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387B1 -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 Google Patents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387B1
KR0181387B1 KR1019960036668A KR19960036668A KR0181387B1 KR 0181387 B1 KR0181387 B1 KR 0181387B1 KR 1019960036668 A KR1019960036668 A KR 1019960036668A KR 19960036668 A KR19960036668 A KR 19960036668A KR 0181387 B1 KR0181387 B1 KR 018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rm
roll
motor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940A (ko
Inventor
김성종
Original Assignee
권오율
주식회사한성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율, 주식회사한성기계 filed Critical 권오율
Priority to KR101996003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387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moto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설비에 사요되는 롤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정크레인에 장착되는 롤 이송용 통(Tong)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독작업자가 다양한 종류의 롤을 간단한 조작으로 운반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안전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과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크게 개선한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행거를 상부면 중앙에 갖추고, 아암개폐용 모터를 갖는 중공형 프레임을 갖추며, 상기 프레임내에는 아암개폐용 모터에 연결된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수평형 나사축부재를 갖추고, 상기 나사축부재에는 복수개의 너트부재를 나사결합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몸체부;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너트부재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대칭구조의 아암을 갖추고, 상기 아암의 하단부에는 각각 고정슈를 갖추며, 상기 아암의 외측에는 힌지작동하는 터치바를 갖추어 롤을 취부하는 아암부; 아암의 내측상부에 슈상하이동용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수직형 나사축부재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슈를 갖추어 상기 모터의 회전으로 이동슈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슈를 안내하는 안내로울러와 안내레일을 갖는 슈승강부; 모터부재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전원판넬을 갖춘 제어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본 발명은 제철설비에 사용되는 롤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천정크레인에 장착되는 롤 이송용 통(Tong)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독작업자가 다양한 종류의 롤을 간단한 조작으로 운반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안전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과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크게 개선한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설비에는 천정크레인을 설치하고 있으며, 그 하부측에는 중량물인 롤을 운반할 수 있는 통조립체를 갖추어 구성한다. 도 1은 천정크레인(100)에 장착된 종래기술에 따른 빔 타입(Beam Type)의 통(200)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통(200)은 주행레일(104a), (104b) 상부를 거더(Girder)(103)가 이동하고, 상기 거더(103)의 상부에서 크래브(Crab)(102)가 거더(103)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크래브(102)에는 와이어로프 드럼(101)에 와이어로프(105)가 감기는 한편, 와이어로프(105)의 하단부에 장착된 후크(107)에 통(200)이 매달리도록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강판을 제조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롤(2)은 도 3 (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작업롤(Work Roll)(2a)과 백업롤(Back Up Roll)(2b)을 4단으로 갖춘 압연공장의 롤(2)과 작업롤(2a)과 백업롤(2b)사이에 중간롤(2c)를 갖추어 6단을 형성하는 냉연공장의 롤(2)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여러 가지 공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롤(2)을 갖추어 강판을 제조하는 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롤(2)은 장시간 작업에 따른 노후 및 마모로 인하여 수시로 롤정비장(Roll Shop)으로 이송하여 보수정비작업(연마작업)을 수행하거나, 새로운 롤로 교체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롤(2)의 크기는 아래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갖는 롤(2)을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천정크레인(100)에 장착되는 통의 종류는 상기 빔 타입 통(200) 이외에도 와이어로프 타입(Wire-rope Type)의 통(미도시) 등이 현재까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빔 타입의 통조립체 중에 한 종류의 통(20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통(200)조립체는 상기 후크(107)에 매달 수 있는 연결부(210)를 갖추고, 원통형의 롤(2)을 집을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대칭 구조의 아암(Arm)(230)을 갖추며, 상기 아암(230)의 내부에는 래크(미도시)와 피니언기어(미도시)를 내장하며, 상기 빔 몸체(220)의 상부면에 장착된 아암개폐용 모터(221)에 의해서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아암(230)에 연결된 래크기어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아암(230)을 개폐작동함으로써, 상기 아암(230) 사이에 롤(2)을 집어서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롤(2)의 양쪽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쵸크(Chock)(3)의 외측면에 형성된 구멍(3a)으로 끼워질 수 있는 고정구(231)를 아암(230)의 하단 내측면에 갖추어, 상기 구멍(3a)으로 상기 고정구(231)를 끼워서 롤(2)을 고정시켜 이송할 수 있는 또다른 형태의 통(200)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작업롤(2a)과 백업롤(2b)을 교대로 운반할 때, 상기 작업롤(2a) 및 백업롤(2b)의 직경크기(통상, 작업롤(2a)의 외경이 백업롤(2b)보다 현저히 작다)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상기 아암(230)의 개폐크기가 다른 통(200)을 상기 후크(107)에 번갈아 교환, 장착하여 롤(2)을 이송하거나, 상기 롤(2) 양측에 장착되는 쵸크(3)의 유무에 따라 사용되는 통(200) 종류를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며, 따라서, 작업상 매우 번거롭고, 다수의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송하고자 하는 롤(2)의 크기 및 형태에 맞추어 다수개의 통(200)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설비구입비 및 그 유지비가 과다하게 지출되고, 통(200)의 교체작업 및 롤(2) 이송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한편, 상기 아암(230)의 개폐크기에 비하여 롤(2)의 직경크기가 현저히 작아도 단 하나의 롤(2)만 이송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송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200)의 아암(230)이 상기 롤(2)의 몸체인 바렐(Barrel)부의 중앙부근을 집어서 일정장소로 운반하는 도중, 롤(2)을 고정시킬 수 있는 아무런 보조수단을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롤(2)의 한쪽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져서 타설비와의 간섭 및 충돌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인접한 설비 및 롤(2)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철설비 자동화 추진에 따른 롤의 교환 및 이송작업의 성력화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다수의 작업인력을 배제한 채 단독작업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롤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롤 교환, 이송작업을 수행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설비 가동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롤 이송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산업재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의 무인자동화를 이룰 수 있는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통을 장착한 천정크레인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통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외형도.
제3도는 제철설비에 설치되는 롤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기계요소들을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도6에서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2 : 롤
10 : 연결부 11 : 스톱퍼
20 : 몸체부 21 : 프레임
22 : 아암개폐용 모터 24 : 수평형 나사축부재
30 : 아암부 31 : 아암
40 : 슈승강부 43 : 슈상하이동용 모터
44 : 수직형 나사축부재 50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라인에 설치된 다단의 롤을 일정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제철설비에 있어서, 후크에 결속되고, 스톱퍼를 장착한 행거를 갖춘 연결부; 상기 행거를 상부면 중앙에 갖추고, 아암개폐용 모터를 갖는 중공형 프레임을 갖추며, 상기 프레임내에는 아암개폐용 모터에 연결된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수평형 나사축부재를 갖추고,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좌우이송되는 너트부재를 갖춘 몸체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2개씩 위치되어 상기 너트부재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대칭구조의 4개의 아암을 갖추고, 상기 아암의 하단부에는 각각 고정슈를 갖추며, 상기 아암의 외측에는 힌지 작동하는 터치바를 갖추어 롤을 집는 아암부; 상기 아암의 내측상부에 슈상하이동용 모터가 복수개 장착되고, 상기 슈상하이동용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된 수직형 나사축부재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슈를 갖추어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갖는 롤들을 집는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슈상하이동용 모터의 회전으로 이동슈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슈를 안내하는 안내로울러와 안내레일을 갖는 슈승강부; 및 상기 몸체부와 슈승강부의 모터부재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전원판넬을 갖춘 제어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구성하는 몸체부, 아암부, 슈승강부 및 작동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를 구성하는 이동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1)는 종, 횡방향 이동이 자유로운 천정크레인(100)의 후크(107)에 장착되어, 여러 종류의 롤(2)을 그 직경크기 및 쵸크(3)의 유무에 관계없이 교체하거나 일정장소로 이송할 때, 중량물인 상기 롤(2)을 안정하게 이송가능하고, 작은 직경을 갖는 롤(2)의 경우 한 개 내지 복수개 장착가능한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는 연결부(10), 몸체부(20), 아암부(30), 슈승강부(40) 및 제어부(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크레인(100)의 하단부에 설치된 후크(107)에 매달리도록 행거(Hanger)(11)를 갖추며, 특수강으로 제작되는 상기 행거(11)에는 롤(2) 이송작업시 상기 후크(107)로부터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톱퍼(12)를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고, 이송하고자 하는 롤(2)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용접구조물로 구성되는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행거(11)를 상부면 중앙 부근의 무게중심에 일체형으로 장착한 중공형의 프레임(21)을 갖추고, 그 상부면 일측에는 아암개폐용 모터(22)를 갖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의 내부공간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에 베어링블록(23)을 갖추며, 길이 중심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왼나사부(24a)와 오른나사부(24b)를 형성한 수평형 나사축부재(24)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한편,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의 일측은 상기 아암개폐용 모터(22)와 동력전달수단(25)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25)으로서는, 상기 아암개폐용 모터(22)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1 스프로켓(25a)과, 수평형 나사축부재(24)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스프로켓(25b)에 체인(25c)을 체결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제1, 2스프로켓(25a), (25b) 대신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아암개폐용 모터(22)의 동력을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의 왼나사부(24a)와 오른나사부(24b)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너트부재(26)는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으며, 상기 너트부재(26)의 일측 상부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부재(27a)가 상기 프레임(21)의 내부면 중앙과 일측에 장착된 복수개의 터치브라켓부재(27b)에 검지됨으로써, 상기 프레임(21)내에서 좌우이동하는 너트부재(26)의 개폐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의 일측에는 제어의 오동작시 강제적인 상기 너트부재(26)의 정지를 위해서 스톱퍼(28)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를 갖고, 중량물인 롤(2)을 집거나 놓을 수 있는 아암부(30)는, 상기 프레임(21)의 하부측에 수직으로 위치한 아암(31)의 상단부가 상기 너트부재(26)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그 좌우이동에 따른 개폐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아암(31)의 내측에는 하단부에 고정된 고정슈(Shoe)(31a)와 상하이동 가능한 이동슈(31b)를 갖추며, 롤(2)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슈부재(31a), (31b)의 안쪽에 각각 M/C 나이론부재를 부착하여 구성한다. 또한, 롤(2)의 외측면에 아암(31)이 접촉할 때, 마주하는 상기 아암(31)의 오므림 동작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아암(31)의 외측면에는 힌지핀(37a)에 연결되는 터치바(37)와 작동바(37b)를 갖추어 구성하며, 상기 터치바(37)의 움직임은 동시에 작동바(37b)로 전달되고, 이를 일측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부재(38)가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신시킴으로써, 상기 아암(31)의 아암개폐용 모터(22)를 정지시키고, 작업자는 아암(31)이 롤(2)의 외측면을 견고히 고정시킨 상태를 도 5의 램프부재(58)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암(31)의 이동슈(31b)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슈승강부(40)를 아암(31)의 내부공간에 갖는 바, 상기 슈승강부(40)는 인접한 2개의 아암(31)사이의 외측공간에 마련된 지지판(42)에 한쌍의 슈상하이동용 모터(43)를 보울트부재로 고정하고, 상기 슈상하이동용 모터(43)의 회전축에 동력전달수단인 제1 스프로켓(43a)을 갖추고, 이와 체인(43c)으로 연결되는 제2 스프로켓(43b)이 상단부에 연결된 수직형 나사축부재(44)가 상기 이동슈(31b)의 내부중앙부에 형성된 암나사부(46)와 나사결합됨으로서, 상기 슈상하이동용 모터(43)의 구동으로 상기 수직형 나사축부재(44)를 회전시켜 이동슈(31b)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슈(31b)는 아암(31)이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긴구멍(45)을 통하여 상하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형 나사축부재(44)와 암나사부(46)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한편, 이러한 이동슈(31b)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위해서, 상기 아암(31)의 내부면에 형성된 안내레일(47a)에 접해져 회전가능한 안내로울러(47b)를 상기 이동슈(31b)의 양측면에 각각 갖추어 구성한다. 이때, 상하 이동하는 상기 이동슈(31b)의 상하 행정거리는 아암(31)의 내부면 상하에 각각 장착된 복수개의 리미트스위치부재(49a), (49b)에 의하여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다수개의 리미트스위치부재(27a), (38), (49a), (49b)등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서 각각 기계요소의 구분작동에 따른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다수개의 램프부재(58)를 부착한 전원판넬(51)을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원판넬(51)에는 작업자가 지상에서 상기 복합통 조립체(1)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박스(53)가 하부측으로 인출되고, 전원판넬(51)의 상부측으로 전원공급용 커넥터(55)가 장착되어 후크(107)와 함께 승하강하는 소켓(57)에 연결되어 운전 및 제어 전원이 공급되고, 이러한 제어부(50)의 조작은 스위치박스(53)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천정크레인(100)의 운전실에 위치한 작업자가 운전제어반(미도시)상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전기적인 회로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1)를 이용하여 마모된 롤(2)을 새로운 롤로 교체하거나, 롤 정비장으로 이송하여 보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천정크레인(100)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후크(107)에 매달린 복합통 조립체(1)를 운반하고자 하는 롤(2)의 직상부 중심부근에 위치시킨 다음, 직하부로 하강시켜 양측으로 벌려진 아암(31)의 내측으로 상기 롤(2)이 위치되도록 한 후에, 상기 천정크레인(100)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전원판넬(51)의 스위치박스(53) 또는 천정크레인 운전실의 운전제어반 조작으로 아암개폐용 모터(22)를 구동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25)에 연결된 수평형 나수축부재(2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의 왼나사부(24a)와 오른나사부(24b)에 각각 나사결합된 한쌍의 너트부재(26)가 내측방향으로 서로 오므려짐과 동시에, 상기 너트부재(26)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아암(31)이 내측방향으로 오므려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아암(31)은 그 외측면에 장착된 터치바(37)가 상기 롤(2)의 외부면에 닿는 것이 작동바(37b)에 의해 리미트스위치부재(38)에 검지될 때까지 그 오므림작동은 계속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아암(31)의 동작과 동시에, 상승해 있던 이동슈(31b)가 슈상하이동용 모터(43)의 구동으로 인한 수직형 나사축부재(44)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서 하방이동하여 상기 롤(2)의 상부면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롤(2)을 안정적으로 취부하여 상기 운반하고자 하는 롤(2)을 일정장소로 이송할 때, 아암(31)으로부터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아암부(30)의 고정슈(31a)가 각각 롤(2)의 외측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슈(31a)의 상부측에서 상, 하 이동하는 이동슈(31b)는 롤(2)의 외측상부면을 하부측으로 눌러지도록 ∠형의 삼각단면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고정슈(31a)와 이동슈(31b)의 상호작용으로 2개의 우측아암(31)과 2개의 좌측아암(31)을 갖춘 경우, 각각 8개소(하나의 아암(31)마다 고정슈 1개와 이동슈 1개가 부착됨)에서 롤(2)의 외부면을 취부고정시킴으로써, 롤(2)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구경의 백업롤(Back-up Roll)을 아암(31)의 사이에서 하나씩 운반할 수 있지만, 소구경의 작업롤(Work Roll)과 중간롤 등은 복수개 중첩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에서와 같은 복수개의 작업롤(2a)을 상, 하로 배치하고, 작업롤(2a)의 상하에서 고정슈(31a)와 이동슈(31b)로서 이를 고정시키면, 2개의 작업롤(2a)을 흔들림없이 안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종래에 비하여 이동슈(31b)가 상, 하로 승하강하면서 이동되는 롤(2)의 상부면을 견고히 가압하여 롤(2)을 아암(31)에 확고히 밀착시키기 때문이며, 그에 따른 안정성이 대폭 향상되어 롤(2)의 경동(사향)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슈(31b)를 승하강시키는 슈승강부(40)에서 수직형 나사축부재(44)와 암나사부(46)의 나사결합은 이동슈(31b)의 승하강작동을 유발시키지만, 이는 구조적으로 이동슈(31b)를 보강시키지는 못함에 따라 상기 아암(31)의 내측면 양측에 안내레일(47a)을 수직 설치하고, 상기 안내레일(47a)상에서 결합되어 회전하는 안내로울러(47b)가 상기 이동슈(31b)의 외측면에 각각 장착됨으로써, 상기 이동슈(31b)의 좌, 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견고한 보강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레일(47a)과 안내로울러(47b)로 인하여 이동슈(31b)는 견고한 철구조물인 아암(31)내에서 안정된 상태로 부착되어 상, 하 방향으로의 승하강 작동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가적인 기능으로서는 일정길이를 갖는 상기 롤(2)이 일측으로 치우쳐 경사지거나, 이동시 상기 후크(107)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1)의 양측 하부면에는 상기 아암(31)의 하강과 동시에 상기 롤(2)의 상부면을 훼손없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완충장치(60)를 갖추어, 보다 안정적인 롤 교환 및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롤(2)의 외표면을 일정하게 연마보수하는 연마장치에서 상기 롤(2)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평상태의 쵸크(3)을 90°회전시켜 수직한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연마공정을 마친 롤(2)의 쵸크(3)를 또다시 90°회전시켜 수평한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회전장치(70)를 상기 프레임(21)의 양측하부면에 부착된 완충장치(60)에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1)에 의하면, 중량물인 롤(2)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판용접 구조물로 구성되고, 하나의 롤(2)에 대하여 고정슈(31a)와 이동슈(31b)를 이용하여 8개소에서 상, 하로 이동 고정시키기 때문에, 그 무게중심 잡기가 용이하여 장착된 롤(2)을 들어내거나, 운반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직경이 작은 롤(2)에 대해서는 한 번에 복수개 상하로 중첩시켜 교환,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교환 및 정비 작업시간을 종래 대비 약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어 설비가동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쵸크(3)의 유무에 따른 롤(2)의 형태에 관계없이 하나의 복합통 조립체(1)로써 여러 형태의 롤(2)에 대한 교환 및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다수개의 롤 이송용 통(200)을 사전에 구비해서 롤(2) 형태에 따라, 이에 맞는 통(200)을 교환하여야만 하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설비투자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별도의 통(200) 보관장소를 최소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2)의 안정적인 고정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성력화(省力化)에 따른 설비자동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5)

  1. 작업라인에 설치된 다단의 롤(2)을 일정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제철설비에 있어서, 후크(107)에 결속되고, 스톱퍼(12)를 장착한 행거(11)를 갖춘 연결부(10; 상기 행거(11)를 상부면 중앙에 갖추고, 아암개폐용 모터(22)를 갖는 중공형 프레임(21)을 갖추며, 상기 프레임(21)내에는 아암개폐용 모터(22)에 연결된 동력전달수단(2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수평형 나사축부재(24)를 갖추고, 상기 나사축부재(24)의 왼나사부(24a)와 오른나사부(24b)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좌우이송되는 너트부재(26)를 갖춘 몸체부를 갖춘 몸체부(20); 상기 프레임(21)의 하부 양측에 2개씩 위치되어 상기 너트부재(26)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대칭구조의 4개의 아암(31)을 갖추고, 상기 아암(31)의 하단부에는 각각 고정슈(31a)를 갖추며, 상기 아암(31)의 외측에는 힌지작동하는 터치바(37)를 갖추어 롤(2)을 집는 아암부(30); 상기 아암(31)의 내측상부에 슈상하이동용 모터(43)가 복수개 장착되고, 상기 슈상하이동용 모터(43)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된 수직형 나사축부재(44)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슈(31b)를 갖추어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갖는 롤(2)들을 집는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슈상하이동용 모터(43)의 회전으로이동슈(31b)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슈(31b)를 안내하는 안내로울러(47b)와 안내레일(47a)을 갖는 슈승강부; 및 상기 몸체부(20)와 슈승강부(40)의 모터부재(22), (43)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전원판넬(51)을 갖춘 제어부(5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5)이 제1 스프로켓(25a)과 제2 스프로켓(25b)에 체인(25c)을 체결하여 구성되어, 상기 아암개폐용 모터(22)의 동력을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가 그 길이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왼나사부(24a)와 오른나사부(24b)를 각각 형성하여 갖추고, 한쌍의 너트부재(26)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형 나사축부재(24)의 회전방향에 따라 너트부재(2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벌어지거나 오무려져서, 아암(31)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슈(31a)와 이동슈(31b)는 서로 대향하는 삼각단면을 갖추고, 그 안쪽에 M/C 나이론부재를 부착하여 롤(2)의 외부면 손상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47a)은 아암(31)의 내부 양측면에 수직으로 대향배치되고, 상기 안내로울러(47b)는 이동슈(31b)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안내레일(47a) 상에서 이동가능함으로써, 이동슈(31b)의 좌우흔들림을 방지하는 보강구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KR1019960036668A 1996-08-30 1996-08-30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KR018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668A KR0181387B1 (ko) 1996-08-30 1996-08-30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668A KR0181387B1 (ko) 1996-08-30 1996-08-30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940A KR19980016940A (ko) 1998-06-05
KR0181387B1 true KR0181387B1 (ko) 1999-04-15

Family

ID=1947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668A KR0181387B1 (ko) 1996-08-30 1996-08-30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0698A1 (en) * 2022-07-28 2024-02-01 Carego Tek Inc. Lif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0698A1 (en) * 2022-07-28 2024-02-01 Carego Tek Inc. Lif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940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65177A (zh) 一种翻转装置及吊具
CN110902250A (zh) 一种车间智能输送系统及其输送方法
CN206705188U (zh) 一种翻转装置及吊具
US4718817A (en) Drum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KR0181387B1 (ko) 롤 이송용 복합통 조립체
CN213538020U (zh) 一种时效炉进料装置
CN210682640U (zh) 一种用于铝塑板的放卷装置
CN214167224U (zh) 一种锭子提升装置
KR19980028907U (ko) 보조지지롤을 갖춘 벨트콘베이어
CN109279513B (zh) 钢丝帘布裁断自动上料方法
CN113602740A (zh) 一种车轴输送线
CN211688125U (zh) 火炮弹鼓安装装置
JPS6337706B2 (ko)
JPH047296A (ja) ロール吊り上げ装置およびロール吊り上げ方法およびロール組み替え方法
CN218611081U (zh) 自动机械手上、卸套筒装置
CN102623908A (zh) 电力电容器更换装置
CN111674907B (zh) 超重残极板在线剔除机构
US3196658A (en) Roll changing rig
CN220201228U (zh) 一种装配式墙体运输设备
CN219097938U (zh) 一种布坯连续送料系统
CN215097731U (zh) 一种化工用化工罐体运输装置
CN211400807U (zh) 一种具有限料功能的加热炉送料台
CN215923442U (zh) 一种车轴输送线
CN219362378U (zh) 一种自动化货车轴承组装输送线
KR20030052148A (ko) 천정 크레인용 와이어 킹크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