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372B1 -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372B1
KR0180372B1 KR1019930020507A KR930020507A KR0180372B1 KR 0180372 B1 KR0180372 B1 KR 0180372B1 KR 1019930020507 A KR1019930020507 A KR 1019930020507A KR 930020507 A KR930020507 A KR 930020507A KR 0180372 B1 KR0180372 B1 KR 018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mber
upper arm
double wishbone
wishbon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155A (ko
Inventor
전동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372B1/ko
Publication of KR95001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60G2204/1432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by vertical bolts or stu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2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for fixing suspension arm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에서 캠버의 조정작업이 용이하고, 조정후의 상태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변동되는 일이 없게 하고자, 새시 프레임(2)의 브라케트(4)에 상부아암(14)의 종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체결수단(18)을, 상기한 브라케트(4)의 길이방향으로 뚫려진 관통공(8)의 중심과 편심되는 위치로 각각 소정 직경의 축공(12a)(12b)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디스크부재(10a)(10b)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이들 디스크부재(10a)(10b)를 브라케트(4)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6)로 긴밀하게 삽입 장착시켜서 이들 디스크부재(10a)(10b)의 회동에 의해 상기한 체결수단(18)의 축 지지위치가 이동 조절되게 한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Description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합한 체결수단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버 조정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4a도는 종래 예의 하나로서 시임 조정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4b도는 종래 예의 하나로서 편심륜 조정식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브라케트 6 : 가이드
8 : 관통공 10a, 10b : 디스크 부재
12a, 12b : 축공 14 : 상부아암
16a, 16b : 부싱 18 : 체결수단
V1 : 제1단 V2 : 제2단
V3 : 제3단
본 발명은 차량의 전륜 및 후륜 현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에 있어서 캠버와 캐스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 조정된 캠버와 캐스터가 쉽게 변화되지 않게 한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륜 정렬 요소는 캠버, 캐스터, 토우인, 킹핀 경사각, 선회시 토우아우트 등이 있으며, 이들 정렬 요소는 상호 보완작용을 통해 조향핸들의 조작력을 경감시키고, 차체의 안전성을 부여하며, 조향핸들에 복원성을 주고 타이어의 마모를 줄여 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전륜 정렬 요소중에서 캠버는 지면과 접하는 차륜의 트레드 중심선이 지면에 대한 수직선과 이루는 경사각으로 차량 선회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때 차륜의 중심선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바깥에 위치하면 정 캠버라 하고, 안쪽에 위치하면 부 캠버라 칭하고 있다.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는 토우, 캠버 등의 휠 지오메트리 설정 자유도가 높아 고급차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휠 지오메트리 설정 자유도는 좋지만 초기 휠 얼라인먼트 변화도 많이 생겨 차량 특성의 균일성에 문제가 있다. 품질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휠 얼라인먼트의 초기 조정이 꼭 필요하다.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에 관련된 종래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a도는 시임 조정식의 현가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새시프레임(F)으로 연결되는 상부아암(U)과 하부아암(L)을 보유하는 전륜(T)의 현가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아암(U)은 새시프레임(F)의 브라케트(B)로 체결 부착되는 장착판(M)을 개재하여 연결되며, 이 장착판(M)에 의해 상부아암(U)은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됨과 동시에 브라케트(B)와 상기한 장착판(M) 사이로 끼워지는 시임(S)의 두께에 따라 켐버 조절이 행해져서 전륜(T)의 상부와 새시프레임(F)과의 배치간격을 증감시켜 주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조정작업의 정밀도가 낮고 또 단순치 않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시임(S)의 두께는 1.5mm로 정해져 있는데 조정에 필요한 값이 3.5mm이라면 2장의 시임(S)을 개재시켜도 0.5mm의 오차를 안게 된다. 게다가 여러개의 시임(S)을 체결볼트에 끼워 개재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지 않다.
제4b도는 편심륜 조정식의 현가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새시프레임(F)의 브라케트(B)와 상부아암(U)의 종단부 사이는 편심륜(W)을 개재한 체결볼트(V)에 의해 연결되고, 또 편심륜(W)은 가이드(G)로 안내되어서 그 회동위치에 따라 상부아암(U)을 새시프레임(F)쪽으로 끌어 당기거나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캠버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심륜 조정식은 캠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 구조에서 편심륜(W)은 체결볼트(V)의 힘에 의존하여 조정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을 뿐이므로 노면의 충격을 받게 되면 가이드(G)의 내부에서 체결볼트(V)를 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수가 생긴다. 이러한 편심륜(W)의 회동은 캠버의 변화로 나타나게 되며, 2개의 캠볼트를 각각 조정해야 하는 불편한 점과 2개 캠볼트의 조정량이 다를 때 어퍼 아암의 부시가 이 회전축에 대해 찌그러짐이 생겨 승차감에 악역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독립적인 편심륜 정식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캠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노면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게 체결 고정되는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새시 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케트의 양측면으로 가이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에 디스크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시킨 구성으로 된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브라케트의 길이방향으로 뚫려진 광통공의 중심과 편심되는 위치로 각각 소정 직경의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디스크부재와, 상기한 상부아암의 한쪽 부싱이 관통 지지되는 제1단과, 상기한 한쪽 디스크부재의 축공을 경유하여 브라케트에 관통 지지되는 제2단, 그리고 상기한 다른 쪽 디스크부재의 축공을 경유하여 상기한 상부아암의 다른쪽 부싱을 관통지지하는 제3단으로 형성되고, 이들 각 단의 직경이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를 제안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브라케트의 양 가이드는 그 내경이 대응하는 각 디스크부재의 외경에 긴밀하게 일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수단의 각 단은 그 외경이 종단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부아암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부싱의 내경도 대응하는 체결수단의 외경에 합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새시 프레임과 상부아암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수단이 디스크부재의 축공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이므로 가이드의 내측에서 디스크부재를 강제로 회동시켜 주면 축공의 위치가 변화하여 상기한 새시 프레임과 상부아암 사이의 연결점이 위치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캠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수단을 죄어 붙이면 디스크부재가 가이드의 내부로 긴밀하게 끼워져서 브라케트의 양 측면과 밀착하게 되므로 외부의 충격을 받더라도 디스크부재가 영향을 받아 움직여지는 일이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에서 새시프레임은 부호(2)로 표기되어 있다.
새시프레임(2)의 브라케트(4)는 그 양단부측에 원형상으로 된 가이드(6)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이 가이드(6)의 내측에는 브라케트(4)의 길이방향에 따라 관통공(8)이 뚫려져 있다.
상술한 원형상의 가이드(6)에는 각각 원형상의 디스크부재(10a)(10b)가 삽입되어서 그 외주면을 가이드(6)의 내주면에 밀착시키고 있게 된다.
이들 디스크부재(10a)(10b)는 각각 편심 위치에 형성된 축공(12a)(12b)을 보유하고 있다. 축공(12a)(12b)은 상술한 관통공(8)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편심궤적에 포함되는 위치로 뚫려진다.
각각의 가이드(6)에 삽입되는 디스크부재(10a)(10b)는 그 안에서 강제로 회동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크부재(10a)(10b)의 회동중에 각각의 축공(12a)(12b)는 관통공(8)의 궤적을 따라 위치 이동하게 된다.
상부아암(14)은 새시프레임(2)과 연결되는 양단부에 부싱(16a)(16b)이 설치된 통상의 것이며, 이들 부싱(16a)(16b)은 디스크부재(10a)(10b)의 축공(12a)(12b)에 맞춰져서 체결수단(18)에 의해 일체로 연결 조립된다.
체결수단(18)은 서로 다른 3종류의 직경이 동심상으로 배열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체결수단(18)에서 상부아암(14)의 한쪽 부싱(16a)이 끼워질 수 있는 폭을 한정하는 제1단(V1)의 직경이 가장 크고, 브라케트(4)를 관통하는 제2단(V2)이 그 다음이며, 상기한 상부아암(14)의 다른쪽 부싱(16b)이 끼워질 수 있는 폭을 한정하는 제3단(V3)이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형태로 되는 것이다.
체결수단(18)이 상기와 같이 되어 있음에 따라. 상부아암(14)의 한쪽 부싱(16a)과 접하는 디스크부재(10a)의 축공(12a)은 그 내경이 제2단(V2)의 직경은 수용하되, 제1단(V1)의 직경은 수용할 수 없는 치수로 설정되어야 하고, 또 상부아암(14)의 다른쪽 부싱(16b)과 접하는 디스크부재(10b)의 축공(12b)는 제3단(V3)의 직경은 수용하되, 제2단(V2)의 직경은 수용할 수 없는 치수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부아암(14)은 새시프레임(2)의 브라케트(4)에 대한 요동운동을 원활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캠버 조정장치는 브라케트(4)의 관통공(8)에 끼워진 체결수단(18)을 풀어 놓고, 이것을 회동시키면 디스크부재(10a)(10b)가 연동하면서 체결수단(18)의 위치를 이동 안내하게 되고, 그 결과로 체결수단(18)은 제3도의 도시와 같이 관통공(8)의 내주면 양측에서 중심까지의 간격(L1)(L2)만큼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새시브라케트(4)와 상부아암(14)의 연결점은 간격(L1)(L2)만큼 임의로 위치 이동되어서 캠버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캠버의 조정을 완료한 후에는, 다시 체결수단(18)을 죄어 붙이는 것으로 캠버 조정의 모든 작업이 종료된다.
체결수단(18)이 죄어 붙여지면 양 디스크부재(10a)는 각각 대응하는 부싱(16a)(16b)에 압박되어서 브라케트(4)의 측면에 밀착함과 동시에 그 외주면은 대응하는 가이드(G)의 내주면과 긴밀히 접촉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면의 충격을 받더라도 조정된 캠버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채결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캠버의 조정작업을 대단히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캠버 조정의 정밀도까지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Claims (3)

  1. 새시 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케트의 양측면으로 가이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에 디스크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수용시킨 구성으로 된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브라케트(4)의 길이방향으로 뚫려진 관통공(8)의 중심과 편심되는 위치로 각각 소정 직경의 축공(12a)(12b)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디스크부재(10a)(10b)와, 상기한 상부아암(14)의 한쪽 부싱(16a)이 관통 지지되는 제1단(V1)과, 상기한 한쪽 디스크부재(10a)의 축공(12a)을 경유하여 브라케트(4)에 관통 지지되는 제2단(V2), 그리고 상기한 다른쪽 디스크부재(10b)의 축공(12b)을 경유하여 상기한 상부아암(14)의 다른쪽 부싱(16b)을 관통 지지하는 제3단(V3)으로 형성되고, 이들 각 단(V1)(V2)(V3)의 직경이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는 체결수단(18)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케트(4)의 양 가이드(6)는 그 내경이 대응하는 각 디스크부재(10a)(10b)의 외경에 긴밀하게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체결수단(18)의 각 단(V1)(V2)(V3)은 그 외경이 V1 V2 V3의 관계로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아암(14)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부싱(16a)(16b)의 내경도 부싱(16a) 부싱(16b)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KR1019930020507A 1993-10-05 1993-10-05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KR018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507A KR0180372B1 (ko) 1993-10-05 1993-10-05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507A KR0180372B1 (ko) 1993-10-05 1993-10-05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55A KR950011155A (ko) 1995-05-15
KR0180372B1 true KR0180372B1 (ko) 1999-03-20

Family

ID=1936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507A KR0180372B1 (ko) 1993-10-05 1993-10-05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3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55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3617A (en) Camber adjusting device in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US4162859A (en) Vehicle steering knuckle arm angle compensator
US4252338A (en) Apparatus method for correcting camber or caster
US6176501B1 (en) Independent front suspension eccentric alignment device
US53019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oe and/or camber
JPH03502312A (ja) 車軸取り付け構造
JPH0717638Y2 (ja) ストラット式懸架装置のキャンバ調整装置
WO1996000662A1 (en) Front wheel suspension arrangement of the mcpherson type for motor vehicles
US4693487A (en) Steering knuckle and spindle assembly
US4466635A (en) Vehicle suspension mechanism
US5538273A (en) Caser adjustment apparatus
US5697632A (en) Wheel alignment apparatus for use on a beam axle
KR0180372B1 (ko) 더블 위시본 현가구조의 캠버 조절장치
US2115919A (en) Vehicle wheel suspension
KR100192385B1 (ko) 자동차의 토우 조정 장치
US4231588A (en) Adjusting sleeve assembly
JPS59199312A (ja) 車両用後輪懸架装置
US2099114A (en) Vehicle wheel suspension
JPH071722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7257424A (ja) トーコントロールアーム取付部の車体構造
KR19990087429A (ko) 휠헤드 또는 유사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20000042014A (ko) 자동차의 뒷바퀴 토우각 조정장치
JPS5941181Y2 (ja) 車輪のアライメント調整機構
KR20050018130A (ko) 캠버 및 트레드 조절 컨트롤암 구조
JPS62175208A (ja) 車両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