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70B1 -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70B1
KR0182670B1 KR1019960039295A KR19960039295A KR0182670B1 KR 0182670 B1 KR0182670 B1 KR 0182670B1 KR 1019960039295 A KR1019960039295 A KR 1019960039295A KR 19960039295 A KR19960039295 A KR 19960039295A KR 0182670 B1 KR0182670 B1 KR 018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ehicle
valve
equipment
refu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711A (ko
Inventor
최재관
Original Assignee
최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관 filed Critical 최재관
Priority to KR101996003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6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선로를 보수하기 위해 열차로 구성된 각 선로보수 장비차량과 함께 이들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연료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독립된 급유차량을 포함하는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관차와 선로보수 장비 차량으로 편성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연료를 공급 또는 회수할 수 있는 독립된 급유차량을 포함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본 발명은 철도의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급유차량을 포함시켜 선로보수 장비차량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장비가동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나라마다 철도를 운영하는 회사(대한민국의 경우 철도청)에서는 선로의 보수를 위해 선로보수 장비차량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선로보수 장비차량은 선로의 각 부분을 보수하기 위해 다양한 장비를 갖추게 되며, 이를 위해 화물 열차와 같이 각각의 보수장비를 열차화시켜 운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앞에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추진체인 기관차(50)(일면 : 모터카)와, 궤도의 틀어짐 상태를 보수하는 장비차량 1(52), 궤도의 요철과 편심을 안정화시키는 장비차량 2(54), 도상에 있는 흙을 걸러내고 자갈을 정리하는 장비차량 3(56), 도상 전단면의 자갈을 정리하는 장비차량 4(58), 궤도의 간격을 검측하는 장비차량 5(60), 작업자의 침식을 제공하는 장비차량 6(62)으로 편성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편성된 장비차량(52)(54)(56)(58)(60)(62)들은 장비의 가동을 위해 연료(예를 들면, 디젤 엔진용 연료)를 사용하게 되는 바, 종래에는 상기 장비차량(52)(54)(56)(58)(60)(62)들의 연료 공급을 위해 두 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나의 방법은, 보수장비차량의 출발지에서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에 필요한 연료를 충만시키고,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에서 장, 단기적으로 필요로 하는 연료의 소요 물량을 드럼통에 넣고, 이를 장비차량(52)(54)(56)(58)(60)(62)의 적재함에 적재시켜 현장에서 보수시 각 장비에 연료가 떨어지게 되면 드럼통에 있는 연료로 보충하여 작업에 임하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현장에 투입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이 장기적으로 작업을 할때 모자라는 연료는 일반 주유소에 연락을 하여 유조차를 통해 보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연료를 공급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장비에 연료가 떨어져 드럼통에 있는 연료를 사용하려면 별도로 마련된 간이 주유기를 이용하여 장비에 주유를 실시해야 되기 때문에 육체적으로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우리 나라와 같이 태백선이나 중앙선의 산간벽지에 선로보수 장비차량이 투입되어 장기간에 걸쳐 작업을 하게 되면 반드시 연료를 외부(인근 주유소)로 부터 보충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연료의 공급이 어렵고, 특히 도로 접근이 어려운 선로 보수 구간에서의 연료 공급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을 갖게 되어 결국 장비의 운영에 막대한 차질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료 공급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급유차량의 포함시켜 운행함으로서 각 장비차량에 연료의 공급을 간단하면서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에 따른 수단으로 기관차와 선로보수 장비차량으로 편성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연료를 공급 또는 회수할 수 있는 독립된 급유차량을 포함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유차량은 연료를 저장하는 탱크 1과 탱크 2와, 탱크 1및 2의 메인 밸브와 연결된 비상밸브를 통해 연결되어 연료를 선택적으로 배출, 정지, 중력, 흡입시키는 사방밸브와, 급유펌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엔진과, 상기 사방밸브와 연결되어 각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연료의 공급 및 회수하는 급유호스를 포함하는 주유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열차 배치도.
제2도는 제1도에 예시된 본 발명의 급유차량의 구성도.
제3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급유차량의 배관 회로도.
제7도는 종래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열차 배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유차량 20 : 연료 탱크
30 : 비상밸브 32 : 사방밸브
34 : 엔진 36 : 급유펌프
41 : 바이패스밸브 42 : 급유호스
43 : 주유기 44 : 유량계
45a, 45b, 46 : 밸브 48 : 급유 건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보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앞에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추진체인 기관차(50)와, 궤도의 틀어짐 상태를 보수하는 장비차량 1(52), 궤도의 요철과 편심을 안정화시키는 장비차량 2(54), 도상에 있는 흙을 걸러내고 자갈을 정리하는 장비차량 3(56), 도상 전단면의 자갈을 정리하는 장비차량 4(58), 궤도의 간격을 검측하는 장비차량 5(60), 작업자의 침식을 제공하는 장비차량 6(62) 및 상기 각 장비차량(52)(54)(56)(58)(60)(62)들에 연료를 공급 또는 회수하는 독립된 급유차량(10)을 편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급유차량(10)은 도1에서는 기관차(50)로부터 맨 끝에 편성하였으나, 이는 화재 위험 등을 고려하여 배치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의 연료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중간 또는 연료를 많이 사용하는 장비차량의 근처에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나열된 장비차량(52)(54)(56)(58)(60)(62)은 이에 한정되어 편성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장비차량의 편성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급유차량(10)은 새로 편성되는 장비차량에도 연료의 공급 및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급유차량(10) 및 급유차량의 배관 회로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20은 연료 탱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연료 탱크(20)는 중간에 격벽(21)이 설치되어 두개의 연료 탱크를 이루고 있다. 즉 연료 탱크 1(20a) 및 연료 탱크 2(20b)로 각각 구성되고, 이들 연료 탱크 1(20a) 및 연료 탱크 2(20b)에는 각각의 안전밸브를 갖는 맨홀(22a)(22b)과 유량계(24a)(24b) 및 탱크 메인밸브(26a)(26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메인밸브(26a)(26b)는 배관을 통해 비상밸브(30)와 연결되고, 이 비상밸브(30)는 연료를 선택적으로 배출, 정지, 중력, 흡입시키는 사방밸브(32)와 연결된다.
도면부호 34는 엔진을 도시한 것으로, 이는 급유펌프(36)와 연결되어 상기 엔진(34)의 구동에 따라 급유펌프(36)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급유펌프(36)는 사방밸브(32)와 배관(38)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상기 사방밸브(32)와 급유펌프(36) 사이에는 바이패스배관(40)이 설치되고, 이들 배관(38) 및 바이패스배관(40) 사이에는 바이패스밸브(41)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사방밸브(32)는 각 선로보수 장비차량(52)(54)(56)(58)(60)(62)에 연료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급유호스(42)를 포함하는 주유기(43)와 연결된다.
상기 주유기(43)는 공급유량을 체크하는 유량계(44)와 유량계(44)를 개폐시키는 밸브(45a)(45b)와 연료의 회수를 위한 밸브(46)를 포함하는 리턴배관(47)으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8은 급유호스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유 건이고, 49는 드레인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연료 탱크 1(20a) 또는 연료 탱크 2(20b)에 설치된 탱크 메인밸브(26a)(26b)를 선택적으로 열고(이때, 연료 탱크 1(20a) 및 2(20b) 모두를 개방할 수 있다.). 비상밸브(30)를 열고, 사방밸브(32)를 배출포트로 위치시킨다. 다음에 엔진(34)을 기동시켜 급유펌프(36)를 가동시키게 되면 급유펌프(36)의 가압력에 의해 연료는 사방밸브(32)를 통해 유량계(44)와 밸브(45a)(45b)를 거쳐 급유호스(42)의 급유건(48)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때, 급유건(48)을 개방하지 않게 되면 연료는 바이패스배관(40)을 통해 바이패스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를 필요로 하는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을 선택한 후 급유 건(48)을 개방시켜 연료를 주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주유량은 상기 유량계(44)에서 세팅된 양만큼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4는 도3의 연료 공급과는 달리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에 있는 연료를 회수하는 배관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밸브(32)를 흡입포트로 위치시키고, 유량계(44) 측에 설치된 밸브(45a)(45b)를 닫고, 대신 리턴배관(47)에 설치된 밸브(46)를 열고, 엔진(34)을 가동시켜 급유펌프(36)를 작동시킨다. 이후 연료의 회수대상인 장비차량(52)(54)(56)(58)(60)(62)에 급유호스(42)를 위치시키고, 급유호스(42)에 설치된 급유건(48)을 탈거시킨 다음 급유호스(42)의 주입구를 연료에 닿도록 넣으면 연료는 급유호스(42)를 통해 리턴배관(47)과 사방밸브(32), 바이패스배관(41), 배관(38), 사방밸브(32), 비상밸브(30)를 거쳐 개방된 연료 탱크 1(20a) 또는 연료 탱크 2(20b)로 회수되는 것이다.
도5는 개방된 연료 탱크 1(20a) 또는 연료 탱크 2(20b)에 있는 연료의 중력에 의해 연료를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관도를 도시한 것으로, 사방밸브(32)를 중력포트에 위치시킨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의 공급과정을 보면 개방된 연료 탱크 1(20a) 또는연료 탱크 2(20b)를 통해 비상밸브(30), 사방밸브(32), 유량계(44)와 밸브(45a)(45b)를 거쳐 급유호스(42)의 급유 건(48)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유를 필요로 하는 장비차량(52)(54)(56)(58)(60)(62)에 급유 건(48)을 개방시켜 연료를 주입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료 탱크(20)에 있는 연료를 중력에 의해 공급할 때는 엔진(34)을 기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만약 중력에 의한 연료 공급중 엔진(34)을 기동시키게 되면 급유펌프(36)가 작동되어 배관(38)에 있는 연료는 바이패스배관(41)에 의해 바이패스되는 것이다.
도6은 연료의 공급을 정지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에는 사방밸브(32)를 정지포트에 위치시키면 연료의 공급이 정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안전을 위해 개방된 비상밸브(30)를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연료 탱크 1(20a) 및 연료 탱크 2(20b)에 각각 설치된 탱크 메인밸브(26a)(26b)도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주유기(43)에 설치되어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에 연료를 공급하는 급유호스(42)의 길이는 열차 형태로 연결된 각 장비차량(52)(54)(56)(58)(60)(62)의 길이를 감안하여 약 40-60미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급유호스(42)는 회전 롤에 감겨져 권취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
첫째, 독립된 급유차량이 각 장비차량과 함게 편성되어 각 장비차량에 연료의 공급 및 회수가 가능하여 연료의 취급 및 사용을 매우 편리한 효과를 갖게 된다.
둘째, 각 장비차량에 위험물인 연료 드럼통을 적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비차량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산간벽지에서 장기간에 걸친 선로보수공사시 각 장비차량에 연료의 재급유가 어려움 없이 해결되어 장비의 가동을 극대화시켜 작업력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선로를 보수하기 위해 열차로 구성된 각 선로보수 장비차량과 함께 이들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연료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독립된 급유차량을 포함하는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4)

  1. 기관차와 연결되어 각각의 선로보수 임무를 수행하는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함께 편성되어 상기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연료를 공급 또는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급유차량에 있어서, 상기 급유차량은 격벽에 의해 독립되게 구성되는 두개의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에 설치된 탱크 메인밸브와 연결되는 비상밸브와, 상기 비상밸브와 연결되어 연료를 선택적으로 배출, 정지, 중력, 흡입시키는 사방밸브와, 급유펌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엔진과, 상기 사방밸브와 연결되어 각 선로보수 장비차량에 연료의 공급 및 회수하는 급유호스를 포함하는 주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펌프는 사방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상기 사방밸브와 급유펌프 사이에는 바이패스배관이 설치되고, 이들 배관 및 바이패스배관 사이에는 바이패스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는 공급유량을 체크하는 유량계와, 유량계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연료의 회수를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리턴 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독립된 연료 탱크에는 각각의 안전밸브를 갖는 맨홀과 유량계 및 탱크 메인밸브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KR1019960039295A 1996-09-11 1996-09-11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KR018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295A KR0182670B1 (ko) 1996-09-11 1996-09-11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295A KR0182670B1 (ko) 1996-09-11 1996-09-11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11A KR19980020711A (ko) 1998-06-25
KR0182670B1 true KR0182670B1 (ko) 1999-04-15

Family

ID=1947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295A KR0182670B1 (ko) 1996-09-11 1996-09-11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6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11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272B1 (en) Locomotive servicing vehicle
RU2424928C1 (ru) Способ блок-модуль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экипировки и потребления газ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ми локомотивами
CN107000581A (zh) 燃料存储系统
KR0182670B1 (ko) 열차로 구성된 선로보수 장비차량의 급유장치
US10442676B1 (en) Mobile auxiliary distribution station
CN110857678A (zh) 具有辅助输送系统的移动分配站
KR100701511B1 (ko) 선로변환레일의 자동 급유장치
KR100940364B1 (ko)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RU193182U1 (ru) Мобильная автономная установка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US35612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engine exhaust pipes
CN217797986U (zh) 一种堆场轨道喷洒车自动蓄水装置
EA031366B1 (ru) Мобильный экипировочны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комплекс
KR200177134Y1 (ko) 철도레일에 대한 윤활유 공급장치
CN206843053U (zh) 一种用于井下的气动加油站系统
CN101798972A (zh) 一种车用lng卧式焊接绝热气瓶自增压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877699U (zh) 一种液化天然气加注机防喷溅装置
CN220248229U (zh) 一种基于不锈钢可回收运载火箭低温推进剂加注撬装置
CN219620880U (zh) 一种井下加油系统
CN217926570U (zh) 一种液压系统补油装置
DE102011103396A1 (de) Anordnung fur einen Antrieb eines schienengebundenen Fahrzeugs
CA3021326C (en) Mobile auxiliary distribution station
CN1044515C (zh) 小型液化石油气站全功能贮灌系统
KR102005927B1 (ko) 주유확인패널의 가격 표시 자릿수를 초과한 숫자의 주유중 확인방법
EP0731056B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und Sicherung des Umfüllvorganges zwischen einem Tankfahrzeug und einem unterirdischen Lagerbehälter
RU216773U1 (ru) Мобильная автономная установка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