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737B1 - 액체 연료 연소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연료 연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37B1
KR0185737B1 KR1019950022663A KR19950022663A KR0185737B1 KR 0185737 B1 KR0185737 B1 KR 0185737B1 KR 1019950022663 A KR1019950022663 A KR 1019950022663A KR 19950022663 A KR19950022663 A KR 19950022663A KR 0185737 B1 KR0185737 B1 KR 018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liquid fuel
fuel
gas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075A (ko
Inventor
미노루 사또
다로 구로다
데루오 스기모또
Original Assignee
기따오까 다까시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따오까 다까시,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기따오까 다까시
Priority to KR101995002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737B1/ko
Publication of KR97000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1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 F23N5/187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9/00Treatment devices
    • F23J2219/10Catalytic red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9/00Treatment devices
    • F23J2219/30Sorption devices using carbon, e.g. c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소화시의 악취가 적거나 또는 영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얻는다.
소화 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되도록 연료 공급 수단(21) 및 연소용 송풍기(24)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5)를 설치하며, 혼합 기체 농도를 적은 연소량까지 가연범위로 유지하여 화염을 연소량이 극히 작게된 시점에서 소화시켜 타고남은 가스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액체 연료 연소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연료 및 연소 공기의 감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연소용 송풍기에 제동을 가할 경우의 전원 파형도.
제4도는 종래 장치 및 제1도의 악취 배출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유로 개폐기구(나비 밸브)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7도는 제5도의 유로 개폐기구(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및 연소 공기의 장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의 전원 파형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연소용 송풍기에 제동을 가하는 경우의 전원 파형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및 연소 공기의 감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입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23도는 종래의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4도는 종래의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감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5도는 종래의 연소기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26도는 종래의 연소기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27도는 종래의 연소기의 연료 및 연소 공기의 감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8도는 종래의 연소기의 연료 및 연소 공기의 감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9도는 종래의 연소기를 도시하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화실 5 : 화염구멍
12 : 연료 공급관(연소 공기 송풍 경로)
21 : 연료 펌프(연료 공급 수단)
22 : 연료 탱크 24 : 연소용 송풍기
25 : 제어 회로 26 : 유로 개폐기구
32 : 정유면용기 35 : 압력관
38 : 흡인 장치 38a : 배출구
43 : 대류팬 44 : 온풍 내뿜는 입구
45 : 개폐기구 47 : 흡착제
48 : 배출 가스 정화 촉매 51, 52 : 분기관
53, 54 : 경로 변환 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기화된 액체 연료와 연소 공기 등을 미리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제23도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공보 평5-149514호에 명시된 종래의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연소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며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한 방인 기화실이며, 2는 기화실(1)의 측벽에 매설되어 그 기화실(1)을 가열하는 전열히터(2)이다. 3은 기화실(1)의 상부에 끼어맞아 고정된 좁혀진부 4는 그 좁혀진부(3)의 상부에 설치된 버너 헤드 5는 그 버너 헤드(4)의 측벽에 설치된 복수의 화염구멍, 그리고 6은 그 버너 헤드(4)의 바깥 둘레면에 밀착되어 둘러쌓여 장착된 금속망, 7은 그 금속망의 상부에 배치된 뚜껑 8은 버너 헤드(4) 및 뚜껑(7)을 좁혀진부(3)에 고정하기 위해 한 끝단부가 좁혀진부(3)에 매설된 특수 나사이다.
부호 9는 버너 헤드(4)안에 설치되며 밑면에 복수의 구멍을 갖는 혼합판(9)이며, 이 혼합판(9)은 기화된 액체 연료를 정류시킨 뒤 복수의 화염구멍(5)으로부터 분출시키는 것이다. 10은 기화실(1)의 상부에 버너 헤드(4)를 감싸는 것같이 장착된 고리 형상의 화염 보호링이다.
부호 11은 기화실(1)의 측벽에 설치되며 그 기화실(1)안에 개구되어 있는 노즐이며, 이 노즐(11)은 연소통 송풍기(도시하지 않음)에 연통된 공기 공급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거기에다 노즐(11)은 입구부(11a), 테이퍼부(11b) 및 네크부(11c)로 구성되어 있다. 12는 노즐(11)과 같은 축상에 또한 선단부의 연료 공급구(12a)가 네크부(11c)로부터 돌출 되도록 배치된 연료 공급관이며, 연료 탱크(도시하지 않음)의 액체 연료는 이 연료 공급실(12)을 거쳐서 연료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화실(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열히터(2)에 통전되는 것에 의해 액체 연료의 기화에 필요한 온도(200~300℃)까지 기화실(1)에 예열된다. 예열 완료후 연소용 송풍기로부터 공기 공급관에 보내진 연소 공기가 노즐(11)로부터 기화실(1)에 공급된다. 또한, 연료공급관(12)으로부터는 1차 공기비(=공급 공기량/이론 공기량)가 0.8 정도로 되는 량의 액체 연료가 기화실(1)에 공급된다.
공급된 액체 연료는 연소 공기의 흐름에 의해 미립화 되며 예열된 기화면에서 기화된다. 기화된 액체 연료는 좁혀진부(3)를 통과할 때에 더욱 연소 공기와 미리 혼합되어 농도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이후 기화 연료와 연소 공기와의 미리 혼합된 기체는 혼합판(9)의 밑면 복수개의 구멍을 통하는 것으로 정류되며 혼합판(9)의 측벽의 효과로 버너 헤드(4)의 상하 방향의 유속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미리 혼합된 기체는 버너 헤드(4)의 화염구멍(5)에서 점화 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착화되어 1차 화염(14) 및 2차 화염(15)을 형성한다. 거기에다 연소 개시후는 화염 보호링(10) 등에 의해 화염에서 열 회수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기화실(1)이 가열되기 때문에 전열히터(2)로의 입력은 불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연소 장치에 있어서는 연소기의 소화시에는 연료 펌프와 연소용 송풍기로의 전압 인가를 동시에 해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연료 펌프는 거의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것에 비해 연소용 송풍기는 전압 인가를 정지하여도 그 타성 때문에 서서히 회전수를 감소시켜 수초후에 정지한다. 따라서 연료의 감소는 제24도의 실선으로 도시하듯이 상당히 빠르며 T0때에 연료 펌프로의 통전을 정지하면 기화등을 위해 약간은 늦어지는 것의 증발량은 T1때의 제로로 된다. 반면, 연소 공기의 감소는 연료와 비교하면 늦으며 파선과 같이 T2때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런 종류의 연소기에서는 소화의 T0때에서 T때 까지는 1차 공기비(연소 공기와 연비의 비율)가 가연 범위에 있기 때문에 연소는 계속되지만 T때 이후는 공기 과잉이 되기 때문에 화염은 꺼지게(blow off)된다. 이와 같이 이 양자의 감소 속도의 불균형에 의해 소화시의 1차 공기비가 순간적으로 증가하여 화염이 꺼지기 때문에 제24도의 사선부의 타고남은 연료가 실내에 배출된다. 이 경우 타고 남은 연료의 일부가 연소 장치의 고온부에 접촉 되어 부분 산화하여, 알데히드(aldehyde) 등의 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에 자극을 동반하는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
소화 악취의 저감책으로는 심지식 연소(석유 스토브)에서 많이 행하여지고 있는 흡인 장치의 이용이 있다. 제25도는 예로서 일본 특허 공고공보 평2-20884호에 명시된 연소 장치이며, 심지(61)에서 증발된 연료와 연소통(62)의 하부 개구부로부터의 연소 공기등이 확산 혼합되어 연소한다. 이때의 연소 공기는 자연 드레프트 힘에 의해 빨려들어 가며, 송풍기 등의 공기 공급 장치가 특별히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소화 동작은 심지(61)를 내리는 것으로 이루어지지만 이 심지(61)를 내린후에 증발하는 미량의 연료가 악취로 되어 배출된다. 이 대책을 위해 흡인 장치(63)에서 증발 연료를 흡인하며, 여기에서는 다시 흡착제(64)로 처리하여 소화 악취를 저감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연소 공기의 구동원인 자연 드레프트 힘이 작기 때문에 흡인 장치(63)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서 연소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제23도와 같은 연소 장치에서는 송풍기의 타성으로 공급되는 연소 공기가 타고 남은 연료를 밀어내기 때문에 악취의 흡인 효과는 작게된다.
또한, 강제 급기 타입의 연소 장치에서도 소화 조작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흡인 수단에 의해 기화실내의 타고 남은 연료를 흡인하는 장치가 고려되고 있다. 제26도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공보 소56-80633호 공보에 도시된 연소 장치이며, 연료 펌프(71)에서 공급된 액체 연료가 기화실(72)에서 기화되며, 이 기화 연료와 송풍팬(73)에서 공급된 연소 공기와의 혼합 기체가 버너 헤드(74)에서 연소한다. 소화시에는 흡인 장치(75)가 작동하여 타고남은 연료를 흡인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흡인 장치(75)의 흡인 능력(흡인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연료 펌프(71)와 송풍팬(73)의 정지와 동시에 흡인 장치(75)을 동작시켜도 소화시의 연소 공기의 감소는 제27도에 도시하듯이 유량이 0으로 되기 까지의 시간 T0~T1가 다소 짧게되는 것의 타고 남은 연료의 량은 제24도와 거의 같다. 거기에다 불어꺼지는 시간(T) 이후에 공급되는 연소 공기량도 많으며 타고남은 연료가 이 연소 공기에 의해 버너 헤드(74) 외부로 밀려나간다. 능력이 작은 흡수 장치에서는 이 밀려나가는 타고남은 연료를 끌어되돌리는 것은 될 수 없으며 악취 저감 효과는 작게된다. 또한, 흡인 장치(75)의 흡인 능력(흡인 유량)이 큰 경우에는 소화시의 연소 공기의 감소는 제28도에 도시하듯이 시간 T0~T2이 상당히 짧게 되든지 또는 0으로 되지만, 이와 같이 급격한 유량 변화를 준 경우에 역화가 발생된다. 즉, 소화 동작 이전(정상 연소시)에는 버너 헤드(74)에서 혼합 기체의 불어내는 유속과 연소 속도가 조화되어 연소가 계속되지만 급격한 유량 변화를 주면 이 상황이 붕괴되어 혼합 기체의 불어내는 유속이 연소 속도를 크게 밑도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버너 헤드(74)의 상류측에의 역화가 생긴다. 역화가 생기면 기화실(72) 내부에서 연소하기 위해 기화실(72)이 고온으로 되어 반복 사용에의 내구성이 악화된다. 또한, 이와 같은 큰 흡인 능력을 갖는 흡인 장치를 구비하기에는 송풍팬(73)과 동등하든가 그 이상의 것이 필요하게 되며 연소기가 대형화 높은 가격화되어 버린다.
이 연소기의 대형화, 높은 가격화를 일으키지 않는 타고 남은 연료를 흡인하기 위해 연소 공기의 송풍기를 흡인용으로도 이용하는 장치가 고려되고 있다. 제29도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고공보 소61-46722호 공보에 도시된 연소 장치이며 연소 동작은 제23도와 제26도에 도시한 연소 장치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상태로서 송풍 장치(81)로부터의 연소 공기와 펌프 장치(82)로부터의 연료가 기화실(83)에서 기와 혼합되어 버너 헤드(84)에서 연소된다. 이 경우 흡기 밸브 장치(85)는 열리며, 배기 밸브 장치(86)는 닫힘 상태로 있다. 소화시에는 흡기 밸브 장치(85)를 열고, 배기 밸브 장치(86)를 여는 것으로서 이젝트(ejector)부(87)에 형성되는 낮은 압력부(88)와 기화실(83)내에 잔류된 타고남은 연료를 흡인한다. 그러나, 이 경우도 제26도의 연소 장치와 같이 기화실(83)내를 천천히 낮은 압력으로 하면 소화 직후에 타고 남은 연료가 버너 헤드(84)의 외부로 배출되며 또한 기화실(83)내를 순간적으로 낮은 압력으로 하면 역화가 생긴다. 따라서, 송풍기와 흡인 장치를 겸용하는 일은 되어도 악취 저감 효과는 제26도의 연소 장치와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종래의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3도에 도시된 연소 장치에서는 소화시에 배출 되는 악취를 효율좋게, 거기에다 소형, 낮은 가격으로 저감 시키는 것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소화시에 배출되는 악취가 적은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다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소화 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 하도록 연료 공급 수단 및 연소용 송풍기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으로서, 소화 동작시에 연소용 송풍기와 기화실과의 사이의 연소 공기 송풍 경로에 설치된 유로 개폐 기구를 닫으며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액체 연료를 항시 일정량 저장하는 정유면용기, 이 정유면 용기에 액체 연료를 퍼 올리는 펌프, 연소 공기의 송풍 압력을 상기 점유면 용기에 가하는 입력관을 가지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수단과 연소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용 송풍기와 그 공급된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실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화염구멍에 화염(화염)이 없어진 후에 기화실내의 타고 남은 가스를 역류시키도록 연소용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인 액체 연료 연소 장치.
본 발명에 다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화염구멍으로 형성되는 화염을 씌우는 것같이 연소실을 배치하며 통상 운전시는 그 연소실로부터의 연소 가스와 공기 등을 혼합하여 실내에 확산시킴과 함께 소화후는 상기 연소실을 연소실내의 압력보다도 높게하도록 그 공기 흐름의 압력을 상기 연소실에 가해지는 대류팬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화염구멍에 화염이 없어진 후에 기화실내의 타고남은 가스를 흡인하도록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흡인 또는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흡착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흡인 또는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배기 가스 정화 촉매를 구비한 것이다.
[작용]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는 소화 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갖게 하는 것에 의해 혼합 기체 농도가 사소한 연소량까지 가연 범위에 있는 화염의 꺼짐이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화염은 연소량이 극히 작게된 시점에서 꺼지기 때문에 타고남은 가스량이 감소한다. 또한 제어 회로의 변경만으로 소형, 낮은 가격으로 타고남은 가스량을 저감 가능하게 되며, 연소 공기 송풍 경로에 설치된 유로 개폐기구의 닫힘에 의해 타고남은 가스량을 감소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공기 공급 수단의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 유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 수단은 항시 연소 공기의 송풍 압력이 정유면 용기에 가해지며 그 송풍 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연료를 공급한다. 따라서, 소화 동작시에 그 송풍 압력이 작게되어도 그 압력에 추종하여 적은 연료를 공급하며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한다. 또한 제어 회로를 변경하는 일없이 타고남은 가스량을 감소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소용 송풍기는, 기화실내의 타고남은 가스를 역류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의 발명에서는 소화후에 늦은 타고남은 가스가 연료 연소 장치의 전면에 배출되는 일이 있지만 이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체 연료 연소 장치는 대류팬에 의해 통상 운전시는 연소실로부터의 연소 가스와 공기 등을 혼합하여 실내에 확산시켜 소화후는 연소실 밖을 연소실내의 압력보다도 높도록 그 공기류의 압력을 연소실에 가하여 타고남은 가스를 역류시킨다. 따라서, 타고남은 가스가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전면에 배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부재의 형상 배치 및 용량 등을 상기 기층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만으로 마무리되며 새로운 부재를 설치하는 일없이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인 장치는, 기화실 내의 타고남은 가스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소화후에 늦은 타고남은 가스가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전면에 배출되는 일이 있지만, 이것을 방해한다. 또한 연소용 송풍기에 의해 역류 불가능한 경우 유효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착제는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주위 어디엔가에는 배출되고 있지만 흡착제에 의해 타고 남은 가스의 악취를 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정화 촉매는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주위의 어디엔가는 배출되고 있지만 배기 가스 정화 촉매에 의해 타고남은 가스의 악취를 영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거기에다 제23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에 있어서, 21은 종래예에서도 사용된 액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연료 공급 수단)이며, 이 연료 펌프(21)의 한끝단은 연료 탱크(22)중에 위치하며 다른 끝단은 연료 공급관(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23은 노즐(11)에 접속되어 연소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연소 공기 송풍 경로) 24는 연소용 송풍기이다. 25는 연료 펌프(21)와 연소용 송풍기(24)를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제어 회로(25)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연소 개시(착화)의 동작은 종래예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기화실(1)이 소정의 온도(200~300℃)까지 가열되면 연소용 송풍기(24)가 회전하며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이 기화실(1)에 공급된다. 점화 장치(도시생략)를 작동시킨 후 연료 펌프(21)에서 액체 연료의 공급을 개시한다. 기화실(1)내에 분출된 액체 연료는 기화면에서 기화하며 연소 공기와 혼합되어 미리 혼합된 기체로 된다. 이 미리 혼합된 기체는 좁혀진부(3) 및 혼합판(9)을 통과하여 버너 헤드(4)의 화염구멍(5)위에서 착화되어 1차 화염(14) 및 2차 화염(15)을 형성한다. 연소된 가스는 대류팬(도시생략)으로 부터의 공기와 혼합하여 실내 난방 등에 이용된다.
소화시에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도시생략)를 오프시켜서 소화 동작을 행하게 시키면 제어 회로(25)에서 연료 펌프(21)로의 전압 인가를 정지한다. 이 경우의 연료 펌프의 정지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며 연료의 감소는 제2도의 실선과 같이 T0~T1의 시간에서 0으로 된다. 이것은 종래예의 제24도와 같은 감소 속도이다.
한편 연소 공기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연소용 송풍기(24)의 구동 전원이 교류의 경우에는 구동 회로를 제어 회로(25)중에서 변환하여 교류 전원을 제3도에 도시하는 반파정류나 혹은 전파 정류되어 연소용 송풍기(24)에 브레이크를 걸어 공기유량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 연소 공기의 유량은 제2도의 파선으로 도시하듯이 제24도의 종래예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영으로 된다. 따라서 연소 공기가 연료의 감소 속도와 거의 같게(T1= T2)되는 것으로 연소 공기와 연료의 비율(1차 공기비)이 일정한 그대로 연소량이 감소한다. 그리고 연소량이 작게되면 1차 화염(14)이 작게되어 버너 헤드(4)에 근접하기 때문에 1차 화염이 버너 헤드(4)에서 냉각되며 이 냉각량이 연소량을 상회한 시점(제2도의 시각 T)에서 화염이 소화 된다. 이 경우의 타고남은 연료는 제2도의 사선으로 도시되는 부분이며 제24도의 종래예에 비교하여 적게된다.
거기에다 소화된 시각(T)의 연소 공기의 유량은 작으며 소화시간(T)에서 연소 공기가 영으로 되는 시각(T2)까지도 짧은 시간으로 있기 때문에 이 시간내에 공급되는 연소 공기량은 극히 조금이다. 따라서 제2도의 사선으로 도시한 미량의 타고남은 연료가 연소 공기에 의해 버너 헤드(4) 외부로 밀려 나가는 것도 거의 없으며 미량의 타고남은 연료는 기화실(1) 내부에 잔류된 그대로이다.
제4도는 이 경우의 대표적인 악취 측정의 결과이다. 제4도에서는 악취의 대소를 도시하는 지표인 탄화수소(Hydrocarbon = HC) 농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연소 장치에서는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소화 직후에 높은 농도의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연소 장치에서는 제2도에 도시하듯이 타고남은 연료가 상당히 적고 또한 이 타고남은 연료가 기화실(1)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소화 직후에 배출되는 악취는 제4도의 실선과 같이 극히 적다. 종래 대비 1/10 내지 1/20 까지 저하한다. 단, 이 경우에는 타고남은 연료가 영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화후 수초에서 수십초된 뒤 기화실(1)내에 전류된 연료가 서서히 외부로 확산되어 간다. 이 대책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2]
제5도는 실시예 2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연소용 송풍기(24)에 제동을 가하였지만 여기에서는 연소 공기 유로의 도중에 개폐 밸브 등의 유로 개폐기구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26은 공기 공급관(23)의 도중에 설치된 제어 회로(25)에 의해 제어되는 유로 개폐기구이며, 이 유로 개폐기구(26)는 한 예를 들면 제6도에 도시하는 나비 밸브(27) 등의 밸브기구와 스텝 모터(28) 등의 구동부로 되는 구성이거나 또는 제7도에 도시하는 스프링(30)과 전자석(31)등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9)로 한다. 제5도에는 나비 밸브의 예를 도시한다.
다음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유로 개폐 기구(26)를 사용하여 소화시의 연료와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를 동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도시하듯이 연료의 감소 속도를 제어하지 않는 경우는 이 연료의 감소 속도와 같도록 유로 개폐기구(26)만을 순간적으로 닫으면 좋다. 이 경우 제6도의 나비 밸브의 예에서는 스텝 모터(28)의 속도를 크게하여 순간적으로 유로를 닫으면 좋으며 제7도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예에서는 전자석(31)을 오프하면 스프링(30)의 작용으로 순간적으로 유로를 닫아도 좋다. 이와 같이 유로 개폐기구(26)를 사용한 경우의 타고남은 연료의 양은 실시예 1의 연소용 송풍기(24)에 제동을 하한 제2도와 동일하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를 느리게 할 경우에는 유로 개폐기구(26)를 닫는 속도를 연료의 감소 속도에 맞추어서 조절하면 좋다. 제6도의 나비 밸브의 예에서는 스텝 모터(28)의 속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감소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도 간단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는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으로 연료와 연소 공기의 감소 비율을 같도록 하였지만 여기에서는 연료의 감소 속도를 늦게 하므로서 같은 효과를 실현한다. 이 실시예의 구성은 제1도와 거의 마찬가지이며 상이점은 제어 회로이다. 실시예 1에서는 소화시에 펌프(21)를 정지시키기 위해 전압의 인가를 해제하여 연료 공급량을 감소 시키며 한쪽의 연소용 송풍기(24)는 제동되어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의 연소용 송풍기(24)는 전압의 인가를 해제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는 연소용 송풍기(24)의 타성 때문에 제24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느린 것이다. 이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를 미리 파악하여 두고 연료 공급량을 서서히 감소시켜 제8도에 도시하듯이 양자의 감소 비율을 동기시킨다. 연료 공급 수단의 제어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랜져 타입의 전자 펌프 등에서는 구동 파형을 제9도에 도시하듯이 주파수를 작게(주기를 길게)하거나 온시간을 짧게 하거나 하는 것으로 서서히 연료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하여 연료와 연소 공기를 동기시킨 경우의 타고남은 연료는 제8도에 도시하는 사선과 같이 되며 이량은 실시예 1보다는 약간 증가하는 종래와 비교하여 큰 저감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는 연소 공기만을, 또는 실시예 3에서는 연료만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연료와 연소 공기의 감소 비율을 동기시켰지만, 이 양자를 제어하여 실시예 1, 3의 사이의 감소 속도로 하여도 거의 동등한 효과가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경우 연소용 송풍기(24)의 제어는 제10도에 도시하듯이 교류 파형을 하나마다 또는 여러개 마다 반파정류하는 등의 방법으로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를 제1도 보다 느리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연료의 감소 속도는 실시예 3에서 서술한 것같이 펌프 구동 파형을 제어하여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로 일치시킨다. 이와같이하여 연료와 연소 공기 등을 동기시킨 경우의 양자의 감소 비율은 제11도와 같이 되며 실시예 1과 실시예 3과의 중간의 악취 저감 효과가 있다.
[실시예 5]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연료 공급 수단에 펌프를 이용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연료 공급 수단을 이용한 연료,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의 동기 수단에 관하여 도시한다. 제12도에 있어서, 부호 32는 액체 연료를 항시 일정량 저장하는 정유면용기 33은 정유면용기(32)의 내부에 설치된 속상자 34는 연료의 액면을 도시한다. 부호 35는 연료 공기의 송풍 압력을 정유면용기(32)에 가하는 압력관(36)은 압력관(35)의 도중에 설치된 전자 솔레노이드 등의 압력관 개폐 기구이다. 그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도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펌프(21)는 정유면 용기(32)에 연료를 뿜어올리기 위해 사용한다. 정유면용기(32)내에는 속상자(33)가 있으며 뿜어 올려진 연료를 이 속상자(33)에서 오버 플로워시키는 것으로 연료의 액면(34)은 항시 일정한 높이로 된다. 이 액면(34)은 연료 공급관(12)의 선단(12a)과 같은 높이로 설정한다. 연료 공급관(12)의 다른 끝단은 속상자(33)중에 위치시킨다. 정유면용기(32)는 압력관(35)을 거쳐서 공기 공급관(23)과 접속되어 있으며 압력관(35)의 도중에는 전자 솔레노이드 등의 압력관 개폐기구(36)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관 개폐기구(36)를 닫아서 공기 공급관(23)내의 압력을 정유면용기(32)에 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액면(34)과 연료 공급관(12)의 선단(12a)이 같은 높이이기 때문에 연료는 공급되지 않는다. 연소용 송풍기(24)에서 연소 공기를 보내고 있는 상태에서 압력관 개폐기구(36)를 열면 정유면용기(32)의 액면(34)에 압력이 가해지며 연료 공급관 선담(12a)에서 연료가 밀려나온다. 정유면용기(32)에 작용하는 압력(P)은 기본적으로는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P = Ka × Qa2(1)
여기에서 P : 정유면용기에의 인가 압력
Qa : 연소 공기 유량
Ka : 계수
거기에다 연료유량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Qf = Kf(P + γH)1/2(2)
여기에서 Qf : 연료유량
H : 연료 공급관 선단 a와 정유면용기내 액면의 높이의 차
γ : 등유의 비중량
Kf : 계수
(2)식중의 H에 관해서는 전술한 것같이 액면(34)과 연료 공급관(12)의 선단(12a)을 같은 높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H = 0이다. 따라서 (2)식에 (1)식을 대입하면 다음의 식과 같이 된다.
Qf = Kf P1/2= Kf(Ka × Qa2)1/2= KQa (3)
여기에서 K : 계수 = Kf Ka1/2
식에 의해서 연료 유량(Qf)은 연소 공기유량(Qa)에 비례하여 증감하기 때문에 압력과 개폐기구(36)를 열어놓는 한 연소 공기와 연료는 같은 비율을 유지하며 증감한다. 따라서, 소화 동작시에 압력관 개폐기구(36)을 연 상태로 하며 두면 연소 공기에 동기되어 연료도 감소하여 제8도와 같은 상태가 실현된다. 거기에다 연소용 송풍기(24)에 제동을 가하거나 또는 공기 공급관(23)도중에 유로 개폐기구를 설치한 것같이 연소 공기의 감소 속도를 빠르게한 경우에도 연료와 연소 공기는 동기 하기 때문에 제2도 혹은 제11도와 같이 되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실현된다.
[실시예 6]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연료와 연소 공기의 감소를 동기시켜 연소량을 매우 작게하여 화염을 소화시키기 위해 타고 남은 연료가 감소하여 소화 직후의 악취는 제4도에 도시하듯이 종래예와 비교하여 1/10 내지 1/20 정도까지 적게된다. 그러나, 타고남은 연료는 완전하게는 영으로 되지 않으며 버너 헤드(4)나 기화실(1)의 내부에 다소 잔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타고 남은 연료가 소화에서부터 수초 내지 수십초후에 서서히 외부로 유출된다. 제4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소화 동작보다 늦은 시점에서 악취가 소량 배출된다. 본 실시예는 이 소화에서 수초 내지 수십초후에 서서히 외부로 유출하는 타고남은 연료의 대책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제1도와 거의 마찬가지이며 변경점은 연소용 송풍기(24)에 역회전 가능한 것을 사용한 점이다. 예를 들면 연소용 송풍기(24)의 구동 전원이 직류의 경우에는 극성을 반대로 하는 것에 의해 역회전시킨다.
이어서 동작에 관한여 설명한다. 소화 동작시에 연소 공기가 영으로 되기까지의 조작은 실시예 1, 3 및 4등과 같이 행하며, 화염이 소화된 연소 공기가 영으로 된 후부터 기화실(1)내의 타고남은 연료가 버너 헤드(4) 외부에 확산되는 수초 내지 수십초의 사이에 연소용 송풍기(24)를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기화실(1)내의 타고남은 연료는 연소용 송풍기(24)에서 흡인되어 버너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흡인된 악취의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2와 같이 연소 공기 유로의 도중에 개폐 밸브 등의 유로 개폐기구(26)를 설치한 경우에는 화염이 소화된 후부터 연소용 송풍기(24)를 역회전시킬 때 까지의 사이에 유로 개폐기구(26)를 재개하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거기에다 실시예 5와 같이 연료 공급 수단을 연소 공기 압력을 인가하는 연소 장치로 한 경우에는 화염이 소화된 후에 연소용 송풍기(24)를 역회전시킬 때 까지의 사이에 압력관 개폐기구(36)를 닫으면 연소용 송풍기(24)를 역회전시켜도 정유면용기(32)에 압력이 걸리는 일이 없으며 소화후에 연료가 공급되는 폐해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타고남은 가스가 역류한다.
[실시예 7]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도 소화후 수초 내지 수십초후에 서서히 외부로 유출되는 타고남은 연료의 대책에 관한 것이다. 제13도에 있어서, 버너는 실시예 1, 3 및 4 등에 도시한 연소 장치를 사용한다. 또한 41은 그 연소 장치를 설치하는 케이싱, 42는 버너 헤드(41) 상부에 설치되며 2차 화염(15)이 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연소실, 43은 케이싱(41)의 배면부에 설치된 대류팬, 44는 케이싱(41)의 전면에 설치된 온퐁 뿜어내는 입구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연소중에는 제13도중의 백색 화살표로 도시한 것같이 연소실(42)로부터의 연소 가스와 대류팬(43)으로부터의 공기등이 연소실(42) 상부에서 혼합하여 그후 온풍 뿜어내는 입구(44)에서 배출된다. 실시예 1, 3 및 4에 도시한 방법에서 소화 동작을 행하는 연소 가스가 영으로 된 시점에서는 제13도중의 화살표와 같이 온풍 뿜어내는 입구(44)에서는 대류팬(43)의 공기만이 배출된다. 이 경우 연소실(42)에는 대류팬(43)으로부터의 공기류에서 압력이 걸리며 이것이 버너 헤드(4)를 거쳐서 작용 하는 결과 기화실(1)내의 타고남은 가스가 연소용 송풍기(24)의 방향으로 역류되어 버너 헤드(4)에서 유출되는 일이 없다.
여기에서 실시예 2와 같이 유로 개폐기구(26)를 탑재할 버너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로 개폐기구(26)를 닫은 그대로에서는 타고남은 가스가 역류하지 않기 때문에 소화후에 다시 유로 개폐기구(26)를 열면 상기 효과가 얻어진다. 거기에다 실시예(5)와 같이 연료 공급 수단을 연소 공기 압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한 경우에는 화염이 소화된 시점에서 압력만 개폐기구(36)를 닫으면, 대류팬(43)으로부터의 공기류로 정유면용기(32)에 압력이 걸리는 일이 없이 소화후에 연료가 공급되는 것같은 폐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마찬가지로 타고남은 가스가 역류한다.
[실시예 8]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45는 온풍 뿜어내는 입구(44)에 설치되며 연소중 열리고 소화시에 닫히는 셔터 등의 개폐기구이다. 실시예 7과 같이 온풍 뿜어내는 입구(44)를 해방한 그대로에서도 타고남은 가스는 역류하지만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중은 열리고 소화시에 닫히도록 한 개폐기구(45)를 설치하면 소화후에 대류팬(43)에서 연소실(42)에 작용하는 압력은 더욱 증가하며 잔류 미연소 가스의 역류효과는 크게된다.
[실시예 9]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37은 공기 공급관(23)의 도중에 설치된 연통관, 38은 그 연통관(37)에 접속된 흡인 장치, 38a는 배출구이며 흡인 장치(38)는 제어 회로(25)에 의해 제어된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도와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도 소화후 수초 내지 수십초후에 서서히 외부로 유출하는 타고남은 연료의 대체에 관한 것이다. 소화 동작시에 연소 공기가 영으로 되기 까지의 조작은 실시예 1, 3 및 4와 마찬가지로 행하며 화염이 소화한 후 기화실(1)내의 타고남은 연료가 배출되는 수초 내지 수십초의 사이에 흡인 장치(38)를 시동 시킨다. 그러면 기화실(1)내의 타고남은 연료는 흡인장치(38)에서 흡인되어 버너 외부에 유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15도에서는 연통관(37)을 공기 공급관(23)의 도중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연통관(37)을 연소실(1)에 설치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 2와 같은 유로 개폐기구(26)를 탑재한 버너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로 개폐기구(26)를 닫은 상태로 두면 흡인 장치(38)에 의한 타고남은 가스의 흡인 효과가 크게 되며, 예를 들어 유로 개폐기구(26)를 재개하여도 상기 실시예 1, 3 및 4와 같은 효과가 있다. 거기에다 실시예 5와 같이 연료 공급 수단을 연소 공기 압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한 경우에는 화염이 소화된 시점에서 압력관 개폐기구(36)를 닫으면 흡인 장치(38)를 작동시켜도 정유면용기(32)에 압력이 걸리는 일은 없으며 소화후에 연료가 공급되는 폐해를 방지하며 상기와 같이 타고남은 가스가 흡인된다.
[실시예 10]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입체도이며 도면은 제13도 등에 도시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본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46은 전원 코드, 24a는 공기 흡입구(배출구)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위치(B, C)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6과 같이 연소용 송풍기(24)를 역회전시키거나 또는 실시예 7, 8과 같이 대류팬(43)의 송풍압을 이용하거나하여 기화실내의 타고남은 연료를 역류시키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이 타고남은 연료는 연소풍 송풍기의 공기흡입구(24a)에서 배출된다. 그 경우 공기흡입구(24a)가 위치(A)와 같이 대류팬(43)의 가까이에 있으면 배출된 타고남은 연료가 대류팬(43)에 휘말려 온풍 뿜어내는 입구(44)에서 연소 장치 전면으로 나와 사용자가 악취를 느껴버린다. 여기에서 공기 흡입구(24a)를 위치(B, C)와 같이 대류팬(43)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면 배출된 타고남은 연료가 전면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악취를 느낄 수 없다. 거기에다 제16도에서는 연소용 송풍기(24)의 흡입구(24a)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것이 실시예 9와 같은 흡인 장치의 배출구라도 마찬가지 효과가 있다.
[실시예 11]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47은 연소용 송풍기(24)의 흡입구(24a)에 설치된 흡착제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0에서 도시한 역류 혹은 흡입된 타고남은 연료를 그대로 실내에 배출하는 방법은 연소 장치 전면에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은 전술한 그대로이지만 연소 장치 배면에 있는 사용자(비교적 빈도는 적다고 생각하지만)는 악취를 느낀다. 이 실시예는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류 혹은 흡인한 타고 남은 가스를 활성탄 등의 흡착제로 흡착처리 시킨다.
실시예 6 내지 8과 같이 타고남은 가스를 역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흡착제를 설치한 예가 제17도이다. 연소용 송풍기(24)의 흡입구(24a)에 흡착제(47)를 설치한 것이며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가 흡착제(47)에서 거의 완전히 처리된다. 흡착제(47)의 설치 위치는 연소용 송풍기(24)의 출구부나 공기 공급관(23)의 도중이라도 좋지만 제17도와 같이 연소 장치 외부에 설치하면 흡착제(47)를 장기간 사용하여 그 능력이 저하된 경우에 사용자가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9의 타고남은 가스를 흡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흡인 장치(33)에 흡착제(47)를 설치한 예가 제18도이며 이 경우의 효과도 제17도와 동일하다. 사용하는 흡착제에는 상술한 활성탄 이외에 제오라이트,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늄 등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실시예 12]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부호 48은 연소 공기의 유로이며 또한 기화실(1)에 가까운 노즐(11)에 설치된 배기 가스 정화 촉매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1은 타고남은 연료를 흡착제로 처리하였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배기 가스 정화 촉매에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다. 연소 장치에서의 악취 즉, 타고남은 연료는 탄화수소(연료 및 그 부분 산화된 것)이며, 이것을 처리하는 배기 가스 정화 촉매는 백금, 패라디윰 등의 귀금속 담지 촉매외에 비금속 담지 촉매나 표이 금속(Co, Fe, Mn, Ni 등) 산화물이나 헥사 알루미네이트(Haxaaluminate) 촉매나 페로후스키트(Perofskite)형 산화물등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는 귀금속 담지 촉매가 탄화수소의 처리효율(산화 반응율)이 높은 것의 실온에서의 효율은 낮기 때문에 촉매의 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배기 가스 정화 촉매를 연소 장치의 고온부분인 연소실(42)이나 기화실(1)의 근방에 설치하면 좋다. 제19도는 연소 공기의 유로이며 또한 기화실(1)에 가까운 노즐(11)에 배기 가스 정화 촉매(48)를 설치한 예이다. 배기 가스 정화 촉매(48)는 기화실(1)이나 타고남은 가스의 열로 승온되기 때문에 타고남은 연료의 처리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실시예 9와 같은 흡인 장치로 흡인하는 경우에는 제20도와 같이 연소 장치의 고온부인 2차 화염(15)이나 화염 보호링(10) 또는 연소실(도시하지 않음) 등의 가까이에 배기 가스 정화 촉매(48)를 설치하면 좋다. 거기에다 배기 가스 정화 촉매(48)의 온도가 낮고 타고남은 가스의 처리 효율이 불충분할 경우에는 배기 가스 정화 촉매(48)와 함께 히터를 배치하면 좋다.
[실시예 13]
제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의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51, 52는 공기 공급관(23)과 연료 탱크(22) 등을 연결하는 분기관(53, 54)는 각각의 분기부에 설치되며 제어 회로(25)에서 개폐를 제어하는 경로 변환 장치이다.
이어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역류 혹은 흡인된 타고남은 가스를 연료 탱크(22)에서 응축 처리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6과 같이 연소용 송풍기(24)를 역회전시키거나 또는 실시예 7, 8과 같이 대류팬(43)의 송풍압을 이용하거나하여 기화실(1)내의 타고남은 연료를 역류시키는 경우에는 유로 구성이 그대로인 상태에서는 타고남은 가스를 연료 탱크(22)에 도입하는 일은 되지 않는다.
그래서 제21도에 도시하듯이 공기 공급관(23)과 연료 탱크(22)를 연결하는 분기관(51, 52)을 추가하여 각각의 도중에 경로 변환 장치(53, 54)를 설치하며 이들 경로 변환 장치(53, 54)는 제21도와 90도 다른 위치에 있으며 연소 공기는 공기 공급관(23)안을 기화기(1) 방향으로 흐른다. 소화시에는 연소 공기가 영으로 된 시점에서 경로 변환 장치(53, 54)를 도면의 위치로 하면 역류 악취는 제21도에서 백색 화살표와 같이 연료 탱크(22)를 경유하여 연소용 송풍기(24)의 방향으로 흐른다. 타고남은 가스가 연료 탱크(22)에 유도되면 저온의 벽이나 액면에서 연료 성분이 응축되며 연소용 송풍기(24)에서 배출되는 가스중의 악취는 감소한다.
또한, 실시예 9와 같이 흡인 장치(33)에서 타고남은 가스를 흡인할 경우에는 제21도에 도시한 분기관이나 경로 변환 장치는 불필요하며 제22도에 도시하듯이 흡인 장치(33)의 출구를 연료 탱크(22)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거기에다 흡인 장치(33)의 출구를 연료 탱크(22)내의 액체 연료중에 설치하여 타고 남은 가스를 액체 연료안에서 버블링 시키면 응축 효과는 크게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 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하도록 연료 공급 수단 및 연소용 송풍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설치하도록 구상하였기 때문에 소화 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하는 것에 의해 혼합기 농도가 약한 연료량 까지 가연 범위에 있기 때문에 화염의 불이 꺼짐이 생기는 일이 없으며 화염은 연소량이 극히 작게된 시점에서 소화되기 때문에 타고남은 가스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회로의 변경만으로 소형 낮은 가격으로 타고남은 가스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화 동작시에 연소 공기 송풍 경로에 설치된 유로 개폐기구를 닫고,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하는 제어 회로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공기 공급 수단의 제동이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도 공기 공급 수단을 이용하는 일없이 타고남은 가스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연료를 항시 일정량 저장하는 정유면용기 이 정유면용기에 액체 연료를 끌어올리는 펌프, 연소 공기의 송풍 압력을 상기 정유면용기에 가하는 압력관을 가지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화 동작시에 그 송풍 압력이 작게 되어도 그 압력에 추종하여 적은 연료를 공급하며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하여 타고남은 가스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를 변경하는 일없이 타고남은 가스량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소화 동작시에 기화실내의 타고남은 가스를 역류시키는 연소용 송풍기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화후에 늦게 타고남은 가스가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전면에 배출되어 악취를 느끼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류팬에 의해 통상 운전시는 연소실로부터의 연소 가스와 공기 등을 혼합하여 실내에 확산시켜 소화후는 연소실 밖을 연소실내의 압력보다도 높이도록 그 공기류의 압력을 연소실에 가하여 타고남은 가스를 역류시키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타고남은 가스가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전면에 배출되는 일이 없으며 악취를 느끼게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새로운 부재를 설치하는 일없이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화실내의 타고남은 가스를 흡인하는 흡인 장치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화후에 늦게 타고남은 가스가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전면에 배출되며 악취를 느낄 수 있지만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8항의 발명에 도시된 연소용 송풍기에 의해 역류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도 타고남은 가스에 의한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흡착제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주위의 어딘가에 타고남은 가스가 배출되어 있지만 흡착제에 의해 타고남은 가스의 악취를 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배기 가스 정화 촉매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액체 연료 연소 장치의 주위의 어딘가에 타고남은 가스가 배출되어 있지만 배기 가스 정화 촉매에 의해 타고남은 가스의 악취를 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0)

  1. 액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수단과, 연소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용 송풍기와, 그 공급된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실과, 상기 기화된 액체 연료와 공급된 연소 공기와의 미리 혼합된 기체를 연소시키는 화염구멍과, 소화 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 되도록 상기 연료 공급 수단 및 상기 연소용 송풍기 중에서 어느 한족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에 있어서, 연소용 송풍기와 기화실과의 사이의 연소 공기 송풍 경로에 설치된 유로 개폐기구와, 소화 동작시에 상기 유로 개폐기구를 닫으며,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2. 액체 연료를 항시 일정량 저장하는 정유면용기와, 이 정유면용기에 액체 연료를 뿜어 올리는 펌프와, 연소 공기의 송풍 압력을 상기 정유면용기에 가하는 압력관을 가지고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수단과, 연소 공기는 공급하는 연소용 송풍기와, 상기 공급된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실과, 기화된 액체 연료와 공급된 연소 공기와의 미리 혼합된 기체를 연소시키는 화염구멍과, 상기 연료 공급 수단 및 상기 연소용 송풍기를 제어하는 회로를 구비한 액체 연료 연소 장치에 있어서, 소화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 되도록 연료 공급 수단 및 연소용 송풍기중에서 어느 한쪽을 제어함과 함께, 화염구멍에 화염이 없어진 후에 기화실내의 타고 남은 가스를 역류시키도록 상기 연소용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또는 화염구멍에 화염이 없어진 후에 기화실내의 타고 남은 가스를 흡인하도록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소화 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 되도록 연료 공급 수단 및 연소용 송풍기 중에서 어느 한쪽을 제어함과 함께, 화염구멍에 화염이 없어진 후에 기화실내의 타고남은 가스를 역류시키도록 상기 연소용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또는, 화염구멍에 화염이 없어진 후에 기화실내에 타고 남은 가스를 흡인하도록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4. 액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수단과, 연소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용 송풍기와, 공급된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실과, 상기 기화된 액체 연료와 공급된 연소 공기와의 미리 혼합된 기체를 연소시키는 화염구멍과, 상기 화염구멍에 형성되는 화염을 덮도록 배치된 연소실과, 통상 운전시는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연소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실내에 확산시킴과 함께, 소화후에는 상기 연소실 밖을 연소실내의 압력보다도 높도록 공기 흐름의 압력을 상기 연소실에 가하는 대류팬과, 소화 동작시에 액체 연료 공급량과 연소 공기 공급량의 감소 비율을 같게되도록 상기 연료 공급 수단 및 상기 연소용 송풍기중에서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흡착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흡착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배기가스 정화촉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배기가스 정화촉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흡착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역류된 타고남은 가스의 배출 경로에 설치된 배기가스 정화촉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 연소 장치.
KR1019950022663A 1995-07-28 1995-07-28 액체 연료 연소 장치 KR018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663A KR0185737B1 (ko) 1995-07-28 1995-07-28 액체 연료 연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663A KR0185737B1 (ko) 1995-07-28 1995-07-28 액체 연료 연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075A KR970007075A (ko) 1997-02-21
KR0185737B1 true KR0185737B1 (ko) 1999-03-20

Family

ID=1942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663A KR0185737B1 (ko) 1995-07-28 1995-07-28 액체 연료 연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7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075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737B1 (ko) 액체 연료 연소 장치
JP6042601B2 (ja) 予備混合式の燃焼装置
KR100188347B1 (ko) 액체연료연소장치
JP2006242521A (ja) 温風暖房機
KR100229759B1 (ko) 액체연료 연소장치
JP3023050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8312942A (ja) 液体燃焼装置
JP2967654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0135890B1 (ko) 로터리히터의 탈취장치 및 방법
JP2538353B2 (ja) 燃焼装置の消火方法
JP2525451Y2 (ja) 気化式燃焼装置
KR100224018B1 (ko) 석유연소기의 냄새발생 방지장치
JPS6347736Y2 (ko)
JPH11173673A (ja) 温風暖房機
KR100187067B1 (ko) 강제대류형 로타리히터의 소화시 냄새제거방법
JP2539573Y2 (ja) 触媒燃焼装置
JPS61202010A (ja) 石油燃焼器の消火装置
JPH0215765B2 (ko)
JPH0828820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025824U (ja) 石油ファンヒーターの消臭装置
JPH0783406A (ja) 燃焼装置
JPH03144214A (ja) 石油気化式給湯装置
JPS6155524A (ja) 気化バ−ナにおける悪臭除去方法
JPH01273913A (ja) 温風暖房装置
JPH1026419A (ja) 液体燃料燃焼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