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700B1 - 용기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용기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00B1
KR0185700B1 KR1019900020374A KR900020374A KR0185700B1 KR 0185700 B1 KR0185700 B1 KR 0185700B1 KR 1019900020374 A KR1019900020374 A KR 1019900020374A KR 900020374 A KR900020374 A KR 900020374A KR 0185700 B1 KR0185700 B1 KR 018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water pipe
wall
flu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623A (ko
Inventor
에르크 헬무트
페쪄 게어하르트
Original Assignee
케슬
보쉬-지멘스 하우스게레테 게엠베하
로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슬, 보쉬-지멘스 하우스게레테 게엠베하, 로데 filed Critical 케슬
Publication of KR91001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용기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
용기(10)로의 유체 유입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용기(10)에는 충전수준(2)을 한정하는 일수연단(11)이 제공되어 있고, 일수연단이 일수관(12)에 통하여 있고, 이러한 일수관에는 일수관(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4)에 작용하는 막(20)이 배치되어 있고, 제어임펄스에 의하여 개방되고, 스위치(4)의 제어임펄스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유입밸브(1)가 달려있고, 일수관(12)이 항시 비어있고, 유동방향(3)으로 일수연단(11)으로부터 일정한 간격(A)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막(20) 다음에, 유동저항기가 배치되어 있는 장치.

Description

용기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
제1도는 용기로의 유체 유입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항시 배수되는 일수관(溢水管)과 이러한 일수관의 측벽에 배치된 막이 제공되어 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와 같은 장치로서, 일수관의 내벽 측면에 배치된 막이 달려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치로서, 용기저부 아래로 일수관 외측벽에 막이 달려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장치로서, 용기저부 아래로 일수관 내벽에 막이 배치되어 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치로서, 공기쿠션이 추가로 제공되어 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치로서, 용기 외측으로 일수관 옆에 막이 배치되어 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치로서, 막 아래에 공기쿠션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입밸브 2 : 충전수준
3 : 흐름방향 4 : 스위치
10 : 용기 11 : 일수연단
12 : 일수관 13 : 배수관
15 : 벽 16 : 개구
17 : 휴지용 훅 20 : 막
30 : 중계부재 32 : 가이드
40 : 덮개 44 : 천공
본 발명은 용기로의 유입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용기에는 충전 수준을 한정하는 일수(溢水)연단이 제공되어 있고, 일수연단은 일수관과 통하여 있고, 일수관에는 일수연단 외측에 배치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막이 배치되어 있고, 제어임펄스에 의하여 폐쇄되는 유입밸브가 달려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종류의 장치는 DE-OS 24 16 834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는 바, 이 장치에 있어서는 일수관의 단부에 막과 전기스위치가 달린 압력통이 배치되어 있고, 스위치의 막이 구부러지면 유입밸브가 폐쇄된다. 압력통에는 수동식으로 개방되는 배수관이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용기에의 유체 유입을 제어하는 장치는 유체가 사용되는 가사용기기, 특히 예를 들면, 식기류 세척기와 같은 물을 이용하는 가사용 기기에 이용된다. 이러한 기기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깨끗이 세척할 식기물을 집어넣고, 세정기와 세척기를 집어넣고, 이온교환제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소금을 집어넣는 것 이외에는 기기에 관한 한 다른 동작이 필요없게 된다. 용기로의 유체 유입을 제어하는 전술한 장치는 케이싱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손대기가 어렵다. 넘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관이 수동식으로 개방하려면 케이싱이 추가로 개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개구를 마련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그외에도, 사용자에게는 일수관이 비어 있음을 표시하는 장치도 필요하다. 즉, 일수관이 비어있지 아니하면, 압력통에 막 아래에 배치된 스위치의 폐쇄명령으로 인하여 용기로 물이 유입되지 아니하며, 따라서 기기로 작동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간단한 장치로서, 제어 장치의 확실하고 변함없이 기능을 보장하고, 석회화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하여 일수관이 항시 비어있게 하고, 유동방향에 따라 일수연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막 다음에 유동저항기를 배치함으로써 해결한다. 사용자는 일수관을 조절하면서 배수시키면 일수관의 물상태를 감시할 책임을 면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와 제어장치로의 유입구를 기기에서 없애버릴 수 있다. 막을 일수연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적어도 개정과정에만이라도, 막을 구부러지게 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가 개폐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유체기둥이 일수관내에 생길 수 있게 한다. 언제든지 비울 수 있는 일수관에 있어서는 유체가 일수관으로부터 끊임없이 유출되기 때문에, 막을 구부리는데 필요한 유체기둥을 형성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은 막 다음에 유동저항기를 배치하여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에 있어서, 일수관은 그 단면이 일수관의 단면보다 더 작은 유출관과 통하여 있다. 전술한 유동저항기를 일수관의 단면보다 더 작은 단면을 가진 유출관으로서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충분한 유체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을 막이 유입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작동되기 때문에, 막의 부착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막은 유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직접으로 작동되거나, 이러한 막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쿠션을 거쳐 작동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막의 배치에 따라 유입되는 유체가 직접으로 막이 작용할 수 있거나, 막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쿠션을 거쳐 작동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막을 둘러싸는 공기쿠션은 막에서 석회화가 생길 위험을 더 줄여준다는 또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막은 직접으로 또는 중계부재에 의하여 스위치에 영향을 준다. 스위치의 용도와 장착위치에 따라서 막의 구부러짐을 언제든지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에 의하여 막은 일수관의 벽과 이 막 사이에 있어서 덮개에 의하여 그 가장자리에 빙둘러 눌려진다. 이에 의하여 막을 간단히 장착 및 교환할 수 있다.
막과 덮개의 간단한 조립 및 교체는 덮개를 휴지용 훅에 의하여 벽과 분리될 수 있게 결합시킴으로써 더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휴지훅은 대응개구에 탄력적으로 맞물리고, 풀리게 되어 있다.
휴지용 훅은 벽에, 개구는 덮개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외에도, 휴지용 훅을 벽에 일체적으로 성형시킴으로써 제조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여 막이 용기의 벽에 제공된 개구를 방사상으로 밀폐시키므로써 추가패킹요소를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은 방사상 벽을 경과하는 가장자리부분을 덮개의 돌출한 연단과 벽의 개구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덮개에는 중계부재용 안내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중계부재는 이에 외측가이드와 중심가이드가 제공되어 있어서 덮개내로 안내되며, 외측가이드는 덮개의 외측가이드와 협동하는 순환편이고, 중심가이드는 덮개에 뚫려있는 중앙천공내로 안내되는 중심지시핀이다.
용기(10)는 유입밸브(1)를 거쳐 유체로 채워진다. 유체의 유입은 유입밸브(1)를 제어임펄스에 의하여, 예를 들면, 물이 통하는 가사용구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프로그램 제어장치(6)에 의하여 개방될 수 있고, 용기(10)내의 유체상태에 반응하는 스위치(4)의 제어임펄스에 의하여(예를 들면, 프로그램 제어장치(6)를 거쳐) 폐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어된다. 용기(10)에는 충전수준(2)을 한정하는 일수연단(11)이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충전수준을 초과하여 넘어흐르는 유체는 일수연단으로부터 일수관(12)에 도달한다. 일수관(12)은 용기(10)에 배치하여 용기(10)의 측벽의 일수관(12)의 내벽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수관(12)의 벽(15)에는 개구(15)가 제공되어 있고, 이 개구내에는 막(20)이 삽입되어 있고, 이 개구내에는 막(20)이 삽입되어 있고, 이 개구내에는 막(20)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막(20)을 일수관(12)내에 막(20)을 구부러지게 할만한 충분한 압력이 지배하는 경우에, 일수관(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4)에 작용한다. 막(20)이 스위치(4)에 작용하므로써 스위치(4)는 폐쇄임펄스를 유입밸브(1)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유입밸브는 용기(10)로의 유체 유입을 중지시킨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항시 비어있는 일수관(12)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각 도면은 막(20)의 부착위치에 의하여서만 서로 구별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막(20)의 부착점이 용기(10) 또는 용기(10)의 최고충전수준(2)의 일수연단(11) 아래에 일정한 간격(A)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유동저항기로서 형성되고, 그 단면이 일수관(12)의 단면보다 더 작은 유출관(13)이 유동방향(3)에 따라 막(20) 다음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유출관(13)에 의하여 언제나 비어있는 일수관(12)이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10)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유출관(13)의 단면이 일수관(12)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일수연단(11)을 넘어서 유동방향(3)으로 흐르는 유체기둥에 형성되고, 이 유체기둥의 높이는 막(20)이 휘어져서 스위치(4)를 작용시킬만큼 높게 된다. 유체기둥의 최대높이는 간격(A)과 같으며, 이 간격은 막(20)이 구부러지게 하는데 필요한 유체기둥의 최저높이보다 작아서는 아니된다. 유입밸브(1)가 스위치(4)의 임펄스에 의하여 폐쇄된 후에는, 유체가 일수연단(11)을 넘어서 일수관내로 더 이상 흘러들어가지 아니하기 때문에, 유체기둥은 유출관(13)으로부터 흘러나감으로써 작아지게 된다. 제1도, 제2도 및 제8도에서는 도면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막(20)의 중앙선에서 일수연단(11)까지의 간격이 간격(A)으로서 제시되어 있다. 스위치(4)는 그 동작부재와 함께 막(20)의 중앙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도,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막(20)이 흘러들어가는 유체에 의하여 직접으로, 다시 말하면 유동방향(3)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작동된다. 제5도 및 제7도는 막(20)이 유입되는 유체와 막(20)을 둘러싸는 공기쿠션(5) 사이에서 유동방향(3)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작동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제8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배치에 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용기(10)로의 유체 유입을 제어하는 장치의 기본 요소들은 개략적인 도면에서 이미 설명된 것이며,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막(20)의 교정에 관하여서만 설명한다.
막(20)은 일수관(12)의 벽(15)에 제공된 개구(16)내에 배치되어 있다. 막(20)은 덮개(40)에 의하여, 덮개와 벽(15)사이에서, 벽(15)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휴지용 훅(17)이 덮개(40)의 개구(40)와 맞물리고, 이 개구로부터 탄력적으로 이탈되게 함으로써 그 가장자리(21)에서 벽(15)과 평행으로 뻗어있는 부분(23)과 압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결합된다. 막(20)은 그 가장자리(21)가 덮개(40)의 돌출한 연단(42)과 벽(15)의 개구(16)사이에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부분(22)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벽(15)에 제공된 개구(16)를 방사상으로 폐색시킨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개구(16)의 추가패킹이 불필요하다.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막(20)은 중계부재(30)에 의하여 스위치(4)에 작용한다. 덮개(40)에는 중계부재(30)용 가이드(43, 44)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중계부재(30)에는 덮개(40)의 외측가이드(43)와 협동하는 순환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외측가이드(31)와 덮개(40)의 중심천공(44)내로 안내되는 중심 지시핀으로서 실시되는 중심가이드(32)가 제공되어 있다. 중심 지시핀은 중계부재(30)의 전면에 제공된 중심천공(33)내에 수용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하고, 절대적으로 폐색적이며, 간단히 교체할 수 있고, 쉽게 장착시킬 수 있는 막의 고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수관을 배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동식 작동이나, 석회화의 위험없이 항시 기능할 수 있는 용기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7)

  1. 용기로의 유체 유입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용기에 충전수준을 한정하는 일수연단이 제공되어 있고, 일수연단이 일수관에 통하여 있고, 일수관에는 일수관의 외측에 배치된 스위치에 작용하는 막이 배치되어 있고, 제어임펄스에 의하여 개방되고, 스위치의 제어임펄스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유입밸브가 달려있는 장치에 있어서, 일수관(12)이 언제나 비어있고, 유동방향(3)으로 일수연단(11)으로부터 일정한 간격(A)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막(20) 다음에 유동저항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수관(12)이 유출관(13)내로 통하여 있고, 유출관의 횡단면이 일수관(12)의 횡단면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막(20)이 유동방향(3)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막(20)이 흘러 들어가는 유체에 의하여 직접으로 작동되거나, 유입되는 유체와 막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쿠션(5)사이의 부재를 거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막(20)이 직접으로 또는 중개부재(30)에 의하여 스위치(4)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막(20)이 막과 일수관(12)의 벽(12) 사이의 덮개(40)에 의하여 그 둥근 가장자리(21, 23)에서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덮개(40)가 휴지용 훅(17)에 의하여 벽(15)과 분리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휴지용 훅(17)이 대응개구(41)내에 맞물리고, 이 개구에서 탄력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휴지용 훅(17)이 벽(15)에 배치되어 있고, 개구(41)가 덮개(4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휴지용 훅(17)이 벽(15)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막(20)이 용기(10)의 벽(15)에 제공된 개구(16)를 방사상으로 폐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유동연단(21)이 덮개(40)의 돌출한 연단(42)과 벽(15)의 개구(16) 사이에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부분(22)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덮개(40)에 중계부재(30)용 가이드(43, 44)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중계부재(30)에 외측가이드(31)와 중심가이드(32)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외측가이드(31)가 덮개(40)의 외측가이드(43)와 협동하는 유동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중심가이드(32)가 덮개(40)내의 중심천공(44)내로 안내되는 중심지시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중심지시핀이 중계부재(30)의 전면에 제공된 중심천공(33)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00020374A 1989-12-20 1990-12-12 용기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 KR0185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942168A DE3942168C1 (ko) 1989-12-20 1989-12-20
DEP39421686 1989-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623A KR910011623A (ko) 1991-08-07
KR0185700B1 true KR0185700B1 (ko) 1999-04-15

Family

ID=639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374A KR0185700B1 (ko) 1989-12-20 1990-12-12 용기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433641B1 (ko)
JP (1) JPH0829800B2 (ko)
KR (1) KR0185700B1 (ko)
CN (1) CN1028679C (ko)
DE (2) DE3942168C1 (ko)
ES (1) ES2086351T3 (ko)
GR (1) GR3019637T3 (ko)
TR (1) TR262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7136A (en) * 1991-11-27 1995-06-27 The Langston Corporation Fluid level detection system
ES2079303B1 (es) * 1993-10-20 1997-10-01 Ciriaco Francisco Gonzalez Sistema analizador de liquidos.
FR2719922B1 (fr) * 1994-05-10 1996-06-28 Esswein Sa Dispositif de contrôle de niveau de liquide.
DE19821119A1 (de) * 1998-05-12 1999-11-18 Volkswagen Ag Behälteranordnung für eine Flüssigkeit, insbesondere Kraftstoff-Behält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ITTO20020207A1 (it) * 2002-03-12 2003-09-12 Bitron Spa Sistema di controllo del livello dell'acqua regolabile e a doppio isolamento per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CN101884519B (zh) * 2010-07-19 2013-06-05 海尔集团公司 一种洗碗机进水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600588U (de) * 1966-12-09 1969-01-23 Siemens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fluessigkeitsstandes im laugenbehaelter einer wasch- oder geschirrspuelmaschine
JPS4967461U (ko) * 1972-09-20 1974-06-12
DE2258634A1 (de) * 1972-11-30 1974-06-06 Leander Schmatz Einrichtung zur selbsttaetigen absperrung von wasserleitungen
CH550390A (de) * 1973-06-01 1974-06-14 Shepherd Peter Scott Fluessigkeits-ueberlaufschutzvorrichtung.
FR2241062B1 (ko) * 1973-08-17 1978-12-08 Europe Mfg Trust
US4203462A (en) * 1978-10-02 1980-05-20 The Singer Company Water level control system
DE3003440A1 (de) * 1980-01-31 1981-08-06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Ueberwachungseinrichtung fuer den wasserzulauf von haushaltmaschinen wie geschirrspuel- und waeschebehandlungsmaschinen
DE3244837A1 (de) * 1982-12-03 1984-06-07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erfassen eines fluessigkeitsstandes, insbesondere des wasserstandes in wasch- oder geschirrspuelmaschinen
DE3807996C1 (en) * 1988-03-10 1989-06-08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8000 Muenchen, De Mounting and fastening of a liquid-level switch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6203A (tr) 1995-02-15
CN1052644A (zh) 1991-07-03
GR3019637T3 (en) 1996-07-31
ES2086351T3 (es) 1996-07-01
DE3942168C1 (ko) 1991-06-06
CN1028679C (zh) 1995-05-31
EP0433641B1 (de) 1996-04-10
DE59010276D1 (de) 1996-05-15
JPH0829800B2 (ja) 1996-03-27
KR910011623A (ko) 1991-08-07
JPH0444997A (ja) 1992-02-14
EP0433641A2 (de) 1991-06-26
EP0433641A3 (en) 199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8146C (fi) Drivanordning foer avledningsventilen till en spolbehaollare.
US4471798A (en) Flushing cisterns
KR0185700B1 (ko) 용기로의 유체 유입 제어장치
GB2161501A (en) Household water-conducting installation
US2294785A (en) Siphon breaker and valve
US4208219A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addition of a liquid
US5365974A (en) Flow-control valve
DK2990653T3 (en) A DEVICE FOR CONTROLING A START AND STOP OF AN ELECTRIC MOTOR OF A MOTOR POWER PUMP
EP1741994A1 (en) Condensate drain pan with a floating valve
US3095896A (en) Float valve
US3576199A (en) Anticorrosion ball cock fluid flow control assembly
US3717168A (en) Water inlet unit for appliances
US3456800A (en) Filter structure with alternative inlet and outlet housing openings
GB2111537A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EP2287393B1 (en) Device for dosed transfer of filtered softened water inside boilers of steam household appliances
EP0051043B1 (en) Valve unit for water closets
EP0669099A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washing liquid in a dishwasher
KR102050340B1 (ko) 공기조화기용 배수트랩
EP0753281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feed water of dishwasher machines and the like
US69156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urface tension using the bubble pressure method
US5850848A (en) Float valve
KR100186310B1 (ko) 배관라인용 자동세척장치
SU1693115A1 (ru) Гальваническа ванна
KR100277188B1 (ko) 자동판매기
EP0695120A1 (en) Metering apparatus, automatic cleaning device and milking plant equipped with such an apparatus and use of such an apparatus for cleaning a liquid-carrying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