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341B1 -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용 패드 지지대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용 패드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341B1
KR0179341B1 KR1019920701922A KR920701922A KR0179341B1 KR 0179341 B1 KR0179341 B1 KR 0179341B1 KR 1019920701922 A KR1019920701922 A KR 1019920701922A KR 920701922 A KR920701922 A KR 920701922A KR 0179341 B1 KR0179341 B1 KR 0179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rm
assembly
support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4036A (ko
Inventor
왕 누이
Original Assignee
에이.비.스티븐스
브레이크 앤드 클러치 인더스트리즈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스티븐스, 브레이크 앤드 클러치 인더스트리즈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이.비.스티븐스
Publication of KR92070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4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5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pivo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9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the rear side of the pad or an element affixed thereto, e.g. spring clips securing the pad to the brake piston or cali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는 캘리퍼와 두개의 패드조립체를 포함하고, 각 패드조립체는 브레이크 조립체가 차량에 설치될 때 브레이크 디스크의 각 대향측면에 결합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캘리퍼는내부에 형성된 실린더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대프조립체중 하나를 지탱하는 피스톤은 실린더내에서 미끄럼가능하다. 또 캘리퍼는 하우징에 연결되고 다른 패드조립체를 지탱하는 브릿지를 구비한다. 장착아암은 패드조립체와 캘리퍼로 형성된 결합물에 한 단부에서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 지지부에 연결 가능하다. 아암은 캘리퍼 실린더의 축에 관하여 가로질러 신장하고, 패드조립체가 디스크의 각 인접하는 측면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 이탈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축방향에서 관련 지지부에 상대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아암은 실린더축에 가로지르는 적어도 한 방향에서 휨에 견디고 사용시 디스크에 상대적인 작동위치에서 상기 결합물을 지탱하는 작용을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용 패드 지지대
제1도는 차량 브레이크의 특정 형태중 하나에 인가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해 사시도.
제2도는 외장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가 설명의 편의상 생략된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 절단도.
제3도는 마손된 상태의 브레이크 패드를 제외하고 제2도와 동일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선IV-IV의 단면도.
제5도는 모토싸이클 브레이크에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에 대한 장착 아암이나 스트랩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선Ⅶ-Ⅶ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아암 또는 스트랩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Ⅸ-Ⅸ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조립체의 사시도.
제11도 내지 제13도는 장착아암 또는 스트랩이 패드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는 가능한 방식의 도시 형태이다.
제1도에 나타낸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1)는 모터차량(비도시)의 부분을 형성한 지지부재(2)상에 장착된다. 브레이크 조립체는 차량의 휠(비도시)에 연결된 디스크 또는 로터(5)의 각 대향측에 위치한 내장의 마찰패드 조립체(3)와 외장의 마찰패드 조립체(4)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조립체(1)는 또는 피스톤(비도시)를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용 브리지(7)와 하우징(8)을 구비한 캘리퍼(6)를 포함한다. 캘리퍼 브리지(7)의 외장측상의 핑거(9)는 외장 패드 조립체(4)를 지지하고 내장 패드 조립체(3)는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다. 압력하의 작동 유가 브레이크 패달이나 차량의 레버가 강하될때 공급라인(10)을 통해 실린더에 공급되어 브레이크가 공지된 방법으로 작동하게 한다.
지지부재(2)는 디스크(5)의 회전축선에 횡단 방향으로 패드 조립체(3) 및 (4)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장착수단(11)은 패드조립체(3),(4)를 지지부재(2)에 연결하고, 이 장착수단(11)은 패드 조립체(3),(4)가 디스크(5)가 각 인접측을 향하고 떨어져 이동하게 하여 이들이 요구되는데로 작동할 수 있다. 두번째로, 장착수단(11)은 지지부재(2)와 디스크(5)의 회전축과 함께 대체로 고정된 관계를 갖는 작동위치에서 패드조립체(3),(4)를 지지한다. 더욱이, 이 두번째 특성은 브레이크 동작시에 부과된 하중하에서 유지된다.
제1도에 도시된 특정구성에서, 장착수단(11)은 패드 조립체(3),(4)를 지지부재(2)와 다른 지지부재에 연결한다. 제2지지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재(2)에 인접한 것에 대향하여 캘리퍼(6)의 측상에 위치된다. 장착아암(12)은 지지부재(2)에 패드 조립체(3),(4)를 연결하고, 제2장착아암(13)은 이들 조립체를 다른 지지부재에 연결한다.
장착아암(12),(13)은 이전에 언급한 두 특성을 참고하여 적당한 형태로 구성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아암(12)은 마주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어진, 금속시트나 다른 적당한 재료로 된 두 스트랩(14),(15)로 이루어진다. 각 스트랩(14),(15)의 외부종단은 적당한 형태로 지지부재(2)에 고정되고, 각각의 내부종단은 패드 조립체(3),(4)에 부착된다. 이 부착은 패드 조립체(4)의 지지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것에 부착된 스트랩(14)을 구비함으로써, 그리고 패드 조립체(3)의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것에 부착된 스트랩(15)을 구비함으로써 실행되다. 부착의 다른 형태가 이하 설명된 데로 가능하다.
시트모양의 특성때문에, 스트랩(14),(15)은 디스크(5)의 회전축선의 일반방향으로 구부리거나 편향할 수 있어 패드 조립체(3),(4)의 적당한 제동 및 해체동작을 가능하게한다. 반면에 스트랩(14),(15)은 이들의 넓은 면의 평면에서 구부림에 저항하는 넓이를 갖고, 또한 장력하에서 편향(스트레칭)에 저항한다. 제1도의 화살표 A는 디스크(5)의 회전의 정방향을 나타내고, 이 방향은 대다수의 상황에서 제동이 행해지는 방향이다. 디스크(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브레이크가 인가되면, 스트랩(14),(15)는 압착력을받기쉬워, 아암(13)의 영향이 없으면 그 상황하에서 편향(버클)하게 된다. 아암(13)은 이들 상황하에서 장력을 받기 쉬워 브레이킹 노력의 하중을 받는다.
도시된 바와 같은 아암(13)은 아암(12)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특히 정면으로, 마주보는 관계로 배열된 두개의 스트랩(16),(17)을 포함한다. 각 스트랩(14),(15),(16) 및 (17)은 디스크(5)의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능력을 주기 위해서 얇은 금속 플레이트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인가와 해체 위치 사이에서 패드 조립체(3),(4)의 이동정도가 비교적 작다.
각 패드 조립체(3),(4)의 마찰패드는 일정시기 지나 마손하고, 각 조립체(3),(4)에 의해 이동하는데 필요한 거리는 따라서 증가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장착수단(11)에서 슬립 조인트를적정한 곳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하나의 가능한 슬립 조인트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되듯이,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3) 일측상의 스트랩(15)은 리벳(22)을 이 하여 조립체(3)의 지지플레이트(18)에 고정된다. 패드 조립체(3)와 스트랩(15)사이의 상대적 이동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아암913)의 대응 스트랩(17)은 슬립 조인트(19)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3)에 연결된다. 스트랩(17)은 지지플레이트(18)에 평행하게 연장한 종단부를 포함하고 리벳(28)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8)상에 유지된 스프링 하중된 압력 플레이트(21)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입력 플레이트(21)는 스트랩 종단부(20)가 지지플레이트(18)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다른 구성은 동일결과를 달성하는데 적합하다.
브레이크 작동시 슬립 조인트(19)에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랩 종단부(20)과 지지플레이트(18)사이의 마찰계수는 조립체(3)의 마찰패드(23)와 디스크(5)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브레이크 인가시, 캘리퍼(6)는 지지플레이트(18)에 대하여 스트랩종단부(20)를 눌러서, 마찰패드(23)를 디스크(5)에 대하여 누르게 한다. 디스크/마찰패드 마찰계수는 스트랩 종단부/지지플레이트의 것보다 작기 때문에, 종단부(20)에 관하여 지지플레이트(18)가 미끄러지는 것보다는 디스크(5)가 마찰패드(23)에 관하여 미끄러진다. 그러나, 마찰패드(23)가 시간경과에 따라 마손되기 때문에, 패드 조립체(3)가 제3도에 도시되듯이, 디스크(5)쪽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장착수단(11)의 유효길이가 증가될 수 있도록 슬립조인트(19)에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효길이는 지지결합부(24)와 (25)사이에 연장한 길이로 취해질 수 있다.
패드(23)의 마손 때문에, 지지대(2)쪽으로 거리 'd'를 이동하는 것이 제3도로부터 나타난다. 슬립조인트(19)는 이 동작을 발생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압력 플레이트(21)는 지지플레이트(18)에 스트랩 종단부(20)을 고정하고 관련한 미끄러짐을 방지하지 않는다. 패드(23)은 제3도에서 도시되듯이 마손될때, 캘리퍼(6)은 브레이크의 인가전에 디스크(5)쪽으로 패드조립체(3)을 이동시키고 슬립조인트(19)는 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랙을 제공한다. 그러나, 마찰패드(23)가 디스크(5)에 접촉할 때, 지지플레이트(18)_와 종단부(20)사이의 비교적 높은 마찰계수로 인하여 캘리퍼(6)는 지지플레이트(18)에 대해 스트립 종단부(20)를 강하게 누르고, 이로써 슬립조인트(19)에서의 더 이상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래서 슬립조인트(19)에서의 이동은 패드마손을 보상하는데 필요하도록 발생하지만, 브레이크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 발생하지 않는다.
도시된 구성에서, 종단부(20)는 스트랩(17)의 길이방향축에 평행 연장한 길이연장슬롯(27)을 관통하는 핀(26)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8)상의 적소에 유지된다. 슬롯(27)은 마찰패드(23)가 사용됨에 따라 마손되면서 지지부재(2)쪽으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3)의 이동을 허용한다. 리벳(28)은 중심 길이연장슬롯(29)을 관통한다. 슬롯(27) 및 (29)의 길이는 마찰패드(23)의 전체 마손 정도를 수용하는데 충분한 길이만큼 지지부재(2)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선택된다.
아암(12)은 브레이크 조립체가 장착된 차량이 그 통상 진행 방향으로 이동할 때 두개의 브레이크 조립체(3),(4)의 선두측인 패드조립체(3),(4)의 측에 연결된다. 아암의 스트랩(14),(15)는 브레이크 인가시 장력하에 놓인다. 아암(12)에 이렇게 발생된 장력은 지지부재(2)로 작용되고, 차량의 효과적인 제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차량이 역방향 이동할때 아암(13)에 연결된 패드 조립체(3),(4)의 축은 선두측이 되고 스트랩(16),(17)이 장력하게 놓이고, 스트립(14),(15)이 압축된다. 그러므로 스트랩(16)과 (17)은 차량이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차량을 서행하게 하는데 필요한 제동력을 전송한다.
장착수단(11)이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3),(4)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에 캘리퍼(6)의 선도측상에 있는 스트랩은 차량에 제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적소에서 패드조립체(3),(4)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후미측상에 있는 스트랩은 압력하에 있게 될 것이고 약간 조여질 수 있다. 단지 진행방향에서만 제동을 필요로 하는 모터사이클과 같은 차량에서는 캘리퍼(6)의 단지 한 측면상에 스트랩을 갖는 것으로 충분하게 될 수 있다. 차량이 통상적인 방향으로 진행할 때 그 쪽은 캘리퍼(6)의 선도측으로 될 것이다. 도면의 제5도는 모터사이클의 전방포크에 부착되는 타입의 브레이크 조립체를 도시한다.
제5도는 캘리퍼(31)와, 회전을 위하여 모터사이클바퀴(도시하지 않음)에 고착되는 디스크(34)의 각 대향측과 맞물리도록 된 내장 및 의장 브레이크 패드조립체(32),(33)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조립체(30)를 도시한다. 패드 조립체(32),(33)는 두개의 내부스트랩(38)과 두개의 외부 스트랩(39)으로 구성되는 장착아암(37)에 의하여 모터사이클의 전방포크(36)상의 브라켓(35)에 연결된다. 각 브레이크 패드조립체(32),(33)는 내부스트랩(38)과 외부스트랩(39)에 의하여 브라켓에 연결되고, 여기서 내부스트랩(38)은 보강판(40)의 내부면에 부착되며 외부스트랩(39)은 보강판(40)의 외부면에 연결된다. 아암(37)은 볼트(41)에 의하여 브라켓(35)에 연결되고, 스트랩(38),(39)은 스페이서(42)로 브라켓에서 서로 이격되어 유지된다. 아암(37)은 리벳(43)으로 브레이크 패드조립체(32),(33)에 지탱된다. 스트랩(38),(39)은 바람직하게 박판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제동상태하에서 브레이크 패드조립체(32),(33)의 통상적인 전후 이동을 수용하도록 충분히 유연하다. 또한 마찰패드가 마모됨에 따라 아암(37)은 패드조립체(32),(33)가 디스크면에 더 접근하도록 허용한다. 각 패드 조립체용의 두개의 스트랩을 갖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역제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강판에 내부면 또는 외부면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단일의 두꺼운 스트랩을 갖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역제동이 필요한 경우에 각 패드조립체를 위한 더 견고한 스트랩장치의 복합효과는 스트랩(37)이 그 역제동의 압축부하를 지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모터사이클은 드물게 역제동을 필요로 하여 언덕에서 정지할 때 후방으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고, 이렇게 인가된 제동부하는 전방의 동적 제동상태하에서 겪게되는 것에 비하여 비교적 경미할 것이라는 것이 상상된다. 손수레나 자전거와 같은 다른 차량은 브레이크 패드의 한 측면상에 스트랩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상기 언급된 종류의 비교적 견고한 스트랩(40)을 도시한다. 이 스트랩(40)은 두개의 외부판(41), 두개의 받침대(abutments)(42), 압축부재(43)로 구성된다. 두 받침대(42) 각각은 적절한 방식으로 판(41)의 각 단부에 고착되고, 이들 받침대(42)는 판(41)을 서로 이격하여 마주 대하는 관계로 유지되게 한다. 받침대(42)는 이들의 대향단부(44)가 스트랩(40)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압축부재(43)는 판(41)의 사이에 또 받침대 단부(44)의 사이에 끼워진다. 어떤 적절한 수단이 부재(43)를 그 위치에 유지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부재(43)에서 돌출한 핀(45)은 외부판(41)에 형성된 구멍(46)에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판(41)중 적어도 하나는 부재(43)를 지탱하는 유연한 핑거(47)를 구비하여 덜컥거림이나 진동을 최소화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랩(40)이 안장하중하에 있을 때 스트랩(40)은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작용하고, 압축부재(43)는 실질적인 목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스트랩(40)이 단부방향으로 압축을 받게 되면 판(41)은 약간 조여지고 부재(43)는 받침대단부(44)의 각각과 맞물린다. 그 후, 받침대(42)와 부재(43)는 압축부하 하에서 아암(40)의 휨을 견디는 견고한 부분을 형성하도록 결합한다. 인장과 압축에서 휨을 견딜 수 있는 스트랩 또는 아암을 만드는 여러 방법이 있다. 제8도 및 9도는 제6도 및 7도의 것과 다른 장치를 도시한다. 제8도 및 9도의 장치에서 장착아암(50)은 두개의 측면판(51)과 이들 측면판(51)사이에 배치된 압축부재(52)로 구성된다. 압축부재(52)로 구성된다. 압축부재(52)의 외부단부(53)는 도시한 바와 같이 견고한 지지구조체(54)를 견딜 수 있다. 부재(52)의 내부단부는 두개의 패드조립체(56),(57)의 인접한 단부와 맞물림가능한 앤빌(55)을 형성한다.
각 판(51)의 한 단부가 지지구조체(54)에 고착되고, 각 판(51)의 다른 단부가 패드조립체(56),(57)의 각각에 고착된다. 따라서 판(51)은 디스크(도시하지 않음)가 화살표 A(제9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브레이크가 인가될 때 인장스트랩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상황하에서 작은 간극 'C'(제9도는)은 앤빌(55)과 패드조립체(56),(57)의 인접한 단부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디스크가 화살표 B(제9도)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브레이크가 인가된다면 판(51)은 결과적인 압축 하중하에서 조여지게 될 것이고, 그러나 패드조립체(56),(57)는 부재(52)에 대항하여 맞물려서 판(51)의 더 이상의 조임(휨)을 방지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아암(60)의 장착 스트랩은 인장과 압축하에서 휨을 견딜 수 있다. 도시된 장치에서 아암(60)은 브레이크 패드조립체(62)의 보강판(61)과 일체로 형성되고 비교적 무거운 판형상 구조로 되어 있다. 아암(60)의 두께는 두개의 약한 영역(63),(64)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 단부에 인접하여 감소되고, 이들 영역은 아암(60)이 관련 디스크를 향하여 이동하고 또 멀어지도록 패드조립체(62)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휘어지거나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아암(60)은 인장을 받을 때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동작한다. 비교적 무거운 부분때문에 아암(60)은 단부방향으로 압축을 받을 때 휨 또는 조임에 견딜 것이다. 그러나 압축하중을 받을 때 영역(63),(64)중 어느 한 영역에 관하여 과도한 조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암(60)을 위한 측면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제10도장치의 변형은 단지 한 회전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된 브레이크에서 채택될 수 있다. 이 변형에 따라 아암(60)은 비교적 박판형상의 구조로 되어 압축하에서 조임에 실질적으로 저항하지 않도록 하지만, 인장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작동할 것이다. 이런 아암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러 가능한 형태로 되는 장착아암이 많은 다른 방식으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장치들은 패드보강판과의 아암의 직접 연결을 수반하지만, 이것은 근본적인 필요조건이 아니다.
제11도 내지 13도는 패드조립체의 장착아암의 부착방식에서 가능한 변화를 도시한다. 제11도에서 아암(70)은 캘리퍼 하우징(72)에 연결되는 한 부품(71)과, 패드조립체(74)에 연결되는 다른 부품(73)을 구비한다. 따라서 다른 패드조립체(75)는 캘리퍼하우징(72)을 통하여 아암(70)에 연결된다. 제12도는 아암부품(71),(73)이 각각 패드조립체(75)와 캘리퍼 하우징(72)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제11도의 역구성을 도시한다. 제13도에 따르면 두개의 아암부품(71),(73)은 하우징(72)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패드조립체(74),(75)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제11도 내지 13도에 도시된 배열중 어떤 것은 제1도를 참고하여 예로써 설명된 바와 같이 두개의 장착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두개의 장착 아암의 이용을 수반하는 어떤 상황에서 장착아암 또는 패드조립체의 한 측면은 다른 측면상에 있는 것과 같을 필요가 없다.
더욱이 제11도 내지 13도에 도시된 장착아암이 필수적으로 단일방향의 제동에 한정된다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아암은 정방향 및 역방향 제동에 대해 만족스럽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것이다.
또한, 슬립조인트를 필요로 하는 어떤 구성은 제2도 내지 4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패드조립체에 위치된 그런 조인트를 가질 필요가 없다. 슬립조인트는 장착아암과 이 아암을 위한 지지부 사이의 연결에 제공될 수 있다. 슬립조인트  위한 위치는 다른 적절한 위치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캘리퍼와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도록 별도의 앵커브라켓을 위한 필요성을 피하는 간단화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로부터 알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는 차량의 견고한 부품으로 제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동안 브레이크 패드운동을 허용하는 아암 또는 스트랩에 의하여 차량에 직접 연결된다. 진동과 부식의 근원이며 슬라이딩 브레이크 패드에 관습적으로 제공되는 패드와 앵커사이의 간극이 제거된다.
여러 변형예, 변경예 또는 부가는 첨부한 청구범위로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기에 설명된 여러 실시예에 따라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의 브레이크 패드와 캘리퍼가 이 조립체가 위치되는 차량에 관하여 장착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하에서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에 인가된 힘이 브레이크 조립체가 장착되는 차량에 전송되는 여러 종류의 종래의 구성이 있다. 핀가이드된 시스템으로 알려진 하나의 종래의 구성은 한쌍의 평행핀이 장착된 앵커 브라켓을 이용하고, 이 핀은 디스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일렬된다. 브레이크 패드 또는 캘리퍼는 브레이크의 맛물림과 해체동안 판상에서 미끄러져 제동력이 앵커 브라켓에 전송된다. 패드 가이드된 시스템으로 알려진 다른 종래의 구성은 차량에 장착된 앵커 브라켓을 이용하고 그것에 형성된 한쌍의 평행활주로를 구비한다. 패드는 활주로에 맞물리고 브레이크가 인가되고 해체될 때 패드가 디스크쪽 및 디스트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미끄러지게하는 러그를 구비한다. 앵커 브라켓은 브레이크 인가시 패드가 지탱하는 반작용 블럭으로 작용한다.
이들 종전구성은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첫째로, 앵커브라켓은 이들에 인가되고 있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야 하고, 따라서 무겁고 값비싼 품목이게 된다. 두번째로,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는 패드나 캘리퍼 및 앵커 브라켓 사이에 바이어싱 스프링이나 반소음 스프링을 보통 사용한다. 더 큰 브레이크 조립체상의 바이어싱 스프링은 이들이 정적이면 큰 바이어스힘을 인가할 필요가 있지만, 증가된 바이어스힘은 패드슬라이드 성능을 해결한다. 세째로, 브레이크 패드가 이들의 활주로 또는 가이드 핀상에서 멈추는 것으로 공지되고, 이것은 위험하게도 부적당한 브레이크 성능과 불균일한 패드 마모를 야기할 수 있다.
이전까지 사용된 형태의 앵커 브라켓에 대한 필요를 없앤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값이 덜 비싼 브레이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최소한 소정의 상태하에서 이제까지 사용된 것들보다 더 안전한 브레이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에의 사용상 개선된 패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에의 사용상 개선된 캘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디스크, 디스크의 두 대향측의 각각에 위치된 브레이크 패드, 디스크의 회전축에 횡단 방향으로 상기 패드에서 떨어져 위치된 지지대 및 상기 패드를 상기 지지대에 연결하고, 패드와 지지대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패드를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동작 위치에 고정하는 아암을 구비한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상기 아암은 상기 축의 일반 방향에서 편향가능하여 각 상기 패드가 디스크의 각 인접축을 향하여 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축에 횡단하는 최소한 하나의 방향으로 저항하여 디스크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 상기 패드는 디스크에 맞물린 결과로서 패드가 상기 아암에 부과된 하중으로 상기 동작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야기되지 않도록 한다.
패드의 동작위치는 디스크축으로부터 고정된 거리에 있고 또한 장착아암이 연결되는 지지대로부터 고정거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 이해된다. 이것은 패드가 원하는데로 기능할 수 있는 위치이고, 디스크를 향하여 또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패드의 이동은 그 위치의 변화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효과적인 제동을 달성하기위해, 동작위치는 패드가 회전디스크와 맞물릴때 그 디스크와 함께 움직이지 않는 의미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상기한 편향 방해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장착아암은 패드가 회전 디스크와 맞물릴때 발생되는 제동력에 의해 그 아암에 부과된 하중하에서 구부러짐, 버클링 또는 스트래칭에 대한 저항이 필요하다.
어떤 경우에, 브레이크는 회전 방향에서 디스크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것이 필요한 반면, 다른 경우에 회전의 역방향과 정방향에서 이동을 지연하는 것이 요구될 것이다. 브레이킹 하중하에서 편하는 장착 아암에 대한 포텐셜은 이들 각 경우에서 다둘 것이어서, 아암은 상응하여 디자인될 필요가 있다. 결합된 지지대의 위치는 아암의 디자인에 또한 영향을 미친다. 예시를 들어, 아암은 지지대가 디스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패드의 후방에 위치하면 장력하의 편향에 저항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암이 패드의 전방에 위치되면 이 아암은 압축하에서의 편향에 저항할 필요가 있고 디스크축에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면 구부러짐에 저항할 필요가 있다.
브레이크가 전방과 후방 두 방향으로 디스크 회전을 지연시키도록 사용되면, 각 지지대에 연결되고 패드로부터 보통 반대방향으로 연장한 두 장착아암을 구비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런 이중아암 구성은 아암의 각각의 것이 디스크의 각 두 회전 방향에서 장력하에 있기 때문에, 압축하에서 편향에 대해 아암이 최소의 저항을 갖도록 설계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킹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된 마찰패드,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지지대에의 연결을 위해 측면 연장한 최소한 하나의 장착아암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와의 사용을 위한 패드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패드 조립체가 사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하고 떨어져 상기 지지대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편향가능하고, 상기 아암은 제1상기 방향에 횡단하는 최소한 하나의 방향으로 편향에 저항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있어서, 부착된 제1마찰패드 조립체를 갖는 피스톤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하우징, 실린더축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제2마찰패드 조립체에 부착된 브리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에 보통 횡단 방향으로 연장한 최소한 하나의 장착아암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와의 사용상의 캘리퍼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상기 축선의 일반 방향으로 편향가능하고 상기 축선에 횡단하는 최소한 하나의 방향에서 편향하는 것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캘리퍼와 두개의 패드조립체로 이루어진 브레이킹 유닛,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브리지를 포함하는 상기 캘리퍼, 상기 실린더에 미끄럼가능하게 포함되고 그곳에 부착된 상기 패드 조립체중 하나를 구비한 피스톤, 제1상기패드 조립체에 대향하는 관계에 있도록 상기 브리지에 부착된 다른 상기 패드 조립체 및 상기 브레이킹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축선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측면 연장한 장착아암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상기 유닛에서 멀리 떨어진 종단에서 지지대에 연결가능하고 이들이 사용상 결합된 브레이크 디스크의 각 대향측에 향하여 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패드 조립체가 이동하게 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축의 일반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편향 가능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실린더축에 횡단하는 최소한 하나의 방향에서 편향에 저항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디스크에 상대적인 동작 위치에서 상기 유닛을 지지하도록 사용상 기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고하는 다음 페이지의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그러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이 어떻게 효과가 생기는 지를 설명하여, 나타낸 여러 특성의 특정형태와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는다.

Claims (21)

  1. 회전가능한 디스크; 이 디스크의 각각의 두 대향측면에 위치되는 브레이크패드; 상기 디스크의 회전축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패드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상기 패드를 연결하며, 상기 패드를 상기 지지부에 대한 작동위치에 지탱하고 상기 지지부와 패드사이에서 신장하는 아암을 구비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이 상기 축선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어, 이에 의해 상기 각 패드가 디스크의 각 인접한 측면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디스크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패드가 디스크와 맞물림에 의해 상기 아암에 부과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작동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아암은 상기 축선에 가로지르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휨에 견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적어도 하나의 판재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스트랩은 이격되어 마주 대하는 관계로 배열되며, 상기 각 스트랩이 상기 패드의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두쌍의 스트랩이 있으며, 각 쌍의 스트랩들이 이격되어 마주 향하는 관계로 배열되고, 상기 두 쌍이 이격되어 마주 향하는 관계로 배열되며 각 쌍이 상기 패드의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스트랩은 이격되어 마주 향하는 관계로 배열되며, 한 받침대가 상기 각 스트랩의 한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받침대가 상기 각 스트랩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며, 압축력하에서 상기 스트랩의 조임을 방지하도록 받침대에 결합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견고한 압축부재가 상기 받침대의 사이에 또 상기 스트랩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스트랩은 상기 패드중 하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다른 두개의 스트랩은 상기 다른 패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받침대가 상기 지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다른 받침대가 상기 두개의 패드조립체의 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부재는 자신에 대한 움직임에 대항하여 상기 지지부에 고착되고, 상기 스트랩과 압축부재 사이의 관계는 상기 스트랩이 인장하에 있을때 상기 압축부재와 패드조립체 단부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일련의 취약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감소된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한 영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형상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의 휨이 상기 영역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감소 영역이 상기 패드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상기 다른 영역이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두개의 판형상의 부재가 있으며, 이들 각각은 상기 패드의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1.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드는 보강판 및 이 보강판에 고착되는 마찰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판형상의 부재 또는 상기 판형상의 부재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보강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2. 제1항 내지 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패드는 보강판 및 이 보강판에 고착되는 마찰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이 상기 각 보강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3. 제1항 내지 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드가 캘리퍼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아암이 상기 캘리퍼 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양 패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4. 제1항 내지 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드는 보강판 및 이 보강판에 고착된 마찰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한 패드의 보강판에 연결되며 또한 캘리퍼 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다른 패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5. 제1항 내지 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두개의 지지부가 있으며, 상기 패드가 상기 지지부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수단이 상기 양 지지부에 상기 패드를 연결시키며 두개의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각 아암이 상기 지지부의 각각과 패드사이에서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이 두개의 연결부 사이에서 신장하는 유효길이를 가지고, 상기 연결부중 하나는 상기 인접한 아암과 상기 한 지지부 사이에 있고 다른 하나는 인접한 각 아암과 다른 지지부사이에 있으며, 상기 유효길이의 연장을 허용하도록 슬립조인트가 상기 장착수단에 제공되어 상기 패드의 점진적인 마모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조인트가 상기 연결부중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조인트가 상기 아암중 하나와 상기 패드사이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9. 디스크 브레이크에 사용하기 위한 패드 조립체로서, 보강판과, 이 판에 고착되는 마찰패드와, 지지부에 연결을 위하여 측면으로 신장하고 상기 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패드조립체를 사용하는 브레이크디스크를 향하여 또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대해 패드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암이 상기 방향에 가로지르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휨에 사실상 견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조립체.
  20. 제1 마찰패드 조립체가 부착되어 있는 피스톤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실린더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제2마찰패드조립체에 부착되고 실린더축선의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브릿지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이 상기 축선의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축에 가로지르는 적어도 한 방향을의 휨에 견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캘리퍼.
  21. 하우징 및 이 하우징에 연결된 브릿지를 포함하는 캘리퍼와 두개의 패드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제동유닛과,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미끄럼가능하게 있는 피스톤과, 상기 제동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축선에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측면으로 신장하는 장착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패드조립체중 하나가 부착되어 있으며, 다른 패드조립체는 상기 제1패드조립체에 대향한 관계로 있도록 상기 브릿지에 부착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유닛에서 멀리 있는 단부에서 지지부에 연결가능하고, 사용시 관련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각 대향측면을 향하여 상기 패드조립체가 이동하고 또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실린더 축선의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암이 상기 실린더 축선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휨에 대하여 저항하고, 상기 유닛을 상기 지지부와 디스크에 대한 작동위치에 지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브레이크 조립체.
KR1019920701922A 1990-12-10 1991-12-10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용 패드 지지대 KR0179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K381090 1990-12-10
AUPK3810 1990-12-10
PCT/AU1991/000568 WO1992010692A1 (en) 1990-12-10 1991-12-10 Pad support for disc brak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4036A KR920704036A (ko) 1992-12-19
KR0179341B1 true KR0179341B1 (ko) 1999-03-20

Family

ID=377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922A KR0179341B1 (ko) 1990-12-10 1991-12-10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용 패드 지지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51536A (ko)
EP (1) EP0513310B1 (ko)
KR (1) KR0179341B1 (ko)
AT (1) ATE195364T1 (ko)
AU (1) AU652205B2 (ko)
DE (1) DE69132360T2 (ko)
ES (1) ES2150912T3 (ko)
WO (1) WO1992010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9992B1 (de) * 1993-10-23 1997-07-30 WABCO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e
SE9604705L (sv) 1996-12-20 1998-06-21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medel för att arrangera värmeöverföring
WO1999027271A1 (de) * 1997-11-21 1999-06-0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 scheibenbremse
SE519618C2 (sv) * 2001-07-13 2003-03-18 Volvo Lastvagnar Ab Skivbroms för landfordon
DE102004054013A1 (de) * 2004-11-09 2006-05-11 Robert Bosch Gmbh Scheibenbremse
DE102005004776A1 (de) * 2005-02-01 2006-08-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cheibenbremse mit mehreren Schwimmsätteln
FR2887607B1 (fr) * 2005-06-22 2008-07-18 Bosch Gmbh Robert Frein a disque
US20070089942A1 (en) * 2005-09-28 2007-04-26 Baldwin Fred L Disc brake assembly
US20120298454A1 (en) * 2011-05-26 2012-11-29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Brake Pad Retention System
US20130087416A1 (en) * 2011-10-07 2013-04-11 Interkob Holdings Ltd. Brake Apparatus and Brake Shoe Re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89618A (fr) * 1953-09-16 1955-03-21 Cie De Pont A Mousson Frein perfectionné
US3005522A (en) * 1957-04-03 1961-10-24 Dunlop Rubber Co Disc brakes
GB880004A (en) * 1957-04-03 1961-10-18 Dunlop Rubber Co Disc brakes and automatic adjusting devices therefor
US2944637A (en) * 1957-09-16 1960-07-12 John G Knowles Hydraulic brake systems
GB989237A (en) * 1962-03-23 1965-04-14 Dunlop Rubber Co Improved disc brake
NL302831A (ko) * 1963-06-19
DE1600120B2 (de) * 1966-04-05 1972-03-02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Federnde halte und rueckstellvorrichtung fuer die brems backen einer teilbelagscheibenbremse
US3417843A (en) * 1966-10-26 1968-12-24 Ingersoll Rand Canada Disc brake for mine hoists
DE1680832B2 (de) * 1968-01-19 1972-12-14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Handbremseinrichtung zu einer druckmittelbetaetigten festsattelscheibenbrems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GB1456004A (en) * 1973-02-13 1976-11-17 Automotive Prod Co Ltd Brake assemblies for motor vehicle disc brakes
DE3011006C2 (de) * 1979-06-29 1984-12-13 Horton Manufacturing Co. Inc., Minneapolis, Minn. Bremszange
FR2487770B1 (fr) * 1980-08-01 1985-12-13 Motobecane Ateliers Dispositif de freinage a disque pour cyclomoteurs et motocycles
SE425654B (sv) * 1981-03-24 1982-10-25 Hegglund & Soner Ab Skivbroms for industriendamal sasom gruvspel och tunga traverser
DE3114047A1 (de) * 1981-04-07 1982-10-21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Teilbelagscheibenbremse
JPS63125832A (ja) * 1986-11-17 1988-05-30 Toyota Motor Corp 鳴き低減型デイスクブレ−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51536A (en) 1996-09-03
ES2150912T3 (es) 2000-12-16
AU9066491A (en) 1992-07-08
WO1992010692A1 (en) 1992-06-25
EP0513310A4 (en) 1994-12-21
AU652205B2 (en) 1994-08-18
KR920704036A (ko) 1992-12-19
ATE195364T1 (de) 2000-08-15
DE69132360D1 (de) 2000-09-14
EP0513310B1 (en) 2000-08-09
DE69132360T2 (de) 2001-03-01
EP0513310A1 (en) 199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26746E (en) Support means for a sliding caliper type disk brake
US4576255A (en) Multi-disc brakes
US4219106A (en) Brake shoe holding device for a spot-type disc brake
US3134459A (en) Caliper type spot brake
JP390132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US3378116A (en) Friction pad for disc brakes
KR017934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용 패드 지지대
GB2218478A (en) Disc brake assemblies
JPS5891934A (ja) デイスクブレ−キ用摩擦パツド組立体
EP0826894A1 (en) Disc brake device
US3145806A (en) Spot type disc brakes
US3422935A (en) Disc brake assembly
GB1567103A (en) Disc brake assembly
US6044938A (en) Dual-mode drum brake having parking lever pivotable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backing plate
US3065829A (en) Segment-type disk brake and hydraulic cylinder arrangement therefor
GB2196072A (en) Disc brakes
US6186289B1 (en) Disc brake
US3451508A (en) Spot type disc brakes having a floating saddle
US5388670A (en) Wear-limit warning anti-rattle spring
GB2153462A (en) Drum brake
JPS59137631A (ja) デイスクブレ−キ
GB2032547A (en) Caliper assembly for sliding caliper disc brake
GB2033987A (en) Disc brake
US3407907A (en) Auxiliary brake mechanism and actuator for disk brakes
GB2161226A (en) Disc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