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405B1 -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405B1
KR0180405B1 KR1019960068506A KR19960068506A KR0180405B1 KR 0180405 B1 KR0180405 B1 KR 0180405B1 KR 1019960068506 A KR1019960068506 A KR 1019960068506A KR 19960068506 A KR19960068506 A KR 19960068506A KR 0180405 B1 KR0180405 B1 KR 018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driver
view
speed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757A (ko
Inventor
한성준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4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10)와, 운전자 눈이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CCD카메라(20)와, 상기 차속 감지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CCD 카메라(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차속 이상에서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 전면 유리 상에서 운전자 시야에 해당하는 위치에 빛을 투사하는 조명 투사장치(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동차 고속 주행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는 경우, 해당하는 속도에 따라 자동차 전면 유리에 조명을 적절히 투사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넓혀 주고 고속 주행임을 운전자가 자각할 수 있도록 하는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이 발명은 자동차 고속 주행시, 속도에 따라 자동차 전면 유리에 조명을 투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저속으로 주행할 때에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차 전면 유리에 보여지는 시야가 넓어서, 유사시 돌발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속도가 저속이고, 운전자의 시야가 넓으므로 운전자가 즉시 발견할 수 있게 되어, 즉시로 운전자가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고속으로 주행할 때에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게 되어, 전방의 집중된 위치에서만 시선이 몰입하게 되어, 운전자의 감각이 저하되고, 속도감을 상실하여 점점 가속하는 경우가 있다.
그에 따라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자의 시야가 전방 쪽으로 좁아지게 되며, 속도에 대한 시야의 관계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된다.
그런데, 고속 주행에 따라 시야가 좁아지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의 속도감이 없기 때문에 유사시 돌발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에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고, 운전자의 시야에 들러오더라도 차속이 워낙 빨라져서 대처할 만한 시간을 갖지 못하여 사고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고속 주행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는 경우, 해당하는 속도에 따라 자동차 전면 유리에 조명을 적절히 투사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넓혀주고 고속 주행임을 운전자가 자각할 수 있도로 하는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저긴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수단과;
운전자 눈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그에 다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시야 변동 감지수단과;
상기 차속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시야 변동 감지수단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차속 이상에서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 전면 유리 상에서 운전자 시야에 해당하는 위치에 빛을 투사하는 조명 투사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차속을 판독하여 제1기준 차속 이상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속이 제1기준 차속 이상인 경우, 차속에 따른 시야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운전자 눈 위치 신호를 판독하여 그에 따른 투사 각도를 산출하여 조명 투사 제어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 경과 후, 차속을 판독하여 제2기준 차속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속이 제2기준 차속 이상인 경우, 차속에 다른 시야각 산출 단계로 돌아가는 단계와;
상기 차속을 판독하여 재2기준 차속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속이 제2기준 차속 미만인 경우, 조명 투사 제어를 중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는 시야가 넓은 상태에서의 운전석에서의 시야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2도는 시야가 넓은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시야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제3도는 시야가 좁은 상태에서의 운전석에서의 시야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4도는 시야가 좁은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시야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제5도는 운전자 눈의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6도는 운전자 위치의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7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장치를 적용한 블록도이고,
제8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방법을 적용한 동작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10)와 운전자 눈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CCD(Charge Doupled Device) 카메라(camera, 20)와 상기 차속 감지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CCD 카메라(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차속 이상에서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 전면 유리 상에서 운전자 시야에 해당하는 위치에 빛을 투사하는 조명 투사장치(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차속 감지부(10)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CCD 카메라(20)는 운전자 눈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그에 다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5도에서 보듯이, 시야가 좁아짐에 따라 운전자의 머리가 앞으로 전진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 CCD 카메라(20)에서 그것을 감지하여 출력한다.
또, 제6도에서 보듯이, 운전자 몸 전체가 앞으로 전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CCD 카메라(20)에서 그 이동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상기 차속 감지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CCD 카메라(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차속 이상에서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상기 CCD 카메라(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제5도와 제6도의 경우가 비록 운전자의 눈 위치의 변동은 같지만, 제5도는 운전자의 머리 부분만 이동하였고, 제6도는 운전자의 몸 전체가 이동하였으므로, 제어부(30)는 그것을 구분하여 각각의 상황에 맞는 투사 각도를 제어한다.
조명 투사장치(40)는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 전면 유리 상에서 운전자 시야에 해당하는 위치에 빛을 투사한다.
상기 제어부(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30)는 우선 상기 차속 감지부(10)로부터 출력되는 차속을 판독하여(S10), 그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기준 차속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에서, 제1기준 차속은 시속 60킬로미터로 하고, 상기 단계(S20)에서 판독된 차속이 제1기준 차속 이상인 경우, 제어부(30)는 차속에 따른 운저자의 시야각을 산출한다(S30).
그리고 나서, 제어부(30)는 상기 CCD 카메라(20)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자 눈 위치 신호를 판독한다(S40).
그리고, 상기 단계(S40)에서 판독된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눈 위치가 어떻게 이동하였는지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른 투사 각도를 산출하며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다(S50).
상기 표 1에서 L은 운전자와 전면 유리창과의 거리이다.
제어부(30)는 상기 단계(S50)에서 산출된 투사 각도에 따라 차량 전면 유리창에 조명을 투사하는 신호를 상기 조명 투사장치(40)로 출력한다(S60).
조명 투사장치(40)는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 전면 유리창에서 운전자의 시야에 해당하는 지점에 조명을 투사한다.
제어부(30)는 상기 단계(S60) 이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일정한 시간만큼 경과한 후(S70), 다시 상기 차속 감지부(10)로부터 출력되는 차속을 판독하여(S80), 그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기준 차속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
상기에서 제2기준 차속은 시속 50킬로미터 정도로 설정하며, 상기 단계(S90)에서 판독된 차속이 제2기준 차속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조명 투사 제어를 계속해야 하므로, 다시 차속에 따른 시야각을 산출하는 단계(S30)로 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차속을 판독하여 제2기준 차속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90)에서 차속이 제2기준 차속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운전자에 의하여 차속이 떨어졌으므로 조면 투사 제어를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제어부(30)는 조명 투사를 중지하는 신호를 출력한다(S100).
그에 따라 조명 투사장치(40)는 차량 전면 유리에 투사하는 조명을 오프(off)시킨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운전자 시야를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가 돌발 사태에 대처할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기준 차속을 제1기준 차속인 시속 60킬로미터보다 작은 시속 50킬로미터로 설정한 것은 차속이 제1기준 차속인 시속 60킬로미터 부근에서 조금씩 증감되는 경우에 조명 투사장치(40)의 동작이 너무 짧은 시간에 온/오프를 반복함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은, 자동차 고속 주행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는 경우, 해당하는 속도에 따라 자동차 전면 유리에 조명을 적절히 투사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넓혀 주고 고속 주행임을 운전가가 자각할 수 있기에 과속 및 운전자 신체 감각 저하에 다른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수단과; 운전자 눈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시야 변동 감지수단과; 상기 차속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시야 변동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차속 이상에서 운전자 눈의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 전면 유리 상에서 운전자 시야에 해당하는 위치에 빛을 투사하는 조명 투사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야 변동 감지수단은 CCD 카메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장치.
  3. 차속을 판독하여 제1기준 차속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속이 제1기준 차속 이상인 경우, 차속에 따른 시야각을 산출하는 단계와; 운전자 눈 위치 신호를 판독하여 그에 다른 투사 각도를 산출하여 조명 투사 제어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 경과 후, 차속을 판독하여 제2기준 차속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속이 제2기준 차속 이상인 경우, 차속에 따른 시야각 산출단계로 돌아가는 단계와; 상기 차속을 판독하여 제2기준 차속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속이 제2기준 차속 미만인 경우, 조명 투사 제어를 중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방법.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 차속은 제2기준 차속보다 큰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 방법.
KR1019960068506A 1996-12-20 1996-12-20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018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506A KR0180405B1 (ko) 1996-12-20 1996-12-20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506A KR0180405B1 (ko) 1996-12-20 1996-12-20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757A KR19980049757A (ko) 1998-09-15
KR0180405B1 true KR0180405B1 (ko) 1999-04-01

Family

ID=1948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506A KR0180405B1 (ko) 1996-12-20 1996-12-20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455A (ja) 2003-12-26 2005-07-14 Tdk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75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8646B2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EP1142757B1 (en) Automatic headlight aiming device for vehicles
US20180018939A1 (en) Display system replacing side mirr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brightness thereof
WO2019244045A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having automatic adjustment responsive to eye-tracking
JP2007246060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4337131B2 (ja) 移動体制御装置
KR0180405B1 (ko) 차속에 유동적인 운전자 시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01088574A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JP2001008195A (ja) 車両後方監視装置
JP3476221B2 (ja) 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2013060108A (ja) 前照灯制御装置
JP2019073073A (ja) 画像処理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H0769096A (ja) 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H0789366A (ja) 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2018122736A (ja) 車両用照明の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US20040210369A1 (en) Automatic optical axis direction adjusting device for vehicle headlight
JP5656512B2 (ja) 配光制御装置
JP3028261B2 (ja) 車両の安全装置
JPH08268156A (ja) 車両後方確認装置
KR20060072268A (ko)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선바이저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JPH02189245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KR20180065547A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789364A (ja) 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2003054311A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DE19807065C2 (de) Verfahren zur Steuerung von Funktionen mobiler Syst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