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745B1 -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745B1
KR0182745B1 KR1019960008075A KR19960008075A KR0182745B1 KR 0182745 B1 KR0182745 B1 KR 0182745B1 KR 1019960008075 A KR1019960008075 A KR 1019960008075A KR 19960008075 A KR19960008075 A KR 19960008075A KR 0182745 B1 KR0182745 B1 KR 018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ransistor
refrigerant
bypass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360A (ko
Inventor
엄경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745B1/ko
Publication of KR97006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상기 모세관의 후단에 상호 병렬연결되며 각각 다른 공조공간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각각 직렬연결된 보조밸브 및 보조모세관, 상기 모세관과 병렬연결된 주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각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각 공조공간을 냉난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각 공조공간의 운전선택여부를 판단하여 각 밸브 및 압축기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하구동판별부(30), 상기 응축기(11)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 냉매유입측을 안내하는 안내하는 바이패스관(19)을 개폐시키는 바이패스밸브(SV-BY), 상기 각 밸브가 모두 오프되면 상기 바이패스밸브(SV-BY)를 소정시간동안 개방시키는 바이패스밸브구동부(60), 상기 압축기(10)의 초기구동여부에 따라 압축기의 구동개시시점을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다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냉각사이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응축기 12, 13, 14 : 모세관
15, 16, 17 :증발기 18 : 주모세관
20 : 운전신호입력부 30 : 부하구동판별부
40 : 압축기구동부 50 : 주밸브구동부
60 : 바이패스밸브구동부 SV1 : 주밸브
SVA, SVB, SVC : 보조밸브 SV-BY : 바이패스밸브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에 관하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증발기와 하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 및 이들은 직렬로 연결하는 냉매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매관내를 흐르는 냉매가 압축, 응축, 감압, 증발등의 상변화를 거쳐 실내 및 실외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 및 방출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실외측에 설치되며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의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상온의 냉매를 저온에서 증발하기 쉬운 상태로 감압하는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실내의 고온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구비한 실내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및 일체로 설치된 일체형의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실내기와 하나의 실외기로 구성되었으나, 근래들어 공기조화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었으며, 가정이나 대형 점포 및 회사등에서는 다수개로 구획된 실내공간을 냉난방하기 위하여 분리형 및 일체형의 공기조화기를 각 층마다 또는 각 공간마다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의하여 하나의 실외기에 의해 다수개의 실내기를 제어하도록 된 공기조화기, 이른바 멀티에어콘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냉각사이클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11)와, 상기 응축기(11)에 의해 열교환된 냉매를 증발되기 쉬운 상태로 감압시키도록 각각 마련된 다수개의 모세관(12내지14), 상기 각 모세관에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증발기(15내지17)와, 상기 모세관(12)(13)(14)의 전단에 설치되어 응축기(11)로부터의 각 모세관으로의 냉매의 유입을 단속하는 다수개의 보조밸브(SVA)(SVB)(SVC), 상기 각 보조밸브의 개방시 응축기(11)로부터의 냉매의 유출을 제어하도록 응축기(11)와 상기 보조밸브사이에 마련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된 주밸브(SV1) 및 주모세관(18),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즉시 압축기에 재입력시키도록 마련된 보조냉매관(19)을 개폐시키는 바이패스밸브(SV-BY)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멀티에어콘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으며, 다수개의 증발기(15-17)가 각각 3개의 실내에 각각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만약 각 실내 A,B,C의 어느 한 실(예를 들어 A실)만이 냉난방운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냉난방운전을 필요로 하는 실(A실)의 증발기(15)에 냉매를 공급하도록 그 해당 증발기에 직렬연결된 보조밸브(SVA)만이 개방된다. 이때 주밸브(SV1) 및 바이패스밸브(SV-BY)도 개방되게 된다.
그러나, 두 실이상에서 냉난방운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물론 각 실에 설치된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도록 각 보조밸브가 개방되지만, 주밸브(SV1) 및 바이패스밸브(SV-BY)는 오프되어 압축기(10)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보다 유출되는 냉매의 양이 많아지지 않도록 냉매의 양보다 유출되는 냉매의 양이 많아지지 않도록 냉매의 유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모든 실에서 냉난방운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의 구동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주밸브(SV1), 바이패스밸브(SV-BY) 및 각 보조밸브(SVA)(SVB)(SVC)를 모두 오프시키고 냉난방운전을 종료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멀티에어콘에 있어서는 압축기의 구동이 오프되는 경우 각 밸브를 압축기의 구동정지와 동시에 오프시킴으로써 압축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경계로 구분되는 냉매의 저압측 및 고압측간의 압력불균형이 발생되게 되었다.
또한, 압축기가 초기구동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구동정지 후 재운전시와 동일하게 소정의 시간지연후에 압축기를 구동시키게 되나, 이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개시한 후 즉각적인 냉기 또는 온기가 토출되기를 바라는 점에서 불필요한 시간지연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압축기의 초기구동시 소정시간지연없이 압축기를 즉시 구동시키고,압축기의 운전정지시 발생되는 냉매의 고압측 및 저압측의 압력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상기 모세관의 후단에 상호 병렬연결되며 각각 다른 공조공간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각각 직렬연결된 보조밸브 및 보조모세관, 상기 모세관과 병렬연결된 주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각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각 공조공간을 냉난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각 공조공간의 운전선택여부를 판단하여 각 밸브 및 압축기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하구동판별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기의 냉매유입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관을 개폐시키는 바이패스밸브, 상기 각 밸브가 모두 오프되면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소정시간동안 개방시키는 바이패스밸브구동부, 상기 압축기의 초기구동여부에 따라 압축기의 구동개시시점을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냉각사이클을 구비하며, 이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11)와, 상기 응축기(11)에 의해 열교환된 냉매를 증발되기 쉬운 상태로 감압시키도록 각각 마련된 다수개의 모세관(12-14), 상기 각 모세관(12-14)에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증발기(15-17)와, 상기 모세관(12-14)의 전단에 설치되어 응축기(11)로부터의 각 모세관(12-14)으로의 냉매의 유입을 단속하는 다수개의 보조밸브(SVA)(SVB)(SVC), 상기 각 보조밸브의 개방시 응축기(11)로부터의 냉매의 유출을 제어하도록 응축기(11)와 상기 각 보조밸브사이에 마련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된 주밸브(SV1) 및 주모세관(18),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즉시 압축기에 재입력시키도록 개폐되는 바이패스밸브(SV-BY)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블럭도를 구비하며, 이는 각 실내에 마련된 실내기의 기능선택부로부터 사용자가 입력된 운전개시명령을 입력받는 운전신호입력부(20), 상기 운전신호입력부(20)에 운전개시명령이 입력되면 냉난방운전을 필요로하는 실을 판단하여 각 부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하구동판별부(30), 상기 부하구동판별부(3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축기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압축기구동부(40), 상기 부하구동판별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밸브(SV1)를 개폐시켜 압축기의 냉매유출량을 제어하는 주밸브구동부(50) 및 상기 부하구동판별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이패스밸브(SV-BY)를 개폐하여 냉매의 압평형을 유지하는 바이패스밸브구동부(6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도를 가지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신호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개시명령이 입력되면 도통되는 다수개의 포토커플러(PTC)로 구성되며, 상기 각 포토커플러 (PTC)는 수광부에 빛이 수신되면 두 개의 비교기 (IC1)(IC2)로 구성된 부하구동판별부(30)의 각 비교기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부하구동판별부(30)의 각 비교기 (IC1)(IC2)는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상기 운전신호입력부(20)로부터의 신호와 비반전단자에 접속된 분압저항(R1,R2 ; R3,R4)에 의한 일정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비교기(IC1)(IC2)는 운전신호입력부(20)에 운전개시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모두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어느 한실에서 운전신호가 입력되면 비교기(IC1)은 '하이', 비교기(IC2)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며, 두 실이상에서 운전신호가 입력되면 두 비료기(IC1)(IC2)는 모두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구동부(40) 부하구동판별부(30)의 비교기(IC2)의 출력단으로부터 베이스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4),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자로부터 베이스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9), 상기 트랜지스터(Q9)의 컬렉터단에 에비터단이 접속된 트랜지스터(Q8), 상기 트랜지스터(Q8)에 베이스신호를 제공하고자 그 에미터단이 접속된 트랜지스터(Q10), 상기 트랜지스터(Q8)의 컬렉터단으로부터 베이스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7),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단과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단을 접속시키는 저항(R20),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단에 애노드측이 연결되고 캐소드측은 컨덴서(C2)과 연결된 다이오드(D3), 상기 다이오드(D3) 및 컨덴서(C2)의 중간탭으로부터 반전신호를 입력받고 분압저항(R22)(R23)으로부터 분압된 전압을 비반전신호로 입력받으며 그 출력단은 저항(R21)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는 비교기(IC4)와,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단에 접속되어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온오프되는 릴레이(RT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압축기에 초기전원인 인가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운전신호입력부(20)에 운전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부하구동판별부(30)의 비교기(IC2)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4)은 오프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9)는 온 대기상태가 된다. 이때 압축기에 초기전원이 인가된 경우에는 비교기(IC4)의 반전단자에 접속된 컨덴서(C2)에는 충전된 전압이 없으므로 비교기(IC4)에서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0)가 온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8) 및 트랜지스터(Q9)가 온되게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8)가 온됨에 따라 이의 컬렉터단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7)는 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은 릴레이(RY3)가 온되게 되어 압축기에 상용교류전원이 인가되게 되어 압축기의 초기구동시에는 소정의 시간지연없이 즉시 압축기가 구동되게 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Q7)가 오프된 시점으로부터 그 컬렉터단에 접속된 다이오드(D3)에 의해 컨덴서(C2)는 충전되게 되며, 일정 시점에서 컨덴서(C2)의 충전이 완료되면 비교기(IC4)의 반전단자의 입력전압이 비반전단자의 분압전압보다 커지게 되므로 비교기(IC4)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미 트랜지스터(Q7)가 오프된 상태로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단자에는 저항(R20) 및 저항(R21)에 의해 +전위가 유지되므로 릴레이(RY4)는 연속적으로 구동되어 압축기를 구동시키게 된다.
반면,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후 소정시간이내에 다시 압축기를 구동시키고자 하면 부하구동판별부(30)의 비교기(IC2)로부터 '로우' 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4)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9)는 온대기상태이다. 이때 비교기(IC4)의 반전단자에 접속된 컨덴서(C2) 은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순간부터 방전을 시작하므로 비교기(IC4)의 비반전단자의 분압전압보다 반전단자의 입력전압이 낮아지는 시점까지는 비교기(IC4)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0)(Q8)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7)가 온되게 되므로 릴레이(RY4)는 구동이 오프되게 된다.
즉,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시점부터 컨덴서(C2)는 방전하게 되며,이때 압축기의 구동중에 충전된 전압이 비반전단자의 분압전압보다 낮게 될 때까지 비교기(IC4)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므로 압축기는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교기(IC4)의 출력이 하이로 되는 순간부터 트랜지스터(Q8)(Q9)(Q10)가 동시에 온되어 트랜지스터(Q7)를 오프시키므로 릴레이(RY4)가 구동되어 압축기가 운전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이패스밸브구동부(60)는 부하구동판별부(30)의 비교기 (IC1)의 출력단으로부터 베이스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1),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으로부터 베이스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3),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으로부터 반전신호를 입력받으며, 비반전단자에는 분압저항(R13)(R14)이 접속된 비교기(IC3),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 컬렉터단이 접속되며 베이스단은 비교기(IC2)의 출력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서 비교기(IC3)의 반전단에는 병렬연결된 컨덴서(C1)가 접속되며 그 출력단은 다이오드(D1)을 개재하여 트랜지스터(Q4)의 비교기(IC2)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한편, 비교기(IC3)의 출력단은 다이오드(D2)를 개재하여 비교기(IC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는 바이패스밸브(SV-BY)에 상용교류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온오프되는 릴레이(RY1)가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바이패스밸브구동부(60)의 동작은 먼저, 부하구동판별부(30)에 적어도 어느 한실에서 운전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비교기(IC1)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비교기(IC2)에서는 로우신호가 출력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온되고,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게 된다. 또한, 비교기(IC1)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므로 릴레이(RY1)에 전원이 인가되어 바이패스밸브(SV-BY)가 구동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3)가 온되게 되므로 비교기(IC04)의 비반전(-)측에 연결된 컨덴서(C1)에는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부하구동판별부(30)의 판단결과 모든 실로부터 운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기(IC1)(IC2)에서 하이신호를 출력되게 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Q1) 온되게 되어 릴레이(RY1)에 전원이 인가되게 되므로 바이패스밸브(SV-BY)는 개방되게 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Q1)(Q2)는 온되고,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어 입력전압으로부터 컨덴서(C1)에는 소정전압이 충전되게 된다.
이때 비교기(IC3)의 비반전단자에 병렬접속된 저항(R13)(R14)에 의한 분압전압보다 컨덴서(C1)의 충전전압이 작으면 비교기(IC3)의 출력은 하이가 되어 릴레이(RY1)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컨덴서(C1)가 충전을 계속하여 충전전압이 비교기(IC3)의 비반전단자측의 분압전압보다 커지게 되는 시점에서는 비교기(IC3)의 출력은 '로우'가 되므로 릴레이(RY1)는 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바이패스밸브(SV-BY)는 폐쇄 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에 의하여 압축기에 초기전원인가시 지연시간없이 즉시 압축기를 구동시켜 냉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압축기의 구동정지시 바이패스밸브를 소정시간동안 구동시킴으로써 냉매의 저압측 및 고압측의 압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11)와, 상기 응축기(11)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하기 쉽도록 감압하는 주모세관(18)과, 상기 주모세관(18)과 병렬로 연결되어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주밸브(SV1)와, 상기 주모세관(18)과 상기 주밸브(SV1)가 만나는 출구측에 병렬연결되며 각각 다른 공조공간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증발기(15,16,17)와, 상기 증발기(15,16,17)의 입구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15,16,17)로 유입되는 냉매를 단속하기 위한 보조밸브(SVA,SVB,SVC) 및 상기 보조밸브(SVA,SVB,SVC)를 지나 공급되는 냉매가 증발하기 쉽도록 재차 감압하는 보조 모세관(12, 13, 14)과, 상기 각 공조공간의 운전선택여부를 판단하여 각 밸브(SV1,SVA,SVB,SVC) 및 상기 압축기(10)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하 구동판별부(30)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1)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압축기(10)의 냉매유입구측으로 안내되어 냉매관내의 압력불균형이 해소되도록 상기 응축기(11)의 출구측과 상기 압축기(10)의 입구측간에 설치된 바이패스관로(19)를 개폐동작시키는 바이패스밸브(SV-BT)와, 상기 바이패스밸브(SV-BY)의 개폐동작에 의한 냉매관로의 압력불균형의 해소가 상기 부하구동판별부(30)에 의해 각 밸브(SV1,SVA,SVB,SVC)가 오프작동된 후 이루어지도록 상기 바이패스밸브(SV-BY)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바이패스밸브구동부(60) 및, 전원인가시 상기 압축기(10)의 초기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압축기(10)의 구동 개시점에 따른 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압축기(10)와 접속된 압축기구동부(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2. 상기 바이패스밸브구동부(60)는, 상기 부하구동판별부(3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며 상기 바이패스밸브(SV-BY)의 개폐를 제어하는 릴레이(RY1), 상기 부하구동판별부(30)로부터 베이스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베이스단자가 접속되는 트랜지스터(Q3),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으로부터 콘덴서(C1)를 경유하여 반전신호를 입력받는 비교기(IC3)와, 상기 비교기(IC3)의 출력측에 애노드단자가 연결되며 캐소드단자는 상기 릴레이(RY1)에 연결된 다이오드(D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구동 제어장치.
  3. 상기 압축기구동부(40)는, 상기 압축기(10) 구동신호입력시 온되는 트랜지스터(Q9), 상기 트랜지스터(Q9)의 컬렉터단에 에미터단이 접속되는 트랜지스터(Q8), 상기 트랜지스터(Q8)의 컬렉터단으로부터 베이스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컬렉터단에 상기 압축기(10)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릴레이(RY3)가 접속된 트랜지스터(Q7),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단으로부터 베이스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에미터단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0),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단에 접속되며 상호 직렬연결된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2), 상기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2)의 중간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분압저항(R22,R2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저항(R21)을 개재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단에 출력하는 비교기(IC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KR1019960008075A 1996-03-23 1996-03-23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KR0182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075A KR0182745B1 (ko) 1996-03-23 1996-03-23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075A KR0182745B1 (ko) 1996-03-23 1996-03-23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360A KR970066360A (ko) 1997-10-13
KR0182745B1 true KR0182745B1 (ko) 1999-05-01

Family

ID=1945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075A KR0182745B1 (ko) 1996-03-23 1996-03-23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4857A1 (en) * 2000-06-07 2001-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system for starting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1094859A1 (en) * 2000-06-07 2001-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controlling starting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360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1845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dehumidifying operation function
US70629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ot gas re-heat for humidity control
JPS62184916A (ja) 可変容量圧縮機を有する冷房装置
MXPA02006289A (es) Sistema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del tipo bomba termica de gas, multiform.
US4539821A (en) Capacity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US5722248A (en) Operating control circuit for a refrigerator having high efficiency multi-evaporator cycle (h.m. cycle)
US2020014978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er
US5150582A (en) Multip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920007811B1 (ko) 공기 조화기
JP2716248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KR0182745B1 (ko)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KR0159706B1 (ko)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방법
JPH0593552A (ja) 二段圧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0136072Y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구동제어회로
JPS5830A (ja) 冷房装置における可変容量圧縮機の運転制御方法
EP3578898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2002005536A (ja)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
JP2974381B2 (ja) 空気調和機
JP2002162086A (ja) 空気調和機
KR20010003908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전동팽창밸브 제어방법
KR0136073Y1 (ko)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장치
JPH078138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90042964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6169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9145191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