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744B1 - 경화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경화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44B1
KR0185744B1 KR1019960005184A KR19960005184A KR0185744B1 KR 0185744 B1 KR0185744 B1 KR 0185744B1 KR 1019960005184 A KR1019960005184 A KR 1019960005184A KR 19960005184 A KR19960005184 A KR 19960005184A KR 0185744 B1 KR0185744 B1 KR 0185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hardening
outlet
coin
hold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242A (ko
Inventor
요리오 스즈카와
요시아키 미즈다
Original Assignee
아베 히로시
아사히 세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베 히로시, 아사히 세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베 히로시
Publication of KR96003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고, 경화를 2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경화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경화 반송 장치에 설치된 제1경화 출구에인접하는 제2경화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1경화 출구와 상기 제2경화 출구의 사이에 출구 전환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출구 전환 수단이 전환되어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쪽의 경화 출구에서 경화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경화 반송 장치
제1도는 경화 송출 장치에 장착된 제1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4도는 제2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를 이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5도는 제3실시예 및 제4도에 도시된 경화 반송 장치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개략도.
제6도는 회전 롤러가 통로판에 설치된 제1안내로에 장착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경화 반송 장치 B-B 선상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개략도.
제8도는 제4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9도는 제4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10도는 제4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11도는 제5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12도는 제5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13도는 제5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14도는 제6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15도는 제6실시예의 경화 반송 장치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화 반송 장치 2 : 통로판
3 : 경화 통로 4,5 : 커버판
6,7 : 측판 7a : 경사단면
8 : 경화 입구 9 : 상단부
10 : 제1경화 출구 11 : 제2경화 출구
12 : 출구 전환 수단 13 : 경화 안내 수단(회전롤러)
13a : 경사면 14,48 : 제1안내로
15,49 : 제 2 안내로 17 : 복귀 수단
19 : 롤러축 22 : 연결로
23 : 제1유지 위치 24 : 제2유지 위치
30 : 경화 송출 수단 35,36 : 경화 안내핀
38,39,45 : 솔레노이드 46 : 전환 아암
47 : 삼각링 50 : 연결로
55 : 안내판 57 : 안내구멍
58 : 고정 나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경화 송출 장치에 접속되어 경화를 반송하는 경화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 판매기를 비롯한 양체기(兩替機)나 각종 게임기 등에 들어가는 경화 송출 장치에 접속되는 경화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지금까지의 경화 반송 장치로서, 예를들면, 미국 특허 제4, 518, 00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는 전면판과 배면판에 의해 끼워진 좌우의 측판에 의해 형성된 경화 통로가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측판에 경화 출구가 개구되어 있다. 경화 송출 장치에 의해 그 하단으로부터 들어가는 경화는 상단의 경화 출구의 경화 통로 내에 설치되어 있다가 이젝터에 의해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경화 반송 장치가 경화를 배출할 때에 장치가 사용되는 자동판매기등의 내부 구조나, 장치가 설치되는 경화 송출 장치의 설치 위치 등의 차이에 따라서 배출 방향이 달라지는 것이 요구될 경우가 많다. 즉, 내부구조 등의 제약에서, 경화 반송 장치의 정면에서 보아서 우측으로 경화를 배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와, 반대로 좌측으로 배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경화 반송 장치는 경화 출구가 한쪽(상기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는 우측)의 측판에만 개구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장치의 좌측으로 경화를 배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좌측 배출용의 전면판과 배면판 및 좌우의 측판을 현재의 것과 별개로 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에서는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고 대단히 비경제적이다. 또한, 장치를 조립할 때에 우측으로 배출하는 장치인지 아니면 좌측으로 배출하는 장치인지를 조립하는 사람이 주의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또한, 장치가 출하된 후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이 배출 방향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그 요구에 따를 수가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에 있다. 즉, 예를 들면 우측용 부품과 좌측용 부품 등과 같이 2 방향으로 배출하는 부품을 각각 별개로 제조하지 않고서, 단일의 부품을 제조하는 것만으로도 경제적이고, 장치의 조립에 편리하며, 장치 출하시에도 용이하게 경화의 배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경화의 배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경화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자는 단일의 부품의 2 방향, 예를 들면, 좌우 양방향을 모두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착안하여, 경화 반송 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1항의 경화 반송 장치의 특징
통로판(2)과, 상기 통로판(2)을 따라서 형성된 경화 통로(3)를 포함하고, 경화 송출 수단(30)에 의해 상기 경화 통로(3)의 제1방향에 형성된 경화 입구(8)로 들어간 경화(C)를 반송하여 상기 경화 입구(8)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1경화 출구(10)로부터 제2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경화 반송 장치(1)에 있어서, 제3방향으로 경화를 배출하기 위한 제2경화 출구(11)가 상기 제1경화 출구(10)에 인접하게 상기 경화 통로내에 제공되고, 제1경화 출구(10)와 제2경화 출구(11)의 사이에 출구 전환 수단(12)이 설치되고, 상기 출구 전환 수단(12)이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1경화 출구(10) 또는 상기 제2경화 출구(11) 중 어느 한쪽으로 상기 경화(C)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제3 방향은 서로 다르고, 경화의 배출은 연속되는 경화에 의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즉, 경화 입구로부터 경화 송출 수단에 의해 들어간 경화가 경화 통로내에서 경화 출구를 향하여 상승하고, 그 후 전환 수단이 전환되는 것에 의해 선택된 제1경화 출구 또는 제2경화 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경화 송출수단」이라는 것은 경화 입구로부터 경화 통로내로 경화를 보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며, 그러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본 출원인의 출원에 걸리는 특공소 62-45588호 공보나 특공소 63-3604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제2항의 경화 반송 장치의 특성
통로판(2)과, 상기 통로판(2)을 따라서 형성된 경화 통로(3)를 포함하고, 경화 송출 수단(30)에 의해 상기 경화 통로(3)의 경화 입구(8)로 들어간 경화(C)를 반송하여 상기 경화 입구(8)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1경화 출구(10)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경화 반송장치(1)에 있어서, 제2경화 출구(11)가 상기 제1경화 출구(10)에 인접하게 상기 경화 통로내에 제공되고, 제1경화 출구(10)와 제2경화 출구(11)의 사이에 출구 전환 수단(12)이 설치되고, 상기 출구 전환 수단(12)이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1경화 출구(10) 또는 상기 제2경화 출구(11)중 어느 한쪽으로 상기 경화(C)를 안내하며, 경화 안내 수단(13)이 상기 출구 전환 수단이 통로판에 부착되거나 상기 통로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제굉되며,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이 상기 통로판(2)에서의 상기 제2유지 위치(24)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경화 출구(10)로 상기 경화(C)를 안내하는 한편, 상기 제1유지 위치(23)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2경화 출구(11)로 상기 경화(C)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환 수단으로서 경화 안내 수단이 이용될 경우는 통로판에서의 제2유지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 제1경화 통로로 경화를 안내하는 한편, 제1유지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 제2경화 통로로 경화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됨으로써, 단일의 부품에 의해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경화를 안내할 수 있다.
제3항의 경화 반송 장치의 특징
제2항의 경화 반송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 위치(23)와 상기 제2유지 위치(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로(22)가 상기 통로판(2)에 설치되며,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이 상기 통로판(2)에 설치된 채로 상기 연결로(22)를 상기 제1유지 위치(23)와 상기 제2유지 위치(24) 상호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로가 설치된 경우는 경화 안내 수단이 통로판에 설치된 채로 연결로 를 따라 제1유지 위치와 제2유지 위치 상호간을 이동함으로써 출구 전환 수단이 전환되며 이에 따라 경화 배출 방향이 전환된다. 결국, 경화 안내 수단을 통로판에서 떼어내지 않아도 배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제4항의 경화 반송 장치의 특성
제2항의 경화 반송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 위치(23)는 제1안내로(14)에 제공되고, 상기 제2유지 위치(24)는 제2안내로(15)에 제공되며,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은 상기 경화(C)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안내로(15)를 따라 상기 제2유지 위치(24)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2경화 출구(11)를 폐쇄하거나, 상기 경화(C)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안내로(14)를 따라 상기 제1유지 위치(23)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경화 출구(10)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안내로 및 제2안내로가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는 경화 안내 수단이 경화에 의해 제2경화 안내로를 따라 제2유지 위치로부터 이동되게 함으로써 제2경화 출구를 개폐한다. 한편, 전환 수단이 전환된 경우는 경화 안내 수단이 경화에 의해 제1안내로를 따라 제1유지 위치로부터 이동되게 함으로써 제1경화 출구를 개폐한다. 여기서 다시 전환 수단이 전환되면 전자의 경우로 되돌아간다.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폐쇄되지 않은 제1경화 출구에서 경화가 배출되며,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폐쇄되지 않은 제2경화 출구에서 경화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항의 경화 반송 장치의 특징
제4항의 경화 반송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경화(C)에 의해 이동된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이 상기 경화(C)의 통과 후에 자중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는 원래의 위치까지 경화 안내 수단의 자중에 의해, 즉, 중력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후속하는 경화를 기다리도록 되어 있다.
제8항의 경화 반송 장치의 특징
제2항의 경화 반송 장치(1)에 있어서, 제1안내로(14) 내에 제1유지 위치(23)가 제공되고, 제2안내로(15) 내에 제2유지 위치(24)가 제공되며, 상기 경화(C)에 의해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이 상기 제2안내로(15)를 따라 상기 제2유지 위치(24)에서 이동되어 상기 제2경화 출구(11)를 폐쇄하고, 상기 경화(C)에 의해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이 상기 제1안내로(14)를 따라 상기 제1유지 위치(23)에서 이동되어 상기 제1경화 출구(10)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화(C)가 통과한 이후에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을 원래 위치로 강제적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17)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 수단(17)의 작용에 의해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이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경화(C)를 경화 출구에서 강제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 예
제1실시예
다음으로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서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경화 송출 수단(30)에 설치된 경화 반송 장치(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있는 경화 반송장치(1)의 부분 확대도이다.
경화 반송 장치(1)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판(2)과, 측판(6) 및 측판(7)을 거쳐서 통로판(2)에 대향하여 배치된 커버판(4) 및 커버판(5)에 의해 형성되는 경화 통로(3)로 구성되어 있다. 경화 통로(3)는 경화 통로(3)의 하단 경화 입구(8)에서 경화 송출 수단(30)에 의해 보내진 경화(C)를 염주처럼 연결한 상태로 반송할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경화 통로(3)의 상단에는 통로판(2)이 경화 통로(3)밖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상단부(9)가 설치되어 있다.
상단부(9)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경화 출구(10; 도면의 우측 방향)와, 제2경화 출구(11; 도면의 좌측 방향)와, 제1경화 출구(10)와 제2경화 출구간의 출구 전환 수단(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 수단(12)은 경화 안내 수단(13)을 포함하며, 상기 경화 안내 수단(13)은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제1안내로(14) 또는 제2안내로(15)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는 가동성 부재로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제3도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출구 전환 수단(12)과 함께 설명한다.
경화 안내 수단(13)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화(C)의 외연과 접촉하여 선택된 경화 출구로 경화(C)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그 형태에는 어떤 제한도 없지만 경화(C)와의 접촉 마찰을 경감하기 위해 회전 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롤러(13)도 경화(C)를 배출할 수 있는 형상의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지만,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경화(C)와의 접촉면이 경사져있는 경사면(13a)을 가진 회전 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화 안내 수단」을 「회전 롤러」로 총칭한다.
다음에 제6도 및 제7도에 기초하여 회전 롤러(13)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회전 롤러(13)가 통로판에 설치된 제1안내로에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하고있다. 또한,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B -B 선상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회전 롤러(13)는 경화와 접촉하는 경사면(13a)과 통로판(2)과 접촉하는 보스부(13b)를 갖고, 제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피잔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회전 롤러(13)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 축(19)의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경사면(13a)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화가 접촉했을 때 받는 힘 중에서 회전 롤러(13)를 통로판(2)의 표면에서 분리하려고 하는 방향(제7도의 상향 화살표)의 힘에 대한 반작용(제7도의 하향 화살표)에 의해 경화를 통로판(2)의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또,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부호(7a)는 측판(7)에 설치된 경사 단면이며, 이 경사 단면(7a)은 경사면(13a)과 마찬가지로 경화를 통로판(2)의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또, 측판(6)에도 경사 단면(7a)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경사 단면(6a)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도 및 제3도로 돌아가 제1안내로(14; 도면에서 오른쪽) 및 제2안내로(15; 도면에서 왼쪽)에 관해 설명한다. 양쪽 안내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화와 접촉하는 회전 롤러(13)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회전 롤러(13)가 경화를 배출하기 위해 선택된 경화 출구에 경화(C)를 안내하는 한편, 선택되지 않았던 경화 출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안내로(14) 및 제2안내로(15)는 이와 같은 경화 배출 및 통로 폐쇄 작용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길이가 주어져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양 안내로가 서로 거의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경화(C)의 치수, 경화(C)를 배출할 때의 배출 각도, 측판(7)과 경질의 접촉면(7a)의 형상 등의 관계를 고려해 다른 형태로 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양 안내로를 역 八자형으로 하기도 하고, 제1경화 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경화(C)의 직경과 제2경화 출구(11)로부터 배출되는 경화(C)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는 그 차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측판(7)의 접촉면(7a)과 회전 롤러(13)의 경화 접촉면에 있는 경사면(13a)과의 거리(D)가 배출 경화의 최대 직경 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경화(C)가 회전 롤러(1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제2도 및 제3도에 의거해 출구 전환 수단(12)에 대해 설명한다. 출구 전환 수단(12)은 경화 반송 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경화의 배출 방향을 바꾸기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 롤러(13)와, 제1안내로(14)와 제2안내로(15) 및 제1안내로(14)와 제2안내로(15)를 연결하는 연결로(22)에 의해 출구 전환 수단(12)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2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안내로(15)의 하단(제2유지 위치; 24)에 유지되어 있는 회전 롤러(13)를 연결로(22)를 거쳐 제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안내로(14)의 하단(제1유지 위치; 23)으로 통로판(2)에서 떼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경화 출구(10)로부터 제2경화 출구(11)로 경화의 출구가 바꿔지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판(22)은 제1안내로(14)와 제2안내로(15)를 연결해 그 속을 회전 롤러(13)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좋으나, 제2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연결판과 제1 및 제2안내로에 의해 형성되는 실질적 형태가 예를들면, 역 U 자형, 역 V 자형, H 자형 또는 하향자형 등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작용
다음으로,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경화 출구(10)가 선택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듯이 경화 송출 수단(30)에 의해 경화 반송 장치(1)의 경화 입구(8)로부터 보내온 경화(C)는 경화 통로(3)내에서 상방으로 반송된다. 이때, 최상단에 있는 경화는 제2도에 있어서 제2유지 위치(24)에 유지되어 있는 회전 롤러(13; 이점쇄선)와 접촉한다.
그후, 그 경화(C)는 상단부(9)에 설치된 회전 롤러(13)의 경사면(13a)과 측판(7)의 경사단면(7a)의 협동작용에 의해 통로판(2) 표면에 대해 가압되면서 회전 롤러를 들어올린다. 이때, 회전 롤러(13)는 제2안내로(15)에 따라 상방을 향해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때, 회전 롤러(13)는 경화(C)를 제1경화 출구(10)로 안내하는 한편, 제2경화 출구(11)를 폐쇄해 제2경화 출구로 경화(C)가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
경화를 배출한 후의 회전 롤러(13)는 자중 즉, 중력 작용에 의해 제2안내로(15)에 따라 원위치인 제2유지 위치(24)에 복귀해 후속하는 경화(C)를 기다리게 된다.
경화 출구가 출구 전환 수단(12)에 의해 바꿔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제2안내로(15)내에 있는 제2유지 위치(24)에 유지되어 있는 회전 롤러(13)를 제3도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손과 같이 집어, 그것을 연결로(22)를 거쳐 제1안내로(14)내의 제1유지 위치(23)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제2경화 출구(11)가 선택된 경우도, 회전 롤러(13)의 작용 효과는 제1경화 출구(10)가 선택된 경우와 같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롤러(13)가 제1안내로(14)상을 따라 이동해 경화(C)를 제2경화 출구(11)로부터 배출하고, 그후, 제1유지 위치(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위치)까지 자중에 의해 복귀해 후속하는 경화(C)를 기다리게 된다.
제1실시예의 효과
제1안내로(14) 및 제2안내로(15)의 상호간에 있어서, 어떠한 부품도 교환을 하지 않고 출구 전환 수단(12)의 안내 롤러(13)의 유지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간단하게 경화 출구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환 장치(12)가 설치된 경화 반송 장치(1)만을 제조하는 것으로 단일 부품으로 2 방향으로 배출 가능한 장치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장치의 조립에 편리하다. 또한 장치 출하후에도 쉽게 경화의 배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경사면(13a)과 경사단면(7a)의 협동작용에 의해, 상단부(9)상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단부(9)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고, 상단부(9)에서 경화가 막히는 것이 방지되고, 상단부(9)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경화 반송장치(1)에, 복귀 수단(17)이 설치된 것이다. 제4도는 경화 반송 장치(1)를 뒤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6도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 롤러(13)가 통로판(2)에 설치된 제1안내로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제7도는 제4도에 도시하는 B-B 선상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개략도이다. 또한, 제4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공통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복귀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해 배출 속도가 보다 빠른경화 배출에 대응시키는 등의 목적을 위해, 제4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전 롤러(13)를 강제적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17)이 설치되어 있다. 복귀수단(17)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 통로(3)와 반대측의 통로판(2)에서 그 한 단부가 핀(21)에 고정되고, 나머지 단부가 가동판(18)을 거쳐서 롤러 축(19)에 부착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판(18)은 통로판(2)에 접속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롤러 축(19)은 제6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로판(2)에 설치된 제1안내로(14)를 관통해 가동판(18)의 일단에 설치된 부착공에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한편, 가동판(18)의 다른 단부에 설치된 부착공에는 부착핀(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지고, 부착핀(20)의 선단에는 코일 스프링(17)의 한 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7)의 다른 단부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복귀 수단(17)으로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으나, 회전 롤러(13)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좋고, 회전 롤러(13)에 주는 복귀력의 방향도 상관없다. 즉, 코일 스프링 이외의 스프링, 즉, 길이 등의 형상이 변화함으로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는 기계요소(예를 들면, 판 스프링)와, 체적이 변화함으로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는 고무와 합성수지 등의 탄성체 등을 복귀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롤러(13)를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어도 괜찮다.
또한 스프링은 1개이거나 2개 이상이라도 좋고, 그 부착 장소에 어떠한 제한도 없다.
또한, 회전 롤러(13)에 웨이트를 설치해, 그 중량에 의해 회전 롤러(13)를 강제적으로 원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의 작용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지만, 복귀 수단(17)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점에서 제1실시예와 다르다.
즉,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경화는 코일 스프링(17)의 끌어당기는 힘에 거스르면서 회전 롤러(13)를 밀어 올리고, 올려진 회전 롤러(13)는 경화(C)를 제1경화 출구(11)로 안내한 후에 당기는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원 위치로 복귀된다.
제2실시예의 효과
제1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강제적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자중 낙하에 비해 보다 빨리 원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속하는 경화에 빨리 대처할 수 있고, 그 결과, 배출 효율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롤러(13)가 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치수가 각각 다른 복수 종류의 경화를 배출할 수가 있다. 즉, 어떤 경화와 그 경화보다 직경이 큰(또는 작은)다른 경화를 배출할 경우에, 회전 롤러(13)가 전자와 후자의 수치차에 따라 이동거리가 변화할 뿐, 배출 작용에는 영향이 없다.
제3실시예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었던 복귀 수단(17)이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의 복귀 수단보다 강력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복귀 수단(17)이 회전 롤러(13)를 강제적으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강력한 복귀력을 가질 필요는 없다.
한편, 경화 반송 장치(1)가 조립되어 있는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조로부터 오는 요구와 제약 등에 따라, 배출 경화를 경화 출구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곳까지 방출하는 것을 요구될 경우가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에서 장치의 복귀 수단(17)으로써 복귀력이 강화괸 것을 사용하고 있다. 즉 복귀수단(17)이 스프링과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강화된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작용 효과
기본적으로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하지만,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강화된 복귀 수단(17)에 의해 회전 롤러(13)가 복귀하는 때의 힘에 의해, 경화(C)가 힘 좋게 경화 출구로부터 튀겨내기 때문에, 경화(C)를 경화 출구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곳까지 방출할 수 있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를 제8도 내지 제10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공통하는 부재에 대하여는 그것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모두 경화 반송 장치(1) 상단부(9)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8도는 제1경화 출구(10)로부터 경화(C)를 배출하는 때의 모양을 제8도는 제2경화 출구(11)로부터 경화를 배출하는 때의 모양을 또한 제10도는 제8도 또는 제9도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9도에 도시된 장치에는 제8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8도에 도시된 경화 반송 장치(1)의 상단부(9)에는 출구 전환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 전환 장치(12)에는 회전 롤러(13)를 지지하는 제1유지 위치(23) 및 제2유지 위치(2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롤러(13)가 제2유지 위치(24)에 지지되는 때에 경화가 제1경화 출구(10)로 안내되고, 회전 롤러(13)가 제1유지 위치(23)에 지지되는 때에 경화가 제2경화 출구(11)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로판(2)에 설치된 지지구멍에 회전 롤러(13)의 롤러 축(19)을 관통시키고, 통로판(2)의 외측으로부터 나비나사(도시생략)로 통로판(2)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회전 롤러(13)가 통로판(2)에 고정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같이 고정지지 수단으로서 나사가 사용되고 있지만, 회전 롤러(13)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한 어느 방법이라도 좋다. 필요한 것은 회전 롤러(13)를 통로판(2)에 부착하거나 제거하거나 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도 좋다.
또한, 상단부(9)에는 제1유지 위치(23)와 제2유지위치(24)의 상호간에 연락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연락로(22)는 그 안을 회전 롤러(13)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것에 의해, 회전 롤러(13)의 유지 위치를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연락로(22)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어느 형태를 가진 것이라도좋고, 제8도에 나타난 역 U 자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역 V 자나 양 유지 위치를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것, 또한 제10도에 나타난 것 같이 연락로(22)가 상단부(9)의 단면으로부터 개방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제4실시예의 작용 효과
제4실시예에 관한 경화 반송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는 나비 나사를 느슨하게하여 회전 롤러(13)를 한쪽의 유지 위치로부터 다른쪽의 유지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재차 나비 나사를 조임에 의해 간단하게 경화의 배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를 제11도 내지 제1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공통하는 부재에 대하여는 이들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는 모두 경화 반송 장치(1) 상단부(9)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든 출구 전환 수단(12)을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우선, 제1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 부호 35 및 36은 경화(C)와 접촉하여 경화를 안내하기 위한 경화 안내핀이다. 경화 안내핀(35 및 36)은 통로판(2)의 이면측에 부착된 솔레노이드(38 및 39)에 의해 제어되고, 어느 한쪽이 통로판(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때에는 다른 쪽이 끌어들여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1경화 출구(10)로부터 경화를 배출하도록 하는 때에는 경화 안내핀(35)을 돌출시키며 경화 안내핀(36)을 끌어당기게 하고, 제2경화 출구(11)로부터 경화를 배출하도록 하는 때에는 그의 역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통로판(2)의 중앙에 안내로(37)가 1개 설치되고, 이 안내로(37)를 따라서 경화 안내 수단인 회전 롤러(13)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 롤러(13)는 롤러 축(19)의 주위에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복귀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하방으로 향하여 밀어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다른 실시예의 작용 효과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1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실시예의 변형이고,경화 출구의 전환을 제1솔레노이드(40) 또는 제2솔레노이드(41)의 어느 한쪽에 통전함에 의해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2도에 도시된 것 같이, 제2경화 출구(11)로부터 경화를 배출하도록 하는 때는 제1솔레노이드(40)를 통전함에 의해 회전 롤러(13)를 복귀 수단(도시 생략)에 저항하면서 끌어올려, 제1경화 출구(10)로부터 경화를 배출하도록 하는 때는 그 반대로 수행함에 의해 각각의 경화 출구로부터 경화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솔레노이드의 플랜저와 각 회전 롤러는 연결핀으로 결합되고, 솔레노이드가 통전되고 있지 않을 때, 즉, 플랜저 흡인되어 있지 않은 때에 회전 롤러(13)가 제1안내로(14) 또는 제2안내로(15)를 따라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작용 효과는 다른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1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도 제1실시예의 변형이고, 경화 출구의 전환을 솔레노이드(45)를 통전함에 의해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45)의 플랜저의 선단에는 전환 아암(46)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45)의 플랜저의 선단에는 전환 아암(4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핀으로 고정되고,전환 아암(46)의 선단에는 역2등변 삼각형의 형을 한 삼각 링(47)이 고정되어 있다. 삼각링(47)의 정점에 회전 롤러(13)의 회전축(19)이 들어가도록 되어 있고, 삼각링(47)에 의하여 형성되는 V 구역 중에서 회전 롤러(13)가 제1안내로(48) 또는 제2안내로(49)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상태(제1경화 출구(10)가 개방되어 있다)에 있어서 솔레노이드(45)를 관통하면 플랜저가 흡인되고, 전환 아암(46)이 시계 주위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삼각링(47)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제2안내로(49)내에 접한 회전 롤러(13)가 연결로(50)를 거쳐서 제1안내로(48)로 안내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통전을 차단하면 회전 롤러(13)가 우로부터 좌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배출 방향의 전환이 완료한다.
제6실시예
다음에, 제14도 및 제15도에 의거하여 제6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상단부(9)의 커버판을 벗겨서 경화 통로(3)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탸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출구의 전환 수단은 상단부 (9)에 설치된 안내판(55)의 장착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내판(55)은 좌우 대칭으로 되도록 이등변 삼각형의 형을 하고 있고, 그 밑변(56)에 상기하는 부분이 경화를 출구로 인도되기 위하여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판(55)에는 출구 전환 수단(12)인 안내 구멍(57)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안내 구멍(57)은 안내판(55)의 경사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좌우 대칭의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에 고정 나사(58)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 나사(57)는 통로판(2)의 이측(지면의 이측)으로부터 표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안내 구멍(57)을 관통하여, 나비 나사에 의해 안내판(55)을 통로판(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화 출구를 전환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제14도에 도시된 상태의 경우는 제1경화 출구(10)로부터 경화가 배출되고, 제15도에 도시된 상태는 제2경화출구(11)로부터 경화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경화 출구의 전환은 제14도에 있어서 고정나사(58)를 완화하고, 고정 나사(58)에 규제되면서 안내구멍(57)을 따라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시계 주위의 방향으로 안내판(55)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15도에 도시된 상태로 된때에 고정 나사(58)를 조여 붙여 안내판(55)을 통로판(2)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15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고, 제1경화 출구(10)가 폐쇄됨과 동시에 제1경화 출구(11)가 개방되고, 이것에 의해 경화 출구의 전환이 완료 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각 실시예는 경화 반송 장치의 좌우로부터 경화를 배출하는 것에 대한 것이지만, 이러한 배출 방향은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경화 반송 장치의 전후, 즉, 두께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좌우측 중 한쪽, 또한, 출구 전후방향 중 한쪽의 방향에 상하 2개소의 서로 다른 경화 출구를 설치하고, 이들의 경화 출구의 양자간에 있어서 출구 전환 장치가 설치되는 것도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안내로(14), 제2안내로(15) 및 연결로(22)가 각각 통로판(2)에 관통된 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통로판(2)의 위에 설치된 안내 레일 등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경화 반송 장치에 의하면, 우측용 부품과 좌측용 부품등과 같이 2 방향으로 배출하는 부품을 각각 별개로 제조하는 일없이 단일의 부품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장치의 조립이 편리하고, 장치의 출하 이후에도 용이하게 경화의 배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정정) 통로판(2)과, 상기 통로판을 따라 제1방향으로 형성된 경화 통로(3)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 통로의 입구(8)로 경화를 공급하는 수단에 의해 공급된 경화를 반송하여, 경화 입구 위쪽의 경화 통로에 제공된 제1경화출구(10)에서 제2방향으로 경화를 배출하기 위한 경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제3방향으로 경화를 배출하는 제2경화 출구(11)가 상기 경화 통로내에서 상기 제1경화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경화 출구 사이에 출구 전환 수단(12)이 제공되며, 상기 출구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1경화 출구 또는 상기 제2경화 출구중 어느 한쪽으로 경화가 안내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방향은 서로 상이하며, 상기 경화의 배출은 연속되는 경화에 의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화 반송 장치.
  2. (정정) 통로판과, 상기 통로판을 따라 형성된 경화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 통로의 경화 입구내로 경화를 공급하는 수단에 의해 공급된 경화를 반송하여, 경화 입구 위쪽에 제공된 제1경화 출구에서 경화를 배출하는 경화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경화 출구에 인접한 제2경화 출구가 상기 경화 통로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2경화 출구 사이에 출구 전환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출구 전환 수단에 의해서 경화가 상기 제1경화 출구 또는 상기 제2경화 출구중 어느 한쪽으로 안내되고,상기 출구 전환 수단이 상기 통로판에 부착 및 제거될 수 있도록 경화 안내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경화 안내 수단이 상기 통로판상의 제2유지 위치에 유지될 때 경화가 상기 제1경화 출구로 안내되고, 상기 경화 안내 수단이 제1유지 위치에 유지될때는경화가 상기 제2경화 출구로 안내되는 경화 반송 장치.
  3.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제1유지 위치와 제2유지 위치를 연결하는 연결로가 상기 통로판상에 제공되고, 상기 경화 안내 수단이 상기 통로판에 설치된 상태로 제1유지 위치와 제2유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경화 반송 장치.
  4.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제1유지 위치는 제1안내로 내에 제공되고, 제2유지 위치는 제2안내로 내에 제공되며, 상기 경화 안내 수단은 경화의 공급으로 인해 상기제2안내로를 따라 제2유지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2경화 출구를 폐쇄시키는 것과, 경화의 공급으로 인해 상기 제1안내로를 따라 제1유지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경화 출구를 폐쇄시키는 것 중 한가지로 이동되는 경화 반송장치.
  5. (정정) 제4항에 있어서, 경화의 공급으로 인해 이동된 상기 경화 안내 수단은경화가 통과한 이후 자중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경화 반송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제1유지 위치는 제1안내로 내에 제공되고, 제2유지위치는 제2안내로 내에 제공되고, 상기 경화 안내 수단은 경화의 공급으로 인해 상기제2안내로를 따라 제2유지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2경화 출구를 폐쇄시키는 것과, 경화의 공급으로 인해 상기 제1안내로를 따라 제1유지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경화 출구를 폐쇄시키는 것 중 한가지로 이동되며, 경화가 통과한 이후에 상기 경화 안내 수단을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경화 안내 수단이 상기 복귀 수단의 작용하에 원위치로 복귀될 때, 경화가 상기 경화 출구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배출되는 경화 반송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19960005184A 1995-02-23 1996-02-23 경화 반송 장치 KR0185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437495 1995-02-23
JP95-74374 1995-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242A KR960032242A (ko) 1996-09-17
KR0185744B1 true KR0185744B1 (ko) 1999-04-15

Family

ID=1354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184A KR0185744B1 (ko) 1995-02-23 1996-02-23 경화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10655A (ko)
EP (1) EP0729119B1 (ko)
KR (1) KR0185744B1 (ko)
CN (1) CN1094226C (ko)
DE (1) DE69609365T2 (ko)
ES (1) ES2148677T3 (ko)
TW (1) TW30460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30B1 (ko) * 2003-12-25 2008-05-28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송출장치의 코인지불장치
KR100873315B1 (ko) * 2001-06-15 2008-12-12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안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007B2 (ja) * 1997-07-09 2004-04-05 旭精工株式会社 円板体の送出装置
JP3821983B2 (ja) * 1999-04-28 2006-09-13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硬貨搬送通路装置
JP4470020B2 (ja) * 1999-06-09 2010-06-02 旭精工株式会社 ホッパ装置のコイン放出ガイド
JP2002032824A (ja) * 2000-07-17 2002-01-31 Asahi Seiko Kk ホッパーのエスカレータに装着するコインセンサ
KR100749684B1 (ko) 2000-12-13 2007-08-17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분배기의 코인 걸림 검출기
JP4258753B2 (ja) * 2001-06-13 2009-04-30 旭精工株式会社 シャッタを備えたホッパ
JP4072749B2 (ja) * 2001-11-22 2008-04-09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の案内装置
GB2385456B (en) * 2002-01-17 2004-08-04 Asahi Seiko Co Ltd A diverting device of a disc
JP4001054B2 (ja) * 2003-05-27 2007-10-3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硬貨搬送装置
GB2403946B (en) * 2003-07-16 2006-04-12 Asahi Seiko Co Ltd Coin dispenser
JP4644773B2 (ja) * 2004-06-02 2011-03-02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5109071B2 (ja) * 2007-09-12 2012-12-26 旭精工株式会社 メダル選別手段を有するメダル処理装置
ES2564380T3 (es) * 2010-12-10 2016-03-22 Asahi Seiko Co., Ltd.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de discos y dispositivo de distribución de discos
GB2515516B (en) * 2013-06-26 2017-10-11 Innovative Tech Ltd A coin transport mechanism
CN106934952B (zh) * 2017-03-21 2019-05-28 乐清市天美贸易有限公司 一种具有提取游戏币功能的动漫游戏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5287A (en) * 1930-02-20 1931-03-10 Turner D Bottome Electrical method for the detection and separation of coins from substitutes
DE687989C (de) * 1936-09-26 1940-02-09 Normalzeit Lehner & Co Muenzweiche fuer Selbstkassierer
US3351075A (en) * 1966-04-12 1967-11-07 Standardwerk Eugen Reis G M B Coin-sorting and counting machine
JPS5848957B2 (ja) * 1977-03-17 1983-11-01 シャープ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に於ける硬貨処理装置
US4518001A (en) * 1982-04-26 1985-05-21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Coin handl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15B1 (ko) * 2001-06-15 2008-12-12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안내 장치
KR100832830B1 (ko) * 2003-12-25 2008-05-28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송출장치의 코인지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48677T3 (es) 2000-10-16
EP0729119A2 (en) 1996-08-28
DE69609365T2 (de) 2001-02-15
DE69609365D1 (de) 2000-08-24
US5810655A (en) 1998-09-22
KR960032242A (ko) 1996-09-17
EP0729119B1 (en) 2000-07-19
EP0729119A3 (en) 1997-11-19
CN1094226C (zh) 2002-11-13
TW304608U (en) 1997-05-01
CN1133999A (zh) 199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744B1 (ko) 경화 반송 장치
EP1111983A1 (en)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apparatus
US5860564A (en) Ice dispensing chute
AU747032B2 (en) Apparatus for lifting circular plate bodies
JPS6315223B2 (ko)
JPH08293051A (ja) 硬貨搬送装置
EP0177540A1 (en) Shutter arrangements
JP3073804B2 (ja) メダル投出機
JPS6251521A (ja) 給紙装置の用紙レジスト方法
JP2514877B2 (ja) コインエスカレ―タ付コイン送出装置
EP0991030B1 (en) Coin dispenser arrangement
EP0973369B1 (en) Parts feeder
KR950003204B1 (ko) 경화 반송 덕트
US4561646A (en) Sheet registration mechanism
KR200401192Y1 (ko) 동전공급기의 토출거리 조절장치
KR940022209A (ko) 원고반송장치
KR100223011B1 (ko) 경화보류 불출장치
KR0156820B1 (ko) 음료자동판매기의 트레이자동이송장치
JP2005149191A (ja) コイン搬送装置
KR0121866B1 (ko)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
US4704960A (en) Print assembly for magnetic and clear printing magnetic cards and the like
AU766271B2 (en) Coin rolling-type selector
EP0636264B1 (en) A device for sorting coins and the like
KR100390756B1 (ko) 주화 송출 장치의 출구 슈트 장치
JPH0741507Y2 (ja) コイン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