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966B1 -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 Google Patents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966B1
KR0181966B1 KR1019920022544A KR920022544A KR0181966B1 KR 0181966 B1 KR0181966 B1 KR 0181966B1 KR 1019920022544 A KR1019920022544 A KR 1019920022544A KR 920022544 A KR920022544 A KR 920022544A KR 0181966 B1 KR0181966 B1 KR 0181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plate
wiring
opening
botto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331A (ko
Inventor
유끼오 하라
지로우 즈찌다
Original Assignee
하야시 마호
니또 보세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야시 마호, 니또 보세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하야시 마호
Publication of KR93001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02G3/185Floor outlets and access c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재의 입출개구부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는 블라인드 덮개판(1)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0)를 포함하는 배선덮개판(2)을 구비하며, 블라인드덮개(1) 및 배선덮개판(2)은 덮개판(1,2)들이 분리되어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덮개판(1,2)들의 간격은 바닥부재(P)의 두께 및 입출개구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케이블(C)의 직경의 합과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
제2도는 바닥부재의 절결부에 본 발명의 덮개를 장착하는 측면도.
제3도는 2중 바닥의 상부면을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X-X선에서 본 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선덮개판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선덮개판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덮개판 2 : 배선덮개판
3 : 연결벽 20 : 절단부
31 : 섬유층 40 : 절결부
A : 덮개 P : 바닥패널
F : 바닥
본 발명은 다수의 바닥패널로 이루어진 높인 바닥내에 형성시킨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재의 개구부는 바닥밑의 공간에 대한 배선의 출입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높인 바닥은 일반적으로 바닥밑에 전기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설치되며, 바닥은 예를 들면 평평한 바닥으로부터 높인 단(platform)의 형태를 취한다. 개구부가 공간으로의 출입을 가능케 하므로서 케이블 등이 바닥을 통과하여 실내공간의 전기장치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바닥패널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이며, 그 가장자리에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절결부를 형성시키고 있다. 인접한 패널들의 절결부는 사용할 때에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정렬 배치된다.
이러한 패널들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바닥들은 일반적으로 기초케이블이 없거나 케이블이 바닥을 통과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일부 위치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덮개들은 이 개구부에 맞도록 설계되었으며, 이 개구부중의 하나를 덮고 바닥패널들의 면과 동일한 면에 놓이도록 만들어졌다. 덮개는 금속판, 합성수지판일 수 있으며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차단덮개, 즉 케이블이 개구부를 통해 바닥 밑의 공간으로부터 실내위로 통과될 수 없도록 한 종류의 덮개들은 미심사된 일본 실용신안 공보 소63-85753호 및 미심사된 일본 실용신안 공보 평1-84515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한 덮개들은 케이블이 개구부를 통과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즉 배선용 덮개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절결부가 덮개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한쌍의 덮개들이 각 개구부를 덮는데 사용된다. 두개의 덮개들이 서로 접합되고 바닥패널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 속으로 맞추어지며, 반원형의 절결부는 사용할 때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타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다른 종류의 덮개는 차단 덮개에서 배선덮개로 반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덮개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시킬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덮개는 절단되는 부분을 한정하는 작고 가는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홈은 절결부로서 작용한다. 만약 덮개가 케이블이 개구부를 통하는데 필요로 하지 않는 위치에서 사용된다면, 덮개부분은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트나 카페트 타일과 같은 바닥덮개는 바닥패널 및 덮개 위에 놓이며, 덮개의 근방 특히 배선덮개에 마련된 개구부위로 부가적인 지지체를 제공한다. 그러나, 전기장치나 그 장치의 다리가 개구부상에 직립하도록 배치되거나, 실내공간을 점유하는 사람이 개구부나 덮개중의 약한 부분 위에 위치하도록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덮개 및 바닥덮개는 충분한 지지체를 제공할 수 없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차단덮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합할 수도 있다.
실내의 전기장치의 위치가 변화된다면 배선덮개 등과 아울러 일부 차단덮개를 대체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은 배선덮개보다 차단덮개가 더 적합할 상황일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덮개에 관련된 문제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닥부재 내에 개구부용 덮개가 마련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는 차단덮개판 및 적어도 하나의 절단부를 포함하는 배선덮개판을 구비하며, 차단덮개판 및 배선덮개판은 덮개판들이 분리되어 상, 하반전(上下反轉)하기 용이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덮개판들의 간격은 바닥부재의 두께 및 절단부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직경의 합과 같거나 그 이상이다.
차단덮개판 및 배선덮개판은 일반적으로 덮개판들에 수직하게 연장한 연결벽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덮개판들과 대면하는 연결벽면에는 정전기로 접착된 섬유층이 제공되어 있다.
바닥부재는 폭 30 내지 60cm의 정방형의 경질판을 사용하고 있다.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의 중앙부에는 장방형의 절결부를 구비하며, 절결부는 대략 너비가 5 내지 10cm이며, 패널의 2개의 대향측면상에 이러한 절결부들이 있다. 폭이 3 내지 6mm, 깊이 1 내지 3mm인 단턱부는 절결부의 가장자리 주위에 마련되어 있으며, 덮개는 사용할 때에 바닥패널의 상부면과 동일한 면에 놓이는 하나의 덮개판이 단턱부상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좀더 상세한 설명이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바닥패널 P로 이루어진 바닥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덮개(A)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덮개(A)는 장방향의 차단덮개판(1)과 배선덮개판(2)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선덮개판(2)의 장측의 각각의 코너에는 사용할 때에 케이블(C)이 통과하는 절단부(20)를 형성하고 있다. 배선덮개판(2) 및 차단덮개판(1)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치수로 되어있다. 차단덮개판(1)과 배선덮개판(2)을 통틀어 덮개판(1,2)이라고 한다.
차단덮개판(1) 및 배선덮개판(2)은 그 폭이 각 덮개판(1,2)의 장측의 길이의 약 1/3 정도인 수직으로 연장한 연결벽(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연결벽(3)은 덮개판(1,2)이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각각의 덮개판(1,2)을 상호 연결한다. 덮개판(1,2)은 연결벽(3)에 의해 분리되어 놓여지며, 덮개판(1,2)의 간격은 덮개판이 놓여지는 바닥패널(P)의 두께와 절단부를 통과하는 전기케이블(C)의 직경의 합보다 큰 것이 좋으며, 최소한 같아야 한다. 예를 들면, 바닥패널의 두께가 22mm이고, 케이블이 15mm의 최대직경을 가진다면 덮개판(1,2)의 간격은 케이블이 절단부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7mm가 되어야 한다. 간격이 증가하면 전기케이블의 삽입이 더 쉬워지거나, 덮개의 비용과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제3도는 다수의 정방향의 바닥패널(P, P', P)로 구성된 바닥의 상부면의 평면도이다.
각각의 바닥패널은 양측 중앙부에 각각 2개의 서로 대향하는 장방형의 절결부(40)를 형성하고 있다. 바닥패널의 각각은 4개의 다리(L)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제4도를 참조). 인접한 바닥패널의 절결부(40)들은 서로 대향하는 절결부들과 합하여 정방형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장방형의 절결부들을 형성하는 각 바닥패널의 주연부는 각 덮개판(1,2)이 놓이도록 배치되는 단턱부(41)를 형성하기 위해 절결부 주위에 턱이 져 있다. 단탁부(41)는 사용할 때에 덮개판(1,2)의 상부면이 바닥패널의 상부면과 동일한 면에 놓이도록 그 깊이가 결정된다.
제4도는 바닥패널(P, P')에 의해 형성되며 한쌍의 덮개(A, A')에 의해 닫혀있는 개구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좌측덮개(A')는 차단덮개판(1')이 최상부에 있도록 배치되고, 바닥패널의 면과 동일한 면에 놓여 있으며, 우측덮개(A)는 케이블이 절단부(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배선덮개판(2)이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덮개(A, A')들은 수직으로 연장한 연결벽(3)이 서로 인접하게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사용할 때에 덮개를 지지하는 바닥패널이 진동을 받게될 경우, 연결벽(3)이 서로 마찰되어 불쾌한 소음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대면하는 연결벽(3)의 표면에 길이가 짧고 두껍게 만들어진 정전기로 접착된 섬유층(31)이 제공되어 있다.
개구부 속으로 덮개를 삽입하기 위하여, 덮개가 경사져서(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덮개판이 한쪽의 바닥패널 아래로 부분적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그리고 나서 덮개는 덮개판이 대체로 수평하게 놓여질 때까지 낮추어지고 상부덮개판이 바닥패널의 주변단턱부에 놓일 때까지 미끄러진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덮개(A, A')의 차단덮개판(1) 및 배선덮개판(2)은 케이블(C)이 바닥패널의 하부면 및 하부덮개판 사이로 통과하기에 아주 충분한 정도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배선덮개판(2)이 최상부에 있을 경우에 케이블(C)이 절단부(20)를 통과하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상술한 덮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제5도에 도시한 변형예는 두개 대신에 한개의 절단부(20)만을 갖는 배선덮개판을 나타낸다. 이러한 덮개는 절단부를 통과하는 케이블 수가 적은 상황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제6도는 다수의 전기케이블을 묶어서 이루어진 평케이블을 삽통시키기에 적합한 장방형의 절단부를 포함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어떤 케이블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 덮개는 양 덮개의 차단덮개판이 최상부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수의 케이블만이 필요한 경우, 한쪽 덮개의 차단 덮개판과 다른 쪽 덮개의 배선덮개판이 최상부에 있을 수 있으며, 많은 케이블이 필요한 경우, 양쪽 덮개판은 그 배선덮개판이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차단덮개판과 배선덮개판의 2종류를 각각 준비할 필요가 없다. 단지 차단덮개판과 배선덮개판의 위치만을 변경시켜 각각 최상부에 있도록 뒤집어져서 상술한 방법으로 교체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에 있어서, 덮개(A, A')는 차단덮개판(1)과 절단부(20)를 형성시키는 배선덮개판(2)을 구비하며, 차단덮개판(1) 및 배선덮개판(2)은 각각 분리되어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덮개판(1,2)들의 간격은 바닥부재(P)의 두께 및 절단부를 통과하는 케이블(C)의 직경의 합과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차단덮개판(1) 및 배선덮개판(2)은 덮개판(1,2)에 수직하여 연장한 연결벽(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덮개판(1,2)들의 측방과 대면하는 연결벽(3)에는 정전기로 접착된 섬유층(31)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선덮개판(2)은 두 개의 절결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절결부(20)는 배선덮개판(2)의 코너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KR1019920022544A 1991-11-28 1992-11-27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KR0181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111499U JP2550206Y2 (ja) 1991-11-28 1991-11-28 二重床パネル切欠部用蓋
JP91-111499 1991-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31A KR930010331A (ko) 1993-06-22
KR0181966B1 true KR0181966B1 (ko) 1999-04-01

Family

ID=1456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544A KR0181966B1 (ko) 1991-11-28 1992-11-27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550206Y2 (ko)
KR (1) KR0181966B1 (ko)
GB (1) GB2262115B (ko)
HK (1) HK329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5910B2 (ja) * 2012-11-07 2017-04-19 オーエム機器株式会社 二重床パネルの開口部用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68Y2 (ja) * 1988-10-07 1994-05-18 日東紡績株式会社 二重床パネルの切欠部用蓋
JP3023539U (ja) * 1995-06-19 1996-04-23 株式会社ティーエム 荷物昇降装置
JP3111128U (ja) * 2005-04-08 2005-07-07 李 錦輝 網状光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31A (ko) 1993-06-22
GB2262115B (en) 1995-09-20
JPH0548532U (ja) 1993-06-25
HK32996A (en) 1996-03-08
GB2262115A (en) 1993-06-09
JP2550206Y2 (ja) 1997-10-08
GB9224005D0 (en) 199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0163A (en) Free-access floor
US5673522A (en) Junction box forlow profile raised panel flooring
JPS6318403B2 (ko)
US5713168A (en) Junction box for low profile raised panel flooring
US4843781A (en) Composite access floor panel
KR0181966B1 (ko) 바닥부재의 개구부용 덮개
US4883918A (en) Transformer mounting pad having a cable opening lined with a safety barrier
JPS61102962A (ja) ボツクス付床パネル
US4682456A (en) Cellular flo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A2211205C (en) Switchgear with improved ventilation
US4180955A (en) Computer cable shroud assembly
JPH01177813A (ja) 床配線構造
JP3634026B2 (ja) フロアパネル
JPH01116156A (ja) フロアパネル
JPH07189465A (ja) 二重床ユニット
GB2230285A (en) Sealing and discharging static in floors
KR0121485Y1 (ko) 사무실의 파티션장치
JPH01133512A (ja) 二重床用ボックス
JP3759267B2 (ja) ケーブルダクトを備えたデスク
CA1144632A (en) Junction box
AU2001274529B2 (en) Office panel arrangement structure
JPH0530130B2 (ko)
JPH069536Y2 (ja) 床用配線装置
JPS6311858Y2 (ko)
JPS61413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