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234B1 -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234B1
KR0182234B1 KR1019960039172A KR19960039172A KR0182234B1 KR 0182234 B1 KR0182234 B1 KR 0182234B1 KR 1019960039172 A KR1019960039172 A KR 1019960039172A KR 19960039172 A KR19960039172 A KR 19960039172A KR 0182234 B1 KR0182234 B1 KR 018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area
communication network
calling system
wireless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650A (ko
Inventor
김현욱
김성일
서성희
이인홍
이성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2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복합단말기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 부문에서 이동된 지역을 자동으로 인식한 후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선택적 지역서비스가 가능한 광역방식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에 자동적으로 지역이동 상황을 등록하는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복합단말기에서 지역변경을 인지하는 제 1 단계; 지역변경 데이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광역무선호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은 이동지역을 변경하고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에 이용됨.

Description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본 발명은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선택적 지역등록방식의 광역서비스가 가능한 단방향 무선호출시스템의 지역설정등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단말기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에서 자동적으로 지역이동을 인식한 후에 이의 정보를 이동통신망 채널을 통하여 광역무선호출시스템에 등록하는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단말기는 전자수첩, 계산기 등의 사용자 편의장치, 이동통신전화기와 같은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 및 광역무선호출단말기 등이 일체화된 단말기를 말하며, 일반적인 개인통신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뜻한다.
현재 단방향 무선호출방식의 무선호출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무선호출서비스는 단방향 통신으로 인하여 서비스 지역마다 채널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을 이동할 때 계속적으로 서비스를 받지 못한다.
둘째, 이러한 지역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역방식의 무선호출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셋째, 광역방식의 무선호출단말기는 자동지역선택 기능이 있어서 이동지역에 대한 자동적인 지역선택이 가능하다.
넷째,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은 단방향으로 인하여 가입자(단말기)의 위치를 전혀 파악할 수 없으므로, 가입자는 전화망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이동지역을 등록하여야 한다.
즉, 현재 단방향 무선호출방식인 POCSAG(Post Office Code Standization Advisory Group), FLEX(FLEXible) 방식에서 광역용 무선호출단말기는 자동지역선택이 가능하나, 무선호출기지국에서 신호를 단방향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은 자동적인 지역선택이 불가능하여 가입자가 수동으로 지역이동을 등록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단말기의 개발 추세는 고기능화, 다양화, 복합화의 추세이므로 이동통신전화기와 광역무선호출단말기의 복합기능을 가진 단말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은 매우 효과적으로 자동지역 선택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국내뿐만아니라 외국에서도 무선호출의 월등한 수신율, 긴 배터리 수명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무선호출 가입자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동통신전화기와 무선호출단말기를 모두 휴대하고 다니는 가입자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복합단말기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 부문에서 이동된 지역을 자동으로 인식한 후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선택적 지역서비스가 가능한 광역방식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에 자동적으로 지역이동 상황을 등록하는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통신망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합단말기의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동통신망 14 : 복합단말기
15 : 공중통신망 16 : 무선호출망
21 : 광역무선호출단말기 22 : 사용자 편의장치
23 : 이동통신전화기 24 : 공통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단말기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는 무선호출망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으로부터 지역변경을 인지하면 지역변경 데이타를 복합단말기의 이동통신전화기로 전송하여 지역변경을 통보하는 제 1 단계; 상기 복합단말기의 이동통신전화기는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 지역변경 데이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은 지역변경 데이타를 수신하여 공중통신망(PSTN)을 통하여 지역변경 메시지를 상기 무선호출망의 해당 광역무선호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호출망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에서 이동지역의 변경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호출망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은 상기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망에서는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상기 복합단말기의 이동통신전화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통신망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이동통신망, 14는 복합단말기, 15는 공중통신망, 16은 무선호출망을 각각 나타낸다.
복합단말기(14)와 관련된 전체적인 통신망의 구성도를 살펴보면, 복합단말기(14)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 부분은 무선호출망(paging network)(16)을 이용하여 단방향의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복합단말기(14)의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전화기 부분은 디지탈 이동통신망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11)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복합단말기(14)의 자동지역선택이 가능한 광역무선호출단말기 부문에서 이동된 지역을 자동으로 인식한 후에 이의 이동지역 데이타를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망(11)과 공중통신망(15)을 통하여 광역무선호출시스템(16)에 자동적으로 지역이동 상황을 등록하도록 한다.
복합단말기(14)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 부분에서 지역이동을 인지하면, 이를 복합단말기(14)의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전화기 부분으로 전송하고, 복합단말기(14)의 이동통신전화기 부분은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12)을 통하여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 지역이동 데이타를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망(11)으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데이타 형태의 전송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망(11)은 지역변경관련 데이타를 수신하여 공중통신망(PSTN)(15)을 통하여 해당 무선호출망(16)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무선호출망(16)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에서 이동지역의 변경이 완료되면, 무선호출망(16)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은 다시 공중통신망(15)을 통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망(11)으로 이동지역 확인메시지를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다.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망(11)에서는 최종적으로 이동지역의 확인메시지를 복합단말기(14)의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전화기 부분으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때, 확인메시지도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SMS 데이타 형식의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합단말기의 일예시도로서, 도면에서 21은 광역무선호출단말기, 22는 사용자 편의장치, 23은 이동통신전화기, 24는 공통부를 각각 나타낸다.
복합단말기(14)는 하나의 단말기에 전자수첩, 계산기와 같은 사용자를 위한 여러 가지 사용자 편의장치(22), 광역무선호출단말기(21), 및 이동중 무선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전화기(23)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공통 중앙처리장치 및 외부입출력 인터페이스와 같은 공통부(24)도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흐름도이다.
복합단말기(14)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21)에서 무선호출망(16)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으로부터 지역변경을 인지하면(31), 이동지역번호 등의 데이타를 복합단말기(14)의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전화기(23)로 전송하여 지역변경을 통보하고(32), 복합단말기(14)의 이동통신전화기(23)는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12)을 통하여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 무선호출단말기 번호와 이동지역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타를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망(11)으로 전송한다(33). 이때,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데이타 형태의 전송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망(11)은 지역변경관련 데이타를 수신하여 공중통신망(PSTN)(15)을 통하여 무선호출단말기 번호와 이동지역번호를 포함하는 지역변경 메시지를 해당 무선호출망(16)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으로 전송한다(34). 무선호출망(16)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에서 이동지역의 변경이 완료되면, 무선호출망(16)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은 다시 공중통신망(15)을 통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망(11)으로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다(35).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망(11)에서는 최종적으로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복합단말기(14)의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전화기(23)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전송한다(36). 이때,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도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SMS 데이타 형식의 전송 방식으로 전송한다. 한편,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복합단말기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 부문에서 이동된 지역을 인식한 후에 인식한 이동지역 데이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광역무선호출시스템에 자동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복합단말기의 광역무선호출단말기는 무선호출망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으로부터 지역변경을 인지하면 지역변경 데이타를 복합단말기의 이동통신전화기로 전송하여 지역변경을 통보하는 제 1 단계;
    상기 복합단말기의 이동통신전화기는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 지역변경 데이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은 지역변경 데이타를 수신하여 공중통신망(PSTN)을 통하여 지역변경 메시지를 상기 무선호출망의 해당 광역무선호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호출망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에서 이동지역의 변경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호출망의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은 상기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데이타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망에서는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상기 복합단말기의 이동통신전화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이동통신전화기에서 이동통신망으로 지역변경 데이타를 전송하는 과정은,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전화기로 지역변경완료 확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전화기는,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을 이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전화기의 데이타 전송 방식은,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데이타 형태의 전송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KR1019960039172A 1996-09-10 1996-09-10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KR018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172A KR0182234B1 (ko) 1996-09-10 1996-09-10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172A KR0182234B1 (ko) 1996-09-10 1996-09-10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650A KR19980020650A (ko) 1998-06-25
KR0182234B1 true KR0182234B1 (ko) 1999-05-15

Family

ID=1947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172A KR0182234B1 (ko) 1996-09-10 1996-09-10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318A (ko) * 1998-09-19 2000-04-15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번호 자동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650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590B1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JP2636716B2 (ja) 移動無線通信方式およびその移動局装置
JP2002142254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移動体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方法
JP4749125B2 (ja) リピータ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
KR0182234B1 (ko) 복합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역무선호출시스템의 자동 지역등록 방법
KR20020046205A (ko) 고정 기지국, 원격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S6062743A (ja) 移動無線通信方式
JP2000236581A (ja) 通信システム
KR100350248B1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US20030119560A1 (en) Radio communication control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N100534104C (zh) 一键式小灵通定位终端和无线固话的组合定位方法
KR20050072199A (ko)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번호 입력 방법
JP2537097B2 (ja) コ―ドレス電話装置
KR10074920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194755B1 (ko) 무선호출망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셀기반 양방향 무선데이타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927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자 상황 표시 방법
JP2541332B2 (ja) コ―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1000387B1 (ko) 상대방의 전화 상태정보 알림방법
JP3187309B2 (ja) 複合移動体通信機
KR0164362B1 (ko) 양방향 무선호출시스템
RU37581U1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вязи
KR100488369B1 (ko) 무선 인터넷 책갈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S62264734A (ja) 転送機能付コ−ドレス電話装置
KR100295434B1 (ko) 자동지역전환등록가능한광역무선호출기
KR100335706B1 (ko) 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