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47B1 -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47B1
KR0185647B1 KR1019960004146A KR19960004146A KR0185647B1 KR 0185647 B1 KR0185647 B1 KR 0185647B1 KR 1019960004146 A KR1019960004146 A KR 1019960004146A KR 19960004146 A KR19960004146 A KR 19960004146A KR 0185647 B1 KR0185647 B1 KR 018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ss
function
box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112A (ko
Inventor
박석홍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647B1/ko
Publication of KR97006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사설교환기의 버튼박스다중화방법에 있어서 필요시 사용권한이 주어진 내선이라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버튼 부족을 해결하기위해 키입력이 되면 기능키 입력인지를 체킹하며, 상기 기능키 입력일때 어느 내선인지 확인하여 지정한 기능들을 DSS키에 할당하고, 상기 할당후 종료키입력에 따라 DSS박스를 휴지상태로 하는 두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설교환시스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맵도.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기능버튼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DSS(Direct Station Slection)박스에 다중으로 입력하는 사용자를 지정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버튼박스 다중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설교환기에 DSS박스는 특정한 한 내선에만 소속되어 왔던 것으로 전화기의 기능 버튼이 부족한 것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DSS를 더 추가하는 것은 경제적 부담이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 사용 권한이 주어진 내선이라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버튼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키 위한 사설교환 시스템도로서, 사용자를 지정하는 프로그램시 키 데이타를 발생하며 기능선택 및 명령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01)와, 상기 사설교환 시스템의 운용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02)와,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의 각부와 데이타 통신을 위해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103)와, 사설교환시스템의 교환기능 및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부(20)와, 내선 가입자에 음성대역의 통화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사설교환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싱(interfacing)을 행하는 내선 가입자회로(3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 데이타(speech data)를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4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톤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회로(40)로 공급하는 톤 공급회로(50)와, 가입자 선로에 공급하기 위한 링(ring) 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회로(6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져(seizure)하여 국선 루우프를 형성하며 국선으로 부터의 인컴잉(incoming)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국선회로(70)와, 상기 내선가입자로 부터 발생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디지트(digit) 데이타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 인가하는 DTMF 수신기(8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 제어하에 DTMF신호를 출력하는 DTMF송신기(9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전용선(tie line)을 시져하여 소정 입력신호를 송출하며 인컴잉되는 신호에 의해 시져 응답신호를 송출하여 타사설교환시스템간에 전용선을 인터페이싱하는 전용선회로(100)와, 상기 국선과 내선 가입자와 전용선 간의 호 중계를 위한 다수의 기능키 및 표시램프를 가지는 중계대(11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상기 중계대(110)와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중계대 접속회로(12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로서, 키입력이 되면 기능키 입력인지를 체킹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기능키 입력일때 어느 내선인지 확인하여 지정한 기능들을 DSS키에 할당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할당후 종료에 따라 DSS박스를 휴지상태로 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20)의 사용권한이 주어진 내선 A, B, C의 각키에 대해 기능을 지정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제1도-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A, B, C내선이 동일한 DSS박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할 경우 DSS박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내선에서 사용하고자하는 의사로서 선택버튼을 통하여 입력이 있으면 자기의 것을 할당받는다. 그리고 상기 DSS의 각키에 할당된 기능들은 휴지상태일때 초기화되며, 이때 한 내선이 사용의사를 밝히면 그 내선에서 지정한 기능으로 바뀌게 된다. 키의 지정은 키 프로그래밍에서 가능한데 내선별로 지정할때 DSS사용 권한이 주어진 내선에 대해서는 DSS박스의 각 버튼에 대해서도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내선에서 DSS박스 사용이 끝나면 자동으로 휴지상태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키의 입력에 대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서 (2e)과정에서 키입력부(101)를 통해 기능키를 받아 (2a)과정에서 기능키가 눌려짐이 확인되면 (2b)과정에서 어느 내선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2c)과정에서 지정한 기능들을 DSS키에 대해 할당하고, (2b)과정에서 통화종료후 DSS박스를 휴지상태로 한다. 이를 제3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 권한이 내선 A, B, C의 각키에 대해서 기능을 지정한 경우 DSS박스의 키가 32개이고, 각 내선이 24개라고 할 경우 25-56까지가 DSS박스의 키에 해당하는데 A, B, C 모두 동일한 DSS박스를 사용하면서 서로 다른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DSS박스에 대해 여러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먼저 내선별로 DSS박스에 해당하는 만큼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지게 하고, 모든 내선에 대해 DSS박스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프로그램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선택 기능키를 만들어서 이 키를 누르게 되면 DSS를 그 내선에 할당하고 메모리의 데이타를 DSS의 각 버튼에 할당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자체의 기능 버튼 부속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고 여러 내선이 필요시 쉽게 버튼을 확장할 수 있으며, 여러 내선이 하나의 DSS 박스를 공유함으로 각각 하나씩 가질때 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단 인접한 내선끼지 공유해아만 사용이 편리하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사설교환기의 버튼 박스 다중화 방법에 있어서, 키입력이 되면 기능키 입력인지를 체킹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기능키 입력일때 어느 내선인지 확인하여 지정한 기능들을 DSS키에 할당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할당후 종료에 따라 DSS박스를 휴지상태로 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KR1019960004146A 1996-02-22 1996-02-22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KR018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146A KR0185647B1 (ko) 1996-02-22 1996-02-22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146A KR0185647B1 (ko) 1996-02-22 1996-02-22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12A KR970064112A (ko) 1997-09-12
KR0185647B1 true KR0185647B1 (ko) 1999-05-15

Family

ID=1945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146A KR0185647B1 (ko) 1996-02-22 1996-02-22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6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12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0831A (en) Data switching system
GB1446609A (en) Time division multiplexed digital switching apparatus
US5109406A (en)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switching system
US5521976A (en) Modular subscriber device
KR0185647B1 (ko) 사설교환기에서 버튼 박스 다중 사용방법
JPH0348562A (ja) ダイヤルユニット
US5765111A (en) Selective mobile station calling method for digital cordless telephone and system
EP0360725B1 (en) Method for application definition of telephone keys
KR100380632B1 (ko) 키폰 시스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JP2625579B2 (ja) 通信システムにて少なくとも1つの端末装置と1つの共用の中央ステーション機能部との間で実行される制御手順に対する制御データの編成構成方法及び装置
KR20000044365A (ko) 무선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핸드셋과 전화기 본체간의연결 방법
KR0168530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원터치 단축다이얼 입력방법
KR100318909B1 (ko) 일제지령통합회의시스템
KR910002623B1 (ko) 키폰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국선통화중 복합주파수 송신방법
KR0171834B1 (ko) 키폰시스템에서 멀티넘버플랜방법
KR100217722B1 (ko) 체인 스피드 다이얼방법
JPH06140968A (ja) 衛星通信方式
KR890004412B1 (ko) 키폰 시스템의 개인별 시외 자동 전화 체크 방법
KR910004267B1 (ko) 개인 코드정보 단축 다이얼링방법
KR100210749B1 (ko) 키폰시스템 주장치의 국선/내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JP3387365B2 (ja) 通信接続方法
JPH06121352A (ja) Ins接続装置及びpstn/ins接続方式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JP3455095B2 (ja) Isdnビル電話システムへの受付台端末の収容方法
JP2654026B2 (ja) ディジタルボタン電話装置
KR100247195B1 (ko) 다수의키폰장치들을전용선으로연계한시스템에서호출측식별정보송/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