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236B1 -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236B1
KR100189236B1 KR1019960035465A KR19960035465A KR100189236B1 KR 100189236 B1 KR100189236 B1 KR 100189236B1 KR 1019960035465 A KR1019960035465 A KR 1019960035465A KR 19960035465 A KR19960035465 A KR 19960035465A KR 100189236 B1 KR100189236 B1 KR 10018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canner
original
plate
manuscri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983A (ko
Inventor
이종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2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팩시밀리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별도의 용지에 송신원고를 작성할 필요가 없이 소정의 고정된 판에 사용자가 송신 원고를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하여 용지의 감지나 피딩을 위한 수단을 갖지 않아도 되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팩시밀리는 송신할 원고를 작성하는 송신원고판과, 상기 송신원고판에 기록된 데이터를 스캔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가 팩시밀리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송신원고판을 사이에 두고 일정 정도 이격되고 상기 송신원고판을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송신원고판의 양측 가장 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과,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캐너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송신원고판의 위쪽을 이동하면서 상기 송신원고판에 기록된 내용을 스캔하도록 하는 스캐너 구동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에 구비된 원고판에 원고를 직접 작성하여 송신하는 데 사용함.

Description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를 사용하여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는, 기존의 인쇄물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선 사용자가 적당한 용지에 원고를 작성하여야 한다. 이렇게 원고가 준비되면 사용자는 트레이(tray)에 상기 원고를 올려 놓고 다이알링을 하여 상대방 팩시밀리를 호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 위의 원고는 원고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데, 이 감지가 이루어져야 상기 원고를 초기 위치에 정렬시켜 놓을 수 있다. 상기 정렬을 위해서는 물론이고 이후로 실제 송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원고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피딩 롤러(feeding roller)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팩시밀리는 원고감지센서나 피딩롤러 등을 반드시 구비해야 한다는 경제적인 측면의 부담 및 구성적인 측면에서의 복잡함이 있다. 또한 송신원고를 작성할 용지가 없는 경우 속수무책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송신 원고를 직접 작성할 수 있는 소정의 고정된 판을 가지고 이 판의 내용을 스캔하여 송신함으로써 별도의 용지에 송신원고를 작성할 필요가 없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중 송신원고판과 스캐너 부분의 평면도
도 3은 도 1중 송신원고판과 스캐너 부분의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 111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의 송신모드, 수신모드 및 복사모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111은 프로그램 메모리 및 센서 메모리를 내장하거나 또는 참조부호 119와 같이 외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OPE(Operating Pannel) 112는 키입력부 220 표시부 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 220은 송수신 종료 보류키, 송신 시작키 등과 같이 사용자가 각 모드의 지정 및 지정된 모드의 동작 수행을 위해 누르는 키의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 210은 상기 제어부 111에서 각 모드를 수행할 시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부 113은 원고의 입력 유무 및 프린트용지의 유무를 감지하며, 감지된 상태 신호를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한다. 스캐너 114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가 송신원고판 120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광전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 111에 전달한다. 상기 스캐너 114는 스캐너 구동부 125에 의해 상기 송신원고판 120의 위를 이동한다. 화상처리부 115는 상기 스캐너 114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와 모뎀 117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 한다. 즉 상기 스캐너 114로부터 입력한 화상데이터를 배경(background)과 텍스트(text)로 구별하거나 중간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등의 처리를 함으로써 수신측에서 실제 화상과 거의 동일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프린트부 116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를 받아 수신모드 및 복사모드 수행시 상기 화상처리부 115에서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프린트용지에 프린트한다. 모뎀 117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부 11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변조하여 출력하고 전송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탈 복조하여 출력한다. 즉 송신모드시 상기 화상처리부 115에서 출력하는 화상데이터를 송신 형태- 팩시밀리의 표준 규격-에 맞도록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모드시에는 전송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부호화된 화상신호를 상기 모뎀 117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원래의 형태로 복조한다. NCU(Network Control Unit) 118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를 받아 전화라인(tip, ring)과 모뎀 117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한다.
도 2는 도 1중 송신원고판과 스캐너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중 송신원고판과 스캐너 부분의 우측면도이다. 송신원고판 120은 투명한 재질이나 흰색을 사용한다. 스캐너 114는 상기 송신원고판 120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이때 지지부 124는 상기 스캐너 114가 팩시밀리 본체 프레임 100으로부터 상기 송신원고판 120을 사이에 두고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캐너 114는 스캔부재가 상기 송신원고판 120의 위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빈 공간에서 상기 송신원고판 12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guide rail) 125는 상기 송신원고판 120의 양측 가장 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 124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 125의 양쪽 끝에는 그 이상의 이동을 막기 위한 스톱퍼(stopper) 122가 설치된다. 상기 스캐너 114는 스캐너 구동부 125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 125를 따라 상기 송신원고판 120의 위를 이동하면서 상기 송신원고판 120에 기록된 내용을 스캔한다.
도 1 ∼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원고 송신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송신원고판 120에 송신하고자 하는 내용을 기록한다음 키입력부 220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팩시밀리번호를 다이알링한다. 이후 통화로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 220에 있는 시작 버튼을 눌러 송신의 개시를 지시한다. 이때 제어부 111은 상기 시작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고 스캐너구동부 125를 제어하여 상기 스캐너 114가 상기 송신원고판 120 위를 이동하면서 상기 송신원고판 120에 기록된 내용을 스캔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스캔이 완료되면 그 스캔한 데이터를 공지의 송신방법으로 전송한다.
한편 송신할 원고의 양이 상기 송신원고판 120에 1회 기록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을 경우에는 처음 작성된 내용을 송신 완료한 다음, 그 내용을 지우고 다시 다음 내용을 작성하여 보내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통화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 사용자가 키입력부 220에 있는 송수신 종료 보류키를 입력하면 제어부 111은 다음 내용의 작성이 완료되기까지 더미(dummy)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대방에게 송신되도록 한다. 상기 송수신 종료 보류키는 입력할 때마다 그 상태가 토글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송수신 종료 보류키가 제1상태로 입력되면 상기 더미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고 제2상태로 입력되면 준비 완료된 다음 원고의 송신 개시를 제어한다.
다른 한편 사진이나 인쇄물 등 기존의 경우처럼 이미 용지에 작성된 원고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원고판 120 위에 해당 원고 용지를 놓은 다음 상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송신원고판에 직접 송신을 원하는 내용을 작성하거나 지울 수도 있어 용지가 없어도 되며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원고용지를 피딩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경우처럼 용지가 트레이에 놓여졌는지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용지를 피딩하는 수단을 가지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다.

Claims (5)

  1. 팩시밀리에 있어서,
    송신할 원고를 작성하는 송신원고판과,
    상기 송신원고판에 기록된 데이터를 스캔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가 팩시밀리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송신원고판을 사이에 두고 일정 정도 이격되고 상기 송신원고판을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송신원고판의 양측 가장 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과,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캐너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송신원고판의 위쪽을 이동하면서 상기 송신원고판에 기록된 내용을 스캔하도록 하는 스캐너 구동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쪽 끝에 설치되어 상기 스캐너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는 스톱퍼를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구동부는 송신 시작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캐너의 이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시 마다 상태가 토글되어 송수신 보류 및 그 해제를 제어하는 송수신 종료 보류키와, 상기 송수신 종료 보류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대방에게 더미데이타를 전송하고 상기 송수신 종료 보류키의 다음 입력에 응답하여 원고 스캔 및 송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부를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팩시밀리.
  5. 송신원고판과 상기 송신원고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스캐너를 갖는 팩시밀리의 원고 송신방법에 있어서,
    송신시작키의 입력 혹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캐너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송신원고판에 작성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를 처리하여 송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송신이 완료되면 송수신 보류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송수신 보류키의 입력이 있으면 소정 주기로 더미데이터를 발생하여 상대방에 송신하는 송수신 보류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송수신 보류키의 다음 입력이 있으면 상기 송수신 보류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1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35465A 1996-08-24 1996-08-24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 KR10018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465A KR100189236B1 (ko) 1996-08-24 1996-08-24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465A KR100189236B1 (ko) 1996-08-24 1996-08-24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83A KR19980015983A (ko) 1998-05-25
KR100189236B1 true KR100189236B1 (ko) 1999-06-01

Family

ID=1947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465A KR100189236B1 (ko) 1996-08-24 1996-08-24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2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83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3981B1 (en) Method for scanning a specific portion of document in flat-bed type multi-function product
KR100189236B1 (ko) 송신원고판을 갖는 팩시밀리 및 그 원고 송신 제어방법
KR100208724B1 (ko) 팩시밀리의 용지 절약 인쇄장치 및 방법
KR100224921B1 (ko) 원고뒷면 스캐닝 검색방법
KR100238055B1 (ko) 팩시밀리 원고 수신 기록시 발신원 정보 기록방법
JP3019329B2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100186582B1 (ko) 해상도 자동 제어방법
KR0127276B1 (ko)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
KR100229019B1 (ko) 팩시밀리의 원고 화상 부분 스캔방법
KR100296594B1 (ko) 자동급지장치의 에러 체크 방법
KR100214304B1 (ko) 팩시밀리에서 송신 원고 삽입 절차 방법
KR100202406B1 (ko) 팩시밀리 시스템의 커버전송 문서 자동송신방법
KR19980041597A (ko) 팩시밀리의 특정 원고 편집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467566B1 (ko) 팩시밀리의 송신시간절약방법
KR100246442B1 (ko) 팩스데이터의부가정보관리방법
KR100325819B1 (ko) 팩시밀리의 다중 송신방법
KR100338077B1 (ko) 복합기에서의 스캐닝 데이터 인쇄방법
KR950008959B1 (ko) 팩시밀리의 키입력 문자 전송방법
JPH0279666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19990020357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스캐닝에 의한 자동 송신방법
KR19980072344A (ko) 팩스의 원고전체페이지수 송수신방법
JPH118863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16142A (ko) 팩시밀리에서 수신측 요구에 따른 문서서식 자동 전송방법
KR19980051626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백지 전송 방지방법
KR19990018352A (ko) 핫라인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에서 원고송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