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612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612B1
KR100186612B1 KR1019960022057A KR19960022057A KR100186612B1 KR 100186612 B1 KR100186612 B1 KR 100186612B1 KR 1019960022057 A KR1019960022057 A KR 1019960022057A KR 19960022057 A KR19960022057 A KR 19960022057A KR 100186612 B1 KR100186612 B1 KR 100186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data
recovered
wri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974A (ko
Inventor
김규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612B1/ko
Publication of KR98000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1Buffering arrangements using storage descriptor, e.g. read or write po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무선 통신 시스템의 디지탈 데이타 수신 장치에 적합한 피포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복원된 복원 클럭의 위상이 시스템 내부의 국부 클럭의 위상의 어느 영역에 존재하더라도 지터에 의한 패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데이타 수신 장치를 제공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와 상기 데이타로부터 복원된 복원 클럭 및 이에 동기된 국부 클럭과 기록 어드레스의 입력에 응답하여 외부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독출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독출하는 메모리와, 클리어 신호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되며 클럭의 입력을 카운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기록 포인터와, 상기 국부클럭의 제1에지와 복원 클럭의 제1에지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간격에 따라 상기 복원 클럭과 상기 수신 데이타 혹은 반전된 클럭과 지연된 수신 데이타를 상기 기록 포인터와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록 제어 유니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메모리 제어 회로.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피포의 구성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피포의 기록 및 독출 제어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들.
제3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데이타 수신 장치의 문제점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포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 클럭과 국부 클럭간의 위상 차이에 의한 위상 영역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에지 사이 검출기 18 및 카운터 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
제7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도의 동작 타이밍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피포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데이타로부터 클럭을 복원하여 메모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시스템에서 데이타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피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탈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시스템의 내부로 정합 하기 위한 데이타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데이타 수신 장치는 피포(FIFO)등과 같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피포의 역할은 전송 채널, 예를 들면 무선 채널의 데이타 지연이나 왜곡(Distortion)등으로 데이타로부터 복원된 클럭에 포함된 지터(Jitter)에 의해 불필요한 데이타가 삽입(insertion)되거나 수신된 데이타 열에서 필요한 데이타가 삭제(deletion)되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피포가 없다면, 복원 클럭에 포함된 지터 성분에 의해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로 입력되는 데이타는 불필요 데이타의 삽입 혹은 필요 데이타가 삭제된 상태로 입력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피포를 이용하는 데이타 수신 시스템은 수신된 데이타로 부터 복원된 복원 클럭을 카운터 하여 기록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기록 포인터에 의해 피포에 데이타를 기록한다. 데이타를 독출 시에는 국부 클럭을 카운팅하여 독출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독출 포인터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의해 데이타를 독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록 포인터와 독출 포인터의 어드레스 포인터를 달리하여 지터 성분에 의한 데이타의 삽입과 삭제 등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피포 제어회로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피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참조 부호 12는 기록 포인터로서 복원 클럭 RC를 카운팅하여 기록 어드레스 WA를 발생한다. 그리고 14는 상기 기록 어드레스 WA의 입력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록 데이타 WD를 상기 기록 어드레스 WA의 영역에 저장하고, 독출 어드레스 RA가 지정하는 데이타를 독출 하는 피포이다.
참조 번호 16은 국부 클럭 LSOC를 카운팅하여 상기 피포 14의 독출 어드레스 RA를 공급하는 독출 포인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수신 데이타 RVD는 일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복조된 데이타이다. 그리고, 복원 클럭 RC라함은 상기 수신 데이타 RVD로부터 복원된 클럭을 말한다. 국부 클럭 LOSC라함은 시스템 자체의 발진기로부터 발진된 클럭을 상기 복원 클럭 RC와 위상 동기 시킨 클럭으로 복원 클럭과 일정한 위상 관계를 갖는다. 클리어 신호 CLR은 상기 기록 포인터 12와 독출 포인터 16을 주기적으로 클리어(Clear)시키는 신호로 무선 환경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이나 페이딩(Fading)등의 영향으로 피포 14의 기록 포인터 12의 값이 엉뚱한 값으로 되지 않도록 데이타 수신이 없는 구간에 주기적으로 두개의 포인터를 정열 시키는 신호이다.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피포의 기록 및 독출 제어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클리어 신호 CLR이 로우로 되어 클리어시 기록 포인터 12의 출력은 2, 독출 포인터 16의 출력은 0으로 맞추어져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그리고, 피포 14의 사이즈는 4로서 포인터는 0∼3의 범위에서 변화된다고 가정하게 그려진 것이다. 상기에서 제2A도는 시스템의 국부 클럭 LOSC의 상승 에지(Rising Edge)와 복원 클럭 RC의 하강 에지에 동기 되어진 정상 상태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2B도와 제2C도는 복원 클럭 RC와 국부 클럭 LOSC간의 위상이 거의 같은 상태, 예를 들면 복원 클럭 RC의 상승 에지와 국부 클럭 LOSC의 에지가 동기된 비정상적인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지터 성분으로 인해 임의의 구간에서 복원 클럭 RC이 국부 클럭 LOSC 보다 약간 앞서거나 뒤진 상태에서의 피포 14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데이타 수신 장치의 문제점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는 일정한 절대시간, 즉 클리어 신호 CLR과 클리어 신호 CLR의 구간 내에서 스크램블(Scramble)된 데이타를 디스크램블시 지터 등에 의해 디스크램블의 포인터가 변화되어 디스크램블을 잘못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A도, 제2B도, 제2C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구성된 피포 제어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제1도와 같은 시스템에 제2A도와 같은 클리어 신호 CLR이 입력되면, 기록 포인터 12와 독출 포인터 16의 출력은 앞에서 이미 가정한 바와 같이 2와 0으로 각각 세트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2A도에 도시된 복원 클럭 RC와 이에 위상 동기된 국부 클럭 LOSC가 기록 포인터 12와 독출 포인터 16으로 각각 공급되면, 상기 기록 포인터 12는 상기 복원 클럭 RC의 하강 에지에서 기록 어드레스 WA를 초기의 값 2에서 3으로 증가시킨다. 이때 피포 14는 상기 기록 포인터 12의 기록 어드레스 WA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입력되는 기록 데이타 WDi(여기서 i는 1,2,3 등의 자연수)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기록 어드레스 3에 수신된 기록데이타 WDi를 기록한다. 독출은, 독출 포인터 16으로부터 출력되는 독출 어드레스 RA에 의해 저장된 데이타를 독출 함으로써 국부 클럭 LOSC의 입력을 카운팅하는 독출 포인터 16의 값이 3으로 되어졌을 때 기록된 데이타 WDi를 독출하여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BBP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제1도와 같은 시스템은 복원 클럭 RC와 국부 클럭 LOSC간의 위상이 거의 동일할 때 피포 14의 독출 타이밍에 많은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를 제2B도와 제2C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2B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면 복원 클럭 RC은 국부 클럭 LOSC과 거의 위상이 같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복원 클럭 RC는 지터성분으로 인해 어떤 구간에서는 복원 클럭 RC의 위상이 국부 클럭 LOSC의 위상보다 약간 앞서고, 어떤 구간에서는 약간 뒤질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지터 성분으로 인하여 복원 클럭 RC의 위상이 제2B도와 같이 국부 클럭 LOSC의 위상보다 앞선 경우, 피포 14의 데이타 독출은 절대시간 클리어 신호 CLR의 센타(Center)로부터 3클럭 뒤에 출력된다. 왜냐하면 로우의 클리어 신호 CLR의 센타에 의해 클리어된 기록 포인터 12의 출력은 초기 2로 설정되고, 복원 클럭 RC의 폴링 에지에 의해 기록어드레스 WA가 3으로 증가되기 때문이다. 만약, 제2C도와 같이 복원 클럭 RC이 위상이 국부 클럭 LOSC의 위상보다 뒤질 때에는 클리어 신호 CLR의 센타로 부터 4클럭 뒤에 피포 14로부터 독출 데이타 RD가 출력된다. 왜냐하면, 초기 클리어 신호 CLR에 의해 2로 설정된 기록포인터 12의 출력은 클리어 신호 CLR이 하이로 복구되기 전에 폴링 에지로 천이 되는 복원 클럭 RC에 의해 기록 어드레스 WA가 3으로 증가하고 피포 14는 기록 포인터 12로부터 출력되는 기록 어드레스 WA가 0로 되었을 때 기록 데이타를 기록함으로서 데이타의 독출은 독출 포인터 16의 출력이 0으로 되었을 때 출력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피포 1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패킷 단위로 처리하였을 때 악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피포 14의 출력을 입력하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BBP가 스크램블링 기능을 보유하고 있을 때 디스크램블링의 기능을 정확히 할 수 없는 문제가 야기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어 신호 CLR의 절대시간에서 일정 시간 뒤에 스크램블링 한다면 디스크램블링시 패킷에 따라 디스크램블링 포인터 dsp가 1비트 어긋난 패킷이 존재하게 되고, 이는 디스크램블링에 의해 데이타가 완전히 엉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3도의 dsp1과 같이 패킷의 32번째 비트부터 디스크램블링 된다고 하면, 제2B도, 제2C도와 같은 현상에 의해 dsp2와 같이 33번째 비트부터 디스크램블링 하는 패킷이 존재하게 되어 데이타 복원을 정확히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복원된 복원 클럭의 위상이 시스템 내부의 국부 클럭의 위상의 어느 영역에 존재하더라도 지터에 의한 패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피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터에 의한 복원 클럭의 위상 변화를 검출하여 메모리의 기록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기의 출력을 제어하여 지터에 의해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포와 복원 클럭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피포의 기록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기록 포인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지터 성분에 의해 복원 클럭의 위상이 변화 시에 기록 포인터로 공급되는 클럭의 위상을 변화시켜 기록 어드레스의 발생을 안정하게 하여 데이타의 에러를 방지하는 데이타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와, 상기 수신되는 데이타로부터 복원된 복원 클럭과 시스템내에서 발진되어 상기 복원 클럭에 위상 동기된 국부 클럭을 가지고 상기 데이타를 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타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어드레스의 입력에 응답하여 외부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독출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독출하는 메모리와, 클리어신호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되며 클럭의 입력을 카운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기록 포인터와, 상기 국부 클럭의 제1에지와 복원 클럭의 제1에지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간격에 따라 상기 복원 클럭과 상기 수신 데이타 혹은 반전된 복원 클럭과 지연된 수신 데이타를 상기 기록 포인터와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록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에서 전술한 도면상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은 것들에는 그것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수신 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의 구성을 참조하면 국부 클럭 LOSC와 복원 클럭 RC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상차에 따라 기록 포인터 12의 기록 어드레스 WA 즉, 포인터의 증가를 복원 클럭 RC의 라이징에서 실행시킬 것인가 혹은 폴링에지에서 실행시킬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록 제어 유니트 WCU가 전술한 제1도의 구성에 더 부가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 클럭과 국부 클럭간의 위상 차이에 의한 위상영역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국부 클럭 LOSC의 제1에지 예를 들면 라이징 에지를 중심으로 영역이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부 클럭 LOSC의 제1에지를 센터로 하여 영역1로 설정하고, 상기 영역 1로부터 일정 거리 간격에 따라 영역2와 영역3으로 구분한다. 복원 클럭 RC의 제1에지 예를 들면 라이징 에지가 상기 영역1에 있다면 기록 포인터의 증가 시점을 폴링에지에서 라이징 에지로 변경한다. 그리고, 상기 복원 클럭 RC의 제1에지가 상기 영역3에 있다면 기록 포인터의 증가 시점을 폴링에지로 한다. 영역 2에 있다는 경우에는 그전의 상태를 따라가게 한다. 이와 같이 기록 포인터에 제공되는 복원 클럭 RC의 에지를 변화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되며, 이는 후술하는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에지 사이 검출기 18 및 카운터 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 이다. 제6도에서 HCLK는 고주파수 클럭(High frequency clock)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이며, 이외의 신호들은 제4도의 각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신호들에 의한 타이밍 및 카운터 20의 동작 구간 CNT-E에 상기 클럭 HCLK를 카운팅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도의 동작 타이밍도 이다.
상기 제7A도 및 제7B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건하에서 작성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들의 도면은 제2B도와 제2C도와 같이 지터 성분으로 인해 임의의 구간에서 복원 클럭 RC이 국부 클럭 LOSC보다 약간 앞서거나 뒤진 상태에서의 피포 14의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도의 동작을 제5도, 제6도 및 제7A도 및 제7B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제4도와같은 시스템이 동작되면 제6도와 같이 절대시간의 클리어신호 CLR의 센타에 라이징 에지가 동기된 국부 클럭 LOSC와, 데이타로부터 복원된 복원 클럭 RC은 기록 제어 유니트 WCU내의 에지 사이 검출기 18로 입력된다.
상기 에지 사이 검출기 18은 입력된 두 클럭의 제1에지들, 예를 들면 라이징에지들의 사이 간격을 검출하여 제6도 CNT-E와 같은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국부 클럭 LOSC와 복원 클럭 RC들의 라이징 에지 사이 동안 하이로 천이되는 신호 CNT-E를 출력한다. 상기 하이상태의 인에이블 신호 CNT-E는 카운터 20의 홀드(hold)를 해제한다.
상기 카운터 20은 상기 인버터 17에 의해 하이의 반전된 클리어 신호에 의해 클리어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 20은 상기 클리어 신호 CLR과 상기 인에이블 신호 CNT-E가 모두 하이인 구간에서 동작되어 제6도와 같이 클럭 단자로 입력되는 고주파수 클럭 HCLK를 카운팅한다. 상기 카운터20은 국부 클럭 LOSC의 라이징 에지와 복원 클럭 RC의 라이징 에지간의 위상차에 대응한 디지탈 값을 출력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제5도와 같이 복원 클럭 RC의 라이징 에지가 국부 클럭 LOSC의 한 주기 내의 어느 영역에 검출하기 위한 기초정보이다. 상기와 같이 카운팅된 값은 클리어 신호 CRL이 하이로 되어 카운터 20이 클리어될 때까지 유지되며 클리어 신호 CLR이 하이로 될 때 비교기 22내의 레지스터에 래치 된다.
상기 비교기 22에는 미리 설정된 제1드레쉬홀드(Threshold)값 TH1과 이 보가 크게 설정된 제2드레쉬홀드 값 TH2가 설정되어 있다. 이때, 제1드레쉬홀드 값 TH1은 제5도의 영역1과 영역2의 경계 값이며, 제2드레쉬홀드 값 TH2는 영역2와 영역3의 경계 값이다. 상기 비교기 22는 카운터 20으로부터 출력된 카운트값 Y가 제2드레쉬홀드 값 TH2값 보다 큰가 또는 제1드레쉬홀드 값 TH1보다 작은가 아니면, 제1드레쉬홀드 값 TH1과 제23드레쉬홀드 값 TH2의 사이에 위치되는 값인가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선택 로직 24로 출력한다.
상기 선택 로직 24는 상기 비교기 22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따라 출력 노드에 접속된 멀티플렉서 26,30의 선택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비교기 22의 출력이 YTH1인 경우 출력 노드로 로직 1을 출력하며, TH2Y인 경우에는 출력 노드로 로직 0을 출력하며, TH1YTH2인 경우에는 이전에 출력하고 있는 값 1혹은 0의 값을 출력한다.
상기 선택 로직 24의 출력이 1일 경우에는 멀티플렉서 26,30들은 단자 A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0인 경우에는 단자 B의 입력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멀티플렉서 26의 단자 A에는 복원 클럭 RC에 집적접속되어 있으며, 단자 B는 복원 클럭 RC에 입력 노드가 접속된 인버터 25의 출력 노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멀티플렉서 30의 단자 A는 수신 데이타 RVD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자 B는 상기 수신 데이타 RVD를 상기 복원 클럭 RC에 의해 지연하는 래치 28의 출력 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선택 로직 24의 출력이 0일 경우에는 복원 클럭 RC의 라이징 에지가 국부 클럭 LOSC의 영역1에 위치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플렉서, 26,30들은 단자 A로 입력되는 복원 클럭 RC와 수신 데이타 RVD를 각각 선택하여 피포 14의 기록 데이타 WD와 기록 포인터 12의 클럭원으로 공급한다.
즉, 기록 포인터 12는 복원 클럭 RC의 폴링에지에서 동작되는 노말 모드로 동작되어 피포 14의 데이타 기록 및 독출 동작은 제2A도와 같이 동작된다.
만약, 선택 로직 24의 출력이 1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복원 클럭 RC의 라이징 에지가 국부 클럭 LOSC의 영역3에 위치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플렉서 26,30들은 상기 선택 로직 2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신호 1에 의해 단자 B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선택 로직 24의 출력이 1로 출력되는 경우, 복원 클럭 RC의 폴링에지에서 유효하게 수신되는 데이타는 라이징 에지에서 유효한 데이타로 바뀌어 피포 14의 기록 데이타 WD로 공급되고, 기록 포인터 12는 복원 클럭 RC의 라이징 에지에서 기록 포인터를 증가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국부 클럭 LOSC와 복원 클럭 RC의 위상이 어떠한 값을 가지더라도 피포 14의 독출 데이타는 일정한 시간 지연을 가지고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BBP로 공급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국부 클럭 LOSC와 복원 클럭 RC의 위상이 비슷하지 않은 경우에는 복원 클럭에 의해 증가되는 기록 포인터의 기록 어드레스에 의해 데이타를 피포에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국부클럭 LOSC와 복원 클럭 RC의 위상이 비슷할 경우 기록포인터의 기록 어드레스 증가 시점을 복원 클럭 RC의 폴링에지에서 라이징 에지로 변경하여 지터에 의한 패킷의 흐들림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원 클럭과 국부 클럭간의 위상차에 관계없이 수신 데이타의 기록 및 독출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지터에 의한 패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에서 매 패킷마다 흔들림을 조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와 상기 수신되는 데이타로부터 복원된 복원 클럭과 시스템 내에서 발견되어 상기 복원 클럭에 위상 동기된 국부 클럭을 가지고 상기 데이타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에 있어서,
    기록 어드레스의 입력에 응답하여 외부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독출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독출 하는 메모리와,
    클리어 신호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되며 클럭의 입력을 카운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기록 포인터와,
    상기 국부 클럭의 제1에지와 복원 클럭의 제1에지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간격에 따라 상기 복원 클럭과 상기 수신 데이타 혹은 반전된 복원 클럭과 지연된 수신 데이타를 상기 기록 포인터와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록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 유니트는, 상기 국부 클럭의 에지와 상기 복원 클럭의 에지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에지 사이검출기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주기 동안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을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팅된 값을 미리 설정된 제1드레쉬홀드 값과 이값보다 크게 설정된 제2드레쉬홀드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카운팅된 값이 상기 제1드레쉬홀드 값 보다 적을 때 응답하여 상기 복원 클럭과 상기 수신 데이타를 기록 포인터 및 상기 피포의 기록 데이타로 공급하고, 상기 카운팅된 값이 상기 제2드레쉬홀드 값보다 클 때 응답하여 반전된 복원 클럭과 지연된 수신 데이타를 상기 기록 포인터 및 상기 피포의 기록 데이타로 공급하는 선택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상기 기록 포인터가 클리어되는 기간 내에 인에이블 신호의 발생 주기 동안 입력되는 클럭을 카운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클리어 신호의 입력에 의해 클리어되는 기록 포인터가 동작시에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래치 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제2드레쉬홀드 값들과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KR1019960022057A 1996-06-18 1996-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KR10018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057A KR100186612B1 (ko) 1996-06-18 1996-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057A KR100186612B1 (ko) 1996-06-18 1996-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974A KR980006974A (ko) 1998-03-30
KR100186612B1 true KR100186612B1 (ko) 1999-05-15

Family

ID=1946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057A KR100186612B1 (ko) 1996-06-18 1996-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6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974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017B1 (ko) 다수의 스테이션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클럭와이어와 데이타 와이어를 포함하는 2와이어 버스 시스템
KR100337052B1 (ko) 동기화된 독출 포인터 및 기록 포인터를 갖는 2 중 포트 fifo
US5323426A (en) Elasticity buffer for data/clock synchronization
JP2000031951A (ja) バースト同期回路
US7143312B1 (en) Alignment of recovered clock with data signal
US6400785B1 (en) Signal resynchronization apparatus having capability to avoid data corruption
EP0375125A2 (en) High speed digital data correlator having a synchronous pipe lined full adder cell array
US20030132783A1 (en) Clock switching circuitry for jitter reduction
US6525980B1 (en) High speed FIFO synchronous programmable full and empty flag generation
KR10018661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피포
US6907541B1 (en) System for recovering received data with a reliable gapped clock signal after reading the data from memory using enable and local clock signals
US6587942B1 (en) Circuit for converting input serial data in a plurality of possible formats into output data in parallel format by interpreting input data format indication information
EP0493138B1 (en) Memory circuit
GB1481581A (en) Communication network
US69468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and aligning synchronous data of multiple phase-misaligned groups of bits into a single synchronous wide bus
JP3637014B2 (ja) クロック同期はずれ検出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光受信装置
US64246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ynchronous data
US6577169B1 (en) Clock selection circuit for eliminating short clock signal generated when switching clock signals produced by one clock generator to another clock generator
US7116599B1 (en) High speed FIFO synchronous programmable full and empty flag generation
US5121392A (en) Synchronous to non-synchronous data line pair interface apparatus
US20030053585A1 (en) Overflow detector for FIFO
US4212038A (en) Double density read recovery
SU14117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пр жени между абонентами
JP2800808B2 (ja) 拡散符号の位相シフト回路
KR900009356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재생시 지터 흡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