 이송기구로 된 카세트 로딩 기구와,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에 의해 테이프 몸체를 인출하고 조작하여 소정의 주행 경로로 안내되는 테이프 몸체 인출기구로 된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비한다.
이하 카세트 로딩 기구와 테이프 기구를 분배하여 설명한다.
카세트 로딩 기구(제1 도 내지 제18 도)
이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로딩 기구는 제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 카세트 홀더(2) 및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을 가지고 구성된다.
상기 샤시(1)는 저판부(1a)와, 절곡 형성 등의 수단으로 이 저판부(1a)의 양측 테두리부 상면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1쌍의 측벽부(1b, 1c)를 가지고 이루며, 이 테이프 레코더의 케이싱(200)내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상기 저판부(1a)에는 1쌍의 릴축 돌출구멍(4,5)이 뚫려 있다. 이 릴축 돌출 구멍(4,5)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는 릴대 구동 장치로 회전 조작되는 1쌍의 릴축 (6,7)이 상기 저판부 (1a)의 하면측에서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릴축(6,7)은,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대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릴축 지축(6a,7a)의 선단부에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릴축 결합구멍(302a, 303a)에 삽입되어서 각 테이프 릴(302,303)과 결합하는 결합관(6b,7b)이 소정 범위내에서 왕복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관(6b, 7b)은 이 결합관(6b, 7b)과 상기 릴축 지축 (6a, 7a)과의 사이에 끼어진 결합관 가압스프링 (6c, 7c)으로 상기 릴축 지축(6a, 7a)에 대해서 제 4 도중 화살표(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시(1)의 저판부(1a)의 상면에는, 상기 각 릴축(6,7)이 상기 각 릴축 결합구멍 (302a, 303a)에 삽입 결합되어서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었을 때, 이 테이프 카세트를 위치 결정하는 카세트 위치 결정핀(8) 및 이 테이프 카세트에 리드 (307)의 연단부에 맞닿아서 이 리드(307)를 개방 상태로 지지하는 리드 개방핀(9)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판부(1a)의 상면측에는 후술 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테이프 안내 몸체나 기록 및/또는 재생용 헤드 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프 안내 드럼(68)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2)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리드(307)를 전방측으로 해서 삽입되게 틀 몸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세트 홀더(2)는 틀체의 전방 및 후방의 개구부(2a, 2b)가 상기 1쌍의 측벽부 (1b, 1c)사이에 걸치게 이들 측벽부(1b, 1c)사이에 맞추어져 있으며,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이 테이프 카세트내에 지지된 1쌍의 테이프 릴(302,303)의 회전축이 상기 저판부(1a)에 수직이 되게 삽입된다. 또한, 이 카세트 홀더(2)의 전방의 개구부(2a)는 상기 케이싱(200)에 형성된 카세트 삽입구(201)에 면하고 있다. 또한, 이 카세트 홀더(2)의 틀체의 상기 저판부(1a)측은 상기 각 릴축(6,7)이 결합관(6b,7b)의 선단부를 누르며, 이들 결합관(6b,7b)을 제 4 도중 화살표(B)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관 가압 스프링(6c, 7c)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고 있다.
이 카세트 홀더(2)는 일측부의 외면에 제1 및 제2의 결합핀(10,11)이 돌출 설치되며, 타측부의 외면에는 제 3 의 결합핀(12)이 돌출되어 있다. 이 카세트 홀더(2)는 상기 제1 및 제2의 결합핀(10,11)이 상기 샤시(1)의 일측측의 측벽부(1b)에 설치된 제1 및 제2의 결합구멍(13,14)에 각각 삽입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제 3 의 결합핀(12)이 상기 샤시(1)의 타측측의 측벽부(1c)에 설치된 제 3 의 결합구멍(15)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상기 1쌍의 측벽부(1b, 1c)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 3 의 결합구멍(13,14,15)은 제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인 부분과 이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인 부분에 연속 하는 상기 저판부(1a)에 수직인 부분으로 L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2)는 상기 각 결합핀(10,11,12)이 상기 각 결합구멍(13,15)을 따라서 이동되어짐으로써, 상기 전방의 개구부(2a)가 상기 카세트 삽입구(201)를 면하는 위치에서, 제10 도에서 화살표(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개구부(2a)가 상기 카세트 삽입구(201)에서 이간되는 후방 방향으로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인 제1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제10 도의 화살표(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판부(1a)에 수직인 제2의 방향에 이 저판부(1a)에 접근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홀더(2)내의 저면부에는, 이 카세트 홀더(2)에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었을 때 1쌍의 오목홈(321, 322)에 진입하여 록크편(315, 316)을 누르고 하부커버(311)에 대한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는 1쌍의 돌조(16a, 16b)와, 상기 하부커버(311)의 전단 테두리에 맞닿아서 이 하부 커버(311)을 카세트 반부(301)에 대해서 이동 조작하는 1쌍의 커버 개방 편(17a,17b)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홀더(2)의 후방측의 개구부(2b)의 상측의 말단 테두리부에는, 이 후방측의 개구부(2b)의 내방측에 약간 경사진 카세트 누름편 (2c)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카세트 누름편(2C)은 스프링 성질을 가지고, 상기 카세트 홀더(2)에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를 누름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2)의 일측부는, 이 카세트 홀더(2)의 이동 방향에 걸쳐서 후방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연장 설치된 연장설치편(2d)의 내측에는, 제1의 리드 조작레버(18)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제1 리드 조작 레버(18)는 일단부에 리드 조작핀(19)이 직립되고 있으며, 이 리드 조작핀(19)을 상기 카세트 홀더(2)의 전방에서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의 리드(307)의 단부 테두리부에 면하게 된다.
이 제1의 리드조작 레버(18)의 타단부는, 상기 연장 설치부(2d)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제2의 리드조작 레버(2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즉, 이 제2의 리드조작 레버(20)를 제 3 도의 화살표(E)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 조작 함으로써, 상기 제1의 리드조작 레버(18)을 회전시키며, 상기 리드 조작핀(19)으로 상기 리드(307)를 회전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리드 조작 레버(20)는 제 3 도의 화살표(F)로 도시하듯이 상기 리드 조작핀(19)을 상기 리드(307)의 말단 테두리부에서 격리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의 리드조작 레버(20)의 타단부는 상기 연장 설치부(2d)에서 상방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상기 제2의 리드 조작레버(20)의 타단부는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저판(1a)에 평행으로 이동되어질때, 제 8 도 및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의 측벽부(1b)의 말단 테두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리드 조작 편(21)에 맞닿으며, 상기 카세트 홀더(2)의 이동에 따라서 제 9 도의 화살표(E)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 되게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은 천판부(3a)와, 이 천판부(3a)의 양측에 수직 하부로 형성된 1쌍의 측판부(3b,3c)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은 상기 천판부(3a)가 상기 샤시(1)의 저판부(1a)에 평행으로 되며, 상기 1쌍의 측판부(3b,3c)가 상기 1쌍의 측벽부(1b,1c)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 설치된다.
상기 일측측의 측판부(3b)에는 제1 및 제2의 슬라이드 홈(22,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타측측의 측판부(3c)에는 제 3 의 슬라이드 안내 홈(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슬라이드 안내 홈(22)에는 상기 일측의 측벽부(1b)의 외면에 서있는 제1의 안내 핀(25)이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2의 슬라이드 안내 홈(23)에는 상기 일측측의 측벽부(1b)의 외면에 서있는 제2 및 제 3의 안내 핀(26,27)이 삽입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3 의 슬라이드 안내 홈 (24)에는 상기 타측측의 측벽부(1c)의 외면에 서있는 제 4 의 안내 핀(28)이 삽입 결합하고 있다.
이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은 상기 각 슬라이드 안내 홈(22,23,24)이 상기 각 안내 핀(25,26,27,28)에 삽입 결합되어 지지되어짐으로써, 제2 도 및 제 3 도중의 화살표(G) 및 화살표(H)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시(1)에 대해서 상기 저판(1a) 및 상기 각 측벽부(1b,1c)에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천판부(3a)의 상면에는, 상기 샤시(1)와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을 연결하는 1쌍의 개폐지지 아암(29,33)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천판부(3a)의 상면의 일측편으로는 제1의 지지 아암(29)이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 되어있다. 이 제1의 지지 아암(29)의 선단부는 상기 샤시(1)의 타측측의 측벽부(1c)의 전방측의 단부 테두리부는 수직 설치된 제1의 아암 지지편(30)의 제1의 아암 지지 장공(31)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샤시(1)의 일측측의 측벽부(1b)의 전방측의 단부 테두리부는 제2의 아암 지지편(32)이 수직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2의 아암 지지편(32)에는 제2의 지지 아암(33)이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제2의 지지 아암(33)의 선단부는 상기 천판부(3a)의 타측측에 돌출 설치된 제2의 아암 지지 장공(34)에 결합하고 있다. 이것들 제1 및 제2의 지지 아암(29,33)은 X자 형상으로 교차된 상태로 서로 중간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의 상기 샤시(1)에 대한 경사를 방지해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상기 일측측의 측판부(3b)에는 제1 및 제2의 제어 캠 홈(35,3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타측측의 측판부(3c)에는 제 3 의 제어 캠 홈(3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 3 의 제어 캠 홈(35,36,37)에는 상기 제1 내지 제 3 의 결합핀(10,11,12)의 선단측이 삽입 결합되어 있다. 이들 제1 내지 제 3 의 제어 캠 홈 (35,36,37)은 제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천판부(3a)에 접근하도록 경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 3 의 결합구멍(13,14,15)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제어 캠 홈(35,36,37)의 상기 천판부(3a)의 측의 부분은 상기 결합구멍(13,14,15)의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인 부분에 대응하고 있다. 또, 이들 각 제어 캠 홈(35,36,37)의 상기 천판부(3a)에서 이간된 측의 부분은 상기 각 결합구멍(13,14,15)이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인 부분에 대응하고 있다.
또, 이들 각 제어 캠 홈(35,36 37)의 상기 천판부(3a)에서 이간된 측의 부분은 상기 각 결합구멍(13,14,15)의 상기 저판부(1a)에 수직인 부분이며 상기 저판부(1a)측의 부분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각 결합핀(10,11,12)은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상기 저판부(1a) 및 상기 각 측벽부(1b,1c)에 평행으로 이동하므로서 상기 각 결합구멍(13,14,15)과 이들 각 결합구멍(13,14,15)에 대응하는 각 제어 캠 홈(35,36,37)에 겹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이동 조작된다. 그 때문에, 상기 카세트 홀더(2)는 제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제10 도의 화살표(G)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조작됨으로서, 우선,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과 더불어 제10 도의 화살표(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삽입구(201)에서 격리되는 방향인 제1의 방향에 상기 저판부(1a)에 평행하게 이동되며, 이어서 제10 도의 화살표(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판부(1a)에 수직인 방향인 제2의 방향에 이 저판부(la)에 수직인 방향인 제2의 방향으로 이 저판부(la)에 접근토록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천판부(3a)의 상면에는 제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계된 1쌍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 (38,39)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1쌍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39)은 서로 X 자형상으로 교차되며, 교차부에 설치된 검출 아암 결합핀(43)과 검출 아암 결합 슬릿(44)으로 연계되어 있다.
제1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은 기단부가 상기 천판부(3a)의 상면의 타측 가까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선단측에는 제1의 카세트 검출 핀(4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의 카세트 검출 핀(40)은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측인 상기 카세트홀더(2)의 후방측의 개구부(2b)의 일측 가까이로 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의 카세트 검출 레버(38)는 제 3 도 및 제11 도의 화살표(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카세트 검출핀(40)이 상기 후방측의 개구부(2b)측을 향하도록 제1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41)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9)은 기단부가 상기 천판부(3a)의 상면의 일측 가까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선단측에는 제2의 카세트 검출 핀(4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의 카세트 검출 핀(42)은 상기 카세트 홀더(2)의 후방측의 개구부(2b)의 타측 가까이로 면하고 있다.
상기 제1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의 중앙부에는 상기 검출 아암 결합핀(43)이 서 있으며, 상기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9)의 중앙부에 돌출 설치된 검출 아암 결합구멍(44)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9)은 제 3 도 및 제11 도의 J 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비틀림 코일스프링(41)으로, 상기 제1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을 거쳐서 상기 제2의 카세트 검출핀(42)이 상기 후방측의 개구부(2b)측으로 향하며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39)은 상기 카세트 홀더(2)에 상기 전방의 개구부(2a)에서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 조작되며, 이 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후방의 개구부(2b)에서 돌출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카세트 검출핀(40,42)을 누르므로서 상기 제1의 비틀림 코일스프링(41)의 가압력을 저항해서 회전 조작된다.
그리고, 상기 샤시(1)의 타측측의 측벽부(1c)의 후방측의 단부 테두리부에는 캠판 지지편(1f)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캠판 지지편(1f)에는 캠판(45)이 부착 되어 있다. 이 캠판(45)은 기단측을 상기 캠판 지지편(1f)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측을 상기 카세트 로딩측 제어틀(3)을 향해서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캠판(45)은 제 3 도 및 제11도중에 화살표(K)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이 상기 샤시(1)의 외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의 비틀림 코일스프링(46)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캠판(45)의 선단부는 제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테이프 레코더에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천판부(3a)위에 면하고 있으며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캠면(45a)로 되어 있다. 이 스토퍼 캠면(45a)은 테이프 카세트 장착전에 있어서, 상기 천판부(3a)위에 서있는 스토퍼 핀(47)에 맞닿아 결합해서,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제2 도 및 제 3도의 화살표(c)로 도시된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캠판(45)의 선단측의 상기 샤시(1)의 안쪽으로 되는 측에는 제1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홈(45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45e)은 이 캠판(45)의 선단측 방향이 폐쇄되며, 기단측 방향으로 개방되고 있다. 이 캠홈(45e)내의 상기 샤시의 안쪽으로 되는 측은 상기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9)의 회전에 의하여 이 캠판(45)이 회전 조작되기 때문에 스토퍼 해제용 캠면(45b)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캠홈(45e)에는 상기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9)의 선단부에 서있는 스토퍼 해제용 핀(48)이 감아져서 들어가고 있으며, 상기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9)이 회전 가압력을 저항해서 회전되면, 상기 스토퍼 해제용 핀(48)이 상기 스토퍼 해제용 캠면(45b)을 누르고, 제11 도의 화살표(L)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캠판(45)을 상기 샤시(1)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 조작토록 되어 있다. 이같이 상기 캠판(45)이 회전 조작되면, 상기 스토퍼 캠면(45a)과 상기 스토퍼 핀(47)과의 맞닿음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 캠판(45)의 상기 샤시(1)의 외쪽으로 되는 측은 상기 스토퍼 캠면(45a)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스토퍼 핀(47)으로 이 캠판(45)이 회전 조작되기 위한 캠판 조작 캠면(45c)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캠판(45)은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제2 도 및 제 3 도의 화살표(G)로 도시하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의 비틀림 코일스프링(46)의 가압력으로 이 캠판 조작 캠면(45c)을 상기 스토퍼 핀(47)에 가압 접촉시키므로 이 캠판 조작 캠면(45c)의 형상에 따라서 회전 조작된다.
또한, 이 캠판(45)의 상기 샤시(1)의 안쪽이 되는 측은 상기 캠홈(45e)의 개방된 측에 연속해서 형성되며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의 이동에 따라서 이뤄지는 회전 조작으로 상기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9)을 회전 조작하는 검출 아암 조작 캠면(45d)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의 타측측의 측판(3c)의 외측면에는 랙기어(4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랙기어(49)는 상기 천판부(3a)에 평행으로 치형부(49a)를 상기 저판부(1a)의 측을 향해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랙기어(49)는 상기 천판부(3a)에 평행인 방향으로 상기 타측측의 측판(3c)에 대해서 소정의 미소 범위에 걸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인장 코일스프링 (50)에 의해 후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은 상기 샤시(1)의 타측측의 측벽부(1c)의 외측면에 부착된 구동 수단으로 되는 모터(51)의 구동력이 복수의 전달 기어로 된 제1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거쳐서 상기 랙기어(49)에 전달되어지므로서 이동 조작 되어지게 되어 있다.
즉, 제1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1)의 구동축(51a)에 부착된 구동 기어(52)는 제1의 전달 기어(53)에 맞물려 있다. 이 제1의 전달 기어(53) 에는 이 제1의 전달 기어(53)보다 작은 직경인 제2의 전달 기어(54)와 동축으로 일체적으로 부착되고 있으며, 이 제2의 전달 기어(54)는 제 3 의 전달 기어(55)에 맞물려 있다. 이 제 3 의 전달 기어(55)에는 전달웜(56)이 동축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제 4 의 전달기어(58)는 제5의 전달 기어(59)에 맞물려 있다. 이 제 5 의 전달 기어(59)에는 제 6 의 전달 기어(60)의 동측으로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제 6 의 전달 기어(60)는 제 7 의 전달 기어(61)에 맞물려 있다. 이 제 7 의 전달 기어(61)에는 제 8 의 전달 기어 (62)가 동축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제 8 의 전달 기어(62)는 제1의 결치기어(63)에 맞물려 있다. 이 제1의 결치기어(63)는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에 맞물려 있다. 이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는 제 9 의 전달기어(65)에 맞물려 있다. 이 제 9 의 전달기어(65)에는 피니언기어(65)가 동축의 일체적으로 부착 되어 있고, 이 피니언 기어(66)는 상기 랙기어(49)에 맞물려 있다.
상기 제1의 결치기어(63)는 제17 도 및 제1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8 의 전달기어(62)가 맞물려지는 부분에 대해선 전체 원주에 걸쳐서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가 치합하는 부분에 대해선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서 기어가 형성되지 않으며 결치부(63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치부 (63a)에 대응해서 날밑형상인 안내부(63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는 제1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결치기어(63)의 결치부(63a)를 대향할 때 상기 안내부(63b)에 맞닿아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지지되는 날밑부(64a)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어이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어 이루는 이 카세트 로딩 기구에 있어선, 제13 도에 화살표(M)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삽입구(201)에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 조작되면, 이 테이프 카세트는 상기 전방의 개구부 (2a)에서 상기 카세트 홀더(2)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39)을 상기 제1의 비틀림 코일스프링(41)의 가압력을 저항해서 제 3 도중 화살표(N) 및 화살표(O)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 해제용 핀(48)이 상기 스토퍼 해제용 캠면(45b)을 누르고 이 캠판(45)을 제13 도의 화살표(E)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시(1)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 조작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캠면(45a)과 상기 스토퍼핀(47)과의 맞닿음 결합이 해제되어서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상기 샤시(1)에 대해서 제13 도의 화살표(G)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에서 후방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같이, 이 카세트 로딩 기구에 있어선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홀더(2)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 조작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39)이 소정 각도 회전 조작되었을 때,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상기 샤시(1)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 조작되었을때, 상기 오목조홈(321,322)에 상기 돌조(16a,16b)가 진입되어서 상기 하부커버 개방편(17a,17b)으로 상기 하부커버 (311)가 상기 카세트 반부(301)에 대해서 이동 조작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제13 도의 화살표 (M)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시(1)의 후방측 방향으로 삽입 되면,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과 더불어 상기 샤시(1)에 대해서 후방측으로 약간 이동된다. 상기 랙기어(49)는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에 대해서 소정 범위에 걸쳐서 이동가능하므로, 이 랙기어(49)가 정지된 채로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소정 범위에 걸쳐서 이동 가능하다. 이같이 해서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이동되어지게 되므로서, 상기 제2의 결합핀(12)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에서 이간되어서 이 마이크로스위치(67)가 조작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67)가 조작되므로서 상기 모터(51)가 정전방향으로 구동하며, 상기 랙기어(49)가 이송 조작되며, 제14 도에 화살표(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이동 조작된다. 이때, 상기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는 제17 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제1의 결치 기어(63c)에 맞물려 있다.
이 카세트 로딩 기구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홀더(2)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 조작되지 않으면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이동 가능하게 되지 않으므로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경사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67)가 조작됨이 없으며,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이동 조작되지 않는다.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이동 조작 되어지므로서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으로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이동 조작된다. 이때, 상기 카세트 홀더(2)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릴축(6,7)의 결합관(6b,7b)을 제 4 도의 화살표(B)로 도시된 상기 각 릴축 지축(6a,7a)의 기단 방향에 상기 각 결합 가압스프링(6c,7c)의 가압력을 저항해서 이동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이동 조작되면 제 3 도의 화살표(E)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의 리드 조작 레버 (20)의 타단부가 상기 리드 조작편(21)에 맞닿아 결합 되어서 회전 조작되므로서 상기 리드(307)의 45 내지 80 정도의 소정 각도 회전 조작되므로서 후술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테이프 안내 몸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이동되어 있다.
또, 상기 캠판(45)은 제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핀(47)이 상기 캠판 조작 캠면(45c)에 미끄럼 접촉하여 이동함으로서 회전 조작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해제용 핀(48)이 상기 검출 아암 조작 캠면(45d)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이동함으로서 상기 각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39)이 회전 조작되며 상기 각 카세트 검출핀(40,42)이 상기 테이프 카세트에서 이간토록 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이동 조작되므로서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각 릴축(6,7)의 결합관(6b,7b)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이동되며, 이들 결합관(6b,7b)은 상기 결합관 가압스프링(6c,7c)의 가압력을 각 릴축 지축(6a,7a)의 선단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이동 조작되면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저판부(1a)에 수직인 상기 제1의 방향에 이동 조작되며,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결합관 (6b,7b)이 상기 각 릴축 결합구멍(302a,303a)에 삽입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위치 결정핀(8)이 상기 위치 결정구멍(323)에 삽입 결합되며, 또한 상기 리드 개방핀(9)의 선단부가 상기 리드(307)의 단부 테두리부에 맞닿아서 이 리드(307)을 개방상태로 하여 카세트 로딩이 완료된다.
상술과 같이 이 카세트 로딩 기구에 있어선 카세트 로딩 개시시에 있어서 상기 각 릴축 (6,7)의 결합관(6b,7b)이 각 릴축 지축(6a,7a)의 기단측 방향, 즉, 상기 저판부(1a)측에 이동되고 있으며,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으로 이동 조작되었을 때 상기 각 리드(307)가 회전 조작된다. 폐쇄 상태로 된 상기 리드(307)의 단부 테두리부와 상기 테이프 몸체(304)의 단부 테두리부에선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몸체(304)의 단부 테두리부쪽이 상기 저판부(1a)보다 이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307)의 소정각도 회전 조작되어 있으면,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몸체 (304)와 테이프 안내 몸체가 접촉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상기 저판부(1a)에 접근시켜서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카세트 홀더(2)의 상기 저판부(1a)에 수직인 방향의 이동량이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반부(301)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로딩이 완료된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반부(301)의 일부는 상기 카세트 삽입구(201)를 면하고 있으며, 이 카세트 반부(301)의 일부로 다른 테이프 카세트의 상기 카세트 삽입구(201)에서의 삽입이 저지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로딩이 완료되었을때엔 상기 각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39)은 제1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해제용 핀(48)이 상기 검출 아암 조작 캠면(45d)의 후방측의 굴곡 테두리(45f)에 도달함으로서, 상기 각 카세트 검출 핀(40,42)사이가 격리하도록 회전 조작된다. 이같이 해서 카세트 로딩 완료시에 있어서 상기 각 카세트 검출 핀(40,42)이 테이프 안내 드럼(68) 등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모터(51)는 또한 정전측으로 구동을 속행하며 후술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가 작동되는데, 이 때 상기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는 제 8 도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결치기어(63)의 결치부(63a)를 면함과 더불어, 상기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의 날밑부(64a)가 상기 제1의 결치기어(63)의 안내부(63b)에 지지되어 정지한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 홀더(2) 및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은 정지된다.
그리고, 카세트 로딩된 테이프 카세트틀이 테이프 레코더에서 꺼내는 소위 이젝트 조작이 행해질 때는 상기 모터(51)의 역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러면,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상기 샤시(1)에 대해서 제2 도 및 제 3 도의 화살표(H)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에서 전방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며,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저판부(1a)에서 이간된 방향으로 이동 조작된다. 이 때, 상기 제2의 리드 조작 레버(20)가 상기 리드 조작편(21)에 맞닿아서 회전되며, 상기 제1의 리드 조작 레버(18)가 회전 조작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307)는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 회전 조작된다.
또한,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전방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므로서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저판부(1a)에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조작된다. 이때, 상기 제2의 리드 조작 레버(20)의 타단부가 상기 리드(307)를 소정각도 회전 조작되어서 이 리드(307)가 상기 복수의 테이프 안내 몸체에 접촉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축(6,7)의 결합관(6b,7b)은 제 5 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제 5 도의 화살표(H)로 도시하는 전방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므로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홀더(2)의 전방의 개구부(2a)에 상기 저판(1a)측의 단부 테두리부로 제 4 도의 화살표(B)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어넣어져 조작된다.
또한, 상기 전방의 개구부(2a)의 상기 저판(1a)측의 단부 테두리부는 상기 결합관(6b,7b)에 밀어넣기 조작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소위 C 베벨링, 또는 소위 R 베벨링 등의 처리가 이뤄져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2)가 상기 저판부(1a)에 평행하게 전방 방향으로 이동조작되므로서,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의 리드 조작 레버(20)가 상기 리드 조작편(21)에 맞닿지 않는 위치로 되며 상기 리드(307)는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캠판(45)은 상기 로딩 제어틀(3)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 조작되며, 상기 각 세트 삽입 검출 아암(38,39)이 회전 조작된다.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이 상기 샤시(1)의 전방측에 이르면 상기 캠판(45)은 제11 도의 화살표(K)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핀(17)이 상기 스토퍼 캠면(45a)에 맞닿아 접합하는 위치로 회전되며, 상기 카세트 로딩 제어틀(3)의 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상기 캠판(45)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각 카세트 삽입 검출 아암(38,39)은 제11 도의 화살표(I) 및 화살표(J)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검출 핀(40,42)은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삽입구(201) 에서 밀어내듯이 회전 조작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311)는 상기 카세트 반부(301)에 대해서 상기 리드(307)의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1쌍의 릴축 삽입구멍(309,310)이 폐쇄된다. 이같이 해서 이젝트 조작이 완료된다.
(테이프 로딩 기구(제16도 내지 제24도))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딩 기구는 카세트 로딩이 완료된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몸체(304)를 카세트 반부(301)에서 인출 조작하고, 소정의 테이프 주행 경로로 안내해서 상기 샤시(1)의 저판부 (1a)위에 설치된 상기 테이프가 안내 드럼(68)에 감기 위한 장치이다. 이 테이프 로딩 기구는 상기 저판부(1a) 위를 카세트 로딩된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인출부(314)내의 위치에서 상기 카세트 반부(301)외의 소정의 위치에 걸쳐서 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테이프 안내 몸체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테이프 안내 몸체는 제1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안내 롤러(70), 제2의 안내 롤러(71), 제 3 의 안내 롤러(72), 테이프 안내 핀(73), 제1의 경사 안내 핀(82) 및, 제2의 경사 안내 핀(83)으로 된다. 상기 테이프 안내 핀(73) 및 각 경사 안내 핀(82,83)은 각각 상기 테이프 몸체(304)가 권취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제1 내지 제 3 의 안내 롤러(70,71,72)는 각각 상기 테이프 몸체(304)가 권취되게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안내 롤러(70)는 기단측이 상기 저판부(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안내 롤러 지지 아암(74)은 제19 도의 화살표(P)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안내 롤러(70)가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내의 위치로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상기 제2의 안내 롤러(71)는 제1의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5)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제1의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5)는 상기 저판 (1a)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1의 로딩 기어(77a)가 회전 되어짐으로서, 1쌍의 중간 링크(77,76)를 거쳐서 상기 저판부(1a)에 설치된 제1의 안내 롤러 안내 홈(101)을 따라서 이동 조작되게 되어 있다. 즉, 이 제1의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5)는 제1의 중간 링크 (76)의 선단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제2의 중간 링크(77)의 기단부는 상기 저판부(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2의 중간 링크(77)의 기단부에는 이 제2의 중간 링크(77)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상기 제1의 로딩기어(77a)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3 의 안내 롤러(72)는 제2의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8)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제2의 안내 롤러 지지기초대(78)는 상기 제1의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5)와 마찬가지로 상기 저판부(1a)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2의 로딩 기어 (80a)가 회전 되어짐으로서 1쌍의 중간 링크(80,79)를 거쳐서 상기 저판부(1a)에 설치된 제2의 안내 롤러 안내 홈(1c)을 따라서 이동 조작되어지게 되어 있다. 즉, 이 제2의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8)는 제 3 의 중간 링크(79)의 선단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제 3 의 중간 링크(79)을 기단측이 제 4 의 중간 링크(80)의 선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제 4 의 중간 링크(80)의 기단부는 상기 저판부(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 4 의 중간 링크(80)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상기 제2의 로딩 기어(80a)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안내 핀(73)은 기단측이 상기 저판부(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안내 핀 지지 아암(81)의 선단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핀 지지 아암(81)은 제19 도의 화살표(Q)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안내 핀(73)이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내의 위치로 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5,78)에는 상기 제1 및 제2의 경사 안내 핀(82,83)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서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저판부(1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핀치 롤러 지지 아암(84)의 선단측에는 핀치 롤러(85)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핀치 롤러(85)는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내의 위치에서 상기 저판부(1a)위에 배치 설치되며 소정의 속도로 회전 조작되는 캡스턴축(86)에 맞닿는 위치에 걸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핀치 롤러 지지 아암(84)은 제19 도의 화살표(R)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치 롤러 (85)가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내의 위치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이해서 상기 각 안내 롤러(70,71,72) 테이프 안내핀(73), 각 경사 안내 핀(82,83) 및 상기 핀치 롤러(85)는 상기 저판부(1a)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의 안내 롤러(70)를 지지하는 안내 롤러 지지 아암(74), 상기 제1 및 제2의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5,78)을 이동 조작하기 위한 각 로딩기어(77a,80a), 상기 테이프 안내 핀(73)을 지지하는 안내 핀 지지 아암(81) 및 상기 핀치 롤러(85)를 지지하는 안내 롤러 지지 아암(84)은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의 제19 도의 화살표(S)로 도시하는 측방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서 회전 조작되어 있다.
이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은 제2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용 슬라이드 안내 홈(88)으로 상기 저판부(19)위에 서있는 부착 핀(100)에 지지되며, 상기 샤시(1)에 대해서 제19 도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에는 상기 안내 롤러 지지 아암(74)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안내 롤러 조작 캠면(89), 상기 제2의 로딩 기어(80a)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안내 롤러 조작 캠홈(90) 및 상기 핀치 롤러 지지 아암(85)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핀치 롤러 조작 핀(9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 롤러 지지 아암(74)은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이 제20 도의 화살표(S)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0 도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기단측에 돌출 설치된 조작용 돌편(74a)이 상기 안내 롤러 조작 캠면(89)에 눌리며, 제20 도의 화살표(T)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 조작토록 되어 있다.
상기 안내 롤러 조작 캠홈(90)에는 상기 저판부(1a)에 지축(101)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의 로딩 기어(80a)에 맞물린 기어(92)의 기단측에 서있는 결합관(102)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로딩 기어(80a)는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이 제20 도의 화살표(S)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0 도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상기 부채형 기어(92)가 회전 조작되므로서 회전된다. 또, 상기 제2의 로딩 기어(80a)가 회전되면 상기 제1의 로딩 기어(77a)가 회전된다.
상기 핀치 롤러 지지 아암(84)은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이 제20 도의 화살표(S)로 도시 된 바와 같이 제20 도 우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핀치 롤러 조작 핀(91)으로 눌리며, 제20 도의 화살표(W)로 도시 된 바와 같이 회전 가압력을 저항해서 회전 조작하게 되어 있다. 이 핀치 롤러 지지 아암(81)에 서있는 아암 조작 핀(81a)에 맞닿아 결합되어서 제20 도의 화살표(X)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핀 지지 아암(81)을 회전 조작한다.
그런데,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에는 제어 캠 조작판(9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제어 캠 조작판(93)은 제2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에 부착되기 때문에 1쌍의 부착 구멍(94,95)을 가지며, 이 1쌍의 부착구멍(94,95)으로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제어 캠 조작판(93)에는 제어 캠 조작용 랙(96)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제어 캠 조작판(93)은 상기 제어 캠 조작용 랙(96)에 상기 모터(51)의 구동력이 복수의 전달 기어로 되는 제2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거쳐서 전달되므로서,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을 동반해서 이동 조작된다.
상기 모터(51)의 구동력을 상기 제어 캠 조작용 랙(96)에 전달하는 제2의 구동력 전달 기구는 제1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 웜(56)에 맞물린 제2의 웜 휠(97)을 가지고 구성된다. 이 제2의 웜 휠(97)에는 제2의 결치기어(98)가 일체적으로 동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제2의 결치기어(98)는 제2의 날밑 부착기어(99)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이 제2의 날밑 부착기어(99)는 상기 제어 캠 조작용 랙(96)에 맞물려 있다.
상기 제2의 결치 기어(98)는 제17 도 및 제1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서 기어가 형성되지 않는 결치부(9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결치부(98a)에 대응해서 날밑형상의 안내부(98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날밑 부착기어(99)는 제1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의 결치기어(98)의 결치부(98a)에 대향할 때, 상기 안내부(98b)에 맞닿아 지지 되어서 정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날밑부(99a)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이 테이프 로딩 기구에 있어선 상기 카세트 로딩 기구로 카세트 로딩이 완료되면 카세트 로딩을 완료시킨 테이프 카세트로 상기 테이프 몸체(304)의 인출 조작이 개시된다.
즉, 카세트 로딩중에는 상기 모터(51)가 정전방향으로 구동되며, 상기 전달 웜(56), 상기 제1의 결치기어(63) 및 상기 제1의 날밑 부착(64)과 차례로 회전 동작되어서 상기 랙 기어(49)가 이동 조작된다. 이때, 상기 제2의 웜 휠(97) 및 상기 제2의 결치기어(98)도 회전 조작되는데 상기 제2의 날밑부착기어(99)는 제1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의 결치기어(98)의 결치부(98a)를 대향하고 있으며, 또한, 이 제2의 말밑 부착기어(99)의 날밑 부착기어(99a)과 상기 제2의 결치기어(98)의 안내부(98b)에 지지되므로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카세트 로딩이 완료되면 상기 제2의 결치부(98)의 기어부(98c)가 상기 제2의 날밑 부착기어(99)와 맞물리는 위치에 이른다. 이 때, 상기 각 안내 롤러(70,71,72), 테이프 안내 핀(73), 경사 안내 핀(82,83) 및 핀치 롤러(85)는 제1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 몸체(304)보다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안쪽측, 즉,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51)가 정전방향으로 구동을 속행하면, 상기 전달 웜(56)이 회전 조작되며, 제1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의 날밑 부착기어(99)의 회전 조작이 개시된다.
상기 제2의 날밑 부착기어(99)가 회전 조작 되므로서 상기 제어 캠 조작판(93) 및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이 제19 도 및 제20 도중에 화살표(S)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0 도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 된다.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이 이동 조작되므로서 제20 도중에 화살표(T)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롤러 지지 아암(74)과 회전 조작되어서 상기 제1의 안내 롤러(70)의 소정 위치에 이동 조작된다. 또한, 상기 부채형 기어(92)가 회전 조작된다. 또, 상기 부채형 기어(92)가 회전 조작되며 상기 제1 및 제2의 로딩 기어(77a,80a)가 회전 조작되어서 제20 도의 화살표(U) 및 화살표(V)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안내 롤러 지지 기초대(75,78)의 상기 테이프 안내 드럼(68)의 양측의 소정 위치에 이동 조작된다. 또한, 상기 핀치 롤러 지지 아암(84)과 상기 핀치 롤러(85)가 상기 캡스턴 축(86)의 근처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조작된다. 이 상기 핀치 롤러 지지 아암(84)의 회전으로 상기 안내 핀 지지 아암(81)이 제26 도의 화살표(X)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되며 상기 테이프 안내 핀(72)이 소정 위치로 이동 조작된다. 이같이 해서 상기 테이프 몸체(304)가 상기 카세트 반부(301)의 외쪽으로 인출 조작되어서 소정의 테이프 주행 경로 상에 안내된다.
이때, 상기 핀치 롤러(85)는 상기 캡스턴 축(85)에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이 테이프 로딩 기구를 가지고 있는 테이프 레코더는 소위 정지 (Stop)모드로 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상기 모터(51)를 정지시키고, 상기 릴축(6,7)의 소정의 한쪽을 회전 조작함으로서 소위 감아돌리기(REW)모드 또는 빠른 이송(FF)모드로 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51)가 또한 정전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은 제21 도의 화살표(S)로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제21 도의 우측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며, 상기 핀치 롤러 지지 아암(84)이 또한 제21 도의 화살표(W)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되며, 상기 핀치 롤러(85)가 상기 캡스턴 축(86)에 압착된다. 이때 상기 안내 롤러(70), 상기 테이프 가이트 핀(73) 및 상기 각 안내 롤러 지지기초대(75,78)는 이동 조작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때, 이 테이프 레코더는 상기 캡스턴 축(86)을 정전측에 회전 조작됨과 더불어 상기 릴축(7)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서 상기 테이프 몸체(304)를 순방향으로 보내어 조작해서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소위 포워드 (FWD)모드로 할수 있다.
상기 모터(51)가 또한 정전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은 제22 도의 화살표 (S)로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제22 도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된다. 이때, 이 테이프 로딩 제어 캠(87)으로 이 테이프 레코더의 도시하지 않는 모드 전환 기구가 조작되어서 상기 캡스턴 축(86)의 역전측으로 회전 조작됨과 더불어 상기 릴축(6)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며, 상기 테이프 몸체(304)를 역방향으로 이 송조작해서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소위 리버스 (REV)모드로 된다.
즉, 상기 포워드모드와 상기 리버스 모드와 상기 정지, 빠른 이송 및 되감기모드와 사이의 모드 전환을 상기 모터(51)를 정전방향 또는 역전 방향으로 소정량 구동함으로서 행해진다.
그리고, 이 테이프 로딩 기구는 이 테이프 레코더가 소위 이젝트모드로 되면, 상기 테이프 몸체(304)를 상기 카세트 반부내에 끌어돌리는 소위 언로우드를 행한다. 즉, 상기 모터(51)를 역전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서 제1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안내 롤러(70,71,72), 테이프 안내 핀(73), 경사 안내핀(82,83) 및 핀치롤러(85)를 상기 테이프 인출부(314)내에 이동 조작함과 더불어 상기 릴축(6,7)의 소정의 한쪽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 조작해서 상기 테이프 몸체(304)를 감아냄으로서 테이프 로딩된 테이프 몸체(304)를 상기 카세트 반부(301) 내에 인입 조작한다.
이 소위 언로우드가 완료되었을 때엔, 테이프 로딩이 개시될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51)가 정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2의 결치 기어(98)의 기어부(98c)와 상기 제2의 날밑 부착기어(99)가 맞물림과 더불어 상기 제1의 결치기어(99)가 치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1의 걸치기어(63)의 결치부(63a)와 상기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가 대향토록 된다. 역으로, 상기 모터(51)가 역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의 결치기어(63)의 기어부(63c)와 상기 제1의 날밑 부착기어(64)가 맞물림과 더불어 상기 제2의 결치기어 (98)의 결치부(98a)와 상기 제2의 날밑 부착기어(99)가 대향하도록 된다.
즉, 소위 언로우드가 완료했을때, 또한, 상기 모터(51)를 역전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서 전술한 카세트 로딩 기구를 작동시켜서 소위 이젝트 조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같이 이 테이프 로딩 기구가 적용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선, 각각 결치 기어를 포함하는 2 계통의 전달 수단을 씀으로서 1 개의 모터에 의해서 카세트 로딩과 테이프 로딩과의 쌍방을 행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와 같은 소위 디지탈·오디오·테이프 레코더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테이프 카세트에서 테이프 몸체를 인출 조작해서 기록 및 재생을 행한다. 예컨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선 카세트 이송 기구는 제1의 결치기어를 포함하는 제1의 구동 전달 기구를 거쳐서 구동 수단으로 구동 조작되며,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는 제2의 결치 기어를 포함하는 제2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거쳐서 상기 구동 수단으로 구동 조작된다.
그때문에, 상기 구동 수단을 연속적으로 구동 시켜서도 각각이 결치기어의 결치부를 적당히 설정 함으로서 상기 각 기구에 대해서 각각의 소정 기간에 걸쳐서 구동력을 전달시키지 않게 할수 있으며, 상기 각 기구의 작동하는 기간을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카세트 이송 기구와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를 동일의 구동수단으로 구동 조작하는 것을 가능으로 하고 장치 구성의 간소화, 소형화가 도모해지는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카세트 삽입구에서 삽입 조작되는 테이프 카세트를 이송하고 그 테이프 카세트내에 지지되며 테이프 몸체가 권장된 테이프 릴에 릴축을 결합시키는 카세트 이송 기구와, 제1 결치 기어를 포함하며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카세트 이송 기구에 전달하는 제1 구동력 전달 기구와, 상기 카세트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된 테이프 카세트에서 상기 테이프 몸체를 인출 조작해서 테이프 주행 경로로 안내하는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 및, 제2 결치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테이프 몸체 인출 기구로 전달하는 제2 구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900001566A 1989-02-10 1990-02-09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189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74 1986-02-17
JP1032274A JP2850347B2 (ja) 1989-02-10 1989-02-10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489A KR900013489A (ko) 1990-09-05
KR100189478B1 true KR100189478B1 (ko) 1999-06-01

Family

ID=1235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566A KR100189478B1 (ko) 1989-02-10 1990-02-09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08538A (ko)
EP (1) EP0391036B1 (ko)
JP (1) JP2850347B2 (ko)
KR (1) KR100189478B1 (ko)
AT (1) ATE125633T1 (ko)
AU (1) AU630415B2 (ko)
CA (1) CA200917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4506A (en) * 1996-04-18 1999-08-31 Gordon-Piatt Energy Group, Inc. Burner assembly with tight shut-off opposed louver air damper
JP3316463B2 (ja) * 1998-12-28 2002-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US7424983B2 (en) * 2003-09-04 2008-09-16 Quantum Corporation Tape cartridge soft load system
JP6206946B2 (ja) * 2013-03-28 2017-10-0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マウント機構
JP6281466B2 (ja) * 2014-10-20 2018-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媒体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6161A (en) * 1980-11-17 1982-05-29 Sony Corp Tape loading device
JPS57212651A (en) * 1981-06-24 1982-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4628383A (en) * 1983-01-28 1986-12-0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ape cassette loading device in a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GB2149187B (en) * 1983-09-24 1986-12-03 Sony Corp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685009A (en) * 1984-02-27 1987-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recorder
JPS60187982A (ja) * 1984-03-07 1985-09-25 Sony Corp テ−プカセット
US4752844A (en) * 1984-03-31 1988-06-21 Alpine Electronics Inc. Tape cassette loading device in a magnetic tape recorder-reproducer apparatus
JPS60163572U (ja) * 1984-04-03 1985-10-30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JPS61123045A (ja) * 1984-11-20 1986-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セツト装着装置
JPS61188771A (ja) * 1985-02-18 1986-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10552A (ja) * 1985-03-14 1986-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セツト装着装置
AT382979B (de) * 1985-04-10 1987-05-11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fuer einen in einer kassette untergebrachten aufzeichnungs- traeger
JPH0792958B2 (ja) * 1985-05-27 1995-10-09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KR880002806Y1 (ko) * 1985-07-18 1988-07-30 주식회사 금성사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보호덮개판 개방장치
JPH0760549B2 (ja) * 1985-09-20 1995-06-28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テ−プレコ−ダ−
JPS62170059A (ja) * 1986-01-21 1987-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ヘッド方式磁気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S62219041A (ja) * 1986-03-20 1987-09-26 Nec Corp 高速システム再開処理方式
US4866551A (en) * 1986-10-17 1989-09-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JPS6442051A (en) * 1987-08-07 1989-02-14 Sharp Kk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DE3868468D1 (de) * 1987-09-17 1992-03-26 Sanyo Electric Co Fronttuermechanismus fuer geraet zur signalaufzeichnung und wiedergabe unter verwendung einer kassette.
US5060094A (en) * 1987-11-20 1991-10-22 Goldstar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JPH071584B2 (ja) * 1988-02-27 1995-01-11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21318B2 (ja) * 1988-03-28 1997-06-18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装着装置
JPH07114050B2 (ja) * 1988-03-28 1995-12-06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H01292661A (ja) * 1988-05-19 1989-11-24 Sanyo Electric Co Ltd テープレコーダ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2643323B2 (ja) * 1988-06-28 1997-08-20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
CA1308806C (en) * 1988-08-30 1992-10-13 Takefumi Tsuchida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having movable reel chas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10655A (ja) 1990-08-22
AU4936490A (en) 1990-08-16
EP0391036A1 (en) 1990-10-10
CA2009177A1 (en) 1990-08-10
US5708538A (en) 1998-01-13
JP2850347B2 (ja) 1999-01-27
KR900013489A (ko) 1990-09-05
AU630415B2 (en) 1992-10-29
EP0391036B1 (en) 1995-07-26
CA2009177C (en) 1998-08-11
ATE125633T1 (de) 1995-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71070A (ja) 記録再生装置
US5293550A (en) Cassette load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189478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KR910000570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세트 장착장치
EP0356184B1 (en) Tape-loading mechanism for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elective use of tape cassettes of two different sizes
US5289324A (en) Cassette holder with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osure member of a cassette
US5291352A (en)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a cassette tape
EP0388624B1 (en) Load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431912B1 (en) Cassette holder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37146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557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210659A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H02210656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2210657A (ja)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
JPH01116953A (ja)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304480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832081B2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2893987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678682B2 (ja) テープデッキ
JPH0430691Y2 (ko)
JP3008528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239027B2 (ko)
JPH07646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302843A (ja) カセットプレーヤー
JPH01285003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