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420B1 -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420B1
KR0185420B1 KR1019930024427A KR930024427A KR0185420B1 KR 0185420 B1 KR0185420 B1 KR 0185420B1 KR 1019930024427 A KR1019930024427 A KR 1019930024427A KR 930024427 A KR930024427 A KR 930024427A KR 0185420 B1 KR0185420 B1 KR 018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main body
receiving
ca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489A (ko
Inventor
시게히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시게히로 다나카
다나카 기켄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게히로 다나카, 다나카 기켄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시게히로 다나카
Priority to KR101993002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420B1/ko
Publication of KR95001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케이싱 내에서 연소실의 선회와 경사 운동과 전후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힌 차량적재 가능한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
아스팔트 재생장치(1)는, 상부가 개구된 연소실(2)과, 그 연소실(2)을 선회가 자유롭게 유지한 유지틀(3)과, 연소실(2)을 선회시키는 유압 모터(4)와, 그 유지틀(3)을 통해서 연소실(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이부 본체(5)와, 연소실(2)을 경사운동시키는 제2유압실린더(6)와, 케이싱(20)에 설치되어서 받이부 본체(5)를 지지함과 동시에, 연소실(2)을 전후진시키는 회전 지지봉(8)로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유지틀(3)에 돌출 설치된 지축(P2)은, 받이부 본체(5)에 형성된 축받이부(5b)로 축받이 되어서, 상기 받이부 본체(5)는 회전 지지봉(8)의 회전으로 케이싱(20)의 전후방향으로 나선식 진퇴를 한다.
또, 받이부 본체(5)에 상기 제2유압실린더(6)의 통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신축로드가 유지틀(3)의 아랫방향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유압실린더(6)의 신축으로 유지틀(3)과 함께, 연소실(2)을 지축(P2)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경사운동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가열장치
제1도는 제2실시예의 아스팔트 재생장치의 연소실에 유지틀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동 측면도.
제3도는 연소실을 옆으로 향하게 한 제 2 아스팔트 재생 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연소실을 위를 향해서 경사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5도는 연소실을 아래를 향해서 경사운동시킨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
제6도는 받이부 본체를 전후시키는, 구성이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스팔트 재생장치 2 : 연소실
2a : 중도부 2b : 둘레벽
3 : 유지틀 3a : 세운틀부
3b : 축방틀부 3c : 보조틀부
3d : 후방틀부 4 : 모터
5 : 받이부 본체 5a : 나사구멍
5b : 축받이부 5c : 제1브래키트
6 : 제2유압실린더 7 : 보조로울러, 가이드로울러
7a : 브래키트 8 : 회전 지지봉
8' : 가이드레일 9 : 버너 유지부재
9a : 연결부 9b : 버너 받침
10 : 버너 13 : 돌출편
14 : 선회축받이 15 : 제 2실시예의 받침부 본체
15a : 나사구멍, 런너 15b : 축받이부
15c : 제1브래키트 15d : 제2브래키트
18 : 제1유압실린더 20 : 케이싱
21 : 호퍼 23 : 장착부
P1 : 선회축 P2 : 지축
본 발명은, 작업현장에서 포장노면 등에서 벗긴 아스팔트 조각이나, 산업폐기물, 기타의 피가열물을 그 자리에서 용해, 가열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트럭 등의 차량에 재치할 수가 있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 노면의 지하 매설물을 보수하는 작업현장에서는, 파 뒤집은 소규모의 굴삭노면에서, 벗긴 아스팔트 조각을 그 자리에서 가열 재생하여, 직접 보수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한국특원 91-15123 호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차량적재 가능한 소형의 아스팔트 재생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아스팔트 재생장치에서는, 연소실을 케이싱의 전방으로 끌어낼 수가 없고, 또 연소실을 차량적재 가능한 상태로 대형화하는 것이 곤란 하였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참작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주된 과제는 케이싱 내에서 연소실을 선회와 경사운동 및 전후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힌 차량적재 가능한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케이싱에 일방을 개구한 솔 형상의 연소실을 내장한 가열장치에 있어서,
(b) 연소실의 저면부에 돌출설치한 선회축을 축지지하는 선회 축받이부를 가지며, 그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소실을 둘레 방향으로 선회가 자유롭게 지지하는 유지틀을 설치한다.
(c) 그 유지틀에서, 상기 연소실의 중도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좌우측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지축을 설치한다.
(d) 그 지축을 축받이하는 경사운동 축받이부를 가지는 받이부 본체를 설치한다.
(e) 그 받이부 본체를 케이싱내에서 중공위치에 지지하고, 케이싱의 전후를 따라서 받이부본체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수단을 설치한다.
(g) 상기 받이부 본체와 유지틀의 받이부 본체로부터 아래 방향에 배치된 장소에 연결되어서, 유지틀과의 연결축을 받이부 본체측으로 접근하거나 떨어지게 하여, 상기 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유지틀과 함께 연소실을 상하 방향으로 경사 운동시키는 제 2 직선 왕복 운동체를 설치한다.
(h) 상기 연소실의 개구를 향해서 버너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버너 유지부재를 설치한다.
상기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가열시에는 버너 유지부재로 휴대식의 버너를 유지하여, 연소실 개구를 향하여 화염을 방사함과 동시에,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소실을 선회시킨다.
또, 아스팔트 조각등의 피가열물 투입시에는, 제2직선 왕복 운동체를 작동시키므로써, 지축을 지점으로 하여 유지틀을 구동시켜, 여기에 연결된 연소실을 위 방향으로 경사운동 시킬 수가 있다.
또한, 피가열물의 배출시에는, 제1직선 왕복 운동체를 작동시켜서 받이부 본체를 가이드수단을 따라서 전후진시켜, 유지틀 및 연소실을 전후진 시킬 수가 있으며, 배출시에는, 연소실을 케이싱의 개구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2직선 왕복 운동체를 작동시켜, 연소실을 아래 방향으로 경사운동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 가이드장치의 연소실 유지구조를 아스팔트 재생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아스팔트 재생장치(1)는, 제1도 ~ 제5도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부를 개구한 바닥이 있는 연소실(2)과, 그 연소실(2)을 선회가 자유롭게 유지한 유지틀(3)과, 연소실(2)을 선회시키는 유압모터(4)와, 그 유지틀(3)을 통해서 연소실(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이부본체(5)와, 연소실(2)을 경사운동시키는 제 2유압실린더(6)와, 케이싱(20)에 고정되어서 받이부 본체(5)를 지지함과 동시에, 연소실(2)을 전후전시키는 회전지지봉(8)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연소실(2)은, 중도부의 둘레벽(2a)이 지름이 큰 동일 단면으로 형성되어 팽창 돌출하고 있으며, 전후를 향해서 서서히 지름이 작아지는 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소실(2)은, 개구(2a)를 정면으로 향하고 있다.
유지틀(3)은, 세운틀부(3a)와, 좌우 한쌍의 측방틀부(3b)와, 보조틀부(3c)와, 상기 세운틀부(3a)와 대향하는 후방틀부(3d)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즉, 세운틀부(3a)는, 연소실(2)의 바깥 둘레를 따라서 5각형으로 돌러쌈과 동시에, 수평으로 뻗는 아래변에서 연소실(2)의 둘레 벽(2b)과 접하고, 연소실(2)의 선회와 연동을 해서 회전하는 좌우 한쌍의 보조 로울러(7,7)를 축받이하고 있다.
또, 측방틀부(3b)는, 세울틀부(3a)의 좌우측방 중도위치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서 뻗음과 동시에, 지축(P2)을 좌우 바깥 방향으로 각각 돌출 설치하고 있다.
보조틀부(3c)는, 세운틀부(3a)의 좌우측방의 아래변으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뻗고 있다.
후방틀부(3d)는, 측방틀부(3b) 및 보조틀부(3c)와 서로 맞닿고, 연소실(2)의 배면을 따라서 뻗음과 동시에, 연소실(2)의 배면에 돌출설치된 선회축(P1)을 받는 선회축받이부(14)가 그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연소실(2)의 저면 벽 중앙에는 선회축(P1)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있으며, 그 선회축(P1)이, 상기 선회 축받이부(14)에 회전이 가능하게 축받이되고 있다.
이 선회축(P1)은, 후방틀부(3d)에 고정 설치된 모터(4)로 회전되어서, 연소실(2)을 선회시킨다.
이 선회축(P1)의 회전은, 모터로부터 체인과 벨트등의 전동부재를 통해서 회전시키는 구성도 무방하며, 그 경우에는 모터를 지지틀(3)의 보조틀부(3c)등에 배치할 수가 있다.
또, 전술한 바와같이, 세운틀부(3a) 저변에는, 좌우로 떨어진 위치에 한쌍의 브래키트(7a)가 세워서 설치되고 있으며, 각각 가이드 로울러 (7,7)가 옆을 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로울러(7)는, 연소실(2) 하방의 좌우 양측에서 둘레벽(2a)과 접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연소실(2)의 선회를 가이드하고 있다.
따라서, 연소실(2)은, 후방틀부(3d)에 축받이됨과 동시에, 가이드 로울러(7,7)과 맞붙여서 유지틀(3)과 연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틀(3)의 한쌍의 측방틀부(3b)는, 선단쪽에 좌우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축(P2)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지축(P2)을 통해서 유지틀(3)이 받이부 본체(5)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되고 있다.
받이부 본체(5)는, 상방에 회전 지지봉(8)과 나사 맞춤되는 나사구멍(5a)를 가지며, 하방에 상기 지축(P2)를 축받이하는 축 받이부(5b)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즉, 케이싱(20)의 좌우 측벽쪽에는, 바깥 둘레에 나사가 새겨 만들어진 회전 지지봉(8)이 배치되고, 그 전후 끝부분을 케이싱(20)의 뒷벽과, 전방 개구에서 측벽으로 부터 약간 접혀진 앞벽에 축받이 되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전 지지봉(8)에 상기 받이부 본체(5)의 나사구멍(15a)이 나사맞춤되고 있으며, 회전지지봉(8)의 정전, 역전에 의해서 전진 또는 후진한다.
따라서, 좌우에 설치된 회전 지지봉(8)을 동기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좌우의 받이부 본체(5)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에 의해서 유지틀(3) 및 연소실(2)이 지축(P2)을 통해서 케이싱(20)내를 전진 또는 후진한다.
다음에, 한편의 받이부 본체(5) 하방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브래키트(5c)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제1브래키트(5c)에 제 2 유압 실린더(6)의 통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유압실린더(6)의 신축로드 선단은, 유지틀(3)의 보조틀부(3c)에 형성된 돌출편(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유압실린더(6)의 신축에 의해서 돌출편(13)을 통해서 유지틀(3)을 지축(P2)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운동시킬 수가 있으며, 이와 함께 연소실(2)도 경사운동시킬 수가 있다.
케이싱(20)은, 정면에 한 쌍의 도어식 개폐문(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된 상자형으로 되어 있고, 천장벽에 투입구멍을 가지는 호퍼(21)가 세워서 설치되고 있으며, 그 호퍼(21)에는 파쇄 칼날을 내장하여 놓고, 투입된 아스팔트 조각을 깨는 크랏셔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호퍼(21)의 투입 구멍 위치는, 위를 향해서 경사운동 하였을 때의 연소실 개구와 상하로 바로 맞추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20)에 장착부(23)가 설치되어서, 버너 유지부재(9)가 장착되어 있다.
버너 유지부재(9)는, 위치 조정용의 로드 형상의 연결부(9a)와 원통형상의 버너 받침(9b)로서 이루어지며, 버너 받침(9b)에 휴대용 버너(10)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 받침 (9b)은, 옆으로 뉘운 상기 연소실에서 정면을 향하는 개구를 향해서 버너(10)의 화염을 방사하도록 되어 있다.
버너 유지부재(9)의 연결부(9a)는, 케이싱 (20)의 좌우 문 사이에 걸쳐진 것으로서, 그 중앙에 버너 받침(9b)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버너 유지부재(9)는 케이싱 (20)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어도 상관없으며, 예컨대, 버너 (10)을 연소실(2)의 개구를 향해서 유지하는 것이라면, 가령 설치면 상에 세워진 스텐드 등도 가하다.
따라서, 이 아스팔트 재생장치(1)에서는, 제3도의 상태로부터 제2유압실린더(6)를 신장해서 제4도와 같이, 연소실(2)을 그 개구가 위를 향하도록 경사운동시키고, 호퍼에 투입되어서 파쇄된 아스팔트 조각을 투입한다.
이어서, 연소실(2)의 개구가 정면을 향하도록 제3유압실린더(6)을 단축시켜, 버너 유지부재(9)를 세트하고, 버너(10)를 장착한다(제3도참조).
그리고, 연소실(2)을 유압모터(4)로 선회시킴과 동시에, 상기 버너(10)로 화염을 방사하여 아스팔트 조각을 가열한다.
가열 완료후에, 제 1 유압실린더(18)을 신장시켜, 제 5 도와 같이 연소실(2)을 케이싱(20)전방으로 끌어내고, 제2유압 실린더(6)를 단축시켜 연소실(2)을 아래방향으로 경사운동시켜 재생된 아스팔트를 투하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 지지봉(8)은, 받이부 본체(5)를 전후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방향을 가이드 하는데, 가이드하는 수단과 전후진 시키는 수단을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로서, 제6도와 같이 케이싱(20)의 양측쪽에서 전후로 걸치는 가이드레일(8')과 이 가이드레일(8')상을 주행가능한 받침부 본체(15)와, 받침부 본체(15)를 전후진시키는 제2유압실린더(18)를 사용하여도 좋다.
즉, 받침본체(15)는, 상부에 상기 가이드레일(8')과 걸어 맞추어지고, 굴러가는 차륜을 가지는 런너(15a)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케이싱(20)을 따라서 전후로 뻗고, 양단이 케이싱(20)에 고정된 가이드레일(8')에 지지되어서 전후진이 자유롭게 되어, 연소실(2)을 중공 위치에 지지하고 있다.
또, 상기 받침부 본체(15)는, 런너(15a)의 상방에 제2브래키트(15d)를 돌출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제2브래키트(15d)에는 케이싱(20)의 뒷벽에 기초단을 고정하여 전방에 수평으로 뻗는 제1유압실린더(18)의 신축로드 선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중 15b는, 지축(P2)을 축받이 하는 축받이부, 15c는 후술하는 제2유압실린더(6)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제1브래키트이다.
따라서, 제1유압 실린더(18)에 신축에 의해서, 런너부(15a)를 통해서 받침부 본체(15)가 가이드레일(8')에 가이드되면서, 전후로 이동하고, 이 받침부 본체(15)에 따라서 연동하는 유지틀(3)과 연소실(2)를 케이싱 (20)내에서 전후진시킬 수가 있다.
또, 제6도에 도시하는 버너 유지부재(9)는, 연결부(9a)가 L형상으로 굴곡하는 로드재로서 이루어지고, 선단에 원통형상의 버너 받침(9b)을 가지고 있다.
한편, 케이싱(20)에는 연결부(9a)를 고정하여 놓고, 그 연결부(9a)에 장착부(23)를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끼워서, 전후진할 수 있도록 세트하여도 좋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설계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 가열장치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가열물로서 산업폐기물 기타의 물질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실을 선회 가능하게 하고, 상하 방향으로 경사 운동이 가능하게 함과 함께 케이싱 내에서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므로, 연소실의 위치를 피연소물의 연소실 투입시, 연소시, 배출시에 적절히 치적위치로 이동시켜 효율적인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케이싱에 일방을 개구한 솔 형상의 연소실을 내장한 가열장치에 있어서, 연소실(2)의 져면부에 돌출 설치한 선회축을 축받이하는 선회축 받이부(2)를 가지며, 그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소실을 둘레 방향으로 선회가 자유롭게 지지하는 유지틀(3)과, 이 유지틀(3)에서, 상기 연소실(2) 중도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좌우측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지축과, 이 지축을 축받이하는 경사운동 축받이부(5b)를 가지는 받이부 본체(5)와, 이 받이부 본체(5)를 케이싱 내에서 중공 위치에 지지하고, 케이싱의 전후를 따라서 받이부는 본체(5)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에 지지된 받이부 본체(5)를 전후로 진퇴운동 시키는 제1직선 왕복 운동체와, 상기 받이부 본체(5)와, 유지틀(3)의 받이부 본체로부터 하방에 배치된 장소에 연결되어서, 유지틀(3)과의 연결측을 받이부 본체측(5)으로 접근하거나, 떨어지게 하고, 상기 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유지틀(3)과 함께, 연소실(2)을 상하 방향으로 경사운동시키는 제 2 직선 왕복운동체와, 상기 연소실(2)의 개구를 향해서 버너(10)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버너 유지부재(9)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틀(3)이 연소실(2)의 바깥둘레를 따라서, 둘러쌈과 동시에, 연소실(2)의 둘레벽과 접하고 연소실(2)의 선회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보조 로울러를 가지는 세울틀부(3a)와, 이 세운틀부(3a)의 좌우 측방 중도위치로 부터 각각 후방을 향하여 뻗음과 동시에 회전축을 바깥쪽에 돌출 설치한 좌우 한쌍의 측방틀부(3b)와, 이 측방틀부(3b)와 연이어 접하고 연소실(2)의 배면을 따라서 연장함과 동시에 연소실 배면에 돌출 설치된 선회축을 받는 축받이부가 형성된 후방틀부(3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의 천장벽에서, 윗 쪽으로 경사져서 작동한 연소실(2)의 개구에 피연소물을 투하가능한 위치에 투입구멍을 가지는 호퍼(21)를 설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호퍼(21)에 피연소물을 깨는 파쇄칼날을 내장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KR1019930024427A 1993-11-17 1993-11-17 가열장치 KR018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27A KR0185420B1 (ko) 1993-11-17 1993-11-17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27A KR0185420B1 (ko) 1993-11-17 1993-11-17 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489A KR950014489A (ko) 1995-06-16
KR0185420B1 true KR0185420B1 (ko) 1999-04-01

Family

ID=1936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427A KR0185420B1 (ko) 1993-11-17 1993-11-17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4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489A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420B1 (ko) 가열장치
US4647248A (en) Compact milling machine for milling off damaged road surfaces
WO2017157275A1 (zh) 铣刨机的支腿摆动转向机构
CA2399749C (en) Door assembly for rotary furnace
US5607298A (en) Conveyable heating apparatus
JP3437289B2 (ja) 加熱装置
US5785516A (en) Conveyable heating apparatus
KR100204135B1 (ko) 가열장치의 연소실 유지구조
JPH08110025A (ja) 傾動式加熱装置
ES1033163U (es) Maquina para descargar materiales.
AU717392B2 (en) Conveyable heating apparatus
KR200186771Y1 (ko)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
US7608804B2 (en) Tilting heating apparatus and on-the-spot heat treatment system for heating object
EP0436051B1 (en) Asphalt recycling apparatus
KR0185419B1 (ko) 가열장치
JPH0455054Y2 (ko)
JPH10183522A (ja) 傾動式加熱装置
CN215465067U (zh) 一种建筑垃圾加工生产线的保护机构
CN217733700U (zh) 一种铣刨机
KR102470066B1 (ko) 잔류콘크리트 회수 차량
JPS5938493Y2 (ja) スタビライザ−の作業機装置
CN216973140U (zh) 一种公路桥隧施工用移动平台
CN209602994U (zh) 一种市政道路用警示牌
CN215714518U (zh) 一种路面养护用装置
JP2001000882A (ja) 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