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706B1 -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06B1
KR0185706B1 KR1019910010952A KR910010952A KR0185706B1 KR 0185706 B1 KR0185706 B1 KR 0185706B1 KR 1019910010952 A KR1019910010952 A KR 1019910010952A KR 910010952 A KR910010952 A KR 910010952A KR 0185706 B1 KR0185706 B1 KR 018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cylinder
melting
supply
ind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246A (ko
Inventor
죠지 가따오까
Original Assignee
죠지 가따오까
가따오까 붓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지 가따오까, 가따오까 붓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죠지 가따오까
Priority to KR101991001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706B1/ko
Publication of KR93000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차와 녹차를 봉입한 전체를 탕과 물속에 담가서 홍차와 녹차의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삼각뿔형으로 형성된 티백에 관한 것으로, 수직 설치되는 공급통의 둘레면에 테이프형상 망소재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둘러 쌓도록 공급하고 소재의 양 귀부를 측면 가장자리에 두고서 맞붙이면서 용착수단을 통해서 접합하여 통체에 형성하는 동시에 이 통체를 순차 공급통의 아래쪽으로 계속 투입하는 통형성 공정과, 공급통의 바로밑에 두고서 서로 대향시킨 한쌍의 압자가 간헐적으로 통체를 눌러 붙여서 횡 일선상으로 눌러서 용착하고 또 이 누름 위치에서 용단하는 제1의 용착, 용단 공정과, 제1의 용착, 용단 공정에서의 누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대향시킨 다른 1쌍의 압자를 향하여 제1의 용착, 용단 공정에 의한 누름 작동 간격을 교대로 같은 횡 일선상에 누름 용착하고 또한 용단하는 제2의 용착, 용단 공정, 및 상기 제1, 제2의 각 용착, 용단 공정에 동조시켜서 상기 공급통에서 내용물을 낙하 충전하는 충전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장치 각부의 위치 관계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 나타낸 일부 생략한 개략설명 사시도.
제2도는 주요부의 설명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주요부의 확대우측면도.
제5도는 가이드 확대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우측면도.
제7도는 크랭크 기구에 연결된 용단 압자의 확대평면도.
제8도는 수압자와 공동하여 통체를 끼워 누르는 도중을 나타낸 용단 압자의 확대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통체를 억압하여 용착, 용단시의 용단 압자의 확대측면도.
제10도는 크랭크 기구의 회전에 따른 용단 압자의 운동 궤적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11도는 확장편을 확장시킨 상태에서의 공급통의 확대 중앙종단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13도는 확장편을 끌어올린 상태에서의 공급통의 확대 중앙 종단 정면도.
제14도는 제11도 X-X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 Y-Y선 단면도.
제16도 (a)-(c)는 확장편의 돌출상태에서 후퇴시의 변화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제조된 티백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통 3 : 용착수단
4 : 투입로울러 5 : 용단압자
6 : 수압자 15 : 가이드로울
36 : 덮개 38 : 스프링
41 : 티백
본 발명은 홍차와 녹차를 봉입한 전체를 탕과 물속에 담가서 홍차와 녹차의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소위 티백, 특히 삼각뿔형으로 형성하게 되는 티백의 제조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삼각뿔형 티백은 백자체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삼각뿔형을 이루고 내부에 소정공간이 확보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정량의 내용물, 예를들면 홍차, 녹차류를 봉입한 티백을 그대로 탕과 물속에 담갔을 경우 내용물이 티백에 의해 억눌러지는 것 없이 충분히 팽윤될 수 있고 또 보다 많은 탕수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성분 추출은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이 삼각뿔형 티백의 난점은 형태의 특수성에서 종래 편평한 봉투 모양 티백에 비교하여 연속적 제조장치를 만드는 것이 곤란하고, 따라서 제조성이 나쁘고 생산량 또는 가격의 면에 있어서 편평한 봉투모양 티백에 대향할 수 없는 것이였다.
종래부터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은 몇 개 정도 제안되고 있고 그것들중의 하나로서 테이프 모양의 소재에서 통체를 형성하고 그후 삼각뿔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있지만 그 제법에 있어서는 테이프 상의 소재에서 통체를 형성할때까지는 연속적 제조가 가능하지만 그 통체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삼각형으로 형성할 때 및 그 절단에 맞추어서 백내에 내용물을 충전할 때 테이프는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즉 테이프의 흐름이 일정 간격으로 중단되어 흐름이 정지되기 때문에 연속제조를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제조법에서 연속적 제조가 불가능한 점에 대하여 이것을 개선하여 테이프상 소재의 공급을 중단시키지 않고 내용물의 봉입과 함께 삼각뿔형의 티백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상 소재에서 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이 통체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선상으로 누르는 위치에서 용착하여 포대로 하는 동시에 이 위치에서 통체를 용단하는 공정과, 상기 용착과 동시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공정과, 이 공급작업의 종료와 동시에 상기 용착 위치의 윗쪽을 90°의 다른 방향에서 제2의 일선상의 누르는 조작을 하여 이것을 용착하는 동시에 용단하여 독립된 삼각뿔형 티백을 분리하는 공정과, 재차 그 윗쪽에 남겨진 포대부분에 대하여 내용물을 충전하고, 이 충전을 완료하는 동시에 그 윗쪽 위치를 재차 90°다른 방향으로 일선상으로 눌러서 용착, 용단하는 공정의 반복에 의한 삼각뿔형의 티백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직선상으로 누르고, 또한 이 누름과 동시에 통체를 용착하고, 아울러 용단하는 공정을 통체의 반복속도에 동조시켜서 이동상태에서 행하므로서 제조과정중에서 흐름의 정지가 없이 연속적으로 제조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것을 더 상술하면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공급통의 둘레면에 테이프상 망 소재를 길이방향에 따라 쌀 수 있도록 공급하고, 그 소재의 양귀부분을 측면 가장자리에서 맞추면서 용착수단으로 접합하여 통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통체를 순차 공급통의 아래쪽으로 투입하는 통형성 공정과, 상기 공급통의 바로 아래에 서로 대향시킨 한쌍의 압자를 간헐적으로 통체로 밀어붙여서 가로 일선상으로 내리눌러 용착하고, 또한 그 누르는 위치에서 용단하는 제1의 용착, 용단 공정과 상기 제1의 용착, 용단 공정에서의 누르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대시킨 다른 한쌍의 압자를 대향시켜 제1의 용착, 용단 공정에 의한 내리 누르는 작동 간격을 교대로 같은 가로 일직선상에 눌러서 용착하고, 또한 용단하는 제2의 용착, 용단 공정과, 상기 제1, 제2의 각 용착, 용단 공정에 동조시켜서 상기 공급통에서 내용물을 낙하 충전하는 충전 공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제2의 용착, 용단 공정은 각각의 용착, 용단 동작시에 상기 통체의 투입하는 속도에 동조시켜서 각쌍을 이루는 압자를 원 또는 타원형의 운동을 시켜서 끼워 누름과 동시에 통체를 보내는 방향을 향하여 등속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조법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수직으로 배치되고 가운데가 빈 내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낙하 유도하는 동시에 둘레면에 길이 방향에 따라 공급하는 테이프상 망소재를 감아붙여 통형으로 형성하는 공급통과, 그 공급통의 굴레면에 대설하여 상기 감아붙여지는 테이프상 망소재의 양귀부를 가지런히 하는 동시에 일체로 접합하여 통형으로 형성하는 용착수단과, 마찬가지로 공급통에 대향하여 상기 통체를 아래로 보내는 수단과, 상기 공급통의 아래쪽에 있어서 그 공급통의 연장선을 끼워서 수평으로 대설하는 용단 압자와 수압자로 된 상기의 보내는 통체를 가로 일선상으로 누르는 동시에 용단하는 제1의 용착, 용단 수단과, 이 제1의 용착, 용단 수단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고 또한 용단 압자와 수압자를 교차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통체를 90°다른 방향에서 가로 일선상으로 눌러 용착, 용단하는 제2의 용착, 용단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의 각 용착, 용단 수단은 각 용단 압자와 수압자를 요동 지지 기구를 통하여 각각 원 또는 대략 타원형의 괘적에 따라 회전 운전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공급통에서 투입되는 통체를 수평방향에서 끼워붙이는 운동에 맞추어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송출하고, 상기 용착, 용단을 통체의 투입 속도에 동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장치에서 구동지지 기구에 대하여 압자를 선단부에 지지하는 지지아암과, 이 지지아암의 중간에 자유단을 만들어 전후 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요동지지간과, 상기 지지아암의 후단에 접속하여 요동지지간과의 부착점을 지지점으로 요동운동을 시키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되고, 이 크랭크 기구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압자를 원 또는 타원형의 괘적에 따른 끼워 눌러서 투입 운동을 하도록 해서 된 삼가뿔형 티백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상기 제조장치에서 용단 압자는 용단날과 용단날을 싸는 카바로 구성되고, 용단날은 지지아암의 선단에 그 정적으로 부착하는 한편, 카바는 지지아암 사이에 눌러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보통은 선단의 돌출구 용단날의 선단날끝보다 전반으로 돌출되고, 수압자와 맞닿을 때에 카바 선단부를 눌러서 이 개구부에서 용단날을 돌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공급통에는 중심선을 끼워서 서로 대향하는 벽부에 한쌍으로 된 확장편을 통축심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시켜 맞추어 통체의 투입에 동조시키는 동시에 용착, 용단 수단에 의한 누름에 앞서 상기 확장편의 선단부를 제공되는 하단 개구부에서 돌출시켜 투입되는 통체를 배향하는 두 방향으로 확장시키도록 하여된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술하고, 그 특징으로 하는 바를 명확히 한다.
도면에서 '1'은 테이프상을 이루는 망소재(2)를 외주면에 감아붙여서 통체에 형성하는 동시에, 가운데가 빈 내부를 통하여 홍차, 녹차 등의 내용물을 유도하는 공급통이며, '3'은 이 공급통의 외부 둘레면에 따라 상하 두 개의 아암을 대향설치시킨 용착수단, '4'는 공급통(1)의 좌우대 외접하도록 구비된 투입하는 수단이 되는 투입로울러이며, '5', '6' 및 '7', '8'은 공급통의 아래쪽으로서, 이 공급통의 축선의 연장선을 사이로하여 상대하도록 대향설치시킨 제1, 제2의 용착, 용단 수단의 용단 압자와 수압자이다. 공급통(1)은 여기에서는 내외 이중으로 한 두 개의 원통체(1a)와 (1b)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통의 안쪽 원통체(1b)의 상단에는 내용물을 계량하는 계량기(9)가 접속되고, 그 상부에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호퍼(10)가 설치되어 있다.
계량기(9)는 원형의 외부틀(11)의 내부에 둘레면의 배향하는 두 군데에 계량요부(12)를 설치한 회전체(13)가 구비되어 있어서, 회전체(14)에 의한 회전으로 하나의 요구(12)가 호퍼(10)의 바로 아래의 개구부에 대향되었을 때 내용물을 이 요부에 넣고, 다음의 회전으로 이 요부가 바로 아래를 향하여 공급통에 대향되었을 때 넣어진 내용물을 방출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을 공급통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체(13)가 180°회전할때마다 계량한 내용물을 공급통(1)에 송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테이퍼상의 망 소재(21)는 로울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로울(15) 등을 통하여 소요의 장력을 걸면서 칼라형을 이루는 가이드(16)를 통하여 공급통(1)의 외부둘레면, 여기에서는 바깥쪽 원통체(1a)의 외부 둘레면에 공급된다.
상기 가이드(16)는 제5도,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세로로 가는 한줄기(17)를 설치한 원통체(18)의 경사 상단 개구 가장자리(19)에 따라 칼라형의 가이드판(2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원통체(18)를 공급통(1)의 바깥쪽에 끼워붙여서 가른 부분(17)이 정면에 위치하도록 장비된다.
가이드로울(15) 등을 통하여 투입로울러(4)로 인출되는 소재(2)는 공급통(1)의 배후에서 가이드판(20)의 상면에 따라 상단개구 가장자리(19)로 유도되고 여기에서 되접히는 점에 원통체(18)와 공급통(1)의 외부쪽 원통체(1a)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간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이유도와 아울러 소재의 양귀부를 가른 부분(17)에 통과시켜 맞추고, 이 맞춤위치와 대향하는 상기 용착 수단(3)을 통하여 귀부(2a)끼리를 용착하여 테이프상의 소재를 통체(21)에 형성한다.
이때, 용착부분에서 외부쪽은 용착과 동시에 용단하여 잘라낸다.
상기 투입로울러(4)는 회전하여 테이프상의 소재(2)를 공급통(1)을 향해 인출하는 한편, 이 통 주변에서 통체(21)에 형성된 소재를 아래쪽으로 장비하는 용착, 용단 수단을 향해 보낸다.
제1의 용착, 용단 수단을 구성하는 용단압자(5)와 수압자(6) 및 제2의 용착, 용단 수단을 구성하는 용단 압자(7)와 수압자(8)는 각각 동일한 수평면상에 있으므로, 제1의 용착, 용단 수단은 공급통(1)의 연장선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또한 제2의 용착, 용단 수단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여 서로가 90°의 각도를 달리하여 대향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조의 압자는 시간적 간격을 두고서 번갈아 끼워 붙이는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재4도는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게 한 제1의 용착, 용단 수단을 나타내며, 제7도에서 제9도에는 해당 수단의 용단 압자(5)와 수압자(6)를 더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따라 용착, 용단 수단에 대하여 상술한다.
또한, 제2의 용착, 용단 수단은 제1의 수단과 배치방향이 다를 뿐 구성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용단압자(5)와 수압자(6)는 수평으로 뻗은 지지아암(22), (23)의 각 선단에 고정되어 대향설치되고, 양지지 아암(22), (23)은 그 도중에 설치된 요동 지지간(24), (25)과 후단에 접속하는 크랭크 기구(26), (27)에 의해 지지된다.
요동 지지간(24), (25)은 그 하단(28), (29)이 장치의 기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일으켜 세워져 있으며, 각 상단을 핀(30), (31)을 끼워서 지지아암(22), (23)의 중간에 부착하여 이것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크랭크 기구(26), (27)의 일단의 회전축(32), (33)의 회전으로 각각 화살표방향(제4도 참조)으로 회전하고 회전단에 구비된 핀(34), (35)이 상기 지지아암(22), (23)의 각 후단에 부착되고, 이 지지 아암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광회전축(32), (33)은 동속운동 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용단압자(5)는 이에 대향하는 수압자(6)와 협동하여 통체(21)를 끼워 누르고 소재를 용착, 용단하는 것으로 선단에는 히터에 의한 용단날(5a)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용단날(5a)을 덮는 덮개(36)를 구비한다.
이 용단압자(5)는 폭넓고 살두께가 두꺼운 판자모양을 이루고, 선단부는 첨예한 날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날모양의 끝에 용단날(5a)을 전체폭에 걸쳐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36)는 압자(5)의 전체를 둘러싸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하여 전후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장착하고 압자의 지지기체(37)와의 사이에 눌러 설치하는 스프링(38)에 의하여 평소에는 앞쪽으로 힘이 가해져서 선다부에 가로 한쪽 선상으로 개구하는 돌출구(39)를 앞으로 밀어내어 용단날(5a)이 덮개(36)의 안쪽으로 후퇴하게 하고 있다.
이 덮개(36)의 선단은 끝을 접고 있으며, 이 접은 선단부분에 가로길이의 돌출구(39)를 개설한 것으로 돌출구(39)는 용단날(5a)의 돌출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용단압자(5)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통체(21)를 억압했을 때 편평하게 눌러진 통체(21)의 전체를 끼워누를 수 있는 폭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이 용단압자(5)에 대향하는 수압자(6)는 선단부를 뾰족하게 하여 직선적 끼워붙임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용단압자(5)의 가로폭에 맞춰서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용단압자(5)와 수압자(6)는 회전축(32)(33)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 기구(26)(27)가 화살표시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작동하고 공급통(1)을 통하여 송출되는 통체(21)를 끼워눌러서 가로 한쪽선상으로 편평하게 누르고 이것을 용착함과 동시에 용단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양 회전축(32)(33)은 같은 속도로 회전하고, 이 회전으로 크랭크 기구가 화살표시방향으로 회전하면 핀(34)(35)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한 지지아암(22)(23)은 요동지지간(24)(25)의 지지에 의하여 전후로 흔들어지고, 그 각 선단부에 고정된 용단압자(5)와 수압자(6)는 크랭크 기구(26)(27)와는 역방향의 회전으로 되어 타원상의 회전운동을 실시하여 양자 공동해서 통체(21)를 끼워 누른다.
그리고 끼워붙인 상태에서 아랫쪽으로 이 끼워누름 부분을 송출하게 된다.
제10도는 이 크랭크 기구의 회전에 의하여 양쪽 압자(5)(6)가 타원운동하여 끼워누르는 관계를 도해한 것으로 부합(A)은 크랭크 기구의 핀(34)의 궤적을, B는 지지아암(22), C는 요동지지간(24), D는 용단압자(5), 또한 정확하게는 용단날(5a)의 각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어지는 바와같이 핀(34)의 회전으로 지지아암(22)이 전후로 흔들리면 요동지지간(24)의 작용에 의하여 용단날(5a)은 타원의 궤적의 회전운동을 이루고 공급통(1)의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그 축선의 연장선(40)에 대하여 윗쪽에서 아랫쪽으로 이동하면서 접근하고, 다음으로 아랫쪽에서 윗쪽으로 이동하면서 떨어지고, 이것을 반복연속시키는 것으로 통체(21)를 누르고 용착, 용단하게 된다.
제8도는 상기 연이어 움직임에 의하여 용단압자(5)와 수압자(6)가 공급통(1)에서 송출되는 통체(21)를 억압하기 시작한 곳을 나타내고, 제9도는 회전이 진행하여 통체(21)를 끼워누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압자(5)(6)끼리가 서로 충돌할 때 용단 압자(5)를 덮고 있던 덮개(36)는 수압자(6)와의 충돌에 의하여 스프링(38)을 압축하여 후퇴시키고, 그 돌출구(39)에서 용단날(5a)이 돌출하여 수압자(23)에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양쪽 압자의 충돌에 의하여 통체(21)는 길이의 도중을 가로 한쪽 선상으로 눌러짐과 동시에 용단날(5a)에 의하여 용착되어 통 내부를 나누게 됨과 동시에 이 용착부분에 있어서 용단되어 아래쪽 부분(후술하는 바와같이 이부분은 티백으로 된다.)은 분리되는 동시에 남겨진 통체(21)의 절단장소를 닫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장치는 이 제1용착, 용단 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통체(21)의 용착, 용단이 실시되었을 때 계량기(9)를 조작하여 그 오목부(12)에서 공급통(1)에 소정량의 내용물을 방출하고, 이 통을 통하여 하단을 닫은 통체(21)에 투입한다.
물론 이 내용물의 투입은 용단압자(5)와 수압자(6)가 타원 운동하는 사이에 병행하여 실시된다.
그리고 양쪽 압자(5)(6)가 떨어져서 공급통의 바로 아래에서 후퇴했을 때에는 완료시킴과 동시에 해당 양쪽 압자(5)(6)가 떨어져서 후퇴하는 사이에 제2용착, 용단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동일 구성에 관련되는 용단압자(7)와 수압자(8)를 좌우 방향으로 부터 공급통(1)의 바로 아래로 전진시켜서 똑같이 통체(21)를 끼워누르고 용단압자(7)에 구비하는 용단날에 의하여 가로 한쪽선상을 이루도록 편평하게 누른 통체(21)를 용착하는 동시에 이 용착위치에 있어서 용단하고, 이 분리에 의하여 삼각뿔형의 티백(41)을 얻는 것이다.
이 좌우 방향에서 만나는 제2용착, 용단 수단은 제1용착, 용단 수단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압자가 90°방향을 달리하고 있는 것에서 자동적으로 삼각뿔형의 티백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용착, 용단 수단에 의한 통체(21)의 절단이 완료되면 다시 계량기(9)에서 내용물이 투하되고, 다음으로 다시 제1용착, 용단 수단의 용단압자(5)와 수압자(6)가 공급통(1)의 바로 아래에 전후 방향에서 돌출하여 가로 한쪽 선상으로 눌러서 용착, 용단해서 다음의 티백(41)을 분리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장치는 공급통(1)의 둘레면에 있어서 공급되는 테이프상의 소재(2)에서 통체(21)를 형성하고, 이 형성된 통체를 아랫쪽으로 투입하는 것에 아울러서 제1, 제2용착, 용단 수단을 번갈아 작동시키고, 이 사이에 공급통(1)을 통하여 내용물을 간헐적으로 투하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삼각뿔형의 티백(41)을 제조할 수 있지만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착, 용단 수단의 압자(5)(6)의 끼워누름시에 통체(21)를 편평상으로 유도하는 장치를 내장시키고 있다.
제11도에서 제16도는 이 통체를 편평상으로 유도하는 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중 42는 확장편, 43은 이 양쪽 확장편을 출입시키는 작동간이다.
확장편(42)은 공급통(1)을 구성하는 내외의 원통체(1a)(1b)가 만드는 공극내에 있어서 이 공급통의 중심선을 끼우는 좌우 대칭의 위치에 세로방향에 따라서 슬라이드 자유롭게 넣어져 있다.
이 확장편(42)은 폭이 좁은 대판상을 이루는 스프링편에서 형성되고 각 하단부분은 길이의 도중에서 미리 바깥쪽을 향하여 확장하도록 형성되고 그 하단부 외면에는 미끄러짐 돌기(44)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간(43)은 선단에 반원호상아암(45)을 구비하고, 이 아암의 양쪽 선단부에 설치하는 절단부(46)에 각 확장편(42)의 상단에 돌출설치하는 핀(47)을 자유롭게 슬라이드하여 맞춰서 연결하는 한편 후단은 도시하지 않는 고정 프레임에 축지지하는 회전축(48)에 고착하여 해당 회전축을 지점으로 선단이 상하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8)에는 뒤쪽을 향하여 요동, 아암(49)을 연장 설치하고 이 아암의 후단부를 스프링(50)으로 아랫쪽으로 견인하는 한편 요동아암(49)의 길이의 도중에 아랫쪽에서 캠판(51)을 자유롭게 슬라이드하여 맞춰져 있다.
캠판(51)은 축(52)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이 축(52)에 풀리(53)와 상기 크랭크 기구의 회전축(32)에 설치하는 풀리(54)의 사이에 벨트(55)를 팽팽하게 걸어서 이 캠판(51)과 제1용착, 용단이 동기하게 되어 있다.
제4도 및 제11, 12도는 제1용착, 용단 수단의 압자(5)(6)가 전후에서 통체(21)를 끼워 용착과 용단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캠판(51)은 정점을 요동아암(49)에 만나게 하여 스프링(50)을 늘이고 회전축(48)을 지점으로하여 작동간(43)의 선단을 눌러내린다.
작동간(43)의 선단의 눌러내림은 이에 연결하는 좌우의 확장편(42)을 하강시키는 것으로 공급통(1)의 하단에서 돌출한 양쪽 확장편(42)의 하단부는 내외 양쪽통체의 공극부에서 빠져나옴에 따라 양측방으로 퍼져서 공급통의 바깥주위로 안내되어 아랫쪽으로 투입되는 통체(21)를 좌우방향으로 확장시키고, 이 부분에 있어서 통체를 전후 편평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확장편(42)의 하강과 전후 압자(5)(6)의 끼워붙임은 연이어 움직이도록 설정되는 것으로부터 확장편이 하강을 시작하여 이에따라 통체(21)를 편평상으로 확장하는 것과 동시에 양쪽입자(5)(6)는 접근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확장편(42)이 최하강점에 이르렀을 때 용단압자(5)와 수압자(6)에 의한 용착과 용단이 완료되고 통체(21)의 하단에서 삼각뿔형을 이루는 티백(41)이 분리되게 된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확장편(42)은 좌우로 한쌍 아암설비되어 제1용착, 용단시에만 통체(21)에 대한 확장조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지만 다른 한쌍을 전후에 설비하여 제2용착, 용단시에 작동시켜서 통체를 전후방향으로 확장시키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좌우방향에서 압자(7)(8)를 만나게하여 통체(21)를 편평상으로 누를 때 이 통체에 설치되는 세로의 용착부분(2a)(맞춘 귀부)이 겹친 유도귀선으로 되어 편평하게 누르는 것을 안내하기 때문에 누름위치가 뒤바뀌거나 또는 비뚤어지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제2 확장 수단을 생략하고 있다.
상기 제1용착, 용단 수단에 의한 기워누름 조작이 끝나고 양쪽압자(5)(6)가 후퇴를 개시함과 동시에 캠판(51)에 의한 밀어올림에서 요동아암(49)이 해방되는 것에 동반하여 양쪽 확장편(42)은 끌어올려지고(제13도 참조) 바깥쪽으로 퍼지는 하단부가 공급통의 공극부로 후퇴하여 통체(21)를 원상으로 돌리고 다음의 제2용착, 용단 수단에 의한 좌우 방향에서의 끼워붙임으로 구비되게 된다.
도면중 56은 공급통(1)의 아랫쪽으로 구비한 티백 반출용의 벨트 콘베이어로 제조되어 용단된 티백(41)은 잇따라 이 콘베이어상으로 낙하하고 장치밖으로 빼내어진다.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귀부 용착, 용단용으로 히터, 제1, 제2용착, 용단장치로써 함께 히터를 이용한 장치를 사용하여 폭 14cm, 20데니르의 나이론실의 110메시 평직직포를 소재로 하여 제17도와 같은 녹차 티백을 제조했다.
매분 60개의 속도로 1시간 연속운전으로 제조했다.
완성된 티백중 불량품은 전연 없었다.
제17도에 있어서 41은 티백, 2a는 귀부용착, 용단판, 100은 제1용착, 용단수단에 의한 용착, 101은 제2용착, 용단 수단에 의한 용착, 용단판, 102는 봉입되어 있는 녹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상의 그물 소재에서 통체를 형성하고 이 통체를 편평상으로 눌러서 용착하는 동시에 용단하고 이 사시에 내용물을 충진함과 동시에 계속 통체를 투입시키고 다음으로 제2용착, 용단 수단에 의한 동일한 조작을 반복시켜서 이것을 번갈아 반복하여 삼각뿔형의 티백을 제조하는 것이며 이 사이 소재의 공급, 통체의 성형, 내용물의 투입, 티백의 성형 및 절단의 모든 공정을 정지하지 않은채 연속운행의 상태로 제조할 수 있는 것에서 생산성에 뛰어나며 양산에 뛰어난 잇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동일편평상에 설비한 2쌍의 용착, 용단수단을 번갈아 작동시켜서 통체를 편평하게 용착하고 용단함과 동시에 이 양쪽 수단의 압자를 각각 원형 내지 타원형에 따른 궤적에 따라서 회전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에서 티백의 절단시에 제조의 흐름이 정지되지 않고 연속한 제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티백을 절단한 압자는 수평으로 후퇴하여 티백의 낙하의 방해가 되지않는 것에서 용단압자선단의 용단날에 접촉하는 일없이 불량제품을 만들 위험이 매우 적다.
또 본 발명은 용착, 용단 수단의 압자에 의한 누름에 앞서서 확장편에 의한 통체의 확장을 실시하고 누른 위치의 유도를 확실하게 한 것에서 용착, 용단시에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거나 또는 통체에 오므라짐 등의 비뚤어짐을 만들어서 티백이 삼각뿔형으로 되지 않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수직설치되는 공급통의 둘레면에 테이프형상 망소재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둘러쌓도록 공급하고 이 소재의 양 귀부를 측면 가장자리에 두고서 맞불이면서 용착수단을 통해서 접합하여 통체에 형성하는 동시에 이 통체를 순차 공급통의 아래쪽으로 계속 투입하는 통형성공정과, 상기 공급통의 바로밑에 두고서 서로 대향시킨 한쌍의 압자가 간헐적으로 통체를 눌러 붙여서 횡 일선상으로 눌러서 용착하고 또 이 누름 위치에서 용단하는 제1의 용착, 용단 공정과, 상기 제1의 용착, 용단 공정에서의 누름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대향시킨 다른 1쌍의 압자를 향하여 제1의 용착, 용단 공정에 의한 누름 작동 간격을 교대로 같은 횡 일선상에 누름 용착하고 또한 용단하는 제2의 용착, 용단 공정, 및 상기 제1, 제2의 각 용착, 용단 공정에 동조시켜서 상기 공급통에서 내용물을 낙하 충전하는 충전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2의 용착, 용단 공정은 각각의 용착, 용단 작동시에 상기 통체의 투입속도에 동조시켜서 각쌍을 이루는 압자를 원 또는 타원형의 운동을 이루어 끼워 누루는데 맞추어서 통체를 계속 투입하는 방향을 향하여 등속도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2. 수직으로 설치되어 중공인 내부의 통해서 내용물을 낙하유도하는 동시에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공급되는 테이프형상 망소재를 감아서 통모양으로 형성하는 공급통과, 이 공급통의 둘레면에 대향설치하여 상기 감아 붙여지는 테이프형상의 망소재 양 귀부를 끌어 맞추는 동시에 일체로 접합하여 통모양으로 형성하는 용착수단과, 같은 공급통에 향하여 상기 통체를 아래쪽으로 계속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상기 공급통의 아래쪽에 있어서 이 공급통의 축선 연장선을 끼워서 수평으로 대향설치하는 용단압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하고 통체를 횡 일선상으로 눌러서 용착하는 동시에 용단하는 제1용착, 용단 수단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고 또 용단압자와 수압자를 교착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통체를 90°다른 방향에서 횡 일선상으로 눌러서 용착, 용단하는 제2의 용착, 용단 수단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제1, 제2의 각 용착, 용단수단은 각 용단 압자와 수압자를 요동지지 기구를 통해서 각각 원형 또는 궤적을 따라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공급통에서 계속 투입되는 통체를 수평방향에서 끼워 붙이는 운동에 맞추어서 위쪽으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보내고 상기 용착, 용단을 통체의 투입속도에 동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요동 지지 기구는 압자를 선단부에 지지하는 지지아암과, 이 지지아암의 길이 도중에 자유단을 부착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자유롭게 지지하는 요동지지간과, 상기 지지아암의 후단에 접속하여 요동지지간과의 부착점을 지점에 요동 운동을 이루게 하는 크랭크 기구로 구성하고 이 크랭크 기구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압자를 원형 또는 타원형 궤적에 따른 끼워누름 투입운동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용단 압자는 용단날과 용단날을 포함하는 커버로 구성하고 용단날은 지지아암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한편 커버는 지지아암과의 사이에 눌러 설치하는 스프링에 의해서 항상 선단의 돌출구를 용단날의 선단날 앞에서 앞쪽으로 돌출하고 수압자와 맞출때에 커버 선단부를 억압하여 상기 돌출구에서 용단날을 노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장치.
  5. 수직으로 설치되어 중공의 내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낙하 유도하는 동시에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테이프형상 망소재를 감는 통모양으로 형성하는 공급통과, 이 공급통의 둘레면에 대설하여 상기 감겨 붙여지는 테이프상의 망소재 양 귀부를 나란히 하는 동시에 일체로 접합하여 통모양으로 형성하는 용착수단과, 같은 공급통을 향하여 상기 통체를 아래쪽으로 계속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상기 공급통의 아래쪽에서는 이 공급통의 연장성을 끼워서 수평으로 대설하는 용단압자와 수압자를 가지고 상기 계속투입되는 통체를 횡 일선상으로 누르는 동시에 용단하는 제1의 용착, 용단수단과, 이 제1의 용착, 용단 수단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고 또 용단압자와 수압자를 교착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통체를 90°다른 방향에서 횡 일선상으로 눌러서 용착, 용단하는 제2의 용착, 용단 수단,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제1, 제2의 각 용착, 용단 수단은 각 용단압자와 수압자를 요동지지 기구를 통해서 각각 원형 또는 타원형의 궤적을 따라 회전운동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공급통에서 투입되는 통체를 수평방향으로 끼워붙이는 운동에 맞추어서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보내고 상기 용착, 용단을 통체의 투입속도에 동조되도록 이루어진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에는 중심선을 끼워서 서로 대향하는 벽부에 한쌍의 스프링제 확장면을 통축심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하여 맞추어서 통체의 투입에 동조시키는 동시에 용착, 용단 수단에 의한 누름에 앞서서 상기 확작편의 선단부를 공급통의 하단개구부에서 돌출시켜서 투입되는 통체를 2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장치.
KR1019910010952A 1991-06-27 1991-06-27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및 그 장치 KR018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952A KR0185706B1 (ko) 1991-06-27 1991-06-27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952A KR0185706B1 (ko) 1991-06-27 1991-06-27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246A KR930000246A (ko) 1993-01-15
KR0185706B1 true KR0185706B1 (ko) 1999-04-15

Family

ID=1931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952A KR0185706B1 (ko) 1991-06-27 1991-06-27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52U (ko) * 2020-03-19 2021-09-29 최재환 삼각 파우치 제조장치
KR20230069422A (ko) 2021-11-12 2023-05-19 이원재 잔류금속 검출 방법이 개선된 티백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52U (ko) * 2020-03-19 2021-09-29 최재환 삼각 파우치 제조장치
KR20230069422A (ko) 2021-11-12 2023-05-19 이원재 잔류금속 검출 방법이 개선된 티백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246A (ko) 199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2004B1 (en) Filling and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DE69814310T2 (de) Maschine zum Herstellen, Füllen und Verschliessen von Standbeuteln
EP2334205A1 (en) Fluid encapsulation
US3259029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filter tips for cigarettes
AU639842B2 (en) Tagged artic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ir production
KR100441873B1 (ko) 티백(teabag)제조장치및제조방법과티백
US4117649A (en) System for forming, filling and closing bags
US5444964A (en) Automatic package machine, and wrapping film fusing and sealing blade
US6585300B1 (en) Apparatus for applying string to tampon pledgets
CN106794921A (zh) 袋网和用于使用此袋网将产品包装于膜袋中的方法
US6654992B2 (en) Method of applying string to tampon pledgets
JP2003516283A (ja) 二室形容器
KR0185706B1 (ko) 삼각뿔형 티백의 제조법 및 그 장치
JPH02174639A (ja) 糖質菓子製造装置
EP2563671A1 (en) Machine with vertical axis for making filter bags with infusion products.
US34830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ags from tubular film
GB22564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riangular pyramidal tea bags
EP08797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nfusion bags
US2412089A (en) Bottle wadding machine and method
JPH03275409A (ja) 三角錐形ティーバッグの製造法及びその装置
GB206614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de fastener stringer
DE411178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eutelartigen packungen fuer insbesondere kautabakersatz
US2475359A (en) Container forming machine and method
SU160061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папиросных гильз
JPH0565130A (ja) 三角錐形テイーバツグ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