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760B1 -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760B1
KR0180760B1 KR1019940703203A KR19940703203A KR0180760B1 KR 0180760 B1 KR0180760 B1 KR 0180760B1 KR 1019940703203 A KR1019940703203 A KR 1019940703203A KR 19940703203 A KR19940703203 A KR 19940703203A KR 0180760 B1 KR0180760 B1 KR 0180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tape
jumper wire
automatic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946A (ko
Inventor
다이조 마사다
마사히로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시마다 가쓰미
유니바사루 인스쓰루멘쓰 쟈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다 가쓰미, 유니바사루 인스쓰루멘쓰 쟈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마다 가쓰미
Publication of KR96070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incorporating means for treating the terminal leads before and after insertion or only af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73Cutting and clinching the terminal ends of the leads after they are fitted on a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액셜부품이 연속해서 부착되어있는 제1영역과, 아무것도 지지하고 있지 않은 제2영역을 가지는 테이프를 사용하고, 이 테이프의 제1영역에서는,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를 작동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 그리고,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를 작동시킨다. 이 결과,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에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부착한 상태대로, 액셜부품 삽입과 점퍼와이어 공급 및 삽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종래,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고 있던 액셜부품(저항소자 등의 동축부품) 자동삽입장치와 점퍼와이어(저항소자 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와이어로서, 이 점퍼와이어도 액셜부품의 1종이다) 자동삽입장치의 쌍방의 기능을 모두 갖는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맨 먼저, 종래,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고 있던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와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의 쌍방을 각각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로서는, 예컨대, 미국특허 제2896213호 명세서 및 동 제3488672호 명세서에 제시된 것이 있다.
제1도는 이와같은 종래의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대(10)에는, 직교하는 2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X-Y 테이블(12)이 부착되어 있다. 기대(10)의 상부에는 지지체(14)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체(14)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1쌍의 릴(16)이 마련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셜전자부품(18)(제2도에서는 액셜전자부품으로서 저항소자가 제시되어 있다)은 미리 그 양단의 리드선 (20),(22)의 끝단부(20a),(22a)가 점착테이프(24),(26)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접착되고, 전자부품대(28)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자부품대(28)는 릴(16)에 감겨져있고, 릴(16)로부터 삽입툴(30)에 공급된다. X-Y 테이블(12)상에는, 전자부품(18)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미리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프린트기판(32)이 재치되어 있고, 삽입툴(30)은 전자부품대(28)중의 하나인 전자부품(18)의 리드선(20),(22)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리드선(20),(22) 사이를 프린트기판(32)의 구멍의 삽입간격에 맞춰서 접어 구부리고, 프린트기판(32)의 구멍에 삽입한다.
그후, 프린트기판(32)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리드선(20),(22)의 부분은 컷·클린치유닛(34)에 의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된 후, 프린트기판(32)의 하면을 따르도록 접어 구부려진다. 이와 같이 하여서, 전자부품(18)은 프린트기판(32)에 장착된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기대(10)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고, 지지체(14)에는 컨트롤패널(36)이 설치되어 있다. X-Y 테이블(12)의 주위에는 안전가드파이프(38)가 둘러쳐져 있다.
또, 제1도의 장치에 있어서는, 삽입툴(30) 및 릴(16)은 2조 설치되어 있고, 2개의 프린트기판(32)에 대하여 동시에 전자부품(18)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삽입툴(30) 및 릴(16)은 2조에 한정되지 않고, 1조 또는 3조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도는 삽입툴(30)을 전방에서 본 경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삽입툴(30)의 바깥쪽에는 전자부품대(28)를 삽입툴(30)에 연속적으로 보내기 위한 테이핑부품 반송기어(40)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부품대(28)는, 전자부품(18)의 리드선(20),(22)이 테이핑부품 반송기어(40)의 아래쪽 부분의 기어와 걸어맞춤하고 있고, 반송기어(40)가 소정방향(제3도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전자부품(18)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의 삽입툴(30)로 향하여 보내지고, 소정의 삽입위치에 이르도록 되어 있다.
전자부품(18)의 리드선(20),(22)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하여 샤브록(42) 및 샤버(44)가 설치되어 있고, 리드선(20),(22)을 꺽어 구부리기 및 유지하기 위하여 인사이드포머(46) 및 아웃사이드포머(4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리드선(20),(22)을 프린트기판(32)에 삽입하기 위하여 드라이버엔드(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반송기어(40), 샤브록(42), 샤버(44), 인사이드포머(46), 아웃사이드포머(48) 및 드라이버엔드(50)는 액셜전자부품(18)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2조 설치되고, 쌍방의 리드선(20),(22)에 대하여 동시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아웃사이드포머(48) 및 드라이버엔드(50)에 의하여, 전자부품(18)의 리드선(20),(22)을 프린트기판(32)의 구멍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 있어서는, 프린트기판(32)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리드선(20),(22)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꺾어 구부리는 컷·클린치유닛(34)이 도시되어 있다. 이 컷·클린치유닛(34)도 2조 설치되고, 양 리드선(20),(22)에 대하여 동시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길이(L)는 전자부품(18)의 삽입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제5도 내지 제13도에는 삽입툴(30)의 작용이 단계적인 순서로 도시되어 있다. 제5도 내지 제13도에 있어서, 반송기어(40), 샤브록(42), 샤버(44), 인사이드포머(46), 아웃사이드포머(48) 및 드라이버엔드(50)는 액셜전자부품(18)에 대하여 좌우대칭이므로, 왼쪽의 것만이 도시되고, 오른쪽의 것은 생략되어 있는데, 오른쪽의 것의 작용은 왼쪽의 것의 작용과 마찬가지이다.
제5도에 있어서, 전자부품(18)이 반송기어(40)에 의하여 소정의 삽입위치에 보내진 후, 전자부품(18)의 리드선(20)은 샤브록(42) 및 인사이드포머(46)에 의하여 유지되고, 전자부품(18)이 세트된다.
제6도에 있어서, 샤버(44), 아웃사이드포머(48) 및 드라이버엔드(50)는 일체로 되어서 화살표(1000)방향으로 하강하고, 샤브록(42),샤버(44)에 의하여 리드선(20)은, 소정 길이로 절단된다.
제7도에 있어서, 아웃사이드포머(48) 및 드라이버엔드(50)는 일체로 되어서 화살표(1002)방향으로 하강하고, 이에 의하여 인사이드포머(46)에 의하여 유지된 리드선(20)은 먼저, 아웃사이드포머(48)에 의하여 꺾어 구부려서 성형된다.
제8도에 있어서, 리드선(20)의 꺾어구부림이 완료되면, 인사이드포머(46)가 지면의 이면쪽으로 퇴거한다. 이에 의하여,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부품(18)의 리드선(20)은 아웃사이드포머(48) 및 드라이버엔드(50)에 의하여 유지되게 된다.
제9도에 있어서, 리드선(20)을 프린트기판(32)의 구멍(54)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아웃사이드포머(48) 및 드라이버엔드(50)는 일체로 되어서 화살표(1004) 방향으로 하강한다. 또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드선(20)이 프린트기판(32)의 구멍(54)에 삽입되기 이전에, 컷·클린치유닛(34)이 프린트기판(32)의 하면까지 상승하고 있다.
제11도에 있어서, 아웃사이드포머(48)는 프린트기판(32)의 약간 위쪽에서 정지하고, 드라이버엔드(50)만이 화살표(1006)방향으로 하강한다. 이에 의하여, 리드선(20)은 프린트기판(32)의 구멍(54)을 지나 컷·클린치유닛(34)의 고정나이프(56)의 구멍(58)에 들어간다. 이 컷·클린치유닛(34)은, 고정나이프(56)와, 이 고정나이프(56)의 표면상을 미끄럼동작이 가능한 가동나이프(60)로 되어 있다.
제12도에 있어서, 가동나이프(60)는 화살표(1008)방향으로 이동하여 리드선(20)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그후,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나이프(60)는, 또한 화살표(1010)방향으로 이동하여, 리드선(20)을 프린트기판(32)의 하면을 향하여 꺾어 구부린다. 또한, 고정나이프(56) 및 가동나이프(60)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서, 전자부품(18)은 프린트기판(32)에 삽입된다. 또한, 샤브록(42), 샤버(44), 인사이드포머(46), 아웃사이드포머(48) 및 드라이버앤드(50)는 일체로 되어서 도면의 좌우방향(제6도의 화살표 1012, 1014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것들과 동기하여서, 오른쪽의 샤브록, 샤버, 인사이드포머, 아웃사이드포머 및 드라이버엔드도 일체로 되어서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있으므로, 전자부품(18)의 삽입간격(제4도의 간격L)에 따라서, 좌우 삽입툴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공평 제3-1279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는, 상술한 액셜부품자동삽입장치에 점퍼와이어 자동 공급기구가 부가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이하,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를 설명한다.
제14도는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이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에 있어서는, 좌우 1쌍의 삽입툴부가 2조 설치되어 있고, 2개의 프린트기판에 대하여 동시에 점퍼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하에서는 그중의 1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좌측삽입툴부(100)의 지지부(104) 및 우측삽입툴부(102)의 지지체(106)는 볼나사(108)에 나사맞춤되어 있다. 볼나사(108)의 나사부(110),(112)에는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나사(108)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으로써, 좌측 삽입툴부(100)와 우측삽입툴부(10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또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좌우동기여 동일 길이만큼 이동한다.
볼나사(108)는, 서보모우터(114)에 의하여 회전되고, 서보모우터(114)는 제어부(116)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부(116)가 양 삽입툴부(100),(102)의 간격에 따라서 서보모우터(114)의 회전을 제어하고, 양 삽입툴부(100),(102)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좌측삽입툴부(100) 및 우측삽입툴부(102)는 각각 좌측삽입툴(118) 및 우측삽입툴(120)을 가지고, 보빈(122)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124)는 양 삽입툴(118),(120)에 보내지고, 이들 양 삽입툴(118),(120)에 의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되고, 꺾여 구부러지고, 프린트기판에 삽입된다.
와이더(124)를 좌측삽입툴(118)로부터 우측삽입툴(120)에 소정 길이만큼 보내기 위하여, 좌측삽입툴부(100)에는 구동롤러(126) 및 피동롤러(12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롤러(126)에는, 구동롤러(126)와 동축으로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이 기어가 기어(130)와 맞물리고있다. 기어(130)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롤러(126) 및 피동롤러(128)가 와이어(124)를 좌측삽입툴(118)로 보낸다.
양 삽입툴부(100),(102)의 중간에는, 센터가이드부(132)(제21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터가이드부(132)는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홈(186)에 있어서, 좌측삽입툴(118)로 부터 우측 삽입툴(120)에 보내지는 와이어(124)를 가이드하고, 와이어(124)의 보내기를 원활하게 하고 있다. 이 센터가이드부(132)는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항상, 양 삽입툴부(118),(12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와이어(124)를 보내기 위한 서보모우터(134)는, 버스라인(136), 점퍼와이어 인터페이스(138) 및 서보드라이버(140)에 의하여 제어되어 있고, 서보모우터(134)의 출력축(141)의 회전이 풀리(142), 타이밍벨트(144), 동축의 풀리(145) 및 풀리(146), 타이밍벨트(148)을 통하여 풀리(150)에 전달되고, 풀리(150)에 접속되어 있는 축(152)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하여, 축(152)과 접속되어 있는 축(154), 축(156) 및 축(158)이 A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술한 바와같이, 기어(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하여, 구동롤러(126) 및 피동롤러(128)가 회전하고, 와이어(124)가 보내진다.
축(152)과 축(154) 및 축(156)과 축(158)은 각각 유니버설조인트(160),(162)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축(154)과 축(156)과의 사이는 스플라인(164)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측삽입툴부(100)가 좌우로 이동하여도, 유니버설조인트(160),(162)및 스플라인(164)에 의하여, 서보모우터(134)의 회전은 확실히 기어(130)에 전달된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삽입툴(118)의 아래쪽에는 샤브록(166)이 배치되어 있다. 샤브록(166)에는 좌우방향으로 뻗는 관통구멍(188)이 형성되어 있고, 보빈(122)으로부터 보내져 온 와이어(124)는 이 관통구멍(188)을 지나, 센터 가이드부(132)의 홈(186)(제21도 참조)을 거쳐서, 우측삽입툴(120)로 보내진다
우측삽입툴(120)의 아웃사이드포머(48B)에는 그 바깥쪽에 와이어 선단 가이드(170)가 배치되어 있다.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와이어 선단 가이드(170)의 선단에는 홈(172)이 형성되어 있고, 보내져 온 와이어(124)의 선단은 홈(172)에 의하여 안내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는 기본적으로는, 보빈(122),구동롤러(126) 및 피동롤러(128), 점퍼와이어 인터페이스(138), 서보드라이버(140), 서보모우터(134), 서보모우터(134)로부터 구동롤러(126)까지의 동력전달기구 및 샤브록(166)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제15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좌우 양 삽입툴(118), (1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와이어(124)는 샤브록(166)의 관통구멍(188)으로부터 송출되고, 센터가이드부(132)에 가이드되며, 와이어 선단가이드(170)의 아래쪽에 도달한다.
제17도에 있어서, 좌측삽입툴(118)의 샤버(44A), 아웃사이드포머(48A) 및 드라이버엔드(50A)는 일체로 되어서 화살표(2036) 방향으로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우측삽입툴(120)의 와이어 선단가이드(170), 아웃사이드포머(48B) 및 드라이버엔드(50B)는 일체로 되어서 화살표(2038)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에 의하여, 샤브록(166) 및 샤버(44A)가 와이어(124)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와이어(124)의 선단을 와이어 선단가이드(170)의 홈(172)에 의하여 유지한다.
이어서, 제18도에 있어서, 좌우 양 삽입툴(118),(120)의 아웃사이드포머(48A), (48B) 및 드라이버엔드(50A),(50B)가 각각 일체로 되어서 화살표(2040), (2042)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에 의하여, 인사이드포머(46A),(46B)에 의하여 유지된 점퍼와이어(190)(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124)는 아웃사이드포머(48A),(48B)에 의하여 꺾여 구부려진다.
또한, 제17도로부터 제18도 까지의 사이에, 센터가이드부(132)도 샤버(44A) 및 와이어 선단가이드(170)와 동일 스트로크로 하강 하는데, 센터가이드부(132)의 홈(186)은,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방향으로 긴 홈으로 되어 있으므로, 와이어(124)에 대해서의 릴리프로 되어 있다. 또, 홈(186)의 하단에는 끝이 넓어진 테이퍼(186A),(186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테이퍼(186a),(186b)는 센터가이드부(132)가 하강할 때에, 와이어(124)의 선단을 와이어 선단가이드(170)의 홈(172)의 바로 아래에 인도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점퍼와이어(190)의 꺾어 구부림이 완료되면,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사이드포머(46A),(46B)가 지면의 이면쪽으로 퇴거한다. 이에 의하여, 점퍼와이어(190)는, 좌우 1쌍의 아웃사이드포머(48A),(48B) 및 드라이버엔드(50A),(50B)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후, 드라이버엔드(50A),(50B)가 하강하여, 꺾여 구부려진 점퍼와이어(190)는 프린트기판(32)의 구멍(54)에 삽입된다. 이어서, 상술한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린트기판(3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점퍼와이어(190)의 부분을 컷·클린치유닛(34)이 절단하고, 프린트기판(32)의 하면을 향하여 꺾어 구부린다.
이상과 같이,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에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부가한 것과 대략 같다. 다른 것은, 우측삽입툭(120)에 있어서는, 와이어(124)의 절단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우측삽입툴(120)에서는 샤버 대신에 와이어 선단가이드(170)가 설치되어 있는 점과, 와이어(124)의 안내유지를 위한 센터가이드부(132)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점퍼와이어를 공급한 후의 점퍼와이어의 절단,유지,꺾어 구부리기, 삽입의 각 작동은 상술한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와 같다.
일본국 특공평 3-12796 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는, 상술한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에 떼내기 자유롭게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부착하고,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 뿐 아니라, 보빈에 감긴 점퍼와이어(즉, 미리 일정길이로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점퍼와이어)를 직접 프린트기판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 장치에서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부착한 경우에는, 점퍼와이어의 삽입밖에 할 수 없고,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을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떼낼 필요가 있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과, 보빈에 감긴 점퍼와이어의 쌍방을 프린트기판에 장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의 부착 및 탈거를 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때문에, 효율적인 액셜부품 삽입 작업을 할 수 없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에 비추어서 하게된 것이며, 액셜부품 자동삽입 장치에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부착한 상태대로,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 부품의 프린트기판으로의 삽입과, 보빈에 감긴 점퍼와이어의 프린트기판으로의 삽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계된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는,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와,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는 서로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된 좌측 및 우측의 삽입툴부를 가지고, 이들 좌측 및 우측의 삽입툴부가, 연속적으로 보내져 오는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을 그 양단에 있어서 절단하고, 꺾어 구부리고, 기판에 삽입하는 것이며,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는, 좌측, 및 우측의 삽입툴 중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점퍼와이어를 보내는 것이다.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에 의하여 보내진 점퍼와이어는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에 의하여 기판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장치에 사용되는 테이프는, 액셜부품을 그 양단에 있어서 지지하고 있는 제1영역과, 아무것도 지지하고 있지 않은 제2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삽입장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수단은, 테이프의 제1영역이 보내져 왔을 때에는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를 작동시키고, 제2영역이 보내져 왔을 때에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 및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테이프의 제1영역은 액셜부품 상호간의 간격이 간격X로 지지되어 있는 영역이며, 제2영역은, 간격 NX(N은 2이상의 정수)로 지지된 액셜부품의 사이의 영역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제어수단은, 테이프의 제2영역이 보내져 왔을 때에는, 이 테이프의 반송을 정지시키고, 그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점퍼와이어를 기판에 삽입시키도록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 및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블록부재가 마련된다. 이 블록부재는,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상면과,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의 절단기구를 안내하는, 수직방향으로 뻗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측면에는 삽입툴을 향하여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점퍼와이어는 이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삽입툴로 보내진다.
액셜부품을 프린트기판에 삽입할 경우에는, 테이프의 제1영역이 좌우 1쌍의 삽입툴로 보내지고, 제어수단은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를 작동시키고, 액셜부품을 프린트기판에 삽입한다.
테이프가 순서대로 보내지고, 제1영역에 계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제2영역이 삽입툴로 보내지면, 제어수단은,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작동시켜, 점퍼와이어를 삽입툴로 보낸다. 이 경우, 테이프의 제1영역과 달리, 제2영역에는 아무것도 지지되어 있지 않고, 빈 상태이기 때문에, 인사이드 포머상에는 아무것도 지지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와이어가 한쪽의 삽입툴로부터 다른쪽의 삽입툴에 보내지더라도, 와이어는,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과 간섭하는 일은 없고, 인사이드 포머상에 도달한다.
이어서, 제어수단은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를 작동시켜, 보내져 온 와이어의 절단, 유지, 꺾어 구부리기, 프린트기판으로의 삽입, 프린트기판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와이어의 절단 및 꺾어 구부리기를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의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복수개의 액셜부품이 접착테이프에 의하여 정렬하여 테이핑된 전자 부품대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삽입툴을 아래쪽에서 본 상태의 외관도이다.
제4도는 아웃사이드포머 및 드라이버엔드에 의하여 전자부품의 리드선을 프린트기판의 구멍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5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6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7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8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9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0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1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2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3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4도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15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6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7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8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9도는 삽입툴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20도는 와이어선단가이드의 측면도이다.
제21도는 센터가이드부의 측면도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퀀스테이프의 평면도이다.
제23도는 액셜부품 삽입시의 삽입툴을 아래쪽에서 본 상태의 외관도이다.
제24도는 제23도의 상태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제25도는 점퍼와이어 삽입시의 삽입툴을 아래쪽에서 본 상태의 외관도이다.
제26도는 제25도의 상태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제2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28도는 반송기어를 정지시키는 기구의 사시도이다.
제29도는 샤브록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제22도 내지 제28도에 본 발명에 따른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에, 상술한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다. 단,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에 설치되어 있던 센터가이드(132)는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되어있지 않다. 또한, 상술한 액셜부품 자동 삽입장치 및 자동공급기구와 같은구성요소는 같은 부호로써 나타낸다.
제22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퀀스테이프(200)의 평면도이다. 시퀀스테이프(200)는, 프린트기판으로의 삽입순서를 따라서, 제22도의 아래쪽으로부터 순번으로, 액셜부품(202A),(202B),(202C),(202D),(202E)을 그 양단부에 있어서 접착테이프(204)에 접착시킴으로써 유지하고 있다. 각 액셜부품 상호간의 간격은 일정하고, 등간격(X)으로 설정되어 있다.
단, 액셜부품(202B)과 액셜부품(202C)과의 사이의 간격은 2X로 설정되어있다. 즉, 이 영역에서는,액셜부품이 1개 띄어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샤브록(42A)은, 상술한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에 있어서의 샤브록(42)과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에 있어서의 샤브록(166)의 쌍방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제29도는 샤브록(42A)의 사시도이다. 제2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샤브록(42A)은 수평면내에 위치하는 상면(41)과 상면(41)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면(41A)과, 수직면내에 위치하는 상면(41)과 상면(41)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면(41A)과, 반송기어(40)에 의하여 보내져 온 액셜부품(202A) 내지 (202E)의 왼쪽의 리드선은 샤브록(42A)의 상면(41)상에서 지지된다. 샤버(44A)는 샤브록(42A)의 측면(43)을 따라서 안내되면서 하강하고, 액셜부품의 왼쪽의 리드선을 절단한다.
또한, 샤브록(42A)에는, 샤브록(42A)을 좌우로 관통하는 관통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45)은 측면(43)과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측면(43A)로부터 면(41A)까지 뻗고, 다시 측면(43)까지 직선형상으로 뻗어 있다. 관통구멍(45)은 수평선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고 약간 위쪽을 향하여 뻗어 있다.
보빈(122)에 감긴 점퍼와이어(124), 또는 코어에는 감기지 않고, 단순히 용기내에서 고리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의 점퍼와이어(124)가 상술한 구동롤러(126) 및 피동롤러(128)에 의하여, 관통구멍(45)을 지나서, 삽입툴에 보내진다.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퀀스테이프(200)은, 삽입툴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1쌍의 반송기어(40)(제23도에서는 1개만 도시)에 의하여 좌우 1쌍의 삽입툴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툴에 보내진다. 시퀀스테이프(200)에 지지된 액셜부품이 좌우 1쌍의 인사이드포머(46A),(46B) 및 샤브록(42A), (42B)에 의하여 지지되면, 반송기어(40)가 정지하고,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S)(제27도 참조)가 작동한다. 이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그 액셜부품이 프린트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다. 이와같이 하여서, 액셜부품(202A),(202B)은 연속적으로 프린트기판에 삽입된다.
액셜부품(202B)의 프린트기판으로의 삽입이 종료하고, 또한, 시퀀스테이프(200)가 1피치 보내지면, 제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사이드포머(46A), (46B) 및 샤브록(42A),(42B)상에는, 시퀀스테이프(200)의 부분(208)(제22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위치한다. 이 시퀀스테이프(200)의 부분(208)은 액셜부품(202B)과 액셜부품(202C)의 중간위치에 있는 부분이며, 반송기어(40)는 이 위치에서 정지한다.
액셜부품의 삽입순서는,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S)와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U)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6)에 격납되어 있는 삽입순서프로그램(207)에 미리 입력되어 있다. 컨트롤러(206)는, 반송기어(40)가 시퀀스테이프(200)의 부분(208)에 있어서 정지한 것을 검지하면, 삽입순서프로그램(207)을 따라서 점퍼와이어를 삽입할 순서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고,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U)를 작동시킨다.
제2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사이드포머(46A),(46B) 및 샤브록(42A),(42B)상에는 아무것도 지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샤브록(42A)의 관통구멍(45)을 거쳐서 보내져 온 와이어(124)는 시퀀스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과 간섭하는 일 없이, 인사이드포머(46A),(46B)상에 도달한다.
컨트롤러(205)는 서보모우터(134)의 회전을 제어하고, 와이어(124)의 선단(124A)이 우측 삽입툴(120)의 샤버(44B)의 바로 아래에 도달하도록 와이어(124)를 보낸다. 즉, 와이어(124)는 샤버(44B)를 넘어서 보내지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하여서, 와이어(124)가 삽입가능한 상태로 세트되면, 컨트롤러(206)는 좌우 1쌍의 삽입툴(118),(120)을 하강시킨다.
우측삽입툴(120)의 샤버(44B)의 선단에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홈(172)이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124)의 선단(124A)은 하강하여 오는 샤버(44B)의 홈(172)에 안내되면서 인사이드포머(46B)에 밀려진다.
이후는, 상술한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와이어(124)의 절단 및 꺾어 구부리기가 행하여지고, 점퍼와이어(190)로서 프린트기판에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와이어(124)의 선단(124A)은 우측삽입툴(120)의 샤버(44B)에는 도달하고 있지 않으므로, 샤버(44B)가 와이어(124)를 절단하는 일은 없고, 좌측 삽입툴(118)의 샤버(44A)만이 와이어(124)의 절단을 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와이어(124)를 헛되히 절단하는 부분을 없애고, 또한 샤버(44B)의 사용빈도를 적게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하여서, 점퍼와이어(190)의 장착이 완료되면, 컨트롤러(206)는 반송기어(40)를 회전시키고, 시퀀스테이프(200)를 진행시킨다. 이후, 컨트롤러(206)는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S)를 작동시키고, 액셜부품(202C),(202D),(202E)을 프린트기판(32)의 구멍(54)에 삽입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퀀스테이프(200)의 부분(208)이 인사이드포머(46A),(46B) 및 샤브록(42A),(42B)상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에, 보빈(122)으로부터 와이어(124)를 1회분만 보내고, 프린트기판(32)에 장착하였으나, 이 경우, 와이어(124)의반송을 M회(M은 2이상의 정의 정수)되풀이하고, M 개의 점퍼와이어(190)를 프린트기판(32)에 장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작업효율을 고려하여, 이와같은 장착방법이 채용된다. 이 경우에는, 컨트롤러(206)가 반송기어(40)를 정지시켜 놓음으로써, 시퀀스테이프(200)의 부분(208)을 인사이드포머(46A),(46B) 및 샤브록(42A),(42B)상에 위치시켜 놓고, 그 사이에, 점퍼와이어(190)의 프린트기판(32)으로의 장착이 M회 되풀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셜부품(202B)과 액셜부품(202C)과의 사이의 간격을 2X로 설정한 시퀀스테이프(200)를 사용하였으나, 간격을 LX(L은 3이상의 정수)로 설정한 시퀀스테이프(20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컨트롤러(2106)는, 액셜부품(202B)과 (202C)와의 사이에서 반송기어(40)를 정지시킬 필요는 없고, 시퀀스테이프(200)는 1피치 마다 보내진다.이 사이에, 컨트롤러(206)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U) 및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S)를 계속 작동시키고,(L-1)개의 점퍼와이어(190)를 프린트기판에 삽입시킨다.따라서, K 개(K는 1이상의 정수)의 점퍼와이어를 삽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 점퍼와이어를 삽입할 순번에 따라 시퀀스테이프(200)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의 액셜부품 상호간의 간격을 (K+1)X로 설정하여 두면 좋다.
제28도는, 점퍼와이어(190)를 프린트기판에 삽입할 때에, 반송기어(40)를 정지시키는 기구의 일예를 나타낸다.
좌측삽입툴(118) 및 우측삽입툴(120)은 축(220)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추동부재(樞動部材)(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추동부재의 추동에 따라서 상하운동하고, 상술한 바와같은 액셜부품의 프린트기판으로의 삽입작업을 한다. 축(220)에는 아암(222)이 고정되어 있고, 아암(222)은 추동부재의 추동에 따라서, 화살표(224)의 방향으로 추동운동을 한다. 아암(222)의 선단은 박스(226)에 접촉하고 있다. 박스(226)의 바깥쪽 표면에는 슬롯(228)이 형성되어 있고, 아암(222)의 선단은 이 슬롯(228)내를 자유롭게 미끄럼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박스(226)에는 스프링(230)이 내장되어 있고, 아암(222)의 선단을 아래방향으로 힘을 부가하고 있다.
아암(222)의 추동운동은 박스(226)을 통하여 직선운동으로서 셔프트(232)에 전달된다. 셔프트(232)의 한 끝단에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로드엔드(232A)에 전달된다. 셔프트(232)의 한 끝단에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로드엔드(232A)가 부착되어 있고, 로드엔드(232A)는, 커넥팅핀(234)을 통하여, 1방향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는 레버(235)와 접속하고 있다. 레버(235)의 선단에는 기어(40A)가 지지되어 있고, 이 기어(40A)가 시퀀스테이프(200)를 보내는 반송기어(40)를 구동한다(제28도에 있어서는, 반송기어(40)는 보이지 않는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추동부재(도시하지 않음) 나아가서는 아암(222)의 추동운동을 1회 왕복할 때마다, 기어(40A)가, 1방향 클러치의 작용에 의하여 1방향으로만, 1피치식 보내진다. 이에 의하여, 양 삽입툴(118),(120)의 상하운동과 연동하여,반송기어(40)에 의하여 액셜부품이 1개씩 보내진다.
로드엔드(232A)에 대향해서 신축이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실린더부재(236)가 배치되어 잇다. 실린더부재(236)는, 제2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축상태에 있을 때는 로드앤드(232A)와는 맞닿지 않으나, 실린더부재(236)가 신장하면 로드엔드(232A)에 맞닿고, 셔프트(232), 커넥팅핀(234), 레버(235) 및 기어(40A) 나아가서는 반송기어(40)의 움직임이 정지된다.
실린더부재(236)의 신축은 컨트롤러(206)에 의하여 제어된다. 점퍼와이어(190)를 삽입하기 위하여 반송기어(40)를 정지시켜야 할 경우에는, 컨트롤러(206)는 실린더부재(236)를 신장시키고, 로드엔드(232A)에 맞닿게 한다.
이 사이에, 상술한 바와같이, 점퍼와이어(190)의 프린트기판(32)으로의 삽입이 행하여 진다.
또한, 실린더부재(236)를 신장시킴으로써 반송기어(40) 나아가서는 셔프트(232)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고 있는 사이에 있어서도, 아암(222)은 계속해서 움직일 필요가 있으나, 아암(222)의 선단은 슬롯(228)내를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므로, 실린더부재(236)의 신장에 의하여 아암(222)의 움직임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시퀀스테이프에는 제1영역과 제2영역(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셜부품(202B)과 (202C)와의 사이의 부분(208)을 포함하는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제1영역에 있어서는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 제2영역에 있어서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 및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가 각각 작동된다. 이 때문에, 액셜부품 자동삽입장치에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부착한 상태대로, 시퀀스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의 프린트기판으로의 삽입과, 보빈에 감긴 점퍼와이어의 프린트기판으로의 삽입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액셜부품 또는 점퍼와이어의 어느것을 삽입하는가에 따라서,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부착 또는 탈거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수고를 덜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서로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된 좌측 및 우측의 삽입툴부를 가지고, 이 좌측 및 우측의 삽입툴부가, 연속적으로 보내져 오는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을 그 양단에서 절단하고, 꺾어 구부리고, 기판에 삽입하는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와,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삽입툴 중의한편에서 다른편으로 점퍼와이어를 보내는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를 구비하고, 이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에 의하여 보내진 점퍼와이어는 상기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에 의하여 상기 기판에 삽입되고, 상기 테이프는, 액셜부품을 그 양단에서 지지하고 있는 제1영역과, 아무것도 지지하고 있지 않은 제2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테이프의 제1영역이 보내져 온 때에는 상기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를 작동시키고, 상기 테이프의 제2영역이 보내져 온 때에는 상기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 및 상기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제1영역은, 액셜부품 상호간의 간격이 간격 X로 지지되어 있는 영역이며, 상기 테이프의 제2영역은, 간격 NX(N은 2이상의 정수)로 지지된 액셜부품의 사이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테이프의 제2영역이 보내져 온 때에는, 상기 테이프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그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점퍼와이어를 상기 기관에 삽입시키도록 상기 점퍼와이어 자동공급기구 및 상기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상면과, 상기 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의 절단기구를 안내하는, 수직방향으로 뻗는 측면을 가지는 블록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에는 상기 삽입툴을 향하여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퍼와이어는 이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툴에 보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에 지지된 액셜부품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상면과, 상기액셜부품 자동삽입기구의 절단기구를 안내하는, 수직방향으로 뻗는 측면을 가지는 블록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에는 상기 삽입툴을 향하여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퍼와이어는 이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툴에 보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KR1019940703203A 1994-05-10 1994-05-10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KR0180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4/000752 WO1995031088A1 (fr) 1994-05-10 1994-05-10 Dispositif automatique d'insertion de pieces axiales et de fils de connex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946A KR960700946A (ko) 1996-02-24
KR0180760B1 true KR0180760B1 (ko) 1999-05-15

Family

ID=1409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203A KR0180760B1 (ko) 1994-05-10 1994-05-10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80760B1 (ko)
WO (1) WO19950310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537B1 (ko) * 2005-06-20 2007-05-11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포터인터럽터의 광소자 삽입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2950C (zh) * 2004-12-31 2009-01-14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跳线开关自动组装机
CN116387222B (zh) * 2023-04-27 2024-01-02 先之科半导体科技(东莞)有限公司 具有自动定位机构的二极管加工用插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198A (ja) * 1983-10-03 1985-04-30 株式会社東芝 被搭載用部品の自動插入装置
JPS60108238A (ja) * 1983-11-14 1985-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ヤンパ−線插入装置
JPS621380U (ko) * 1985-06-19 1987-01-07
JPH0377500U (ko) * 1989-11-30 1991-08-0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537B1 (ko) * 2005-06-20 2007-05-11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포터인터럽터의 광소자 삽입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946A (ko) 1996-02-24
WO1995031088A1 (fr) 199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9255B (zh) 自动焊锡机器人
CN102069254A (zh) 自动焊锡机器人的焊锡系统
US5628107A (en) Electronic parts-mounting apparatus
US20030184250A1 (en) Motor drive, motor drive control method, and component attaching device
US4461061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wire to insulation displacement-type contacts
JP2016086038A (ja) リード切断方法、リード切断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KR0180760B1 (ko) 액셜부품 및 점퍼와이어 자동삽입장치
EP0365679A1 (en) Initial hole machining unit for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s
JP4981426B2 (ja) ボンディング装置のボンディングヘッド
US4621406A (en) Electronic component insertion apparatus
CN102843873A (zh) 一种多功能异型贴片机贴装头装置
JP2559963B2 (ja) アキシャル部品及びジャンパーワイヤー自動挿入装置
JP3541618B2 (ja) 放電加工による曲がり穴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059910A (ja) 光ファイバ布線装置と光ファイバ布線方法
EP0751702A1 (en) Tape feeder
JP5645648B2 (ja) はんだ供給装置
JPH1187991A (ja) チップ型テーピングの自動段取り装置
EP0118629B1 (en) Electronic component insertion apparatus
KR20000073352A (ko) 반도체장치
JP2000114789A (ja) 表面実装機
JP2002354762A (ja) コイルの巻線装置および巻線方法
JPH0312796B2 (ko)
EP06077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ping electronic parts
EP07837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a luminous indicator board with optical fibre
US4696424A (en) Jumper wire inser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