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382B1 - 사진소부 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정보 결정 방법 및 사진소부 장치 - Google Patents

사진소부 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정보 결정 방법 및 사진소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382B1
KR100187382B1 KR1019950035367A KR19950035367A KR100187382B1 KR 100187382 B1 KR100187382 B1 KR 100187382B1 KR 1019950035367 A KR1019950035367 A KR 1019950035367A KR 19950035367 A KR19950035367 A KR 19950035367A KR 100187382 B1 KR100187382 B1 KR 10018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information
information
negative film
recorded
photosensi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056A (ko
Inventor
아키라도시로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강이치
노-리쓰고오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강이치, 노-리쓰고오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강이치
Publication of KR96001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03B27/46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in enlargers, e.g. roll film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71Holders for the original in enlargers
    • G03B27/6285Handling stri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1/00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1/02Marking or applying tex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5/00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ed material
    • G03D15/001Counting; Classifying; Marking
    • G03D15/003Marking, e.g. for re-printing

Abstract

위치정보가 차례대로 기록된 네가필름의 반송기구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정보해석부(52)는 화편번호를 검출하는 번호검출부(521)와 화편번호를 최신의 10개만 기억하는 메모리(522)와 3번째 제3화편번호 K3를 추출하는 번호추츨부(523)와 1번째 제1화편번호 K1을 추출하여 그 화편번호에 2화편분을 가하여 제1비교번호 K1'을 산출하는 제1비교번호추출부(524) 및 5번째의 제5화편번호 K5를 추출하여, 그 화편번호를 2화편분 감소시켜 제2비교번호 K5'를 산출하는 제2비교번호추출부(525)와 이상 3가지로 부터 다수결처리에 의해 결정번호 KK를 출력하는 다수결처리부(526)와를 구비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정보결정 방법 및 장치.

Description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정보결정방법 및 사진소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상의 사진소부장치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상기 사진소부장치로 처리한 네가 필름의 평면도
제3도는 상기 사진소부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4도는 상기 사진소부장치의 요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5도는 상기 사진소부장치의 요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Kl, K2… K10: 화편번호(위치정보) 61 : 정보기록부
K1' : 제1비교번호(산출위치정보) 7 : 소부부
K5' : 제2비교번호(산출위치정보) 71 : 위치정보기입부
KK : 결정번호(결정위치정보) 8 : 인화지(감광재료)
1 : 사진소부장치 521 : 정보판독부(검출수단)
2 : 정보판독부(검출수단) 522 : 메모리(기억수단)
4 : 노광부 524 : 제1비교번호추출부(산출수단)
5 : 제어부 525 : 제2비교번호추출부(산출수단)
6 : 네가필름 526 : 다수결처리부(결정수단)
본 발명은 길이방향에 따른 트랙에 여러(복수) 위치정보가 순번으로 기록된 네가필름을 소부처리하는 사진소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진소부장치 등의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네가필름에 대한 여러가지 처리를 시행할 때에 처리 대상의 화편(화면)번호등의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컨데,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는, 인화지의 이면 등에 소부한 화상의 화편 번호등을 기록하는 일이 행해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네가필름의 화편의 위치정보로서의 화편번호를 네가필름으로부터 판독할 필요가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네가필름(6)의 길이방향에 따른 트랙에는 바아코-드등의 정보기록부(61)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여기에는 DX 코-드 등의 처리정보와 아울러 위치정보로서의 화편번호가 기록된다.
종래의 사진소부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제1도에 도시된 구성과 같은 것이므로, 본 발명상의 사진소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제1도를 이용하여 종래의 사진소부장치를 설명코저 한다. 즉, 종래의 경우, 상기 네가필름(6)의 정보기록부(61)를 정보판독부(2)에 의해 판독하고, 그 바아코-드 정보로부터 DX 코-드 등의 정보처리와 아울러 위치정보로서의 화편번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처리정보는 노광부(露光部)(4)에 입력되어 소부화상의 노광조건의 결정등에 제공된다. 또한, 화편번호를 기초로 하여 필요에 따라 정보판독부(2)의 위치와 노광부(4)의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보정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며, 노광부(4)에 위치하는 화편의 화편번호가 얻어진다. 이 화편번호는 위치정보기입부(位置情報記入部)(71)에 입력하여 소부되는 화상의 화편번호로서 인화지(8)의 이면등의 소정위치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하여, 소부부(7)에 있어서는, 각 화편에 상당하는 인화지에는 겉(表)측에는 네가필름의 각 화편의 화상이 각각 소부됨과 아울러, 이면등의 소정의 위치에는 해당화상의 화편번호가 기록되므로, 후일, 네가필름과 대비시키기 쉬워 편리하다.
위에서 정보판독부(2)에서 판독된 바아코-드정보로 부터 화편번호가 검출될수 없게 된 경우, 즉, 검출에러(error)가 발생된 경우에는, 종래보다, 전후의 정보기록부(61)에 기하여 적정한 화편번호를 계산, 선정하는 일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바의 종래의 사진소부장치에서는 정보판독부(2)에서 판독된 바아코-드정보로부터 화편번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적절한 처리로 이를 보완할 수 있으나, 잘못하여 올바른 화편번호가 아닌 다른 화편번호로 검출되어 버린 경우에는 어떠한 적절한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이후의 소부작업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이상과 같은 제 문제점에 비추어 된 것으로, 잘못하여 올바른 화편번호가 아닌 화편번호로 검출된 경우라도 보정하여 이를 바로 잡을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방법은 그 길이방향에 따른 트랙에 각 화편에 대응된 위치정보가 각 화편마다 기록된 네가필름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반송하고,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화상을 감광재료에 순차소부처리함과 아울러 그 화편에 대응된 위치정보를 상기 네가필름으로 부터 검출하여 상기 화상과 대응시켜 상기 감광재료에 순차기록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정보결정방법 에 있어서, 네가필름의 여러 다른 위치에 기록된 여러 위치정보를 판독하고, 순차 기억하며, 그 기억한 각 위치정보를 토대로 각 위치정보마다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위치를 각각 산출하여 여러 산출위치정보를 얻어, 상기 여러 산출 위치정보에 기하여 다수결처리로 상기 감광재료에 기록해야 할 위치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청구범위 제2항의 본발명상의 사진소부장치에는, 그 길이 방향에 따라 트랙에 각 화편에 대응한 위치정보가 각 화편마다 기륵된 네가필름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반송하여,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화상을 감광재료에 순차소부처리함과 아울러, 그 화편에 대응한 위치정보를 판독한 상기 화상과 대응시켜 상기 감광재료에 순차 기록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네가필름의 여러 서로 다른 위치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각각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된 여러 위치정보를 순번(順番)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한 각 위치정보에 기하여, 각 위치정보마다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위치를 각각 산출하여 여러 산출위치정보를 얻는 산출수단과, 상기 여러 산출위치정보를 기초로하여 다수결처리에 의해 상기 감광재료에 기록해야 할 결정위치정보를 얻는 결정수단과를 구비한다고 하는 수단을 강구하였다.
청구범위 제1항의 본발명상의 방법에서는, 그 길이방향에 따른 트랙에 각 화편에 대응된 위치정보가 각 화편마다 기록된 네가필름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반송하여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화상을 감광재료에 순차 소부처리함과 아울러, 그 화편에 대응한 위치정보를 상기 네가필름으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화상과 대응시켜 상기 감광재료에 순차 기록하는 사진소부장치에서의 위치정보 결정방법에 있어서 네가필름의 여러 서로 다른 위치에 기록된 여러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기억하므로, 어떤 위치정보인지가 판독되지 않더라도 다른 위치정보가 판독될 가능성은 충분히 높다.
그리고, 기억한 각 위치정보에 기해, 각 위치정보마다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위치를 각각 산출하여 여러 산출위치정보를 얻는다.
여기에서, 상기 여러 산출위치정보에 기하여 다수결처리로 감광재료에 기록해야 할 위치정보를 결정하므로 읽혀지지않았던 위치정보라도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본발명상의 사진소부장치에는 그 길이방향에 따른 트랙에 각 화편에 대응한 위치정보가 각 화편마다 기록된 네가필름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반송하고,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화상을 감광재료에 순차 소부처리함과 아울러, 그 화편에 대응한 위치정보를 읽어내어 상기 화상과 대응시켜 상기 감광재료에 순차 기록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검출수단에 의하여,네가필름의 여러 서로 다른 위치에 기륵된 여러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각각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순차 기억수단으로 기억하므로, 어떤 위치정보인가가 판독되지 않아도 다른 위치정보가 판독될 가능성은 층분히 높다.
산출수단으로, 기억한 각 위치정보에 기하여, 각 위치정보마다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위치를 각각 산출하여 여러 산출위치정보를 얻는다.
결정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여러 산출위치정보에 기하여 다수결처리로 결정 위치정보를 얻게되므로 판독되지 않은 위치정보라 하더라도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발명상의 일 실시예로서의 사진소부장치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l도, 2도에서 부호1은 반송되는 네가필름(6)을 소부처리하는 사진소부장치이고, 정보판독부(2)와 반송기구(3)와 노광부(4)와 제어부(5) 및 소부부(7)를 구비한다.
네가필름(6)의 가장자리부분에는 바아코-드에 의한 정보기록부(61)가 소정의 간격 L로 설치되고, 여기에는 DX 코-드등의 처리정보와 아울러 위치정보로서의 화편번호가 기록된다. 한편, 정보기록부(61)는 표준사이즈의 1화편당 2개소 설치된다.
정보판독부(2)는, 수광센서(21)와 센서용광원(22)과를 구비하고, 네가필름(6)의 정보기록부(61)를 통과한 센서용광윈(22)의 빛을 수광센서(21)로 받아서, 그 바아코-드에 대응한 펄스열(列)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반송기구(3)는 여러 로울러 31, 31와 이들을 구동케 하는 구동 모-터(32)를 구비한다.
노광부(4)는 네가마스크(4l)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판독부(2)의 센서위치로 부터 네가 마스크(41)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는 예컨데 8XL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거리는 표준사이즈로 4 화편분, 하프사이즈(half size)로 8화편분 파노라마 사이즈로 4화편분의 길이이다.
그리고, 제어부(5)로 부터의 노광조건에 따라 노광한다. 다음 제l도와 제2도에 덧붙여 제3도와 제 4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5)는 처리정보해석부(51)와 위치정보해석부(52), 노광제어부(53) 및 구동부(54)를 구비하고 있다.
처리정보 해석부(51)는 상기 정보판독부(2)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 열 신호에 따라, 반송되는 네가필름(6)의 DX 코-드를 검출하여 감도와 메이커 등을 판별한다.
노광제어부(53)는 검출된 DX 코-드를 기초로 하여 당해 네가필름(6)에 대한 노광조건을 결정하고, 이 노광조건에 기하여 노광부(4)를 제어하며, 소부부(7)에서 인화지(8)에 소부하기 위한 제어를 한다.
위치정보해석부(52)는 상기 정보판독부(2)에서 출력되는 펄스 열 신호로 부터 화면번호를 검출하고, 그 화편번호를 위치정보기입부(71)에서 인화지(8)에 기입한다.
구동부(54)는 네가필름(6)을 1화편(2XL)씩 반송하여, 정보판독부(2)로 부터의 펄스 열 신호를 계속 감시하고, 노광부(4)의 네가마스크(4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위치결정하도록 구동모터(32)를 제어한다.
위치정보해석부(52)는 정보판독부(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열 신호로 부터 화편번호를 검출하는 번호 검출부(521)와 순차 검출되는 화편번호를 최신의 10개만 기억하는 메모리(522)와 기억되어 있는 10개의 화편번호로 부터 3번째 제3화편번호 K3를 추출하는 번호추출부(523)와, 기억되어 있는 10개의 화편번호중에서 1번째의 제1화편번호 K1을 추출하고, 그 화편번호에 2화편분을 가하여 제1비교번호 Kl'를 산출하는 제1비교번호추출부(524)와, 5번째의 제5화편번호 K5를 추출하고, 그 화편번호를 2화편분감소시켜 제2비교번호 K5'를 산출하는 제2비교번호추출부(525), 상기 제3 화편번호 K3와 제1비교번호 Kl'와 제2비교번호 K5'와를 비교하여 모두 일치하면, 제3화편번호 K3를 결정번호 KK로서 출력하고, 3개 중 2개가 일치하면 그 번호를 결정번호 KK로서 출력하며, 3 개 모두 다르면 결정에러 신호 ER를 출력하는 다수결 처리부 526와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522)는 10개의 화편번호 K1∼K10를 기억하는 메모리이고, 순차 검출되는 화편번호를 기억하는 터에 가장 오래검출된 화편번호를 순차적으로 소거한다. 예컨데 링 메모리형식을 채용할 수가 있다.
노광부(4)에 12번째의 화편이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메모리(522)의 화편번호는 K1=11, K2=11A, K3=12, K4=12A, K5=13, K6=13A, K7=14, K8=14A, K9=15, K10=15A로 되어있고, 제3화편번호 K3=12이다.
이 때, 제1화편번호 Kl(=11)에 2화편분을 가하여 제1비교번호 Kl' (=12)를 얻고, 제5화편번호 K5' (=l4)로부터 2화편분 감하여 제2비교번호 K5' (=12)를 얻는다. 화편번호의 추출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1비교번호 Kl'=제2비교번호 K5'=제3화편번호 3=12이다. 또한, 화편번호가 12A 등과 같은 경우에는 2화편분을 가하면 14A가 되고, 2화편분을 감하면 10A가 되는 계산방법을 취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처리를 제5도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에 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초기설정하여 네가필름의 반송(화편이송)을 개시한다.
스텝 S1에서, 정보판독부(2)에 의해 위치정보를 판독하고, 화편번호를 검출하며, 순차메모리에 기입한다.
스텝 S2에서, 또한 네가필름을 나아가게 한다.
스텝 S3에서는 노광부(4)에 화편이 달하기 까지, 이상의 스롑 S1, S2를 되풀이하고, 노광부(4)에 달했을 때에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이 때에는 메모리에는 10개의 화편번호가 기입된다.
스텝 S4에서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10개의 화편번호로 부터 가장 오랜 1번째 제l화편번호 K1과 3번째 제3화편번호 K3및 5번째의 제5화편번호 K5와를 읽어낸다. 여기에서 읽어내지 못한 경우에는 스텝 S10으로 진행하여 조작자가 화편번호를 결정한다.
스텝 S5에서는 제1화편번호 K1에 2화편분을 가하여 제1비교번호 Kl'을 산출함과 아울러, 제5화편번호 K5로부터 2화편분을 감하여 제2비교번호 K5'를 산출한다.
스텝 S6에서는 상기 화편번호 K3와 제1비교번호 Kl'를 제2비교번호 K5'와 비교하여 모두 일치하면 스텝 S7으로 진행하고 3개중 2개가 일치하면 스텝 S8로 진행하며 3개 모두 다르면 스텝 S9으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화편번호 K3를 결정번호 KK로 출력하고, 스텝 S8에서는 다수결로 결정한 번호를 결정번호 KK로 출력하며, 스텝 S9에서는 결정에러신호 ER을 출력하여 에러처리를 행한다.
S11에서는 이상과 같이하여 얻어진 결정번호 KK를 인화지에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당해 네가필름 전부의 화편을 소부완료할때까지 이상의 처리를 되풀이하며 각 화편마다 그 화상을 인화지에 소부함과 아울러, 그 화편번호를 기록한다.
한편, 당해 네가필름(6)의 후부의 화편의 경우에, 10개의 화편번호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앞서의 화편의 화편번호를 순차 감하는 등의 처리로 결정번호 KK를 얻도록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같이하여 3개소의 바아코-드로 부터 판독한 화편번호에 기하여 노광부(4)의 화편번호를 산출하고 그들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결로 가장 다수 산출된 화편번호를 결정번호로 처리하므로 네가필름의 바아코-드의 부분에 부착한 더스트와 노광등이 있더라도 정확한 화편번호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더스트와 노광등으로 화편번호를 검출할 수 없는 겅우 뿐 아니라 잘믓된 화편번호를 검출하게 되는 일까지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수결처리부(526)로 부터 결정에러신호 ER가 출력된 때에는, 상술한 3개 이외의 화편번호로 부터 노광부(4)에 있는 화편의 화편번호를 산출하여, 그 중에서 다수결에 의해 결정하여도 좋고 또한 4개이상의 다수의 화편번호에 기하여 다수결처리하여도 좋다. 또한, 결정에러신호 ER가 출력된 때에는 조작자가 화편번호를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보판독부(2)의 센서위치로 부터 네가마스크(41)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를 8 XL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연히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 거리에 따라, 메모리(522)로 부터 추출하는 화편번호의 위치를 변경하면 된다.
또한, 제어부(5)의 처리정보해석부(51)와 위치정보해석부(52)의 기능은 마이크로 콤퓨터와 그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이와 같이하여 본발명 청구범위 1항의 사진소부장치상의 위치정보결정방법으로 하면 네가필름의 복수의 서로 다른 위치에 기록된 복수의 위치정보를 판독하고, 다수결처리로 감광재료에 기록해야 할 위치정보를 결정하므로, 판독되지 않았던 위치정보라도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청구범위 제2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여,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사진소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길이방향에 따른 트랙에 각 화면에 대응한 위치정보가 각 화편마다 기록된 네가필름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반송하여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화상을 감광재료에 순차 소부처리함과 아울러, 그 화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상기 네가필름으로 부터 검출하여 상기 화상과 대응시켜 상기 감광재료에 순차 기록하는 사진소부장치에서의 위치정보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가필름의 복수의 서로 다른 위치에 기록된 복수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기억하고, 기억된 각 위치정보에 기하여 각 위치정보마다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위치를 각각 산출하여 복수의 산출위치정보를 얻고, 상기 복수의 산출위치정보에 기하여 다수결처리로 상기 감광재료에 기록해야 할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결정방법.
  2. 길이방향에 따른 트랙에 각 화편에 대응한 위치정보가 각 화편마다 기록된 네가필름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반송하여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화상을 감광재료로 순차적으로 소부처리함과 아울러, 그 화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화상과 대응시켜 상기 감광재료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가필름의 복수의 서로 다른 위치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각각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한 복수의 위치정보를 차례대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한 각 위치 정보에 기하여, 각 위치정보마다 노광부에 위치하는 화편의 위치를 각각 산출하여 복수의 산출위치정보를 얻는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산출위치정보에 기하여 다수결처리로 상기 감광재료에 기록해야 할 결정위치정보를 얻는 결정수단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KR1019950035367A 1994-10-27 1995-10-13 사진소부 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정보 결정 방법 및 사진소부 장치 KR100187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64143 1994-10-27
JP6264143A JP2979978B2 (ja) 1994-10-27 1994-10-27 写真焼付け装置における位置情報決定方法および写真焼付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056A KR960015056A (ko) 1996-05-22
KR100187382B1 true KR100187382B1 (ko) 1999-05-15

Family

ID=1739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367A KR100187382B1 (ko) 1994-10-27 1995-10-13 사진소부 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정보 결정 방법 및 사진소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48285A (ko)
JP (1) JP2979978B2 (ko)
KR (1) KR100187382B1 (ko)
CN (1) CN10719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8710B1 (en) * 1996-07-09 2004-09-29 Noritsu Koki Co., Ltd. Reprinting order processing system
JPH10161248A (ja) * 1996-11-27 1998-06-19 Fuji Photo Film Co Ltd フォトフィニッシン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8483T2 (de) * 1987-12-14 1994-06-23 Fuji Photo Film Co Ltd Verfahren zur Feststellung der Bildnummern eines photographischen Filmes.
EP0331049B1 (en) * 1988-02-27 1994-05-18 Fuji Photo Film Co., Ltd. Apparatus for reading bar code of photographic film
EP0331048B1 (en) * 1988-02-27 1994-06-08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bar code of photographic film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photographic film
US5336873A (en) * 1988-12-05 1994-08-09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film having frame number bar codes
JP2637293B2 (ja) * 1990-12-10 1997-08-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ートプリンタ
DE4108815C2 (de) * 1991-03-18 2000-05-25 Agfa Gevaert Ag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entwickelten fotografischen Fil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906C (zh) 2001-09-26
US5748285A (en) 1998-05-05
CN1153921A (zh) 1997-07-09
JPH08122933A (ja) 1996-05-17
KR960015056A (ko) 1996-05-22
JP2979978B2 (ja) 199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92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KR100187382B1 (ko) 사진소부 장치에 있어서의 위치정보 결정 방법 및 사진소부 장치
US4728996A (en) Photographic printing method
US5729328A (en) Photographic film inspection apparatus
EP0677770A1 (e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US5779124A (en) Negative film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standard transfer distance based on pulse count between successive indentification data
JP3010494B2 (ja) 画像読取装置における原稿検出装置および原稿検出方法
JPH0464055B2 (ko)
JPS62169566A (ja) 電子フアイリング装置
JPS63311253A (ja) 仕上り印画検定装置
JP2606871B2 (ja) 簡易型写真焼付装置
JP2598315B2 (ja) 画像記録装置
JP3686213B2 (ja) フイルム・スキャナおよびその読取方法
JP4106648B2 (ja) 写真フィルムの画像コマ位置決め装置
JP2685348B2 (ja) 磁気情報の再生と記録の方法及び装置
JPS6373232A (ja) 写真焼付装置における画像情報検出処理方法
JPH064343Y2 (ja) 簡易型写真焼付装置
JPH0831117B2 (ja) 読取装置
JPH01862A (ja) 情報読取装置
JPH06308607A (ja) マイクロフィルムリーダおよびマイクロフィルム
JP2001228558A (ja) 写真処理装置
JP2006251655A (ja) パノラマ判定方法および画像判定方法
JPS6158821B2 (ko)
JP2000347312A (ja) 写真フィルム向きの判定方法
JPH01267627A (ja) ピースネガのコマ番号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