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585B1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585B1
KR0183585B1 KR1019950022754A KR19950022754A KR0183585B1 KR 0183585 B1 KR0183585 B1 KR 0183585B1 KR 1019950022754 A KR1019950022754 A KR 1019950022754A KR 19950022754 A KR19950022754 A KR 19950022754A KR 0183585 B1 KR0183585 B1 KR 018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ignal
predetermined time
execut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075A (ko
Inventor
임한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585B1/ko
Publication of KR97000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에 재기록하고자 할 때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레인보우 노이즈(RAINBOW NOISE)를 저감시킬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녹화신호 입력시 소정시간(t1)동안 되감기를 실행하고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유무를 판단하여 최종 판단결과를 저장하며 상기 소정시간(t1) 이후 다시 테이프를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소정시간(t1)동안 빨리감기를 실행하는 제1단계와, FE 온 신호를 하이레벨로 출력시켜 전폭소거 발진을 시작한 후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신호가 없는 경우 녹화 속도를 판단하여 모드별로 녹화를 실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신호가 있는 경우 녹화속도를 판단하여 EP모드인 경우 6배속 빨리감기를 소정시간(t2) 실행하고 속도를 감속하여 2배속 빨리감기를 소정시간(t3) 실행한 후 EP녹화를 실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SP모드인 경우 2배속 빨리감기를 소정시간(t4) 실행하고 SP녹화를 실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
제1도는 종래 테이프 로딩 완료시 데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 녹화시 테이프에 레인보우 노이즈가 발생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종래의 타이밍 챠트.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을 실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6도는 본 발명의 타이밍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닝 신호 처리부 20 :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
30 : 마이컴 40 : 키 입력부
50 : 표시부 60 : 서보 처리부
70 : 데크부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에 재기록하고자 할 때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레인보우 노이즈(RAINBOW NOISE)를 저감시킬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HS VTR에 있어서 이미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에 재 기록시 전폭소거 헤드인 FE(FULL ERASE)헤드로 이미 기록된 신호를 소거하기 위한 FE 온(ON) 신호를 출력시켜 FE발진회로를 동작시킴으로써 소거작용을 함과 동시에 서보(SERVO)안정시간 만큼 조금 지연시킨 하이레벨의 녹화 신호 [REC (H)]를 출력시켜 기록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이미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에 재기록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FE헤드(1)와 드럼(2)상의 비디오 헤드가 떨어져 있으므로 이 구간(Z)에서 화면상에 레인보우 노이즈(칼라 노이즈가 화면 상하로 일정시간(약 4,5초) 흐르는 현상)가 발생한다.
특히, EP의 경우 상기 SP의 3배 정도의 시간에 걸쳐 레인보우 노이즈가 발생한다.
이를 제2도와 제3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테이프(3) 로딩시 FE헤드(1)가 드럼(2)상의 비디오 헤드보다 일정거리, 시간상으로는 테이프 주행속도 기준으로 T(T=TAPE 길이 Z / 테이프 주행속도)시간만큼 앞서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제3도의 (A)와 같이 기록 키신호를 입력(a부분)시켜 연결 녹화 또는 재기록을 실행 할 경우 FE헤드(1)가 지우지 못한 구간(테이프 길이 Z 또는 시간 T)에서 비디오 헤드에 의해 재기록이 실행(제3도 (B)의 b부분)되므로 녹화 재생한 화면에 레인보우 노이즈(제3도 (C)의 d부분)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도에서, 4는 오디오 신호 기록부, 5는 비디오 신호 기록부, 6은 콘트롤 신호 기록부, 7은 비디오 헤드 위치, 8은 FE헤드 위치, 9는 신호 유무 판단 구간을 나타내며, 제3도에서 td는 서보 안정 구간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드럼(2)상에 플라잉(FLYING)소거 헤드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폐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라잉 소거 헤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레인보우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튜닝 신호 처리부와, 상기 튜닝 신호 처리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상기 튜닝 신호 처리부와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현재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서보 처리부와, 상기 서보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데크부로 이루어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VTR에 있어서, 녹화 신호 입력시 소정시간동안 되감기를 실행하면서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유무를 판단하여 최종 판단 결과를 저장하며 상기 소정시간 이후 다시 테이프를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소정시간동안 빨리감기를 실행하는 제1단계와, FE 온 신호를 하이레벨로 출력시켜 전폭 소거 발진을 시작한 후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신호가 없는 경우 녹화 속도를 판단하여 모드별로 녹화를 실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신호가 있는 경우 녹화속도를 판단하여 EP모드인 경우 6배속 빨리감기를 소정시간 실행하고 속도를 감속하여 2배속 빨리감기를 소정시간 실행한 후 EP녹화를 실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SP모드인 경우 2배속 빨리감기를 소정시간 실행하고 SP녹화를 실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튜닝 신호 처리부(10)와, 상기 튜닝 신호 처리부(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20)와, 상기 튜닝 신호 처리부(10)와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부(20)를 제어하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에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40)와, 상기 마이컴(30)의 제어에 의해 현재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50)와, 상기 마이컴(3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서보 처리부(60)와, 상기 서보 처리부(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데크부(70)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VTR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녹화 가능한 테이프가 데크부(70)에 로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입력부(40)를 통하여 녹화신호가 입력되면 t1시간(예를들어 1초)동안 되감기를 하면서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유무를 판단한 후 t = t1인가를 판단한다(S1-S4단계).
그리고 이 기간동안의 최종적인 신호유무 판단 결과를 저장하고 t1시간 이후는 다시 테이프를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t1시간동안 빨리감기를 실행한 후 다시 t=t1인가를 판단한다(S5,S6단계).
여기서 t=t1 이면 FE헤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마이컴(30)에서 제6도 (A)와 같은 하이레벨의 FE 온 신호를 출력시켜 전폭소거발진을 시작함과 동시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유무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신호가 없는 경우(제6도의 (B))는 녹화 속도 판단을 하여 SP의 경우는 SP녹화, EP의 경우는 EP녹화를 실행한다(S7-S9단계).
이때, 녹화신호가 하이로 되는 시간은 제6도에서의 서보 안정구간(td) 동안 지연(FE 온 기준)시켜 출력함으로써 실제기록이 실행된다.
그리고, 녹화신호가 있는 경우는 녹화속도를 판단하여 SP의 경우는 2배속 빨리감기를 t4시간(예를들어 2초)동안 실행한 후 SP녹화를 실행한다(S10-S13단계).
한편, 상기 S10단계에서 녹화 속도가 EP인 경우에는 레인보우 발생시간이 SP에 비해 3배 길기 때문에 6배속 빨리감기를 t2시간(예를들어 1.5초)동안 실행한 후 속도를 감속하여 2배속 빨리감기를 t3시간(예를들어 0.5초)동안 실행한 후 EP녹화를 실행함으로써 실제 녹화가 실행된다(S14-S18단계).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이미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에 재기록을 실행할 경우 녹화 재생시 레인보우 발생기간을 제3도의 종래 기술과 제6도의 본 발명을 비교해 볼 때 제6도(C)의 Y구간만큼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T (t2+t3)이기때문에 T(t2+t3), t4를 반드시 만족하도록 t2, t3, t4를 결정하여야 하며, 또 SP와 EP의 레인보우 노이즈 발생시간 차를 줄이기 위하여는 t4 ≤(t2+t3) 조건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동일한 레인보우 노이즈 발생시간 (제6도의 T1)동안 SP,EP의 테이프 속도가 다르며, 실제 화면상에서는 EP시 3T1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에 재 기록시 별도로 플라잉 소거 헤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레인보우 노이즈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녹화신호 입력시 소정시간(t1)동안 되감기를 실행하면서 콘트롤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유무를 판단하여 최종 판단 결과를 저장하며 상기 소정시간 (t1) 이후 다시 테이프를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소정시간(t1)동안 빨리감기를 실행하는 제1단계와, FE 온 신호를 하이레벨로 출력시켜 전폭소거 발진을 시작한 후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이 제2단계에서 신호가 없는 경우 녹화 속도를 판단하여 모드별로 녹화를 실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신호가 있는 경우 녹화속도를 판단하여 EP모드인 경우 6배속 빨리감기를 레인보우 노이즈 발생시간(T)이 T (t2+t3)일 때 소정 시간(t2) 실행하고 속도를 감속하여 2배속 빨리감기를 소정시간(t3) 실행한 후 EP녹화를 실행하는 제4단계와, 이 제4단계에서 SP모드인 경우 2배속 빨리감기를 레인보우 노이즈 발생시간(T)이 T t4로 일 때 소정시간(t4 : t4≤ (t2+t3)) 실행하고 SP녹화를 실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 방법.
KR1019950022754A 1995-07-28 1995-07-28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 KR018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754A KR0183585B1 (ko) 1995-07-28 1995-07-28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754A KR0183585B1 (ko) 1995-07-28 1995-07-28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75A KR970008075A (ko) 1997-02-24
KR0183585B1 true KR0183585B1 (ko) 1999-04-15

Family

ID=1942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754A KR0183585B1 (ko) 1995-07-28 1995-07-28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79B1 (ko) 2018-06-22 2019-03-20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발열 저감을 갖는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면상발열체
KR102027931B1 (ko) 2018-06-22 2019-10-02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발열 저감을 갖는 면상발열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79B1 (ko) 2018-06-22 2019-03-20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발열 저감을 갖는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면상발열체
KR102027931B1 (ko) 2018-06-22 2019-10-02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발열 저감을 갖는 면상발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75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585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화시 레인보우 노이즈 저감방법
JP2860122B2 (ja) テープ走行装置
KR0141867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광고 스킵 방법
KR0181078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테이프 배속 재생 모드 판단 방법
JP2516119B2 (ja) タイマ記録の記録速度切換方法
KR0176445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자동연장방법
KR970001978B1 (ko) 비디오 테이프의 되감기 방법
KR100209142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순위 재생 방법
KR0179526B1 (ko) 영상 기록 재생 기기의 기록 말기 소거 구간 보상 장치와 보상 방법
KR950020524A (ko) 브이씨알(vcr)의 다이제스트 오디오 스킵장치 및 그의 방법
KR100222469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녹화내용보호방법
KR960001490B1 (ko) 테이프의 초기 귀환 재생방법
KR950014340B1 (ko) 편집 재생장치의 편집녹화 재생방법
KR100199868B1 (ko) 비디오테이프의 재녹화방지제어장치
JPH118835A (ja) テレビジョン放送の記録再生装置
KR100198227B1 (ko) 비디오테이프의 소거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40343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반복재생 제어방법
KR100212553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예약 녹화 가능 시간 표시 방법
KR0130927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재생시 오버랩 제거 방법
JPH0327354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70050529A (ko) 비디오카세트레코더(vcr)에서의 녹화속도제어방법
KR19980040566A (ko) 브이시알에서 슬로우재생 제어처리 방법
KR19990001710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녹화 제어방법
KR980011192A (ko) 브이씨알의 재생 속도 제어 방법
KR19990018507A (ko)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탐색 데이타 기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