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707B1 - 물품의 그룹핑장치 및 그 그룹핑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의 그룹핑장치 및 그 그룹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07B1
KR0185707B1 KR1019910003972A KR910003972A KR0185707B1 KR 0185707 B1 KR0185707 B1 KR 0185707B1 KR 1019910003972 A KR1019910003972 A KR 1019910003972A KR 910003972 A KR910003972 A KR 910003972A KR 0185707 B1 KR0185707 B1 KR 0185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s
spacer members
grouping
convey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571A (ko
Inventor
마리 필리뻬
Original Assignee
로 레인 제이. 프란시스
더미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 레인 제이. 프란시스, 더미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 레인 제이. 프란시스
Publication of KR91001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1/00Packaging or unpacking of bottles
    • B65B21/02Packaging or unpacking of bottles in or from preformed containers, e.g. crates
    • B65B21/04Arranging, assembl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bottles prior to introduction into, or after removal from, containers
    • B65B21/06Forming groups of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2Application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4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65G35/063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the traction element being a rotating bar or tube
    • B65G35/06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the traction element being a rotating bar or tube the bar or the tube being provided with a helical or annular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8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trains of unconnected load-carriers, e.g. belt sections, movable in a path, e.g. a closed path, adapted to contact each other and to be propelled by means arranged to engage each load-carrier in tu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연속되는 이송흐름에 있는 물품들(B)을 그룹화하는 그룹핑장치(14)는 이송흐름으로 부터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물며, 물품들이 상기 그룹핑장치의 작동영역(W)을 통해 운반될 때 서로에 대해 일정한 위치를 가지도록 하는 일련의 스페이서 부재들(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은 부재들이 작동 영역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한 그룹의 물품이 다음에 이어지는 물품그룹으로 부터 이송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게 하는 회전 가능한 원통형 캠과 상호 작동하는 캠 종동부(18)를 가진다.
이송흐름에서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물도록 스페이서 부재들을 다음에 이어지는 스페이서 부재들로 부터 적당히 떨어뜨려서 복귀영역(R)을 따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운반벨트(4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물품의 그룹핑장치 및 그 그룹핑 방법
제1도는 포장기의 이송끝단에서 물품 이송로를 따라 배치된 본 그룹핑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제1a도는 본 그룹핑 장치의 스페이서 부재중의 하나의 상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개략 수직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개략 수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반밸트 14 : 그룹핑 장치
16 : 스페이서 부재 18 : 캠 종동부
20 : 작동면 34 : 원통형 캠
36 : 헬리컬 캠트랙 38 : 추진부재
40 : 무단 마찰벨트 42, 44 : 구동 스프로켓
본 발명은 포장기의 이송끝단에서 이송흐름으로 부터의 다수의 물품을 그룹화시키는 그룹핑(group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포장기에서 다수의 캔 또는 병들을 그룹화하는데 유용한 그룹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A-0 126 553에 개시된 공지의 스페이서 및 운반장치에서는 일련의 스페이서 부재들이 무단 체인상의 고정된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는 물품의 이송흐름으로 부터의 다수의 물품을 맞물어서 포장기의 하류로 운반하는 형상이다.
각 스페이서 부재 사이의 거리는 연속되는 물품 그룹 사이의 거리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개의 물품들이 개개의 스페이서 부재에 의해 맞물리고, 가변 피치의 해리컬 캠트랙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원통형 캠인 제어장치가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특별한 간격배치를 얻기에 적합한데 예를들어 한 그룹의 3개의 스페이서 부재가 다음에 이어지는 스페이서 부재 그룹으로 부터 일정간격 떨어져서 스페이서 부재들과 상호 작동하는 물품들이 동일하게 그룹화되고 일정간격씩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포장기의 이송끝단에서 이송흐름으로 부터 그룹핑 장치에 전달된 물품들을 그룹화시키기 위한 그룹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그룹핑 장치는 이송 흐름으로 부터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물고 물품들이 상기 그룹핑장치의 작동영역을 통해 이송될 때 상기 물품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를 정해주는 일련의 스페이서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은 스페이서 부재들이 작동영역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최소한 2개의 연속되는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한 그룹의 물품이 다음에 이어지는 물품그룹으로 부터 이송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하는 제어장치와 상호작동하는 장치를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를 복귀 영역을 따라 복귀시키기 위한 운반장치가 갖추어져서 스페이서 부재들이 작동영역의 상류 흐름으로 복귀되어 이송흐름에서 연속되는 물품들과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에 있는 스페이서 부재들의 이동로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회전가능한 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은 작동영역을 통한 스페이서 부재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전캠과 상호 작동하는 캠종동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캠 종동부로 부터 멀리 떨어져서 물품을 맞물고 상기 제어운동을 전달하는 작동면을 포함한다.
제어장치가 회전캠으로 된 구조에서는 제어장치는 캠트랙을 가지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캠트랙에는 상기 원통형 몸체를 따라 연속적인 헬리컬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헬리컬 형성의 피치는 한 그룹의 스페이서 부재들이 상기 이송방향에서 다음에 연속되는 스페이서 부재그룹과 필요한 만큼 떨어지도록 몸체의 길이를 따라 변화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물품의 이송흐름을 상기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으로 도입하기 위한 운반장치가 갖추어지며,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이 각각 상기 제어장치 상류의 개개의 물품들을 맞물어서 상기 물품들을 통해 상기 운반장치로 부터 상기 스페이서 부재로 이송운동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 부재가 전진되어 상기 제어장치와 맞물리게 된다.
물품의 이송흐름을 도입하기 위한 운반장치가 갖추어지는 구조에서는 연속되는 물품그룹이 상기 운반장치로 부터 상기 그룹핑장치의 작동영역내에 있는 지지장치 위로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물품그룹은 상기 작동영역에서 작동 가능한 추진부재들에 의해 상기 운반장치의 하류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운반장치는 상시 스페이서 부재를 그룹핑 장치의 상기 복귀영역을 따라 상기 제어장치의 상류끝단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물품들로 부터 이탈한 후 제어장치의 하류끝단을 떠나는 스페이서 부재와 상호작동하도록 배치된 무단벨트로 이루어진다.
운반장치가 무단벨트로 된 그룹핑 장치에서는, 무단벨트는 스페이서 부재들을 상기 복귀영역을 따라 복귀시키기 위해 스페이서 부재들의 캠종동장치를 맞무는 마찰벨트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물품들을 지정된 이송로에 유지시키기 위해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을 따라 스페이서 부재들로 부터 멀리 안내장치가 갖추어진다.
그룹핑 장치에서 스페이서 부재들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안내트랙과 상호 작동하도록 상기 스페이서 부재위에 안내 종동부가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송흐름으로 부터 전달된 물품들을 그룹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물품의 이송운동 동안에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일정한 위치를 갖도록 이송흐름으로 부터 연속되는 물품들을 스페이서 부재들로 맞무는 단계, 제어장치에 의해 스페이서 부재들이 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한 그룹의 물품이 다음에 이어지는 물품그룹에 대해 전진됨으로써 일정간격만큼 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스페이서 부재들을 상기 이송흐름에서 연속되는 물품들과 맞물리도록 서로 적당히 떨어뜨려서 상기 제어장치의 상류로 복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룹핑 장치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기술한다.
지지 플랫폼(10a)상에서 이동하는 운반벨트(10)는 다중포장기(도시되지 않음)의 이송끝단속으로 나란히 인접해 있는 캔 또는 병들(B)과 같은 물품의 이송흐름을 도입한다.
나란히 인접한 개개의 물품들은 운반벨트(10)에 의해 이송되고 직립한 고정안내판(12)에 의해 상기 운반벨트의 한쪽을 따라 안내된다.
그룹핑 장치(14)는 일반적으로 달걀형태의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무단의 개별 스페이서 부재들(16)로 이루어지며 작동영역(W)을 가지는데, 상기 작동영역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이 이송흐름으로 부터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물며 물품들이 상기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을 통해 운반될 때 서로에 대해 일정한 위치를 가진다.
상기 그룹핑 장치는 또한 복귀영역(R)을 포함하는데 이 복귀영역에서는 스페이서 부재들(16)이 이송흐름에서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물기 위해 서로가 적당하게 떨어져서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운반되어 작동영역의 상류로 복귀된다.
제1a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16)는 일반적으로 정점에 부분 원통형 캠 종동부(18)를 가지고 반대편의 넓은 단부에 작동면을 가지는 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작동면은 실질적으로 스페이서 부재가 맞물려 병 또는 캔의 외부벽 부분과 일치하는 형상인 부분 원통형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는 작동면(20)과 캠종동부(16)의 중간에 최상부면(16a)과 최하부면(16b)으로 부터 직립한 한쌍의 원통형 안내돌출부(22)(24)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돌출부는 각각 상부 안내트랙(26) 및 하부안내트랙(28)과 맞물리는데 상기 상하부 안내트랙은 일반적으로 스페이서 부재들이 그것에 의해 제한되어 이동하며 각쌍의 안내돌출부가 각각 맞물리는 상부 안내레일(30) 및 하부안내레일(32)이 갖추어진 달걀모양의 이동로를 형성한다.
스페이서 부재의 작동영역은 운반벨트(10)상의 그룹화될 물품들의 이송로와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을 통한 안내부재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제어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헬리컬 캠트랙(36)이 형성되고 그 종축이 물품의 이송로에 평행하게 배치된 원통형캠(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캠은 적당한 구동장치에 의해 그 종축(도시되지 않음) 둘레로 회전되며 또한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가 상기 원통형캠에 접근함에 따라 스페이서 부재의 캠종동부가 헬리컬 캠트랙에 맞물려서 그룹핑장치의 하류 방향으로 작동영역을 따라 전진 운반되도록 위치한다.
캠트랙의 헬리컬 피치는 최초의 단일턴 이후에 캠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이후 3개의 등간격으로 비교적 밀접하게 떨어진 완전한 헬리컬 회전이 갖추어지도록 변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헬리컬 피치는 다시 캠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또 다시 3개의 등간격으로 비교적 밀접하게 떨어진 완전한 헬리컬 회전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헬리컬 캠트랙의 특별한 배치는 한 그룹의 3개의 스페이서 부재가 다음에 이어지는 스페이서 부재 그룹과 나란히 일정간격 떨어져서 안내되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한 그룹의 물품에 있는 마지막 물품(B3)은 다음에 이어지는 그룹의 선두의 물품(B1)의 하류로 일정간격 떨어지게 된다.
이 특별한 구체적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부재들은 3개가 연속되는 그룹으로 함께 모아져서 일렬로 인접하게 정렬되어 물품의 제1그룹을 형성하는 3개의 물품이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을 따라 다음에 이어지는 동일한 그룹의 물품으로 부터 일정간격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다른 그룹의 형성은 그룹핑장치의 캠트랙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둘 또는 넷 또는 다섯개의 물품 그룹이 캠트랙의 헬리컬 피치를 적당히 변화시킨 원통형 캠을 설치함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작동영역에 있는 원통형캠에 의해 형성된 두 그룹의 물품의 대략 중간위치에서 이송 운반벨트(10)가 끝나고 연속되는 물품그룹이 원통형 캠위로 운반되어 이후 무단의 일련의 추진부재들에 의해 그룹핑장치의 하류로 운반되는데 상기 추진부재들은 각각의 그룹(B1-B3)의 마지막 물품(B3)을 맞문다.
이러한 형태의 추진부재(38)는 종래의 기술에서 잘 공지되어 있고 물품에 대한 지지 플랫폼(40)의 바로 아래에 작동영역을 가지는 무단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연속되는 스페이서 부재들은 물품의 그룹화를 마치고 원통형 캠의 하류 끝단을 떠날때 잠시 전방으로 직접적인 구동을 받지는 않지만 고정된 가이드들에 선방향의 압력이 생김에 따라 스페이서 부재들이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안내 트랙을 따라 밀리게 되고 한쌍의 일정간격 떨어진 구동스포로켓(42)(44)둘레에 씌워진 무단 마찰벨트(40)와 접촉하게 된다.
회전하는 마찰벨트(40)는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16)의 캠종동부(18)와 맞물리고 그룹핑장치의 복귀영역(R)을 따라 스페이서 부재들을 운반해서 스페이서 부재들이 원통형캠(34)의 이송흐름 상류에서 연속되는 물품들과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작동영역 상류의 저장영역으로 복귀시킨다.
마찰벨트(40)의 복귀영역을 따라서 한쌍의 텐션로울러(44)(46)가 팽팽한 벨트의 작동영역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구동 스포로켓 근방에 설치된다.
물품들을 연속적으로 포장하기 위해 2열의 두 그룹으로 운반되도록 직립한 종방향의 가이드(12)의 다른쪽에 유사한 그룹핑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원통형 캠을 캠트랙의 헬리컬 피치를 다르게 설치한 것으로 대치함으로써 물품을 다르게 그룹화할 수 있다.
그러한 대체 원통형캠들이 그러한 두 개의 그룹칭 장치를 포함하는 설치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예를들어 고정된 가이드(12)의 한쪽면상에 나란히 3개씩 2열로 배치된 6개의 물품 또는 나란히 2개씩 두 그룹으로 배치된 4개의 물품 또는 단순히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물품을 가지는 물품 그룹을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1)

  1. 포장기의 이송끝단에서 이송흐름으로 부터 그룹핑 장치에 전달된 물품들을 그룹화시키는 그룹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장치는 이송흐름으로 부터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물고 물품들이 상기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을 통해 운반될 때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일정한 위치를 갖도록 하는 일련의 스페이서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2개 이상의 연속되는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한 그룹의 물품이 상기 스페이서 부재가 상기 작동영역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다음에 이어지는 물품그룹으로 부터 이송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게 하는 제어장치와 상호 작동하는 장치를 가지며, 스페이서 부재들이 이송흐름에서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물도록 배치되는 상기 작동영역의 상류로 복귀영역을 따라 스페이서 부재들을 복귀시키기 위한 운반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에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의 이동로에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회전 가능한 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 부재들은 상기 작동영역을 통한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전가능한 캠과 상호 작동하는 캠종동부를 포함하며 또한 물품을 맞물어서 상기 제어운동을 전달하는 캠종동부로 부터 멀리 떨어진 작동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캠트랙을 가지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트랙은 상기 원통형 몸체를 따라 연속된 헬리컬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지고 상기 헬리컬형성의 피치는 한 그룹의 스페이서 부재들을 상기 이송방향에서 다음에 이어지는 스페이서 부재그룹으로 부터 필요한 만큼 떨어지도록 원통형 몸체의 길이를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운반장치는 물품의 이송흐름을 상기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속으로 도입하기 위해 갖추어지며,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은 각각 상기 제어장치 상류의 개개의 물품들을 맞물어서 이송운동이 상기 운반장치로 부터 상기 물품들을 통해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부재를 전진시켜 상기 제어장치와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연속되는 물품 그룹은 상기 운반장치로 부터 상기 그룹핑 장치의 작동 영역내의 지지장치 위로 운반되고, 상기 운반된 물품 그룹은 상기 작동 영역내의 지지장치 위로 운반되고, 상기 운반된 물품 그룹은 상기 작동 영역에서 작동 가능한 추진부재에 의해 상기 운반장치의 하류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는 스페이서 부재들을 그룹핑 장치의 복귀영역을 따라 상기 제어장치의 상류끝단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물품들로 부터 떨어진후 제어장치의 하류 끝단을 떠나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들과 상호 작동하도록 위치한 무단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벨트는 스페이서 부재들을 복귀영역을 따라 복귀시키기 위해 스페이서 부재들의 캠종동부를 맞무는 마찰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안내장치가 상기 물품들을 지정된 이송로에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서 부재들로 부터 멀리 상기 그룹핑 장치의 작동영역을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 장치.
  10. 제3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안내 종동부가 그룹핑장치의 상기 작동영역의 외부에 갖추어진 안내트랙과 상호 작동하도록 상기 스페이서 부재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장치.
  11. (정정) 이송흐름으로 부터 운반된 물품들의 그룹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물품들의 이송운동 동안에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일정한 위치를 가지도록 스페이서 부재들로, 이송흐름으로 부터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무는 단계, 스페이서 부재들이 물품의 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한 그룹의 물품이 다음에 이어지는 물품그룹에 대해 전진되어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스페이서 부재들을 제어장치로 작동시키는 단계, 및 이후 상기 이송흐름에서 연속되는 물품들을 맞물도록 스페이서 부재들을 다음에 이어지는 스페이서 부재들로 부터 적당히 떨어뜨려서 상기 제어장치의 상류로 복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그룹핑 방법.
KR1019910003972A 1990-03-13 1991-03-12 물품의 그룹핑장치 및 그 그룹핑 방법 KR0185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05610.2 1990-03-13
GB9005610A GB9005610D0 (en) 1990-03-13 1990-03-13 Infeed grouping mechanism for a packag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571A KR910016571A (ko) 1991-11-05
KR0185707B1 true KR0185707B1 (ko) 1999-04-15

Family

ID=1067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972A KR0185707B1 (ko) 1990-03-13 1991-03-12 물품의 그룹핑장치 및 그 그룹핑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47123B1 (ko)
JP (1) JPH05132135A (ko)
KR (1) KR0185707B1 (ko)
AU (1) AU642466B2 (ko)
CA (1) CA2037632C (ko)
DE (1) DE69110160T2 (ko)
ES (1) ES2072538T3 (ko)
GB (1) GB9005610D0 (ko)
IE (1) IE70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676A (ko) 2020-02-03 2021-08-11 김강진 다중수납부를 가지는 쇼핑백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7979U1 (de) 1998-05-05 1999-09-16 Kettner Gmbh Vorrichtung zum Gruppieren oder Vereinzeln von Artikeln
DE102006045453A1 (de) * 2006-09-26 2008-04-03 Khs Ag Transportsystem
FR2994562B1 (fr) * 2012-08-16 2015-04-03 Serac Group Dispositif a vis de transfert d'articles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d'articles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102013102878A1 (de) * 2013-03-21 2014-09-25 Krones Ag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mit kontinuierlicher Zuführung
JP2022079974A (ja) * 2020-11-17 2022-05-27 株式会社Ilファーマパッケージング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87932A (fr) * 1963-12-11 1965-02-05 R A Jones And Company Machine à emballer
SE360332B (ko) * 1971-12-15 1973-09-24 Eriksson K E I
US3956868A (en) * 1974-11-06 1976-05-18 Federal Paper Board Company, Inc. Carton opening, filling and closing apparatus
GB1585440A (en) * 1977-05-24 1981-03-04 Eriksson K Apparatus for feeding ojects from a conveyor
US4552261A (en) * 1983-12-27 1985-11-12 Standard-Knapp, Inc. Article grouper for case packer
US4693055A (en) * 1986-05-09 1987-09-15 Manvil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containers to a carrier sleeve
US4757893A (en) * 1987-04-06 1988-07-19 Shabram Jr Lyle F Apparatus for positively spacing attached devices along a moving timing cha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676A (ko) 2020-02-03 2021-08-11 김강진 다중수납부를 가지는 쇼핑백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7123A1 (en) 1991-09-18
IE70449B1 (en) 1996-11-27
DE69110160D1 (de) 1995-07-13
ES2072538T3 (es) 1995-07-16
CA2037632C (en) 1994-07-12
EP0447123B1 (en) 1995-06-07
CA2037632A1 (en) 1991-09-14
IE910835A1 (en) 1991-10-09
DE69110160T2 (de) 1995-10-19
KR910016571A (ko) 1991-11-05
JPH05132135A (ja) 1993-05-28
AU7200891A (en) 1991-09-19
GB9005610D0 (en) 1990-05-09
AU642466B2 (en) 199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664A (en) Infeed grouping mechanism for a packaging machine
US50353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objects
RU2412885C2 (ru) Сортировоч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EP1849725B1 (en)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nd accumulating discrete products
US7588139B1 (en) Conveyor assembly
US5381884A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flat products
US20040154902A1 (en)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nd product arranging and loading apparatus and methods
EP2195265B1 (en) Transfer device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US4004677A (en) Line combining apparatus
US5469687A (en) Apparatus for forming stacked article groups utilizing clip-type carriers
US4759433A (en) Continuous motion, in-line product stacking apparatus
US467807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objects (packages) from a continuous row of objects
KR100600927B1 (ko) 물품 분류 장치
US5450941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onveying and grouping flat items
SU1131466A3 (ru) Конвейерна система
KR0185707B1 (ko) 물품의 그룹핑장치 및 그 그룹핑 방법
JPH0676136B2 (ja) 搬送装置
EP0608103B1 (en) Packaging machine with flight bar carton conveying system
US5056298A (en) Machine for metering and loading groups of articles
US5209338A (en) Product control apparatus
BG98648A (bg)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придвижване на изделия и по - специално за съоръжения за автоматично пакетиране
US4709799A (en) Arrangement for orienting articles on a conveyor
US4354591A (en) Carton collating and transfer apparatus
US5862651A (en) Flight bar grouper for packer
GB2316926A (en) Infeed arrangement for a packag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