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095B1 -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095B1
KR100187095B1 KR1019960038717A KR19960038717A KR100187095B1 KR 100187095 B1 KR100187095 B1 KR 100187095B1 KR 1019960038717 A KR1019960038717 A KR 1019960038717A KR 19960038717 A KR19960038717 A KR 19960038717A KR 100187095 B1 KR100187095 B1 KR 10018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cargo
spade
loaded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283A (ko
Inventor
김동구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3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095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 흙, 자갈 등이 트럭의 적재함에 고루 적재되게 함으로써 낙하되는 화물에 의해 환경의 오염 및 추락 사고 등을 예방 할 수 있게 한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1)의 양측 상단을 따라 길게 설치된 가이드레일부(10)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러(20)와, 양단이 각각 상기 이동롤러(20)와 연결되어 적재함(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스페이드부재(30)를 포함하며, 특히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이동되는 스페이드부재(30)가 적재된 화물(흑, 자갈, 모래등)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화물을 고루 적재함으로써 화물의 낙하를 예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럭의 적재함에 실려지는 흙, 돌, 모래 등이 적재함에 고루 적재되게 함으로써 주행시 화물의 낙하를 최대한 예방하여 도로의 오염이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트럭의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덤프트럭 등의 적재함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물건들이 실려지며, 그중에서도 덤프트럭의 적재함에는 공사장과 관련된 흙, 모래, 자갈 등이 포크레인이나 기타 중장비에 의해 적재된다.
그러나, 상기 포크레인은 특성상 흙, 모래, 자갈 등과 같은 화물을 트럭의 적재함에 골고루 적재하지 못하여 적재화물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여러 위험 요소를 내포하였다.
예로,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는 포크레인은 한 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함에 따라 적재된 화물이 적재함의 일측으로 치우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적재된 화물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차량의 주행중 도로로 낙하되는 경우는 어렵지 않게 발견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로로 낙하되는 흙, 모래, 자갈 등은 도로 환경을 오염 할 뿐만 아니라 후속 차량에 추락될 경우 사고를 유발하게 하였다.
즉, 종래의 트럭에는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분산하여 줌으로써 주행중 화물이 추락/낙하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 및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써, 트럭의 적재함에 실리는 흙, 모래, 자갈과 같은 화물이 치우침이 없이 적재함에 고루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재함의 양측 상단을 따라 길게 설치된 가이드레일부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좌우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적재함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롤러와, 양단이 각각 이동롤러와 연결됨으로써 모터의 구동과 함께 적재함의 전후를 이동하는 스페이드부재로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드장치가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3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재함 10 : 가이드레일부
20 : 이동롤러 30 : 스페이드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시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드장치가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3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드장치는 크게 가이드레일부(10), 이동롤러(20), 스페이드부재(30),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레일부(10)는, 제1도에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된 것처럼, 적재함(1)의 상단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 삽입된 이동롤러(2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부(10)는 적재함(1)의 최상단 보다는 약간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롤러(2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롤러(20)가 구동되어 이동되는 것은 일반적인 천정크레인이 작동되는 것과 유사하며,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일측의 이동롤러(20)에만 설치되거나 혹은 보다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할 경우 이동롤러(20)의 양측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이드부재(30)는 상기 적재함(1)의 양측에 위치된 가이드레일부(10)에 삽입/이동되는 이동롤러(20)와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이동과 함께 적재함(1)에 적재된 모래, 흙, 자갈과 같은 화물의 높이를 분산하여 줌으로써 적재함의 화물이 치우침없이 적재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스페이드 부재(30)는 적재함(1)의 화물을 고루 분산 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며, 자갈이나 진흙과 같은 화물의 경우를 대비하여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페이드부재(30)는 상기 이동롤러(20)가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적재함(1)의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되면서 적재함(1)에 적재된 화물을 골고루 펼쳐주게 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드장치는, 제3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T는 트럭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트럭에 화물이 적재된 후 운전자가 스위치를 작동하면 구동모터(미도시)는 작동하여 가이드레일부(10)의 이동롤러(20)를 구동하게 된다.
구동되는 이동롤러(20)는 연결된 스페이드부재(30)를 적재함의 전후로 이동하여 줌으로써 적재된 화물의 높이를 깍음과 동시에 화물을 적재함에 고루 적재/분산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공사장 등에서 발생되는 흙더미나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모래, 자갈 등의 화물을 실어나르는 덤프 트럭(T)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화물을 포크레인을 사용하여 적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포크레인이 한 번 화물을 적재함(1)에 적재하면 상기 스페이드장치의 상기 스페이드부재(30)가 즉시 적재함(1)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화물을 적재함(1)에 골고루 펼쳐주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는 트럭의 적재함에 실려지는 모래, 흙, 자갈과 같은 화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줌으로써 화물의 적재 효율을 중대하고, 트럭이 화물을 싣고 질주하더라도 화물의 낙하를 예방하여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

  1. 적재함의 양측 상단을 따라 길게 설치된 가이드레일부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적재함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롤러와, 양단이 각각 상기 이동롤러와 연결/고정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 변동에 의해 적재화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페이드부재로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KR1019960038717A 1996-09-06 1996-09-06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KR10018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717A KR100187095B1 (ko) 1996-09-06 1996-09-06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717A KR100187095B1 (ko) 1996-09-06 1996-09-06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283A KR19980020283A (ko) 1998-06-25
KR100187095B1 true KR100187095B1 (ko) 1999-04-01

Family

ID=1947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717A KR100187095B1 (ko) 1996-09-06 1996-09-06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0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283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569A (en) Groomer attachment for forklifts
US6007271A (en) Ground pressure distribution mat and method of use
US10486920B2 (en) Transfer systems for receiving and conveying material
US10308158B2 (en) Utility trailer with movable bed
US20070252411A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articulated running gear
EP1103452B1 (en) Self-propelled dump trailer with fixed platform
EP3049268B1 (d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muldenkipper oder truck, mit elektroantrieb
KR100187095B1 (ko) 트럭 적재함용 스페이드장치
DE19855733A1 (de) Schienen-Niederflurwagen für Glasgestelle
EP0826581A1 (de) Lenkbare Lafette zur Aufnahme eines Raupenkettenfahrzeuges
US4136992A (en) Method of stabilizing ground of low bearing capacity, and a stabilizing un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0139700Y1 (ko)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CA2125586C (en) Groomer attachment for forklifts
KR102614231B1 (ko) 도로 공사현장용 안내표지판 자동설치시스템
JP4798596B2 (ja) 長尺資材運搬装置
KR200145912Y1 (ko) 텀프트럭의 적재물 낙하비산방지 덮게장치
GB2118599A (en) Scabbler
WO1998057831A1 (de) Heckabstützung für schwerlastfahrzeug mit selbstladeeinrichtung
KR200190924Y1 (ko) 덤프트레일러
KR200228077Y1 (ko) 세이프티로더 차량의 적재함 조작레버
DE10117583B4 (de) Straßenfertiger
DE2821461A1 (de) Als lastkraftwagen oder lkw- anhaenger, insbesondere auflieger ausgebildetes fahrzeug fuer den schuettguttransport
DE10353383A1 (de) Gabelförmiges Lastaufnahmemittel
KR0152403B1 (ko) 휠로더의 버켓보조 상승장치
AU765645B2 (en) Fixed platform self-propelled trailer d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