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970B1 -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970B1
KR0182970B1 KR1019960023619A KR19960023619A KR0182970B1 KR 0182970 B1 KR0182970 B1 KR 0182970B1 KR 1019960023619 A KR1019960023619 A KR 1019960023619A KR 19960023619 A KR19960023619 A KR 19960023619A KR 0182970 B1 KR0182970 B1 KR 018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emory
data
genera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459A (ko
Inventor
김병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970B1/ko
Publication of KR98000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87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parameters, e.g. for decoding or encoding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시 메모리의 잔량을 체크하여 오버플로우 및 언더플로우를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한 정보에 대한 복조, 에러정정 및 스크램블링을 하고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 디스크램블 완료된 데이타를 전송하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각 유닛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조,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타의 리드 혹은 라이트를 하는 하나의 메모리와, 복조된 데이타를 래치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복조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에러정정할 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에러정정 어드레스발생부와, 디스크램블한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디스크램블 어드레스발생부와, 데이타의 기록 혹은 재생을 제어하기 위해 기록인터럽트신호,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 전송시작어드레스, 전송완료 메모리어드레스 및 기타 메모리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기록/재생제어부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부터 데이타 전송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와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오버플로우신호 및 언더플로우신호를 발생하는 잔량제어부와, 상기 기록인터럽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재생부로 기록명령신호를, 상기 복조어드레스발생부로 복조어드레스의 발생을 위한 어드레스 초기값을 제공하며, 상기 오디오 디코더 혹은 비디오 디코더 혹은 롬 디코더로부터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는 전송인터럽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기록/재생제어부로 상기 전송시작명령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오버플로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 및 해당 어드레스발생부로 기록 중지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언더플로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 혹은 전송 완료 메모리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부터 기록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기록/재생제어부 및 해당 어드레스발생부로 발생하는 주장치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메모리를 제어하는 데 사용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중 시스템 디코더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상기 제2도중 메모리 제어에 관련된 부분 및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오버플로우 및 언더플로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120 : 광헤드
140 : 이송 모터 160 : 디스크 모터
200 : 시스템 디코더 280 : 메모리
300 : 디지탈 위상동기루프 400 : 디스크구동제어부
500 : 마이컴 600 :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610 : 디멀티플랙서 700 : NTSC 엔코더
800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 900 : 시스템클럭발생부
950 : 롬 디코더 960 : 모니터
970 : 스피커
본 발명은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비디오(혹은 versatile)디스크 재생장치에서 사용하는 메모리의 잔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는 디지탈 동화 디스크 매체의 하나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의 디지탈 영상을 2시간 이상 저장하는 차세대 고화질·고음질의 보급형 멀티미디어 기억장치이다.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는 하나의 메모리-대개 다이나믹 램(dynamic RAM)을 사용한다. -를 다중 영역으로 구분하고 에러정정과 데이타 버퍼링에 공용하게 되면, 그 운용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메모리에 데이타를 저장할 때 오버플로우(overflow) 혹은 언더플로우(underflow)가 발생하면 데이타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시 하나의 메모리를 다중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할 때 상기 메모리의 잔량을 체크하여 메모리를 관리함으로써 오버플로우 혹은 언더플로우 등으로 인한 데이타 에러발생을 방지하는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한 정보에 대한 복조, 에러정정 및 스크램블링을 하고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 디스크램블 완료된 데이타를 전송하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각 유닛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조,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타의 리드 혹은 라이트를 하는 하나의 메모리와, 복조된 데이타를 래치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복조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에러정정할 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에러정정 어드레스발생부와, 디스크램블한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디스크램블 어드레스발생부와, 데이타의 기록 혹은 재생을 제어하기 위해 기록인터럽트신호,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 전송시작어드레스, 전송완료 메모리어드레스 및 기타 메모리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기록/재생제어부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부터 데이타 전송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와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오버플로우신호 및 언더플로우신호를 발생하는 잔량제어부와, 상기 기록인터럽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재생부로 기록명령 신호를, 상기 복조어드레스발생부로 복조어드레스의 발생을 위한 어드레스 초기값을 제공하며,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혹은 롬 디코더로부터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는 전송인터럽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기록/재생 제어부로 상기 전송시작명령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오버플로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 및 해당 어드레스발생부로 기록 중지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언더플로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 혹은 전송완료 메모리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부터 기록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기록/재생제어부 및 해당 어드레스발생부로 발생하는 주장치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크(100)를 재생시키면 디스크 모터(160)가 어떤 속도로 회전을 시작하고, 헤드(120)를 구비한 광픽업에서는 트래킹 및 포커싱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크(100) 정보가 아나로그의 고주파(RF)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 신호는 펄스 파형으로 정형되어 데이터 스트림(ESM, EFM)이 하기 디지탈 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이라 함.)(300)와 시스템 디코더(200)에 전달된다. 상기 디지탈 위상동기루프(300)는 위상비교회로, 전압제어발진기 및 분주기 등으로 이루어져 임의의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신호에 동기된 제1클럭을 발생한다. 디스크구동제어부(400)는 시스템디코더(200)의 동기검출부(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제공되는 프레임동기신호(Sf)에 따라 주파수서보, 위상서보등을 고려하여 디스크 회전의 정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 및 기타 디스크 관련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80)는 4메가 비트의 다이나믹 메모리이다. 상기 메모리(280)는 에러정정과 VBR(Variable Bit Rate) 및 데이터 버퍼용이다. 상기 시스템 디코더(200)에서는 상기 디스크(100)로부터 읽어낸 데이커를 기록전의 상태로 복조한다. 이 복조된 데이타는 상기 메모리(280)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블럭단위로 독출되어 시스템 디코더(200)에서 에러가 정정된 데이터는 다시 상기 메모리(28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디코더(200)에서는 상기 메모리(280)에서 독출한 데이터에 대한 디스크램블링을 실시한 후 다시 상기 메모리(280)에 저장하게 되고 이 데이터는 다시 독출되어 디멀티플랙서(610)로 전달된다. 상기 디멀티플랙서(610)는 데이타 파서(parser)로서,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오디오/비디오 디코더(600)로 전달한다. 마이컴(500)은 광디스크 재생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로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600)로부터 데이타전송개시신호를 받으면 전송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600)에서 복조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타는 각각 NTSC(혹은 PAL)엔코더(700)와 디지탈/아날로그변환부(800)로 전달되어 각각 모니터(960)와 스피커(970)를 통해 출력된다. 롬 디코더(950)는 주로 호스트(예 : 개인용 컴퓨터)에 내장되며, 컴퓨터에서 처리하기에 맞도록 데이타를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중 시스템 디코더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마이컴 인터페이스 제어부 111은 마이컴 500과 시스템 디코더 200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상기 마이컴 500은 DVD 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광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로서, 시스템 디코더 200의 전반적인 동작도 총괄적으로 제어함은 물론이다.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100을 재생시키면 디스크 모터가 소정의 선 속도로 회전을 시작하고, 헤드를 구비한 광픽업에서는 디스크 정보가 아나로그의 고주파(RF)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 신호는 펄스 파형으로 정형되어 데이터 스트림의 ESM 데이타는 증폭기 114에 의해 증폭되고, ESM 복조부 115에 전달된다. 상기 ESM 복조부 115는 상기 ESM 데이타를 소정 비트들로 이루어진 심볼단위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ESM 복조부 115는 상기 ESM 데이타를 32비트 쉬프트레지스터(도시되지 않음.)로 입력하고, 상기 32비트 쉬프트레지스터의 출력 32비트중 하위(혹은 상위) 16비트를 선택하여 16-8복조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한다. 상기 16-8복조부는 입력된 16비트의 데이터를 하나의 심볼을 이루는 8비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는 데이터를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100에 기록할 때 8-16변조(Eight to Sixteen Modulation)를 했기 때문이다. 에러정정부 116은 디스크에서 읽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블록에 대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에러정정을 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 280은 상기 데이타 버스 230 및 메모리 제어부 210을 통해 상기 ESM 복조부 115에서 출력되는 ID 데이터 및 주데이터들을 모아 소정의 블럭단위로 저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마이컴 500의 제어를 받은 메모리 제어부 210가 상기 메모리 280에 적절한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대응되는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에러정정 블럭을 형성한다. 상기 에러정정블럭은 16섹터에 대한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모리 280는 상기 두 방향의 에러정정 사이에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정정 완료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역할도 한다. 디스크램블러 117은 상기 메모리 280에 저장된 정정 완료된 데이터중 주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독출한 것을 입력받아 스크램블링으로 인한 시간 지연정도를 보상함으로써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이때 상기 1섹터의 주데이타는 2킬로바이트(Kbyte)이다. 마이컴 메모리 억세스부 119는 상기 마이컴 500이 상기 메모리 280을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A/V(Audio/Video) 디코더 인터페이스 121은 본 시스템 디코더 200과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600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100으로부터의 데이타전송요구신호에 의거 메모리 280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타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600로 출력된다. 또한 ROM(Read Only Memory)디코더 인터페이스 122도 호스트의 롬 디코더 950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즉, 디스크램블이 끝난 데이타를 저장한 메모리 280은 롬디코더 950의 데이타 전송요구에 의해 상기 ROM디코더 인터페이스 122를 통해 전송데이타를 상기 롬디코더 950으로 출력한다. 이때 A/V디코더 인터페이스 121 및 ROM 디코더 인터페이스 122는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타를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상기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600으로 전송하거나 혹은 롬 디코더 950으로 전송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한다. 이에 상기 전송데이타가 상기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600으로 전송되는 경우는 디스크가 DVD일 경우 예를 들면, 영화감상 등을 위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전송데이타가 상기 롬디코더 950으로 전송되는 경우는 디스크가 DVD-ROM일 경우로 예를 들면, 정보검색등을 위해 발생된다. 메모리 리플래쉬부 220은 상기 메모리 280의 데이타 소거 방지를 위한 것이다. 우선순위 제어부240은 상기 ESM 복조부 115, 에러 정정부 116, 디스크램블러 117, 마이컴 메모리 억세스부 119, A/V디코더 인터페이스 121, ROM 디코더 인터페이스 122, 메모리 리플래쉬부 220에서 발생되는 메모리를 억세스하기 위한 요구신호(REQusest : 이하 REQ라 칭함)를 입력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허가신호(ACKnowlege:이하 ACK라 칭함)를 해당 장치들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 제어부 240은 상기 허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이하 메모리 제어부 210으로 억세스 요구신호(ACCess_REQuest : 이하 ACC_REQ라 칭함.)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제어부 210은 마이컴 500의 제어를 받아 메모리 억세스를 위한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고, 억세스를 요구한 장치들과 데이타 버스 230로의 통로를 형성하여 억세스 동작을 한다. 즉 상기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100에서 읽은 데이타를 메모리 280에 저장시키고 소정의 블럭단위로 읽어내어 에러정정부 116에 제공하며, 상기 에러정정부 116에서 정정한 데이타가 상기 메모리 280의 해당 영역에 다시 저장되도록 하고, 디스크램블 및 디인터리브를 할때도 그 복원된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 280에 다시 저장하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한다. 또한 상기 ACC_REQ를 입력한 메모리 제어부 210은 상기 각 장치들로부터 인가되는 리드/라이트(Read/Write:이하 R/W라 칭함)신호에 대해 해당하는 메모리 280의 어드레스를 독출하여 억세스를 수행한다. 이에 상기 각 장치들은 상기 R/W와 더불어 메모리 280의 억세스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 발생은 각 장치들에 어드레스 카운터를 구비하여 메모리 제어부 210으로 출력한다. 마이컴 레지스터 112는 마이컴 500으로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시스템 디코더 200의 각 장치들을 제어하는 신호들을 저장하고,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마이컴 500이 읽어갈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마이컴 인터페이스 111은 마이컴 500이 상기 마이컴 레지스터 112 및 메모리 280의 메모리 내용을 읽고 쓰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장치들은 하나의 메모리 280을 공유하여 디코더를 수행한다. 그리고 우선 순위 제어부 240에 의해 억세스가 허락된 장치들이 상기 메모리 280을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V 디코더 인터페이스 121은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60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 전송요구신호에 의해 메모리 280이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중 메모리 제어에 관련된 부분 및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는 어드레스버스, ⓓ는 데이타버스, ⓒ는 제어버스를 나타낸다. 메모리(280)는 에러정정 및 데이타 버퍼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메모리(280)는 섹터단위(2Kbyte)로 어드레스로서의 유닛번호(unit number)가 할당되며, 한 유닛은 2048바이트로 이루어진다. 복조어드레스발생부(215)는 복조된 데이타를 래치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ESM 복조부(250)는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ESM)을 소정 비트들로 이루어진 심볼단위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ESM 복조부(250)는 상기 32비트 데이터 스트림(ESM)을 각각의 심볼을 이루는 두개의 8비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는 데이터를 디스크(100)에 기록할 때 8-16 변조(Eight to Sixteen Modulation)를 했기 때문이다.
에러정정부(116)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에서 읽은 데이터로 이루어진 소정의 에러정정블럭에 대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에러정정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각각(182, 172, 11 ), (208, 192, 17)로 한다. 즉 코드워드의 길이가 각각 182, 208이고, 패리티를 제외한 주(main)데이터가 172, 192이며, 코드워드간격은 각각 11, 17이다. 이러한 에러정정을 위해 상기 메모리(280)는 상기 ESM 복조부(250)에서 출력되는 ID 데이터 및 주데이터들을 모아 소정의 블럭단위로 저장해놓음으로써 상기 에러정정블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러정정블럭은 16섹터에 대한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모리(280)는 상기 두 방향의 에러정정 사이에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정정 완료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도 한다.
에러정정 어드레스발생부(235)는 메모리(280)로부터 에러정정할 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디스크램블러(117)는 상기 메모리(280)에 저장된 정정 완료된 데이터중 주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독출한 것을 입력받아 스크램블링으로 인한 시간 지연정도를 보상함으로써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이때 상기 주데이터는 2킬로 바이트(Kbyte)이다.
디스크램블 어드레스발생부(245)는 디스크램블한 데이타를 메모리(280)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기록/재생제어부(275)는 데이타의 기록 혹은 재생을 위해 상기 메모리(280)를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제어를 한다. 즉 라스(RAS), 카스(CAS), 입력 인에이블 및 출력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한다.
잔량제어부(276)는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의 어드레스 발생 상황과 마이컴(500) 혹은 자체적으로 갖고 있던 소정의 임계치를 참조하여 메모리의 오버플로우(overflow), 언더플로우(underflow)및 빔(empty)을 판단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275)로 더 이상의 기록 중지를 명하거나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한다.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294)는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620, 630, 950)로부터 데이타 전송요구신호가 수신된 경우 메모리(280)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상기 데이타 전송요구신호의 수신 사실은 마이컴(500)에서 감지되고, 상기, 마이컴(500)은 상기 데이터출력을 어드레스발생부(294)와 상기 기록/재생제어부(275)로 전송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오버플로우 및 언더플로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파형도이다.
(4a)는 잔량제어부(276)에서 발생하는 오버플로우신호로서, 마이컴(500)으로 전달된다. 상기 마이컴(500)은 상기 오버플로우신호에 의해 메모리 오버플로우 여부를 판단한다. (4b)는 잔량제어부(276)에서 발생하는 언더플로우신호로서, 마이컴(500)으로 전달된다. 상기 마이컴(500)은 상기 언더플로우신호에 의해 메모리 언더플로우 여부를 판단한다. (4c)는 마이컴(500)에서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제어부(270)로 전달하는 기록명령 신호이다. (4d)는 복조어드레스발생부(215)에서 마이컴(500)으로 전달하는 정보로서, 그때까지 데이타를 기록한 메모리(280)상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이다. 예를들어 2번지까지 기록했다는 정보를 기억해둠으로써 다음 기록시 3번지부터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4e)는 마이컴(500)에서 복조어드레스발생부(215)로 출력하는 기록시작어드레스로서 메모리(500)상의 어드레스이다. (4f)는 디스크구동제어부(400)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신호로써 기록/재생제어부(275)에서 발생하여 마이컴(500)으로 전송하는 기록인터럽트신호로서, 하나의 펄스가 발생될 때마다 하나의 섹터가 기록된다. (4g)는 전송시작신호로서, 마이컴(500)에서 출력되는 것이다. (4h)는 전송을 중지한 경우 그때까지 전송한 데이타가 속한 메모리상의 번지를 나타내는 전송완료 메모리어드레스이다. 이 정보로써 상기 마이컴(500)은 어느 섹터까지 전송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어 4번지까지 전송했다는 정보를 기억해두면 다음 전송시에는 그 다음 번지부터 전송할 수 있다. (4i)는 마이컴(500)에서 데이타 출력 어드레스발생부(234)로 출력하는 전송시작 어드레스로서, 메모리(500)상의 어드레스이다. (4j)는 오디오 디코더 혹은 비디오 디코더 혹은 롬 디코더(620, 630, 950)로부터 마이컴(500)으로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는 전송인터럽트신호로서, 하나의 펄스당 하나의 섹터가 전송된다.
t1시점에서 오버플로우신호가 발생하면, t2시점에서 기록명령신호가 로우상태로 전환되어 기록 중지를 명하게 된다. 그리고 그때까지 채워진 (full) 메모리의 어드레스 즉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를 마이컴의 해당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이후에도 t3, t4시점에서 기록인터럽트신호가 발생하고, 전송시작신호는 계속 하이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송시작신호가 계속 하이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데이타 전송이 이루어져서 그만큼 버퍼가 비어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국, 상기 t4시점에서 버퍼번지($)를 지정하게 된다. 그리고 기록명령신호를 하이상태로 전환하여 다시 기록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t5시점에서 언더플로우신호가 발생하면, 기록명령신호를 하이상태로 전환하여 다시 기록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언더플로우신호의 발생은 상기 전송시작신호가 계속 하이 상태를 유지하여 버퍼가 완전히 비어버린 경우에 해당한다. 즉 당장 전송할 데이타가 없다는 의미로서, 현재 에러정정중이거나 디스크램블된 데이타가 없을 때이다.
다른 한편, t6시점에서 상기 전송시작신호가 로우상태로 전환되면 기록/재생제어부(275)가 마이컴(500)으로 그 전송 완료를 알리기 위해 전송 완료 메모리어드레스(*)를 상기 마이컴(500)의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이후 t7시점에서 다시 상기 전송시작신호가 하이상태로 전환되면 전송번지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즉 마이컴(500)에서 데이타출력 어드레스발생부(234)로 전송시작 어드레스()가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시 하나의 메모리를 다중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할 때 오버플로우 및 언더플로우를 방지함으로써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데이타 에러의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광디스크로부터 재생한 정보에 대한 복조, 에러정정 및 스크램블링을 하고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 디스크램블 완료된 데이타를 전송하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각 유닛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조,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타의 리드 혹은 라이트를 하는 하나의 메모리와, 복조된 데이타를 래치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복조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에러정정할 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에러정정 어드레스발생부와, 디스크램블한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디스크램블 어드레스발생부와, 데이타의 기록 혹은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록인터럽트신호,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 전송시작어드레스, 전송완료 메모리어드레스 및 기타 메모리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기록/재생제어부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부터 데이타 전송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송할 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와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오버플로우신호 및 언더플로우신호를 발생하는 잔량제어부와, 상기 기록인터럽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재생부로 기록명령신호를, 상기 복조어드레스발생부로 복조어드레스의 발생을 위한 어드레스 초기값을 제공하며, 상기 오디오 디코더 혹은 비디오 디코더 혹은 롬 디코더로부터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는 전송인터럽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기록/재생제어부로 상기 전송시작명령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 및 해당 어드레스발생부로 기록중지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언더플로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 혹은 전송완료 메모리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부터 기록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기록/재생제어부 및 해당 어드레스발생부로 발생하는 주장치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로리는 다이나믹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제어부는 상기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KR1019960023619A 1996-06-25 1996-06-25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KR018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19A KR0182970B1 (ko) 1996-06-25 1996-06-25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19A KR0182970B1 (ko) 1996-06-25 1996-06-25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459A KR980004459A (ko) 1998-03-30
KR0182970B1 true KR0182970B1 (ko) 1999-04-15

Family

ID=1946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619A KR0182970B1 (ko) 1996-06-25 1996-06-25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9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459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015B1 (ko) 메모리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42448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고속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US6158039A (en) System decoder having error correcting memories for high-speed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6401228B1 (en) Data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ata reproduction apparatus
US6282367B1 (en) System decoder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ck buffering
KR100217745B1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시스템 디코더
KR0176141B1 (ko)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208714B1 (ko) 다종 광디스크 선택적 재생시스템
KR0182970B1 (ko)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JPH1097492A (ja) メモリアクセスのための優先順位制御装置及び方法
JPH11164253A (ja) メモリ制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4004147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
KR100217747B1 (ko) 메모리의 전송데이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3564910B2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KR100194044B1 (ko) 메모리 억세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0183298B1 (ko) 억세스를 위한 메모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38667B1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시스템 디코더
KR100200096B1 (ko) 메모리의 전송데이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235062B1 (ko) 디지탈 비디오디스크 재생장치의 시스템 디코더
KR0176648B1 (ko) 다종 광디스크 선택적 재생시스템
KR100270695B1 (ko) 데이타처리장치및방법그리고그에따른디지탈비디오디스크구동장치
KR20010011951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수신 데이터스트림 저장/재생 장치 및방법
KR20010057911A (ko) 하드디스크를 이용한 방송 신호 녹화/재생장치
KR19990049837A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타 처리방법
JPH06150573A (ja) データ復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