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722B1 -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722B1
KR100188722B1 KR1019960041174A KR19960041174A KR100188722B1 KR 100188722 B1 KR100188722 B1 KR 100188722B1 KR 1019960041174 A KR1019960041174 A KR 1019960041174A KR 19960041174 A KR19960041174 A KR 19960041174A KR 100188722 B1 KR100188722 B1 KR 10018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etection unit
screw gear
internal switch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114A (ko
Inventor
최석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7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승합 차량의 승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합 차량에 있어서 좌석 플로어와 스텝사이에 놓여 있는 스텝 턱으로 인해 어린이나 노약자, 장애자 등이 탑승했을 때는 위험이 있으며 유약자의 불안정한 자세 등으로 스텝 턱으로 전락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속도계 검출부(3)가 속도계(1)에서 검출한 속도값 검출 신호와 물체 감지 검출부(7)가 물체 감지 부재(5)상의 물체 존재 여부를 검출한 신호를 검출하는 모터 구동 검출부(9)와 상기 모터 구동 검출부(9)의 출력 신호에 따라 모터(13)의 회전 방향 접점이 연결되는 내부 스위치(11)와 상기 내부 스위치(11)의 접점 연결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13)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스크류 기어(15)와 상기 모터 스크류 기어(15)와 맞물려 구동되는 플레이트 스크류 기어(17)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스텝 플레이트(19)를 포함하는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본 발명은 승합 차량의 승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합 차량에 있어서 좌석 플로어와 스텝 사이에 높여있는 스텝 턱으로 인해 어린이나 노약자, 장애자 등이 탑승했을 때는 위험이 있으며 유약자의 불안정한 자세 등으로 스텝 턱으로 전락하면 안전 사고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인승 승합차의 승하차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로 이루어져 있다.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하면서 승객이 승하차할 때에는 차량밖 노면과 차량내 탑승 좌석사이에 형성된 스텝 턱을 오르내리게 된다.
승합 차량의 스텝 턱은 차체의 설계와 함께 구성된 형상이므로 임의로 변경시킬 수 없는 구조이다.
승합차의 용도는 가족용 레크리에이션 차량으로 많이 선택되기도 하고, 아동들의 스쿨버스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승합 차량의 주요 탑승객은 상기의 용도에서처럼 어린 아동이나 가족 단위의 남녀노소가 많으므로 안전성이 특히 강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승합 차량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소로써 슬라이딩 문과 탑승 좌석사이에 놓여 있는 스텝 턱이 있다.
승합 차량의 스텝 턱에 있어서 승차 자세가 불안정한 어린이나 노인, 장애자 등이 스텝으로 전락하면 큰 부상을 가져올 수 있는 위험한 공간이다.
그러나, 승합 차량에 있어서 스텝 턱에 대한 안전장치가 전무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합 차량을 자주 이용하는 유약자, 장애자 등이 승하차시 스텝의 턱에 걸리거나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차량의 속도와 물체 감지 부재 위의 물체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들의 일정한 출력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검출 수단과, 상기 모터 구동 검출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접점 연결되는 모터 구동 내부 스위치와, 상기 내부 스위치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스텝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 승강 안전장치가 적용된 승합차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 절개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텝 승강 안전장치의 작동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 승강 안전장치가 적용된 승합차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 절개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승합차용 스텝 승강 안전장치의 작동 구조도이다.
승합 차량의 스텝 승강 안전장치의 작동 회로 구성은 제2도에서 처럼 검출부로써, 속도계(1)의 속도 변화를 검출하는 속도계 검출부(3)와, 물체 감지 부재(5)의 물체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물체 감지 검출부(7)가 있다.
상기 속도계 검출부(3)와 물체 감지 검출부(7)의 신호를 검출하여 모터의 구동 내부 스위치(11)의 접점을 연결시키는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검출부(9)와, 상기 모터 구동 검출부(9)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접점이 연결되는 내부 스위치(11)와, 상기 내부 스위치(11)의 접점 연결에 의해 회전 방향이 상하로 작동되는 모터(13)로 구성된 승합 차량용 승강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요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모터(13)의 회전축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스크류 기어(15)와, 상기 모터 스크류 기어(15)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스텝 플레이트(19)를 상승, 하강시키는 플레이트 스크류 기어(17)와, 상기 플레이트 스크류 기어(17)의 회전력에 의해 높이가 가변 되는 스텝 플레이트(1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텝 플레이트(19)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플레이트 지지 패널(21)과, 상하차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23)와, 차체 지붕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25)과, 승차 좌석(29)이 놓여지는 플로어(31)로써 승합 차량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의 상세한 작동 설명은 다음과 같다.
속도계 검출부(3)는 운행하는 차량 속도계(1)의 속도 변화를 검출하여 속도값 0Km/h의 차량 정지 상태 여부를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 모터 구동 검출부(9)로 출력한다.
물체 감지 검출부(7)는 물체 감지 부재(5)위에 물체가 존재하는 지를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 모터 구동 검출부(9)로 출력한다.
상기 모터 구동 검출부(9)는 속도계 검출부(3)가 속도계(1)에서 검출한 속도값 0Km/h의 차량 정지 신호가 검출되고, 물체 감지 검출부(7)가 물체 감지 부재(5)위에서 물체 존재가 검출되면 내부 스위치(11)로 소정의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내부 스위치(11)는 모터 구동 검출부(9)의 출력 신호에 따라 모터(13)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접점과 연결된다.
상기 내부 스위치(11)의 접점 연결에 따라 모터(13)는 모터 스크류 기어(1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 스크류 기어(1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맞물린 플레이트 스크류 기어(17)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 플레이트(19)를 하강시킨다.
상기 상태는 운행하던 차가 정지하고 승차인이 하차하기 위해 물체 감지 부재(5)위에 올라선 경우가 되므로 승차인이 스텝을 밟고 슬라이딩 도어(23)를 용이하게 열면서 안전하게 노면으로 하차할 수 있도록, 주행중 스텝 턱(27)의 위험한 공간을 메꾸기 위해 상승되었던 스텝 플레이트(19)가 하강되는 것이다.
승차인의 승차가 완료된 경우에 스텝 턱(27)으로 유약자가 전락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작동은 다음과 같다.
모터 구동 검출부(9)에서는 속도계 검출부(3)가 속도계(1)에서 검출한 속도값 0Km/h 이상의 차량 운행 신호가 검출되거나, 또는 물체 감지 검출부(7)가 물체 감지 부재(5)위에서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했을 때의 신호가 검출되면 내부 스위치(11)로 소정의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내부 스위치(11)는 상기 모터 구동 검출부(9)의 출력 신호에 따라 모터(13)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접점과 연결된다.
상기 내부 스위치(11)의 접점 연결에 따라 모터(13)는 모터 스크류 기어(1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 스크류 기어(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맞물린 플레이트 스크류 기어(17)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 플레이트(19)를 상승시킨다.
상기 상태는 승차인의 탑승이 완료되어 물체 감지 부재(5)상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거나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여 주행하고 있으므로 유약자가 스텝 턱(27)에 전락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텝 플레이트(19)를 상승시켜 스텝 턱(27)을 메꾸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는 승합차를 많이 이용하는 어린이나 노약자들은 자세가 불안정하고 불편하여 스텝 턱으로 빠질 수 있는데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이 운행중일 때에는 스텝 플레이트가 상승하여 스텝 턱을 메꾸고 정차 시에만 스텝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승하차함으로써 차량 내에서의 불의의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속도계 검출부(3)가 속도계(1)에서 검출한 속도값 검출 신호가 물체 감지 검출부(7)가 물체 감지 부재(5)상의 물체 존재 여부를 검출한 신호를 검출하는 모터 구동 검출부(9)와, 상기 모터 구동 검출부(9)의 출력 신호에 따라 모터(13)의 회전 방향 접점이 연결되는 내부 스위치(11)와, 상기 내부 스위치(11)의 접점 연결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13)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스크류 기어(15)와, 상기 모터 스크류 기어(15)와 맞물려 구동되는 플레이트 스크류 기어(17)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스텝 플레이트(19)를 포함하는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검출부(9)는 속도계 검출부(3)가 0 Km/h의 차량 정지 상태 검출신호와 함께 물체 감지 검출부(7)의 물체 감지 검출 신호를 받아야만 스텝 플레이트(19)를 하강시키는 소정의 검출 신호를 내부 스위치(11)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위치(11)는 모터 구동 검출부(9)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접점 연결되어 모터(13)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KR1019960041174A 1996-09-20 1996-09-20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KR100188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174A KR100188722B1 (ko) 1996-09-20 1996-09-20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174A KR100188722B1 (ko) 1996-09-20 1996-09-20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114A KR19980022114A (ko) 1998-06-25
KR100188722B1 true KR100188722B1 (ko) 1999-06-01

Family

ID=1947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174A KR100188722B1 (ko) 1996-09-20 1996-09-20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7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114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25234A (ja) 自動車の電気的に作動される集合体の動きを電気的に制御及び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930021527A (ko) 승강기 제어장치
US4931714A (en) Device for lifting up and down window glass for vehicle
JP2000026064A (ja) イス式階段昇降機
KR100188722B1 (ko) 승합차용 승강 안전장치
KR19980053275U (ko) 자동차용 스텝 플레이트
KR100291054B1 (ko) 자동차용 승하차발판 자동승강장치
JPH0753148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216268988U (zh) 一种用于特种车辆改装自动翻转车梯装置
KR200161991Y1 (ko) 승합차량의 사이드 스텝
KR200292093Y1 (ko) 전동차용 장애자 승하차 발판 및 안전발판대
KR200149212Y1 (ko) 어린이 보호용 자동차의 도어열림 방지장치
KR100365214B1 (ko) 대형트럭의 승차 보조장치
JPS627658Y2 (ko)
KR0166309B1 (ko) 자동차의 문턱 회동 장치
KR200255972Y1 (ko) 자동차 측면유리 안전장치
JPH09177428A (ja) 車両乗降口の安全装置
KR19980059931U (ko) 자동차의 도어글레스 상승시 물체감지장치
KR19980051116U (ko) 버스의 자동 승강장치
JPS594359B2 (ja) エレベ−タの扉制御装置
KR19980085352A (ko) 도어 및 윈도우의 자동제어장치
JPS597336Y2 (ja) エレベ−タの戸の異常警報装置
JPS6010990B2 (ja) エレベ−タドア−装置
KR20040016260A (ko) 택시의 자동 도어 로크 제어 방법
JPS63207740A (ja) 回転式車両用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