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064B1 - 등화기 - Google Patents

등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064B1
KR0181064B1 KR1019950013831A KR19950013831A KR0181064B1 KR 0181064 B1 KR0181064 B1 KR 0181064B1 KR 1019950013831 A KR1019950013831 A KR 1019950013831A KR 19950013831 A KR19950013831 A KR 19950013831A KR 0181064 B1 KR0181064 B1 KR 018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ignal
feed
filter coeffici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917A (ko
Inventor
임용희
박래홍
이기헌
반성범
채승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1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064B1/ko
Publication of KR96004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21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igital filters
    • H03H2218/02Coeffic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에 있어서, 특히 시간에 따른 채널 특성 변화를 보상하는 등화기에 관한 것으로, 양자화된 영상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프리 고스트(pre ghost) 성분을 제거하는 피드 포워드 필터(21)와, 훈련 모드에서는 훈련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훈련 모드가 끝나면 직접 결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입력 신호의 포스트 고스트(post ghost) 성분을 제거하는 피드 백워드 필터(22), 및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출력과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출력을 가산하여 등화된 신호(z(n))를 출력하는 가산기(23)를 구비한 등화기에 있어서 ;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와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각각 입력되는 입력 신호와 이전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11비트의 필터 계수를 생성한 후 상기 11비트의 필터 계수를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와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출력하는 필터 계수 생성수단과, 상기 직접 경로를 보상하는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기준탭과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기준탭의 필터 계수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양자화된 영상 신호(IS)의 1/2을 상기 가산기(23)에 출력하는 시프트 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화기
제1도는 8-VSB에서 콤브 필터의 동작 유, 무에 따른 신호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피드 포워드 필터 22 : 피드 백워드 필터
23 : 가산기 24 : 오차 발생부
25, 27 : 필터 계수 갱신부 26, 28 : 버퍼
29 : 슬라이스부 30 : 훈련 신호 저장부
31 : 시프트부
본 발명은 디지탈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에 있어서, 특히 시간에 따른 채널 특성 변화를 보상하는 등화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질좋은 영상 서비스를 위하여 개발되고 있는 HDTV는 크게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탈 방식으로 나눌수 있다. 유럽과 일본등에서 연구되고 있는 아날로그 방식은 연구가 많이 진척되어 시험 방송을 하는 단계에 있고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된 디지탈 방식은 미국을 중심으로 현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탈 방식의 가장큰 장점은 신호의 왜곡이 디지탈 신호를 잘못 판정하지 않을 정도로 작다면 화질을 완벽하게 복원할수 있으나, 신호의 왜곡으로 인하여 디지탈 신호에 대한 잘못된 판정을 일으키면 화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디지탈 HDTV 시스템은 이러한 왜곡을 보상해주는 등화기가 필요한데, 등화기는 시간에 따른 채널의 특성 변화를 그때 그때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등화기는 실시간 처리와 저가 보급을 위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전용 처리기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품은 성능, 신뢰도, 전력, 시스템 크기, 가격 등의 경쟁력의 향상을 위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rgrated Circuits)을 이용하여 수백 게이트에서 수십만 게이트의 크기로 설계, 제작되고 있다.
완전 디지탈 HDTV를 위한 변조 방식으로는 주로 16/32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8/16-VSB(Vestigital SideBand) 변조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는 부호화 이후에 발생하는 많은 데이타를 기존의 NTSC 전송 채널인 6MHz대역을 통해 전송하려면 멀디 레벨(multi-level) 변조 방식의 사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VSB 방식은 여러 가지 제안으로 부터 표준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의 ACATS(Advisory Committee on Advanced Television Service) 전문가 모임에서 발표한 GA(Grand Alliance) HDTV 시스템의 변조 방식으로, QAM 방식 등과는 달리 신호가 일차원 배열(constellation)을 가지므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간단하나 신호간 거리가 작아 심볼율이 커지고 상대적으로 변, 복조 시스템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어떠한 전송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HDTV 등화 시스템은 필터의 탭수가 많아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하는데는 비용면에서 매우 큰 부담이 따른다. 그러므로 이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알고리즘이나 구조의 변형을 통하여 하드웨어 비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VSB 등화 시스템은 GA-HDTV 시스템의 경우 지상 방송과 유선 방송 모두를 포함하는데 지상 방송일 경우에는 8-VSB를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왜곡이 적은 유선 방송일 경우에는 전송율이 높은 16-VSB를 사용하며, 심볼율은 두 경우 모두 10.76MHz이다. 전송 대역폭은 심볼율만큼 필요하나 VSB 방식은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기저대역 신호의 한쪽만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NTSC 채널 대역폭인 6MHz 대역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등화 알고리즘으로는 DF-LMS(Decision Feedback-LMS) 알고리즘을 이용하는데, 등화 초기에는 매 데이터 필드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필드 동기 신호를 훈련 신호로 사용하여 등화하고, 수렴되었을 때 직접 결정 모드로 전환하여 등화한다.
GA-HDTV 등화기의 정규화 오차를 이용한 계수 갱신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GA-HDTV 등화기의 경우 피드 포워드(feed forward)와 피드 백워드(feed backword)부로 나뉘므로 등화기 출력 z(n)은 (제1식)과 같이 계산되고,
계수 갱신은 초기 등화와 직접 결정 모두 (제2식)과 (제3식)과 같이 이루어지는 DF-LMS 등화 기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w, e, x는 각각 필터 계수, 오차 신호, 그리고 수신신호이며는 등화모드에 따라 훈련 신호 또는 직접 결정 신호가 된다. 또한 K, L은 상수로 각각 피드 포워드 부분과 피드 백워드 부분의 탭수이고 t는 시간, μ는 수렴 속도를 결정하는 파라메타이다.
적응 등화 알고리즘을 고정 소수점 연산으로 구현할때 계수 갱신폭이 필터 계수의 양자화 간격의 1/2보다 작으면 필터 계수는 갱신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진화된 필터 계수에 의해 최대의 성능을 갖도록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μ를 설정할 수 있다.
(제2식)과 (제3식)의 계수 갱신식에 의해 정규화된 e, x,를 사용할 경우 오차 신호와 결정 방법, 신호의 분포도에 무관하게 동일하며 구현이 용이한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 x,가 2비트로 정규화될 때 -1, 0, 1의 세가지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필터 계수의 최초 갱신폭은 (제2식)과 (제3식)에 의해 2μ가 되고 이것이 비트수가 제한된 필터 계수가 표현 가능한 최소값이 되어야 한다. B비트로 필터 계수를 표현할 때 이 계수가 표현 가능한 최소값은 2-(B-1)이므로 μ가 2-B이 되면 등화 시스템은 제한된 비트하에서의 최대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x,는 부호를 나타내는 1비트값과 그 크기를 0.5로 한계시킨 1비트를 이용하는 2비트로 정규화하고, 오차 신호 e는 다음과 같이 정규화 한다.
B비트로 이진화된 최적 필터 계수들은 실수로 표현된 최적 필터 계수와 2-B까지 차이가 날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 계수의 최대 오차Δ의 크기는 (제4식)이 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체 등화기 출력 오차 Δz의 최대값은 (제5식)이 된다.
이때 K, L은 피드 포워드와 피드 백워드 필터의 탭수로 각각 78, 177이 되고 E[·]는 평균값을 의미하는데 수신 신호와 기준 신호의 절대값의 평균이 송신 신호와 같다고 하면 약 0.5가 된다.
그러므로 필터 계수를 B비트로 표현할 때 수렴후 출력은 각 신호 레벨을 중심으로 반경이 약 2-(B-7)인 원안에서 나타나게 되며 이 오차가 성능에 영향을 주지않을 정도의 비트를 할당해야 올바른 동작이 가능해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8-VSB에서 NTSC 간섭을 없애기 위해 콤브(comb) 필터(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가 동작할 경우 신호 레벨은 15레벨이 되며(제1도(b)), 이때 이웃하는 신호의 거리는 2-3이므로 직접 결정 과정에서의 결정 경계 Td는 2-4가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결정된 값과 등화기 출력과의 차이는 결정 오차로 정의하고 이 오차가 2비트의 정규화 오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오차가 있다고 판정하는 척도인 오차 결정 경계 Teq보다 클 때 정규화된 오차가 0이 아닌 값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직접 결정 모드에서 계수 갱신이 이러나려면 Teq가 Td보다 작아야 한다. (제5식)에 의해 2-(B-7)의 값을 갖는 Teq가 2-4의 값을 갖는 Td보다 작으려면 필터 계수의 비트수 B는 최소 12가 되어야 하고, 이때 Teq는 2-5이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적응 동화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구현된 등화 시스템에 있어서, 필터 계수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비트수가 12비트이므로 그와 비례해 비용의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 계수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비트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자화된 영상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프리 고스트(pre ghost) 성분을 제거하는 피드 포워드 필터와, 훈련 모드에서는 훈련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훈련 모드가 끝나면 직접 결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입력 신호의 포스트 고스트(post ghost) 성분을 제거하는 피드 백워드 필터, 및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의 출력과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의 출력을 가산하여 등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를 구비한 등화기에 있어서;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와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에 각각 입력되는 입력 신호와 이전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11비트의 필터 계수를 생성한후 상기 11비트의 필터 계수를 각각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와 피드 백워드 필터에 출력하는 필터 계수 생성수단, 상기 직접 경로를 보상하는 상피드 포워드 필터의 기준탭과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의 기준탭의 필터 계수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양자화된 영상 신호의 1/2을 상기 가산기에 출력하는 시프트 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필터 계수 생성 수단은 기준 신호와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간의 오차 신호와, 상기 양자화된 영상 신호를 다시 2비트로 양자화한 신호, 및 제1이전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제1이전 필터 계수를 11비트의 새로운 제1최적 필터 계수로 갱신한후 이를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에 출력하되,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의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하는 제1필터 계수 갱신 수단, 상기 오차 신호와, 제2이전 필터 계수, 및 등화 모드에 따른 상기 훈련 신호 또는 상기 직접 결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이전 필터 계수를 11비트의 새로운 제2최적 필터 계수로 갱신한후 이를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에 출력하되,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의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하는 제2필터 계수 갱신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GA-HDTV 등화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의 인페이저(in-phase)성분이 입력되면 필터 계수를 이용하며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프리 고스트(pre-ghost) 성분을 제거하는 78탭의 피드 포워드 필터(21), 훈련 모드에서는 최대 4비트의 훈련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훈련 모드가 끝나면 필터링되어 등화된 신호를 슬라이싱(sliceing)한 직접 결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의 포스트 고스트(post ghost)성분을 제거하는 177탭의 피드 백워드 필터(22),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출력과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출력을 가산하여 등화된 신호(z(n))를 출력하는 가산기(23), 기준 신호와 가산기(23)에서 출력한 필터링되어 등화된 신호의 차를 연산하여 2비트의 오차 신호(et)를 발생하는 오차 발생부(24), 오차 발생구(24)의 2비트 오차 신호(et)와,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를 다시 2비트로 양자화한 신호(), 및 이전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이전 필터 계수를() 11비트의 새로운 최적 필터 계수()로 갱신한후 이를 피드 포워드 필터(21)에 출력하되,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하는 필터 계수 갱신부(25), 필터 계수 갱신부(25)에서 출력하는 필터 계수를 일시 저장한후 다시 필터 계수 갱신부(25)에 출력하는 버퍼(26), 오차 발생부(24)의 2비트 오차 신호(et)와, 이전 필터 계수(), 및 등화 모드에 따른 훈련 신호 또는 직접 결정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필터 계수()를 11비트의 새로운 최적 필터 계수()로 갱신한후 이를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출력하되,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하는 필터 계수 갱신부(27),필터 계수 갱신부(27)에서 출력하는 필터 계수를 일시 저장한 후 다시 필터 계수 갱신부(27)에 출력하는 버퍼(28), 가산기(23)에서 출력한 필터링되어 등화된 신호를 슬라이싱하여 슬라이싱된 직접 결정 신호를 출력하는 슬라이스부(29), 기 저장된 훈련 신호를 출력하는 훈련 신호 저장부(30), 필드 동기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훈련 모드에서는 훈련 신호 저장부(30)의 훈련 신호가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입력되도록 하고 훈련 모드가 끝나면 슬라이스부(29)의 직접 결정 신호가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입력되도록 하는 스위칭부(31), 직접 경로를 보상하는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기준탭과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기준탭(22)의 계산 결과를 보상하기 위해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의 1/2을 가산기(23)에 출력하는 시프트(shift)부(32)로 구성되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다중 경로 채널이 3 경로이고 송신 신호를 zT(n), 채널을 통과한 등화기 수신 신호를 χ(n), 간접 경로 왜곡의 크기를 a, b라 하면 이 채널은 (제6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6식)을 다르게 표현하면 (제7식)과 같이 되므로,
(제1식)의 결정 신호(n)가 송신 신호zT(n)와 같다고 할 때 등화기에서는 (제7식)의 우변 첫 (χ(n))을 피드 포워드단에서 보상하고 나머지 두항은 피드 백워드단에서 보상함으로서 원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간접 경로의 왜곡과 피드 백워드단의 필터 계수가 크기면에서 비례함으로 간접 경로의 왜곡이 크면 필터 계수도 큰값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직접 경로를 보상하는 기준탭은 항상 1 근처의 값을 가지므로 0.5보다 크다고 할 수 있고, 기준탭을 제외한 나머지 탭은 0.5를 넘지 않는다 할수 있다. 이는 간접 경로를 보상하는 탭이 0.5를 넘지 않으려면 간접 경로의 신호대 잡음비가 -3dB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보통의 채널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심한 왜곡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접 경로를 보상하는 기준탭의 필터 계수를 제외한 나머지 탭은 절대값이 0.5를 넘지 않는다고 하면 1 이하의 값을 표현 할 때보다 1비트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준탭의 경우 항상 0.5를 넘는다고 하면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한후, 기준탭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의 1/2를 가산하여 이를 보상해주면 효율적으로 등화기 출력을 계산 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적응 동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가 등화기에 의해 등화되어 출력되면 (χ(n)) 오차 발생부(24)는 기준 신호와 등화된 신호(χ(n))의 차를 연산하여 2비트의 오차 신호(et)를 발생하고, 이를 필터 계수 갱신부(25, 27)에 각각 제공한다.
필터 계수 갱신부(25)는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를 다시 2비트로 양자화하고()오차 발생부(24)의 2비트 오차 신호(et)와 버퍼(26)에 저장된 이전 필터 계수()를 각각 수신한후,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가 2비트로 양자화된 신호()와, 2비트의 오차 신호(et), 빛 버퍼(26)에 저장된 이전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이전 필터 계수()를 11비트의 새로운 최적 필터 계수()로 갱신한후 이를 피드 포워드 필터(21)와 버퍼(26)에 각각 출력한다.
따라서 버퍼(26)는 필터 계수 갱신부(25)로 부터 입력되는 필터 계수를 일시 저장한후, 필터 계수 갱신부(25)가 다시 필터 계수를 갱신할 때 이를 필터 계수 갱신부(25)에 제공한다.
한편, 필터 계수 갱신부(25)는 갱신된 최적 필터 계수()를 피드 포워드 필터(21)에 제공하되,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78탭의 피드 포워드 필터(21)는 8비트로 양자화된 수신 신호(IS)의 인페이저(in-phase)성분이 입력되면 필터 계수 갱신부(25)로 부터 입력된 최적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프리 고스트(pre ghost) 성분을 제거한후 이를 가산기(23)에 출력한다.
필터 계수 갱신부는(27)는 오차 발생부(24)의 2비트 오차 신호(et)와, 버퍼(28)에 저장된 이전 필터 계수()및 등화 모드에 따른 훈련 신호 또는 직접 결정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필터 계수()를 11비트의 새로운 최적 필터 계수()로 갱신한후 이를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출력하는데, 이 경우 등화 모드는 외부로부터 필드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훈련 신호로 하여 필터 계수를 갱신하고, 필드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등화되어 출력된 신호(z(n))를 슬라이싱한 직접 결정신호()를 이용하여 필터 계수를 갱신한다.
또한 필터 계수 갱신부(27)는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갱신된 최적 필터 계수()를 제공하되,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한다.
버퍼(28)는 필터 계수 갱신부(27)로 부터 입력되는 필터 계수를 일시 저장한 후 필터 계수 갱신부(27)가 다시 필터 계수를 갱신할 때 이를 필터 계수 갱신부(27)에 제공한다.
한편 슬라이스부(29)는 등화되어 출력된 신호(z(n))를 슬라이싱한후, 슬라이싱된 직접 결정 신호를 스위칭부(31)에 출력하고 훈련 신호 저장부(30)는 필드 동기 신호에 상응하는 훈련 신호를 스위칭부(31)에 출력한다.
스위칭부(31)는 필드 동기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훈련 모드에서는 훈련 신호 저장부(30)의 훈련 신호가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입력되도록 하고, 훈련 모드가 끝나면 슬라이스부(29)의 직접 결정 신호가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입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177탭의 피드 백워드 필터(22)는 훈련 모드에서는 최대 4비트의 훈련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훈련 모드가 끝나면 필터링되어 등화된 신호(z(n))를 슬라이싱(sliceing)한 직접 결정 신호를 입력으로 한다.
또한 피드 백워드 필터(22)는 필터 계수 갱신부(27)로 부터 입력되는 최적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동화 모드에 따른 훈련 신호 또는 직접 결정 신호를 필터링하여 포스트 고스트(post ghost) 성분을 제거한 후 이를 가산기(23)에 출력한다.
시프트부(32)는 직접 경로를 보상하는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기준탭과 피드백워드 필터(22)의 기준탭(22)의 계산 결과를 보상하기 위해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의 1/2을 가산기(23)에 출력한다.
따라서 가산기(23)는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출력과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출력을 가산하되, 직접 경로를 보상하는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기준탭과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기준탭의 계산 결과를 보상하기 위한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의 1/2을 포함하여 가산함으로서, 8비트로 양자화된 영상 신호(IS)는 본 발명의 등화기에 의해 시간에 따른 채널의 특성 변화가 보상되어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응 동화 알고리즘의 변형을 통해 저렴한 비용의 등화기를 구현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자화된 영상 신호(IS)를 필터링하여 프리 고스트(pre ghost) 성분을 제거하는 피드 포워드 필터(21)와, 훈련 모드에서는 훈련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훈련 모드가 끝나면 직접 결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입력 신호의 포스트 고스트(post ghost) 성분을 제거하는 피드 백워드 필터(22), 및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출력과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출력을 가산하여 등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23)를 구비한 등화기에 있어서 :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와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각각 입력되는 입력 신호와 이전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11비트의 필터 계수를 생성한후 상기 11비트의 필터 계수를 각각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와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출력하는 필터 계수 생성수단 ; 상기 직접 경로를 보상하는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기준탭과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기준탭의 필터 계수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양자화된 영상 신호(IS)의 1/2을 상기 가산기(23)에 출력하는 시프트 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한 등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생성 수단은 : 기준 신호와 상기 가산기(23)의 출력 신호간의 오차 신호(et)와, 상기 양자화된 영상 신호(IS)를 다시 2비트로 양자화한 신호() 및 제1이전 필터 계수() 를 이용하여 제1이전 필터 계수() 를 11비트의 새로운 제1최적 필터 계수() 로 갱신한 후 이를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에 출력하되, 상기 피드 포워드 필터(21)의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하는 제1필터 계수 갱신수단 ; 상기 오차 신호(et)와, 제2이전 필터 계수() , 및 등화 모드에 따른 상기 훈련 신호 또는 상기 직접 결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이전 필터 계수()를 11비트의 새로운 제2최적 필터 계수()로 갱신한후 이를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22)에 출력하되, 상기 피드 백워드 필터(22)의 기준탭에 적용되는 필터 계수는 원래의 필터 계수에서 0.5를 뺀값이 적용되도록 하는 제2필터 계수 갱신 수단으로 구성된 등화기.
KR1019950013831A 1995-05-30 1995-05-30 등화기 KR018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831A KR0181064B1 (ko) 1995-05-30 1995-05-30 등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831A KR0181064B1 (ko) 1995-05-30 1995-05-30 등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917A KR960043917A (ko) 1996-12-23
KR0181064B1 true KR0181064B1 (ko) 1999-05-01

Family

ID=1941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831A KR0181064B1 (ko) 1995-05-30 1995-05-30 등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499A (ko) * 2002-08-28 200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등화속도를 향상시키는 등화기를 갖는 단일반송파수신기및 그의 등화방법
KR100587336B1 (ko) 2003-12-01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상보정 결정궤환 채널등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917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1484A (en) Blind equalizer method and apparatus for HDTY transmission using an NTSC rejection filter for mitigating co-channel interference
US56026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ating co-channel NTSC interference for digital TV transmission having a simplified rejection filter
US6177951B1 (en) Digital receiver which utilizes a rejection filter for cancellation of known co-channel interference and an equalizer for equalizing multipath channels without attempting to equalize the co-channel interference
JPH09510840A (ja) 残留側波帯信号に対するブラインド・イコライザ
KR20040052238A (ko) 결정 피드백 등화기의 피드백 필터 탭 계수들의 값을구속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970000767B1 (ko) 블라인드 등화기
US7218673B2 (en) Channel equalizer of single carrier receiver and equalizing method thereof
US20080291335A1 (en) Dual-Mode Equalizer in an Atsc-Dtv Receiver
CN110224955B (zh) 一种数字均衡器结构及实现方法
EP1295448B1 (en) Channel equalizer
KR0181064B1 (ko) 등화기
KR100309098B1 (ko) 기준신호를갖는변복조방식디지털통신시스템수신장치에서의신호처리방법및장치와동일채널간섭신호제거를위한방법및장치
US7336704B2 (en) Method and circuit for updating a tap coefficient of a channel equalizer
KR100260806B1 (ko) 이퀄라이저
US200600291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ise enhancement reduction in an adaptive equalizer
US20090262795A1 (en) Adaptive equalizer tap stepsize
KR100281390B1 (ko) 8-vsb 적응 채널등화기 및 계수 갱신방법
CA2440064C (en) Channel equalizer of single carrier receiver and equalizing method thereof
KR100937379B1 (ko) 고선명 텔레비전 신호와 같은 수신된 동기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응 등화기
KR0136546B1 (ko) 자력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 방법
KR20030071046A (ko) 채널 등화 장치
KR0181838B1 (ko) 등화기를 이용한 ntsc 신호의 y/c 분리 장치
KR20030082443A (ko) Hdtv 시스템에서 콤 필터를 포함하는 등화기 시스템
KR100427021B1 (ko) Qam/vsb적응채널등화기
KR100710294B1 (ko) 채널 등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