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744B1 -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744B1
KR0181744B1 KR1019950001644A KR19950001644A KR0181744B1 KR 0181744 B1 KR0181744 B1 KR 0181744B1 KR 1019950001644 A KR1019950001644 A KR 1019950001644A KR 19950001644 A KR19950001644 A KR 19950001644A KR 0181744 B1 KR0181744 B1 KR 0181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asing
air
induc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477A (ko
Inventor
주니어 씨.제임스 쉐퍼드
Original Assignee
로저 엘.서판
모드코 컨베잉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저 엘.서판, 모드코 컨베잉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저 엘.서판
Publication of KR96001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8Screws or like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시스템파이핑(73)에 입상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기펌핑시스템(10)에서, 펌핑시스템(12)은 벤츄리케이싱(130)과 협력하는 유도노즐(99)을 갖춘 유도조립체(16)를 갖는 선형가속장치(21)를 포함하고, 벤츄리케이싱(130)은 압축이송가스가 안내되는 환형통로를 형성하도록 유도노즐(99)의 배출오리피스(111)를 둘러싸는 덮개부분을 갖고, 이송가스는 노즐을 통하는 물질유동과 혼합되고, 노즐을 통하는 물질유동이 유도노즐(99)의 내측벽(116)을 따라 안내되는 가스흐름에 의하여 조장되며, 선형가속장치(21)가 물질 펌핑유니트(12) 또는 압축된 보조탱크 시스템(150)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에 결합되고, 또는 유동부스터로서 시스템파이핑(73)에 직렬결합한다.

Description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제1도는 선형가속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펌핑유니트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펌핑유니트의 배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펌핑유니트의 측면도.
제4도는 일부 단면을 보여주는 제1도의 펌핑유니트의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펌핑유니트에서 베어링조립체의 전개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선형가속장치의 유도조립체의 확대부분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유도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제8도는 시스템의 파이핑에서 선형가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선형가속장치를 포함하는 보조탱크 시스템의 측면도.
본 발명의 분말, 입상 또는 과립물질용의 개량된 공기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개량된 특징들은 이송물질용 스크류컨베이어 및 가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가스배출장치를 갖는 정렬된 배출이송장치에 반영되었고, 배출된 가스 및 물질의 혼합물은 스크류베이어의 축과 동일방향을 따라 진행된다.
부유(SUSPENSION)가능한 건조한 물질의 공기이송은 적당한 거리 이상으로 물질을 이송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은 이송은 가공 및 포장에 사용되는 시멘트, 분말물질과 같은 부피가 큰 물질의 현장 이송, 그리고 수송 또는 저장 터미널에서 배에 짐을 싣거나 내리는데 자주 사용된다.
입상물질을 공급, 혼합 및 이송시키기 위한 공기이송시스템에 많은 개량이 이루어져왔다.
공급흐름을 통한 가스의 역류 또는 혼합 및 이송작업에 관련된 부품의 과도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고 이송될 물질의 공급흐름에 압축 이송가스를 도입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발명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대체가스 또는 가스혼합물이 사용될 때 잠재적으로 폭발혼합물이 발생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공기가 이송가스로 사용된다.
전형적인 공기이송시스템에서, 큰 체적의 공기가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고 입상물질을 역학적으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부유 흐름으로 하기 위하여 압축된 상태에서 물질공급 흐름으로 도입되며, 입상물질이 도관회로를 따라 수용 용기로 이송 및 가속된다.
도관회로는 통상적으로 저항 및 마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스위핑엘보오(SWEEPINGELBOW)로 상호 연결된 수평 및 수직부분으로 특별히 설계된 파이핑시스템이다.
기계적인 이송기구를 갖는 통상적인 종래의 장치에서, 입상물질은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하여 혼합챔버(MIXING CHAMBER)로 공급된다.
압축가스가 배출챔버 또는 바람상자(WIND BOX)로 불리는 혼합챔버로 동시에 공급된다.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하여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이용된다.
기계적인 이송기구가 없는 시스템에서 공급호퍼는 폐쇄되고 입상물질이 호퍼로 역류되게 하는 가스추진력으로 인한 배압(BACK PRESSURE)을 방지하도록 압축된다.
다른 시스템은 감소된 직경의 스크류 또는 감소딘 피치스크류를 갖는 스크류컨베이어를 사용하며, 이 스크류컨베이어는 배출전의 이송된 물질을 압축시켜 물질로 이루어진 패킹을 형성하여 배출챔버로부터 공급호퍼까지의 공급통로를 밀봉시킨다.
일정한 피치스크류가 역류를 방지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패킹을 만드는 스크류컨베이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플랩밸브(FLAP VALVE)의 다양한 설계 및 배치가 발명되어 왔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은 일반적으로 물질 및 가스공급시스템에 물질의 밀봉을 유지시키거나 압력을 갖게 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동력을 필요로 한다.
공기이송시스템의 효율은 개량된 이송능력 또는 기존 시스템에 대한 감소된 동력소비로 측정된다.
동력소비를 감소시키거나 용량을 증대시키거나 용량을 증대시키는 한가지 방법은 정렬된 배출라인 및 도관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상업적인 공기이송시스템은 각 단부에 지지된 축을 갖는 컨베이어스크류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교차유동배출방법(CROSS FLOW DISCHARGE PROCESS)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입상물질은 호퍼로부터 컨베이어스크류의 일반부로 공급되고, 컨베이어스크류는 컨베이어흡입부 가까이에 있는 제1베어링지지체에 지지된축을 갖는다.
입상물질은 케이싱으로 이송되고, 배출챔버의 멀리 떨어진 벽에 있는 제2베어링지지체에 설치된 컨베이어스크류의 축을 갖는 배출챔버로 이송된다.
배출챔버로부터 가스 및 물질유동을 위한 공기 배출도관은 컨베이어스크류의 축에 교차되게 배치된다.
압축가스 배출라인은 송풍기로부터 보충라인에 대향된 배출챔버로 큰 체력인 압축가스를 배출시킨다.
스크류컨베이어로 이송된 물질 및 가스가 배출챔버에서 혼합되고, 혼합물은 배출도관을 통하여 배출챔버 밖으로 큰 체적으로 통과한다.
배출도관은 최종 수용 용기에 이르는 공기 이송라인의 처음부분을 형성한다.
물질유동의 방향변화 때문에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한 입상물질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혼합물의 공기유동에 기여하지 않는다.
배출도관과 컨베이어스크류의 축이 평행한 오프셋(OFF-SET)배출이 사용되었으나, 이송스크류의 축을 두지점에서 다시 지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배출챔버에 과도한 마모를 일으키고 오프셋배출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압의 큰 체적의 가스유동이 필요하다.
과거에, 본 발명가는 직렬공기이송시스템을 발명하였으며, 여기에서 컨베이어스크류의 축은 유도챔버로 불리는 것이 바람직한 배출챔버로 시작되는 보충도관과 정렬된다.
이 시스템은 일단부에 지지되어 구동되며 이송된 물질을 유도챔버로 이송시키는 외팔보의 말단부(CANTILEVERED DISTAL END)가 있는 컨베이어스크류를 갖는 특이한 물질의 펌핑부분을 사용하였고, 여기에서 공기 링(AIR RING)이 고속의 환형공기흐름을 환형벤츄리통로 아래로 향하게 하였다.
벤츄리통로는 부유된 입상물질과 이동하는 가스의 고속혼합물을 이송라인을 연결하는 직렬 보충도관으로 향하게 한다.
이 시스템의 설계는 역류를 완전히 방지하고 입상물질을 유도챔버 이끄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킨다.
요구되는 공기압의 실질적인 감소는 혼합물의 고속유동을 시작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변이구역의 조절팩 부분으로부터 안정된 유동을 유지하는데 문제점이 있었고, 유도노즐을 통하는 것은 변이챔버 및 유도챔버에서 중요한 부분의 과도한 마모를 일으켰다.
치수적으로 중요한 부분의 마모는 유동의 불안정을 악화시켰고 장비의 조기보수 및 부품의 교체를 필요로 하는 마모를 가속시켰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공기이송시스템의 개량은 실질적으로 불안정을 제거하였고 유동율(FLOW RUTE)을 증가시키며 보수기간 사이의 연속작업 길이가 연장되게 하는 주요부품의 수명을 크게 개량하였다.
본 발명의 공기이송시스템은 광범위한 입자물질을 위한 직렬펌핑유니트의 성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특이한 특징이 반영되어 있다.
특이한 특징은 성능을 향상시키고 마모를 감소시키도록 압축된 보조탱크시스템에 반영되었고, 종래의 펌유니트를 사용하는 현존시스템 또는 상기에 기술된 시스템에 직렬부스터(IN-LINE BOOSTER)로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이송시스템이 유동화된 체적이 큰 물질의 이송을 위하여 어느 가스매개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의 기술은 이송매개체로서 공기를 참고로 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질소와 같은 다른 가스는 이송되는 물질이 공기/물질 혼합물에서 잠재적으로 폭발될 수 있는 경우, 또는 공기가 이송되는 물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압축시키기 위한 보충 가스회복부품 및 공급라인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었고 본 발명의 필요한 부분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송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계된 펌핑유니트의 입상물질이 이송파이프라인에 들어감에 따라 부유된 물질과 이송공기의 실질적인 충류를 시작하도록 발명되었다.
특이하게 설계된 이중 플라이트(DUAL FLIGHT)이송스크류는 변이구역으로 이송되는 물질을 계량하고 가속시키도록 고속으로 회전한다.
변이구역에서, 입상물질의 유동은 이송스크류둘레의 케이싱에 연결된 감소하는 직경의 조절팩 케이싱에 있는 일련의 접선 공기제트에 의하여 조절된다.
공기제트는 스크류컨베이어로부터 고속으로 배출되는 물질의 패킹을 조절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스크류의 배출단부에 있는 조절 팩 케이싱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럼증기(SLIP STEAM)를 제공한다.
미끄럼증기는 케이싱 벽을 따라서 경계층을 감소시키는 향력(DRAG)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경계층은 케이싱의 벽에 대하여 배출물질의 접촉을 감소시키는 완충기를 형성하고 유동화된 유동을 위하여 입상물질에 공기를 넣어주고 가속화시키는 것을 시작한다.
조절 팩 케이싱은 변이구역의 부분을 형성하는 유도노즐에서 끝난다.
유도노즐로의 배출지점에서 조절 팩 케이싱의 구멍직경은 노즐의 입구직경보다 약간 작다.
조절 팩 케이싱의 단부와 연결된 유도노즐의 처음부분사이의 동심원 밀봉 링은 유도노즐의 수렴하는 벽을 따라서 접선으로 향하는 공기의 부가적인 보충을 도입하는 원주의 일련의 에어제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충하는 주입된 가스는 이송물질의 유동을 더욱 가속시키고, 유동화된 유동을 위하여 입상물질을 더욱 조정한다.
유도노즐은 부분적으로 유동화된 물질을 유도챔버의 벤츄리부분으로 배출시키고, 여기에서 방해받지 않은 고속 공기의 환형유동이 고속 이송을 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충류인 가속하는 유동흐름속으로 입상물질을 충분히 공기가 통하게 하고 유동화시키기 위해 가장 제한된 지점의 물질 유동통로로 안내된다.
유도챔버의 벤츄리부분은 펌프유니트용 배출개구부로 약간 증가될 수 있다.
펌핑유니트는 공기와 물질혼합물의 가속되는 충류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파이프시스템의 선형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시스템의 펌핑유니트는 적당한 거리를 값싸게 과립 또는 분말물질의 큰 체적을 이송하기 위하여 비교적 저압가스매개체를 사용하는 낮은 윤곽의 콤팩트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가스매개체의 감소된 압력 및 가속은 특별히 설계된 이중 플라이트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물질을 밀어 시스템의 낮은 동력요구에 상당히 기여한다.
펌핑유니트의 성능은 특별히 설계된 공기-청소 공기축 밀봉에 의해 향상되고 베어링과 스크류컨베이어 축의 마모를 최소화시키는 축 베어링중의 하나에 위치된다.
더욱이, 원추형 조절 팩 케이싱이 있거나 또는 없는 변이챔버는 스크류챔버를 사용하지 않는 압축된 호퍼시스템에 반영될 수 있고, 또는 이송거리가 증가되기를 바라는 상기 이송시스템 또는 종래의 이송시스템의 하부 파이핑회로에 직렬유동부스터로서 반영될 수 있다.
개량된 공기이송시스템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의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기술에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은 폐쇄 파이핑시스템에서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분말 또는 입상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기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량된 공기이송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었고, 일반적으로 도면에 참고부호10으로 표시되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하면, 공기이송시스템(10)은 충류유도조립체(16)에 결합된 스크류컨베이어조립체(14)를 포함하는 입상물질의 펌핑유니트(12)의 실시예에 존재한다.
상기 펌핑유니트(12)는 공기이송시스템의 특이한 구성부분이며, 전형적으로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종래의 물질공급호퍼(18) 및 송풍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충류유도조립체(16)는 선형가속장치의 코아(CORE)를 형성한다.
즉, 제1도 내지 제4도의 실시예에서, 공기이송을 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조립체(14)의 일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선형가속장치(21)는 압축된 보충탱크 시스템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에서 직렬의 공압부스터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이송거리를 연장시키기 위해 현존의 공기파이핑시스템에 사용된다.
입상물질이라는 용어는 종래의 공압으로 이송되는 가루 또는 과립물질을 포함하고, 그리고 과립화시키기 위한 미세분할 및 보다 큰 입자크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이와 같은 규정이 이송가스 및 공기매개체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스조작구성부분을 한정할지라도, 상기 이송가스는 이산화탄소, 질소, 헬륨 또는 이송되는 물질에 적합한 다른 가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이송가스는 비용이 부담될 때 자주 재순환(RECYCLE)된다.
더욱이, 특정 구성부분이 특이한 형상 및 상대적인 크기로 도시되었을지라도, 실재적인 시방(SPECIFICATIONS)은 이송되는 물질, 시스템 압력, 유동율, 거리 및 시스템의 응용에 특이한 다른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송풍기(20)는 큰 체적의 압축공기를 발생하도록 정량배출 로타리 루츠타입 송풍기 (ROTARY ROOTS TYPE BLOWER)가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공기이송시스템이 45-75 P. S. T. 범위에서 작동할지라도, 상기 충류유도조립체(16) 및 이송조립체(14)의 특이한 선형설계는 7-20 P. S. T. 의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작동되게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낮은 압력의 비용 때문에 작동시 실제적인 절약을 제공한다.
제3도의 펌핑유니트(12)에서, 상기 호퍼(18)의 중력은 이송되는 특이한 형태 및 크기의 물질유동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조정장치(26)를 갖는 버터플라이 계량밸브(24)에 연결된 공급배관(22)을 통하여 입상물질을 공급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량밸브(24)는 상기 컨베이어조립체(14)와 상기 충류유도조립체(16)의 일부분에 공통인 하우징(34)내에서 흡입플리넘(32)으로 상기 물질이 통과하는 물질흡입포트(30)의 플랜지(28)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4)은 제1도 및 제2도의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정방형인 외측쉘을 제공한다.
연장된 정방형 하우징(34)은 용이한 제조를 위하여 설계되었고, 단부베어링(40)과 중앙베어링(42)에서 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된 중앙측(38)을 갖는 이중 플라이트스크류(36)를 둘러싼다.
상기 이중 플라이트스크류(36)의 상기 스크류부분(44)은 상기 중앙베어링(42)으로부터 외팔보로 되고, 상기 스크류(36)의 두개의 대향된 헬리컬 플라이트(46)(48)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강화되었다.
상기 두개의 대향된 플라이트(46)(48)은 상기 흡입포트(30) 및 흡입플리넘(32)을 통하여 상기 스크류케이싱(52)의 코아(50)까지 상기 이송물질의 유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입플리넘(32)에서 V형 윤곽으로 테이퍼가 된다.
상기 외팔보로 된 스크류의 상기 스크류부뷴(44)의 대부분은 상기 스크류케이싱(52)에서 회전되고 상기 유도조립체(16)의 부분을 형성하는 테이퍼진 조절 팩 케이싱(TAPERED CONTROL PACK CASTNG)(54)까지 상기 스크류케이싱(52)을 통하여 이송된 물질을 가속시킨다.
상기 플라이트스크류(36)의 상기 축(38)은 구동조립체(60)의 축 풀리(58)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조립체 하우징(34)의 단부판(END PLATE)(56)를 통하여 돌출된다.
상기 구동조립체(60)는 상기 펌핑유니트(12)의 서브조립체(SUB-ASSEMBLY)이고, 전기구동모터(62)를 포함하여 상기 전기구동모터(62)는 하우징(34)의 편평한 상부면에 있는 조정가능한 플랫폼(PLATFORM)(64)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랫폼(64)은 구동벨트(72)에 적당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플랫폼(64)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조정볼트(67)를 갖는 상기 하우징(34)의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62)는 구동풀리(70)가 설치되는 구동축(68)을 갖는다.
구동벨트(72)는 상기 스크류축(38)과 부착된 헬리컬 플라이트(46)(48)의 회전을 위하여, 구동풀리(70)로부터 상기 축풀리(58)까지 기계적인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조립체(60)는 안전을 위한 보호케이지(PROTECTIVE CAGE)(71)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스크류(36)의 대향 플라이트(46)(48)는 2/3피치이고, 케이싱(52)의 코어(50)를 통하여 상기 입상물질을 급속히 가속시키기 위하여 약 900 R. P. M으로 작동된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조립체(14)에서 상기 컨베이어스크류(36)의 회전속도는 입상물질의 크기, 무게 및 성질에 따라 입상물질의 이송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계량밸브(24)와 함께 조종된다.
이외에, 이송가스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송풍기를 가동시키는 동력비용이 컨베이어시스템의 주요작동비용의 하나이기 때문에, 펌핑유니트(12)는 7-20 P. S. I의 최적화된 작동으로 설계되고, 이는 이송된 물질의 특성 및 이송물질과 이송공기의 체적비, 이송거리 및 특별한 적용에 상기 시스템을 최적화시키는데 고려되는 기타요인들에 좌우된다.
세멘트와 같은 연마물질이 스크류컨베이어 조립체(16)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류케이싱(52)에 상기 연마물질의 단단한 패킹(PACKING)이 방지되고 상기 연마물질이 실질적으로 플라이트스크류(36)의 축을 따라 플라이트스크류(36)의 차단되지 않은 단부로부터 배출된다.
이것은 플라이트스크류(36)상의 마모를 방지하고, 마모를 일으키는 이송물질로 오염될 수 있는 플라이트스크류(36)의 배출단부에서 마모하기 쉬운 배출문 또는 저널베어링의 사용을 배제시킨다.
스크류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질의 가속된 유동은 원통형 스크류케이싱(52)의 코어(50)로부터 플라이트스크류(36)와 스크류케이싱(52)의 축과 축상으로 정렬된 축을 갖는 절두원추형의 테이퍼진 조절 팩 케이싱(54)까지 배출된다.
입상물질은 상기 조절 팩 케이싱(54)의 벽(116)을 통하여 주입된 특이한 공기 층에 의해 부분적으로 굳어지고 상기 조절 팩 케이싱(54)을 통한 이송을 돕는다.
조절 팩 케이싱(54)은 상기 스크류케이싱(54)의 단부로부터 물질을 수용하고 조절팩 케이싱(54)의 감소되는 직경은 펌핑유니트(12)와 충류유도조립체(16)를 통하는 물질의 유동을 더욱 가속시킨다.
충류유도조립체(16)와 이송공기의 공급을 포함하는 하우징(34)의 단부 부분은 선형가속장치(21)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 팩 케이싱(54)의 윤곽 및 길이는 입상물질이 충류유도조립체(16)를 통하여 시스템파이핑(73)의 부분을 형성하는 연결된 배출배관(75)속으로 가속되므로 효과적이고 조절된 물질의 밀봉을 제공하도록 입상물질의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설계한다.
배출배관(75)은 성형 가속 장치(21)로부터 바로 아래에 있는 이송파이핑(73)의 직선 부분이다.
연결된 배출배관(75)은 길이가 약 5피트(FEET)이고, 나머지 시스템이송파이핑에서 방향변화전에 충류유도조립체(16)로부터 실질적으로 충류 배출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충류유도조립체(16)는 이후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컨베이어조립체(14)의 작동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펌핑유니트(12)에 첨가된 특징으로서, 중앙베어링(42)은 제5도의 확대 부분 분해도에 도시된 특이한 공압베어링시일조립체(76)를 갖는다.
상기 베어링시일조립체(76)는 이중 벽 격벽(77)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77)은 제1 및 제2벽판(78)(79)과 이들 벽판사이에 공기층(AIR SPACE)을 형성하는 내측공간부(80)를 포함한다.
공기층은 압축가능한 챔버(81)를 형성하고,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에 설치되는 외측 피팅(FITTING)(83)까지 (공기)배출라인(82)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가스를 이용한다.
상기 외측 피팅(83)은 송풍기(20)로부터 압축가능한 챔버(81)로 압착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압축가능한 챔버(81)에 연통하는 내측 통로(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베어링시일조립체(76)는 스페이서(87) 사이에 샌드위치된 한쌍의 패킹시일(86)을 이중격벽(77)의 입상물질이송측면에 함께 감싸는 시일하우징(85)에 연결된 시일하우징플랜지(84)를 포함한다.
한쌍의 클리퍼 립 시일(CLIPPER LIP SEAL)(88)은 이중격벽(77)의 구동축측을 밀봉한다.
베어링시일캡(89)은 시일하우징(85) 및 하우징플랜지(84)를 컨베이어스크류(36)의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진 단부 부분(40)에 연결된다.
트랩이 형성된 시일 슬리이브(91)는 스크류측(38)에 끼워 맞춤되고 스크류축용 베어링표면을 형성한다.
오링(O-RING)(92)은 시일하우징(85) 및 시일하우징플랜지(84)를 밀봉하고, 패킹스페이서(87)중 하나에 위치되어 밀봉한다.
배출핀(97)을 갖춘 팬칼라(PAN COLLAR)(96)는 볼트(98)(하나만 도시됨)로 고정될 때 시일캡(89)에 내포된다.
시일하우징(85)을 통하는 통로(94)는 압축가능한 챔버(81)로부터 압축된 공기가 한쌍의 클리퍼 립 시일(88)과 한 쌍의 패킹시일(86)사이로 공급되게 한다.
압축된 공기는 시일링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폐쇄되는 클리퍼 립 시일과 패킹시일을 경사시키도록 돕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시일구역으로 가루물질의 침입을 막는 압축공기의 기능이다.
계속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패킹시일 아래로 방출되어 이중격벽의 컨베이어측으로부터 가루물질이 침입된 베어링표면을 청소( PURGE)한다.
이중격벽(77)의 반대측에서, 베어링시일조립체(76)는 원추형 허브(95)에 의해 보호되고, 원추형 허브(95)는 흡입플리넘(32)으로 들어오는 물질의 유동을 컨베이어스크류(36)의 테이퍼진 대향 플라이트(46)(48)로 향하게 한다.
다시 선형가속장치(21)를 고려하여 보면, 3가지 실시예가 제6도 내지 제8도에 확대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선형가속장치의 실시예는 다른 물질 및 적용을 위해 상기 장치를 최적화시키도록 결합되는 변형을 대표한다.
먼저 제6도를 참조하면, 경사진 조절 팩 케이싱(54)이 자체의 더 큰 직경의 단부에 용접된 환형연결플랜지(100)에 의하여 스크류베이싱(52)에 연결된다.
환형플랜지(100)는 일련의 볼트(104)에 의하여 스크류케이싱(52)의 단부에서 내측링플랜지(102)에 볼트로 연결된다.
차례로, 조절 팩 케이싱(54)이 다양하게 각진 절두원추형의 형태인 유도노즐(99)에 연결된다.
내측 링플랜지(102)는 하우징(34) 및 밑면 스페이서 플레이트(106)에 연결되고, 가스 흡입포트(107)를 통하여 스크류케이싱(52)과 하우징(34)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정방형하우징(34)의 내측 모서리 및 스크류케이싱(52)의 환형링플랜지(102)를 통하여 매니폴드(MANIFOLD)(108)로 유동된다.
압력게이지(109)는 매니폴드의 공기압을 외부에서 모니터 할 수 있게 한다.
제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련의 에어제트(110)는 조절 팩 케이싱(54)둘레에 원주상으로 배열된다.
에어제트(110)는 조절 팩 케이싱(54)의 배출단부에 있는 제한된 배출 오리피스(111)를 향하는 조절 팩 케이싱(54)의 내측 벽(113)을 따라 축방향으로 향하는 노즐을 갖는다.
조절 팩 케이싱(54)은 배출물질의 코어가 혼합공기의 주요 공급원과 합쳐서 혼합시키기 위해 집중되는 유도노즐(99)에 연결된다.
조절 팩 케이싱(54) 및 유도노즐로 형성된 내측통로(55)는 변이구역을 포함한다.
스크류컨베이어는 입상물질에 원심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에어제트(110)는 입자들의 반경방향운동을 편향시키는 것을 돕고, 그리고 유도노즐의 수용단부를 배출시키기 위해 입자들을 다시 재전환시키고 조절 팩 케이싱(54)의 벽(113) 또는 유도노즐(99)의 내측벽(116)에 최소로 접촉하는 유도조립체(16)의 소직경 배축단부에 있는 제한된 오리피스(114)를 통하여 최종 배출된다.
입상물질의 코어유동흐름은 자체의 배출운동량에 의하여 컨베이어조립체(14)로부터 유도노즐(97)을 통하여 이송되고, 부분적으로 조절 팩 케이싱(54)의 배출오리피스(111)의 변부에 있는 유도노즐 둘레의 변부 림(122)상에 배열되는 일련의 에어제트(120)에 의하여 더욱 더 보조된다.
에어제트는 유도노즐(99)을 수렴하는 내측면(116)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향하는 노즐(124)을 가지며, 유도된 공기는 입상물질의 유도를 윤활(LUBRICATES)시키는 보조된 슬립흐름을 제공하는 물질의 유동을 안정화시킨다.
유도노즐(99)의 내측벽을 따라 유도되는 공기흐름은 또한 마모를 최소화시키기위하여 유도노즐(99)의 내측벽(116)에 입상물질의 접촉을 완충시키는 것을 돕는다.
유도노즐(99)을 통하여 입상물질의 유동은 유도노즐(101)의 오리피스(128)에서 유도된 압력강하에 의하여 가속된다.
유도노즐(99)은 컨베이어조립체(14)의 하우징(34) 및 천공된 노즐지지링(127)에 볼트(131)로 연결된 림(129)을 갖는 벤츄리케이싱(130)에 축방향으로 위치되어, 환형통로(132)가 내측 유도노즐(99)의 외측과 외측 벤츄리케이싱(130)의 덮게부분(130)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공기인 대부분의 압축이송가스는 이와 같은 환형통로를 통하여 형성된다.
유도노즐(99)의 외측 둘레의 환형통로(132)는 유도노즐 오리피스(128) 근처가 좁게 되고 압축공기의 속도는 유도노즐(99)로부터의 입상물질의 배출유동과 함께 증가되고, 벤츄리케이싱의 합유구역(135)을 형성하는 벤츄리케이싱(130)의 제한된 부분(134)을 통하여 크게 된다.
유도노즐 오리피스(128)에서의 효과에 의하여 합류 또는 유도구역(135)에서 저압이 발생되고 이는 유도노즐(99)을 통하는 부분적으로 공기가 통하는 입상물질의 코어유동을 더욱 가속시킨다.
또, 벤츄리케이싱(130) 및 유도노즐(99)의 덮개부분(133)에 의해 형성된 환형통로(132)는 이송공기가 합쳐지는 흐름이 전개되도록 설계되어 합류 또는 유도구역(135)에 부분적으로 공기가 통하는 입상물질의 고속배출코어를 둘러싼다.
이와 같이 공기의 합쳐지는 흐름은 합유구역의 주위에 도입되어 입상물질의 가속유동과의 접촉으로부터 벤츄리케이싱(130)의 벽(136)을 완충시키고, 벤츄리케이싱(130)의 벽(136)과 하류의 배출도관(75)내에서 실질적으로 혼합된 공기 및 입상물질의 충류가 시작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벤츄리케이싱(130)은 파이핑플랜지(138)에서 확대되는 직경의 내측벽(136)을 갖는 단부로 끝난다.
플랜지를 붙인 이송파이프(140)의 직선부분을 포함하는 배출도관(75)은 실질적으로 입상물질의 충류 및 벤츄리케이싱(130)의 하류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이송가스를 안정화시키도록 연결된다.
플랜지를 붙인 이송파이프(140)의 직선부분, 즉 시스템파이핑(73)의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은 상기 파이프에 방향변화가 제공되기전에 약 5피트(FEET)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제7도를 참조하면, 유도조립체(16)의 절두형의 변형이 도시되었다.
대부분의 부품은 제6도의 실시예에서와 같고, 그러므로 이에 따라 기호가 붙여진다.
수정된 실시예에서, 조정 팩 조립체(54)는 일반적으로 이송된 연마물질에 의한 마모로부터 돌출시키는 제트(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각 노즐(112)의 하류측에 요흠(141)을 갖는 원추형 내측벽(113)을 갖는다.
유도노즐(99)은 유도노즐(97)의 내측벽(116)을 따르는 방향으로 다수의 제트(120)를 갖춘 조절 팩 케이싱(54)에 직접 연결된다.
조절 팩 케이싱(54)에 대한 유도노즐(99)의 이와 같은 직접연결은 유도구역(134)에 이송공기용의 방해를 받지 않는 통로를 제공한다.
벤츄리케이싱(130)은 용접된 플랜지(142)를 포함하고, 이 플랜지는 컨베이어조립체(134)의 하우징에 연결된다.
폄핑유니트(12)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벤츄리케이싱(130)은 내측 라이너(143)를 가지며, 이 라이너는 용이한 교체 또는 교환을 위하여 세트스크류(144)로 고정된다.
예컨대, 특정한 경우 세라믹라이너가 바람직하며, 또 다른 경우 고무라이너가 바람직하다.
벤츄리케이싱(1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파이핑(73)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단부플랜지(138)를 포함한다.
공기이송시스템의 성형설계는 펌프부품 및 특히 유도부품에서의 마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가스/고체 혼합물에 실질적으로 충류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상적인 조건을 확립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개량된 공기이송시스템은 입상 이송물질이 이송가스매개체로 혼합되는 변이구역에 공기유동의 완충 층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고, 대부분의 경우 이송가스매개체는 공기이다.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선형가속장치(21)가 다른 공기이송시스템에 결합되어 있다.
예컨대, 압축저장용기가 입상물질을 저장하고 계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펌핑부품의 사용이 제거된다.
제9도를 참조하면, 이중 보조탱크 공기이송시스템(150)이 도시되어 있다.
이중 보조탱크 시스템(150)은 제1도의 펌핑유니트(12)에서 유도조립체의 구조 및 작동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한 유도부품(156)을 포함하는 통상의 선형유동가속장치(21)에 입상물질의 연속공급을 제공하도록 직렬로 작동되는 입상물질용의 두개의 호퍼보조탱크(HOPPER POD)(152)(154)를 포함한다.
작동시, 하나의 호퍼보조탱크는 압축되고 배출유도부품(156)에 입상물질로 공급하는 한편, 다른 호퍼보조탱크는 입상공급물질로 상기 호퍼보조탱크를 보충 시키는 동안 압력이 감소된다.
이중 보조탱크 시스템은 공통의 송풍기(158)(개략적으로 도시됨)를 가지며, 이 송풍기(158)는 공급라인(160) 및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전자조절밸브(162)(164)를 통하여 압축가스를 공급한다.
전자조절밸브 및 기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부품은 조절패널(166)로 조절되며, 조절패널(166)은 수동 오버라이드 조절(MANUAL OVERRIDE CONTROL)뿐만 아니라 자동 시퀀싱(AUTOMATIC SEQUENCING)이 가능한 전자조절모듈(보이지 않음)을 포함한다.
또한 공급라인(160)은 대부분의 이송가스, 예컨대 공기는 전자조절밸브(168)를 통하여 유도부품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이송매개체의 양은 저장탱크인 두개의 호퍼보조탱크(152)(154)와 유도부품(156)사이에서 조정되어 분배될 수 있다.
각각의 호퍼보조탱크는 전자조절밸브(174)를 갖는 공급도관(172)을 갖고 있다.
공급도관(172)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공통의 큰 체적의 공급호퍼(180)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관(178)을 갖는 공통의 매니폴드(176)에 연결된다.
압력이 감소되는 동안 호퍼보조탱크로 역유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호퍼보조탱크는 각각의 호퍼보조탱크(152)(154)의 원추형 배출단부에 전자조절밸브(182)를 갖는다.
전자조절밸브(182)는 각각의 호퍼보조탱크(152)(154)와 공통의 배출도관(184)을 상호 연결시킨다.
배출도관(184)은 각각의 호퍼보조탱크(152)(154)아래에 호퍼보조탱크로 지지되고, 각각의 호퍼보조탱크는 차례로 시스템 지지프레임(186)에 의해 지지된다.
안전을 위하여, 각각의 호퍼보조탱크(152)(154)는 시스템의 작동압력이 초과되는 경우 압력을 완화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트된 배기밸브(VENTVALVE)(188)를 갖는다.
배기밸부(188)는 대기로 안전하게 배기시키도록,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도관(189)에 연결된다.
작동시, 호퍼보조탱크는 전자조절밸브의 적당한 개폐에 의하여 교번적으로 배출 및 보충된다.
예컨대, 호퍼보조탱크(154)는 자체의 전자조절밸브(174)가 폐쇄되고 입상물질 배출밸브(182) 및 공기공급밸브(162)가 개방되었을 때 또는 일부분 개방되었을 때, 호퍼보조탱크는 압축되고 입상물질이 배출도관(184)으로 계량된다.
동시에, 호퍼보조탱크(152)는 입상물질을 호퍼보조탱크에 보충시키기 위하여 전자조절밸브(174)를 개방시키고 자체의 공기공급밸브(162) 및 입상물질 배출밸부를 폐쇄시킨다.
호퍼보조탱크(154)가 압축됨에 따라, 유도부품(156)에 공급된 공기는 입상물질을 배출도관(184)으로 계량하는 호퍼보조탱크(154)로 역류되지 않는다.
호퍼보조탱크(152)는 자체의 폐쇄된 입상물질 배출밸브(18)에 의하여 배출도관(184)으로부터 격리된다.
하나의 보조탱크시스템에 간헐적인 작동이 제공되어, 하나의 보조탱크가 교번적으로 압축되어 작동시 (입상물질을)유도부품에 공급하고, (입상물질의)보충시 압력이 감소되어 유도부품으로부터 밀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컨베이어는 압축된 저장탱크로부터 선형가속장치(21)를 형성하는 고속의 배출 유도부품(156)까지 입상물질의 이송을 개시하는데 필요하지 않다.
공기는 입상물질의 배출단계동안 계속 보조탱크로 순환되므로 공기와 입상물질의 혼합이 배출유도부품(156)으로 이송된다.
배출유도부품이 유도구역에 저압벤츄리효과를 발생하도록 선형가속장치(21)의 벤츄리설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보조탱크에 요구되는 압력은 배출유도부품(156)에 연결된 시스템라인(192)으로부터의 배압(BACK PRESSURE)을 극복할 필요없이 이송매개체를 유도부품에 제공하도록 최소화된다.
배출유도부품(156)은 선형가속장치(21)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8도면에 도시된 직렬 부스터부품(196)에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보조탱크시스템용 배출부품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제8도면에 도시된 장치의 적용을 위한 특정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8도의 직렬부스터부품(196)에서, 벤츄리케이싱(130)의 덮개부분(133)은 좁아지는 환형통로(132)에 일정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환형플리넘(198)을 형성하는 이송 매니폴드(CONTAINING MANIFOLD)를 제공하도록 조절 팩 케이싱(54)의 연결플랜지(100)로 연장된다.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대향된 터미널(200)을 통하여 환형플리넘(198)으로 공급된다.
상기 시스템에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그리고 입상물질의 이송을 더욱 가속시키기 위한 직력부스터로서 선형가속장치(21)가 사용될 때, 성형가속장치(21)는 제1직경의 상부파이프(202) 및 보다 큰 제2직경의 하부파이프(204)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변이를 제공하고 실질적으로 충류를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벤츄리케이싱(130)의 유도구역(134)은 확산구역(206)을 포함한다.
확산구역(206)은 라이너(208)의 부분을 테이퍼시키고 하부파이프(204)의 전 직경에 함유된 가스의 팽창을 위하여 테이퍼진 변이라이너(212)를 갖는 벤츄리케이싱(130)에 스페이서연결구(210)를 연결시키므로써 형성된다.
변이라이너(212)는 세트스크류(214)로 스페이서연결구(21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절 팩 케이싱 및 가스제트를 갖거나 갖추지 않은 직렬부스터부품(196)을 포함하는 선형가속장치(21)는 현존하는 공기이송시스템에 결합될수 있고, 이 경우 이송되는 물질의 실질적인 충류를 악화시키지 않고 초대효율로 파이프라인에 공기를 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압력강하를 일으키도록 하부파이프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이 통례이다.
추가적인 압축이송가스를 합류유동의 도입으로 인하여 이송되는 물질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혼합물을 미는 힘이 발생한다.
이송되는 물질 및 적용에 따라 이와 같은 새로운 조립체는 예컨대 비마모성물질이 이송되는 경우, 조절 팩 케이싱(54) 및 유도노즐제트(120)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완벽한 기술을 할 목적으로 꽤 상세히 기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화가 이와 같이 만들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분야의 숙련가에게는 명백하다.

Claims (32)

  1. (A) 입상물질의 공기이송을 위하여 시스템파이핑을 갖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에 있어서, 주앙축을 갖는 절두원추형이고, 상부의 제1직경의 물질수용단부를 갖고 상부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의 오리피스를 갖는 하부 배출단부를 가지되, 유도노즐이 내측 및 외측을 갖고, 내측은 벽을 향하는 물질유동을 갖는 유도노즐과, (B) 유도노즐과 벤츄리케이싱의 덮개부분사이에 환형통로를 형성하는 유도노즐의 외측 둘레 주위에 동심원으로 배치된 개부분과, 오리피스 근처의 유도노즐과 축상으로 정렬된 제한된 부분과을 갖되 환형통로는 환형통로로 압축가스를 유도하기 위한 가스수용수단을 갖고, 유도노즐로부터 배출되는 물질과 혼합시키도록 벤츄리케이싱의 제한된 부분으로 가스의 합류하는 흐름을 가속도입시키기 위해 유도노즐의 배출단부에서 환형통로가 협소해지는 벤츄리케이싱과,(C) 유도노즐의 내측벽을 따라 완충가스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스공급수단으로 구성된 유도조립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도노즐의 상부단부가 둘레를 갖고 있고 가스공급수단이 유도노즐의 둘레 주위에 일련의 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트는 유도노즐오리피스를 향하며 유도노즐의 내측벽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유도노즐은 제1직경을 갖는 물질수용단부 및 물질수용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유도노즐의 물질수용단부 직경과 동일한 물질배출단부가 유도노즐의 물질수용단부로 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조절 팩 케이싱의 물질배출단부는 유도노즐의 물질수용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조절 팩 케이싱은 조절 팩 케이싱의 내측벽을 따라 완충가스흐름을 안내하는 조절 팩 가스공급수단 및 내측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조절 팩 가스공급수단은 조절 팩 케이싱의 내측벽에 설치된 일련의 가스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제트가 조절 팩 케이싱의 배출단부를 향하며 조절 팩 케이싱의 벽을 따라 축방향으로 향하는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벤츄리케이싱이 배출단부를 갖고 보충도관이 벤츄리케이싱의 배출단부에 연결되고, 파이프의 직선길이를 포함하는 보충도관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보충도관이 내측직경을 갖고 벤츄리케이싱의 배출단부가 보충도관의 내측직경과 동일한 내측직경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유도조립체가 제1직경을 갖는 상부 시스템파이핑에 연결된 상부단부를 갖고 상부시스템파이핑의 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하부 시스템파이핑에 연결된 하부단부를 갖는 유도조립체가 공기이송시스템의 시스템파이핑과 결합된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유도조립체가 벤츄리케이싱의 제한된 부분과 보충도관사이에 확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벤츄리케이싱의 제한된 부분이 유도조립체의 유도구역을 한정하는 라이너(LIN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환형통로의 가스수용수단이 매니폴드(MANIFOLD) 및 상기 매니폴드로까지의 압축가스공급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물질공급수단이 가스의 압축유동흐름을 공급하는 공급수단 및 압축가능한 물질공급용기로부터 유동노즐의 상부 물질수용단부까지 이송된 물질을 포함하는 압축가능한 물질공급용기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물질공급용기가 가스의 압축유동흐름을 공급하는 공급수단 및 압축가능한 물질공급용기로부터 조절 팩 케이싱의 상부 물질수용단부까지 이송된 물질을 포함하는 압축가능한 물질공급용기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압축가능한 물질공급용기가 연속운전을 위하여 조절수단을 갖는 제1 및 제2보조탱크를 포함하고, 다른 보조탱크가 공급수단에 물질을 배출할 때 하나의 보조탱크가 보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6. (A) 입상물질의 공기이송을 위하여 시스템파이핑을 갖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에 있어서, 중앙축을 갖는 절두원추형이고, 상부의 제1직경의 물질수용단부를 갖고 상부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의 오리피스를 갖는 하부 배출단부를 가지되, 유도노즐이 내측 및 외측을 갖고, 내측은 벽을 향하는 물질유동을 갖는 유도노즐과,(B) 유도노즐과 벤츄리케이싱의 덮개부분사이에 환형통로를 형성하는 유도노즐의 외측 둘레 주위에 동심원으로 배치된 덮개부분과, 오리피스 근처의 유도노즐과 축상으로 정렬된 제한된 부분과를 갖되 환형통로는 환형통로로 압축가스를 유도하기 위한 가스수용수단을 갖고, 유도노즐로부터 배출되는 환형통로로 압축가스를 유도하기 위한 가스수용수단을 갖고, 유도노즐로부터 배출되는 물질과 혼합시키도록 벤츄리케이싱의 제한된 부분으로 가스의 합류하는 흐름을 가속도입시키기 위해 유도노즐의 배출단부에서 환형통로가 협소해지는 벤츄리케이싱과, (C) 선형가속장치가 유동을 밀기 위한 직렬파이프의 부분에 설치되고, 유도조립체가 파이프의 제1부분에 연결된 상부 단부 및 파이프의 제2부분에 연결된 하부단부를 갖고 물질이 선형가속장치를 통하여 파이프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파이프의 제2부분으로 유동하는 유도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파이프의 상부 부분이 파이프의 하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선형가속장치가 유도노즐과 벤츄리케이싱의 덮개부분사이에 환형통로의 가스수용수단으로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가스공급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19. A) 베이스, 제1 및 제2단부와 밀폐시키는 덮개를 갖는 하우징
    B) 1) 제1 및 제2단부를 갖는 스크류축을 갖는 선형컨베이어스크류와, 스크류축의 중아단부와 제2단부 사이의 중앙부분 및 스크류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플라이트를 갖는 스크류부분, 2) 제1베어링조립체가 하우징의 제1단부에 가까운 하우징에 설치되되, 스크류축의 제1단부가 제1베어링조립체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3) 제2베어링조립체가 하우징에 설치되되, 스크류축의 중앙부분이 제2베어링조립체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컨베이어스크류가 제2베어링조립체로부터 외팔보가 된 축의 스크류부분을 갖는 회전축을 갖고, 4) 스크류케이싱이 이송물질을 포함시키기 위하여 스크류플라이트의 실질적인 부분 둘레의 설치되고, 스크류케이싱이 물질수용단부 및 물질배출단부를가지며, 5) 하우징을 통하여 스크류케이싱의 물질수용단부까지의 물질공급통로를 갖는 하우징에 포함된 컨베이어조립체.
    C) 1) 유도노즐이 스크류케이싱으로부터 배출된 물질을 수용하도록 스크류케이싱의 배출단부에 위치되고, 유도노즐이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의 물질배출단부 및 제1직경의 물질수용단부를 가지며, 2) 벤츄리케이싱이 적어도 유도노즐의 물질배출단부 둘레에 설치된 덮개부분을 갖고, 유도노즐로부터 물질유동을 수용하도록 위치된 벤츄리케이싱의 배출단부와 덮개부분사이에 합류하는 부분 및 배출단부 및 3) 유도노즐의 물질수용단부도 제1공기흐름을 공급하고 벤츄리케이싱의 덮개부분과 유도노즐의 배출단부사이의 제2공기흐름을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수단에서, 유도노즐은 내측 벽 및 둘레를 수용단부에 갖고, 가스공급수단의 노즐의 배출단부를 향하여 노즐의 벽을 따라 가스유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노즐의 둘레에 방향유동수단을 포함하는 유도조립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컨베이어스크류의 스크류부분이 대향 헬리컬플라이트(HELICAL FLIGH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물질공급통로가 스크류케이싱의 물질수용단부 가까이에 있는 스크류플라이트의 부분 둘레의 흡입플리넘과 하우징을 통하는 물질흡입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흡입플리넘에서 스크류플라이트의 부분이 스크류케이싱으로 물질공급을 개량시키기 위해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제2베어링조립체가 제1 및 제1베어링시일과 제1 및 제2베어링시일 사이에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노즐조립체가 물질수용단부와 물질배출단부를 갖춘 절두원추형태의 조절 팩 케이싱을 포함하고, 물질수용단부가 제1직경을 가지며, 물질배출단부는 물질수용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유도노즐의 물질수용단부로 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조절 팩 케이싱의 물질배출단부가 유도노즐의 물질수용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조절 팩 케이싱은 조절 팩 케이싱의 내측 벽을 따라서 완충가스흐름을 안내하기 위하여 조절 팩 가스공급수단 및 내측 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조절 팩 가스공급수단이 조절 팩 케이싱의 내측 벽에 설치된 일련의 가스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제트가 조절 팩 케이싱의 배출단부를 향하여 조절 팩 케이싱의 벽을 따라 축방향으로 향한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8. 단부베어링을 갖는 스크류컨베이어, 중앙베어링, 및 중앙베어링으로부터 플라이트부분이 외팔보로 한 컨베이어스크류를 갖고 단부베어링과 중앙베어링에 설치한 축을 있는 컨베이어스크류를 갖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에 있어서, 공기베어링이 제1베어링시일 및 제1베어링시일로부터 이동된 제2베어링시일을 포함하고 공기층(AIR SPACE)이 상기 베어링시일사이에 형성된 베어링시일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시일 사이의 공기층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펌핑유니트가 단부베어링이 설치되는 단부 플레이트 및 공기베어링의 베어링시일 하우징이 설치되는 중앙벌크헤드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중앙벌크헤드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사이의 공간이 압축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상기 공기층과 연통하는 통로 및 상기 공기층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층과 연통하는 공기공급수단을 갖는 베어링시일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공기 압축기는 펌핑유니트 및 공기베어링조립체에 압축물질이송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베어링 캡이 벌크헤드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베어링시일하우징이 다른 측면에 설치되며 벌크헤드를 통하여 베어링 캡에 연결되는 베어링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KR1019950001644A 1994-11-16 1995-01-28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KR0181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40,752 1994-11-16
US8/340,752 1994-11-16
US08/340,752 US5681132A (en) 1994-11-16 1994-11-16 Laminar flow pneumatic convey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477A KR960017477A (ko) 1996-06-17
KR0181744B1 true KR0181744B1 (ko) 1999-04-15

Family

ID=2333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644A KR0181744B1 (ko) 1994-11-16 1995-01-28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81132A (ko)
KR (1) KR0181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019A (ko) * 2021-12-06 2023-06-13 문재화 분체 또는 입상체의 장거리 수송이 가능한 공기압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751A (en) * 1997-12-11 2000-12-05 Ecotech Systems International, Ltd. Flow development chamber for creating a vortex flow and a laminar flow
DE19818935A1 (de) * 1998-04-28 1999-11-04 Klaus Spi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festen schüttgutartigen bis flüssig-teigigen Stoffen in Prozeßabläufe, vor allem Fördersysteme mit höherem Druckniveau
AU2001213992A1 (en) * 2000-11-08 2002-05-27 Fortum Oyj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sludge into a process
EP1461278A4 (en) * 2001-12-04 2005-06-22 Ecotechnology Ltd FLOW GENERATION CHAMBER
US7082955B2 (en) * 2001-12-04 2006-08-01 Ecotechnology, Ltd. Axial input flow development chamber
US6659118B2 (en) 2001-12-04 2003-12-09 Ecotechnology, Ltd. Flow development chamber
WO2004058607A1 (en) * 2002-12-26 2004-07-15 Stumborg Alvin J Apparatu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into a pneumatic conveying line
DE10345320A1 (de) * 2003-09-30 2005-04-14 Rinker, Karl, Dipl.-Ing.(FH) Saugbagger
US20050184103A1 (en) * 2003-12-19 2005-08-25 Giuseppe Palma Loss-in-weight feeder for powders and dry goods
US7044831B2 (en) * 2004-03-10 2006-05-16 The Boeing Company Multi-port sandblasting manifold and method
US20080175675A1 (en) * 2006-11-22 2008-07-24 Ensentech, Inc.; Low-pressure, air-based, particulate materials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DE102007012452B4 (de) * 2007-03-15 2014-01-16 SynCraft Enegineering GmbH Vergaser
US8162239B2 (en) * 2007-05-21 2012-04-24 Thomas Francis Hursen Air gun safety nozzle
DE102007050679A1 (de) * 2007-10-21 2009-04-23 Voxeljet Technology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Partikelmaterial beim schichtweisen Aufbau von Modellen
US8171659B2 (en) * 2007-12-10 2012-05-08 Thomas Francis Hurs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oil fracturing, soil excavation or soil treatment using supersonic pneumatic nozzle with integral fluidized material injector
DE102008055756B3 (de) * 2008-11-04 2010-07-08 Woywod Kunststoffmaschinen Gmbh & Co. Vertriebs Kg Dosiervorrichtung
DE102010056346A1 (de) 2010-12-29 2012-07-05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Verfahren zum schichtweisen Aufbau von Modellen
US9346624B2 (en) * 2011-11-04 2016-05-24 Mark E. Koenig Cantilevered screw assembly
US20130322972A1 (en) * 2012-06-05 2013-12-05 LFIP Holdings Pty. Ltd. Pneumatic air conveyance technology
DE102012217579A1 (de) * 2012-09-27 2014-03-27 Skz - Kfe Ggmbh Kunststoff-Forschung Und -Entwicklung Zuführvorrichtung zur Zuführung von Fasern bei de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en
US9821962B2 (en) * 2015-12-14 2017-11-21 Mark E. Koenig Cantilevered screw assembly
ES2948196T3 (es) * 2018-09-18 2023-09-01 Smidth As F L Aparato para transportar material pulverizado
CN112718299B (zh) * 2021-04-02 2021-07-09 成都天本地源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间歇性粉粒物料稀相喷射输送装置
CN114408583B (zh) * 2022-02-23 2024-04-26 杭州日至盛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暴风雪式吸附剂加料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1782A (en) * 1956-02-10 1959-06-23 Air Reduction Concentric-hopper batch-feeder
FR1178548A (fr) * 1957-06-19 1959-05-12 Silo de stockage comportant un dispositif transporteur de matières pulvérulentes, pâteuses ou autres
GB1248614A (en) * 1968-10-02 1971-10-06 Nat Res Dev Apparatus for the conveyance of cohesive particulate material
SU612872A1 (ru) * 1976-04-07 1978-06-30 Северо-Кавказ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П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ю Предприятий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сасывани и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а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US4109966A (en) * 1976-11-23 1978-08-29 Fuller Company Pneumatic conveying device
EP0053411B1 (en) * 1980-12-02 1985-02-0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Filler gun suitable for cavity injection
US4525106A (en) * 1983-12-13 1985-06-25 Fuller Company Pneumatic conveying device
FR2575678B1 (fr) * 1985-01-04 1988-06-03 Saint Gobain Vitrage Ejecteur pneumatique de poudre
US4615647A (en) * 1985-02-21 1986-10-07 Fuller Company Pneumatic conveying device and flap valve
US4662799A (en) * 1985-05-17 1987-05-05 Fuller Company Apparatus and process for pneumatically conveying particulate material
JPH0720771B2 (ja) * 1988-11-30 1995-03-08 エーザイ株式会社 粉粒体の空気輸送装置
US5494381A (en) * 1991-04-11 1996-02-27 The Young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neumatically conveying bulk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019A (ko) * 2021-12-06 2023-06-13 문재화 분체 또는 입상체의 장거리 수송이 가능한 공기압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477A (ko) 1996-06-17
US5681132A (en) 1997-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744B1 (ko) 공기이송시스템용 선형가속장치
US2740672A (en) Conveying apparatus
CA1284808C (en) High speed auger venturi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bulk materials
US6155751A (en) Flow development chamber for creating a vortex flow and a laminar flow
EP1277678B1 (en) System for handling bulk particulate materials
US71011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s for pneumatic conveying
US3399931A (en) Feed mechanism
US200801312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neumatically conveying bulk material which does not flow readily
US5718539A (en) Boundary air/laminar flow conveying system with air reduction cone
US5863155A (en) Boundary air/laminar flow conveying system
HRP970024A2 (en) Continuos high pressure solids pump system
US4502820A (en) High-pressure conveyor for powdery and granular materials
DK2032426T3 (en)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of bulk material from a ship
US5209608A (en) Air grain conveyor system
CA1260992A (en) Pneumatic transportation system with a material feeder
US3099496A (en) Pump for imparting movement to dry pulverulent material
US3004799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dry powdered material through a conduit
US201300112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Conveying Material for Dry Gunning Application
US4906144A (en) Eccentric rotary feeder and pressurized pneumatic conveying system
CN1017039B (zh) 高速螺旋文氏管系统和散料运输法
CN1201987C (zh) 用于将流动性差的散装材料输入至供给线内的装置
EP0027458B1 (en) The kinetic extruder: a dry pulverized solid material pump
RU20701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в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JPH0238225A (ja) 圧送式空気輸送装置
CN117945151A (zh) 流化和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