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974B1 - 글래스 드릴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드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974B1
KR0177974B1 KR1019950031628A KR19950031628A KR0177974B1 KR 0177974 B1 KR0177974 B1 KR 0177974B1 KR 1019950031628 A KR1019950031628 A KR 1019950031628A KR 19950031628 A KR19950031628 A KR 19950031628A KR 0177974 B1 KR0177974 B1 KR 017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glass
drill
spac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966A (ko
Inventor
조기봉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3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974B1/ko
Priority to IT96TO000574A priority patent/IT1286150B1/it
Priority to DE19627479A priority patent/DE19627479A1/de
Priority to JP8251038A priority patent/JPH09117896A/ja
Publication of KR97001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글래스에 구멍을 뚫을 때 유리가루와 냉각수가 장비를 오염시키고 유리가루가 글래스 표면에 부착되어 세정작업을 별도로 함으로 인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직선이동수단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위치하며 내부로 드릴이 진입할 수 있는 통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저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는 냉각수 유입로 및 배출로와 연통하는 가동부재와,
상기한 가동부재와 마주하는 상태로 아래측에 고정되며 또다른 드릴이 진입할 수 있는 통로가 개설되고 이 통로의 상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는 냉각수 유입로 및 배출로와 연통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배출로들은 각각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공간부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글래스 드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글래스 드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드릴장치의 측면단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드릴장치의 상부 드릴부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드릴장치의 하부 드릴부 평면도.
제4도는 종래의 글래스 드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상부 가공부 22 : 하부 가공부
24 : 가동부재 26 : 직선이동수단
28 : 고정부재 34 : 공간부
36 : 충격흡수부재 38, 48 : 유입로
40, 52 : 배출로 42, 50 : 진공펌프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유리기관에 구멍을 뚫을 때 사용되는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관이 없는 형관표시관이나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할 때 하부기판에 배기관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구멍을 뚫기 위한 글래스 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형광표시관이나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그 내부가 진공을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작시 그 내부를 진공으로 하기 위한 배기관이 부착된다.
이 배기관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한 후 절단되면서 봉합되는 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기관을 절단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 배기관이 절단된 후에는 그 절단부위가 약간 돌출하기 때문에 상품화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배기관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는 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부기관에 대략 직경이 3mm 이하가 되는 구멍을 뚫고 있다.
이러한 구멍을 뚫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래스(G)가 올려지는 테이블(2)과, 이 테이블의 주변에 마련되는 배수로(4)와,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스핀들(6)을 보유하는 드릴수단(8)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드릴수단(8)의 외측방에는 드릴링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열을 시키기 위한 냉각수 공급수단(10)에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드릴장치는, 테이블(2)상에 글래스(G)를 올려놓은 후 스핀들(6)을 구동시켜 글래스에 구멍을 뚫게 되는 데, 이때 유리가루가 비산될 수 있고, 또 상당한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냉각수 공급수단(10)에서 냉각수를 드릴부위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드릴장치는, 드릴링이 이루어지면서 발생되는 유리가루가 냉각수에 섞이면서 테이블(2)의 윗면을 따라 주변부의 배수로(4)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그런데 다수개의 구멍을 가공하고 나면 냉각수가 글래스(G)의 표면에 일부 건조되면서 유리가루와 함께 글래스 표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글래스(G)표면에 부착된 유리가루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작업을 행하게 되는 데, 이렇게 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리가루가 완전히 세정되지 않은 경우 글래스와의 마찰로 인하여 글래스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게 된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멍을 가공하는 동안에 냉각수와 유리가루를 흡입하여 제거하므로서 장비의 오염을 방지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글래스 드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직선이동수단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위치하며 내부로 드릴이 진입할 수 있는 통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저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는 냉각수 유입로 및 배출로와 연통하는 가동부재와, 상기한 가동부재와 마주하는 상태로 아래측에 고정되며 또 다른 드릴이 진입할 수 있는 통로가 개설되고 이 통로의 상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는 냉각수 유입로 및 배출로와 연통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배출로들은 각각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공간부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글래스 드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가동부재의 저면에는 공간부 주위로 글래스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며 공간부내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제공되는 글래스 들리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드릴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상부 가공부(20)와, 하부 가공부(2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상하부 가공부 사이에 글래스(G)가 위치하여 교대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가공부(20)의 가동부재(24)는 실린더와 같은 직선이동수단(26)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 가공부(20)의 고정부재(28)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프레임에 견고히 고정위치한다.
상기한 직선이동수단(26)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예를 들면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에 고정된 실린더의 로드를 가동부재(24)에 고정시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가동부재(24)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가공부재(24)의 중앙부에는 드릴(D1)을 보유하는 스핀들(30)이 충분히 진입할 수 있는 크기의 통로(32)를 개설하고 있다.
상기한 통로(32)는 아래측으로 가면서 드릴(D1)만이 진입할 수 있는 크기로 작아지는 데 이것은 유리가루가 비산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한 가동부재(24)에 뚫려지는 통로(32)의 중단부에는 비교적 넓은 공간부(34)가 형성되는 데, 이 공간부 주위의 가동부재(24) 저면에는 누수를 방지하고 글래스(G)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3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충격흡수부재(36)는 실리콘이 비교적 두껍게 코팅되는 것으로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한 공간부(34)는 냉각수 공급수단 (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드릴(D1)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유입로(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입로(38)는 공급되는 냉각수가 가공 목표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형성되고, 출구가 상기한 공간부(34)와 연통된다.
이 유입로(38)는 공간부(334)의 반대측으로 냉각수 및 유리가루를 배출하기위한 배출로(40)와 연통하고 있는 데, 이 배출로는(40)는 진공펌프(43)와 연결된다.
상기한 배출로(40)의 입구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한 유입로(38)의 출구와 대략 180°위치에 형성되고, 상기한 공간부(38)와 연통되며 글래스(G)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도는 이 가공동부재(24)에 마련된 유입로(38)와 배출로(40)의 연결관계를 보여준다.
상기한 가동부재(24)와 마주하는 자세로 위치하는 고정부재(28)는 또다른 드릴(D2)이 진입하기 위한 통로(44)를 개설하고 있으며, 이 통로의 종단부에 공간부(4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공간부(46)는 냉각수를 유입하는 유입로(48)와 연통하고 있으며 그 반대측에 냉각수와 유리가루를 배출하기 위해 진공펌프(50)와 연결된 배출로(52)와 연통하고 있다.
제3도는 고정부재(28)에 마련된 유입로(48)와 배출로(52)의 연결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드릴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직선이동수단(26)을 상승작동시켜 고정부재(28)의 상면으로부터 가동부재(24)의 하면이 떨어지도록 한 후, 구멍을 뚫고자 하는 글래스(G)를 고정부재(28)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다시 직선이동수단(26)을 하강시켜 가동부재(24)의 저면이 글래스(G)의 표면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하강을 중지시킨다.
이때 가동부재(24)의 저면에 제공된 충격흡수부재(36)에 의해 글래스(G)에 가하여지는 충격은 흡수되며, 또 이 충격흡수부재(36)는 글래스(G)표면에 밀착하기 때문에 가동부재(24)의 저면에 형성된 공간부(34)를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드릴(D2)이 통로(44)를 진입하는 순간 유입로(38)을 통하여 냉각수를 공급하며 동시에 진공펌프(50)를 작동한다. 그러면 통로(44)로 대기가 유입되면서 냉각수가 통로(44)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냉각수의 배출도 원활히 진행되어 하측 가공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때 냉각수는 반드시 글래스 표면의 가공 목표점에 닿을 수 있는 압력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진공펌프(50)의 힘은 냉각수가 통로(44)로 누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냉각수가 글래스 표면의 가공 목표점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적정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상부 가공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상기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은 유입로(48)의 출구로부터 가공목표점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설정하고, 진공펌프(50)의 힘은 냉각수가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통로(44)로 누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냉각수의 압력보다 작게 설정한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드릴(D2)이 글래스 두께의 일부(대략 ½ -⅓정도의 두께)를 하측에서 가공하고 나면 하측 드릴(D2)이 하강하고, 상측드릴(D1)이 하강하면서 통로(32)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하부 가공부와 마찬가지로 냉각수의 공급(유입로(38)를 통해)과 배출(진공펌프(42)의 작동으로 배출로(40)를 통해)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측 드릴(D1)이 하측드릴(D2)이 뚫다 남은 나머지 두께의 글래스를 다 뚫고 나면 상승하여 원위치한다.
이때까지 상·하측의 냉각수 공급과 배출은 계속 일어나며, 이것에 의해 글래스 가루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가공부위의 간이 세정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두 드릴이 원위치 되고 나면 냉각수가 진공펌프 보다 약간 먼저 차단됨으로서 가공부위에 잔존하는 냉각수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공정이 끝나고 나면 직선이동수단(26)을 상승시켜 가동부재(24)가 글래스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한 후 다음 가공할 구멍의 위치로 옮겨 가동부재(24)를 하강시켜 상기의 순서대로 다시 가공을 시작하면 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 드릴장치는 글래스에 구멍을 뚫으면서 진공압으로 냉각수 및 유리가루를 함께 빨아 내므로 우선 장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으로 구멍 작업이 이루어지면 글래스 표면에 유리가루가 부착되지 않으므로 유리가루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세정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글래스 표면에 유리가루가 전혀 부착되지 않으므로 유리가루가 글래스 표면에 부착되므로서 글래스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

  1. 직선이동수단(26)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위치하며 내부로 드릴(D1)이 진입할 수 있는 통로(32)를 보유하고 있으며 저면에 공간부(34)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34)는 냉각수 유입로(38) 및 배출로(40)와 연통하는 가동부재(24)와, 상기한 가동부재(24)와 마주하는 상태로 아래측에 고정되며 또 다른 드릴(D2)이 진입할 수 있는 통로(44)가 개설되고 이 통로의 상측에 공간부(46)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46)는 냉각수 유입로(48) 및 배출로(52)와 연통하는 고정부재(28)를 포함하며, 상기한 배출로(40)(52)들은 각각 진공펌프(42)(50)와 연결되어 공간부(34)(36)에 진공압을 형성하고, 상기한 가동부재(24)의 저면에는 공간부(34)의 주위로 글래스(G)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며 공간부(34)내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36)가 제공되는 글래스 드릴장치.
KR1019950031628A 1995-09-25 1995-09-25 글래스 드릴장치 KR017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628A KR0177974B1 (ko) 1995-09-25 1995-09-25 글래스 드릴장치
IT96TO000574A IT1286150B1 (it) 1995-09-25 1996-07-05 Dispositivo di foratura per vetro.
DE19627479A DE19627479A1 (de) 1995-09-25 1996-07-08 Glasbohrvorrichtung
JP8251038A JPH09117896A (ja) 1995-09-25 1996-09-24 ガラスドリ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628A KR0177974B1 (ko) 1995-09-25 1995-09-25 글래스 드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966A KR970014966A (ko) 1997-04-28
KR0177974B1 true KR0177974B1 (ko) 1999-02-18

Family

ID=1942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628A KR0177974B1 (ko) 1995-09-25 1995-09-25 글래스 드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9117896A (ko)
KR (1) KR0177974B1 (ko)
DE (1) DE19627479A1 (ko)
IT (1) IT1286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05B1 (ko) * 2008-03-19 2010-01-13 주식회사 아이.티.피 공구 고속회전 마찰을 이용한 부도체 초경질 소재 홀 가공방법 및 그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4909B2 (ja) * 2006-08-11 2013-02-13 剛 蓮野 板材の穴加工方法
DE102008015761B4 (de) 2008-03-26 2010-02-25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Bohrkopf für eine Glasbohrmaschine
KR101336336B1 (ko) * 2012-09-19 2013-12-06 김동원 판유리 천공시스템
CN103341916A (zh) * 2013-07-23 2013-10-09 济南志力数控机械有限公司 石墨块专用卧式多主轴双面数控钻床
US9862066B1 (en) * 2016-09-29 2018-01-09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of foreign object debris
CN113561337B (zh) * 2021-06-24 2023-05-16 安徽工程大学 一种汽车玻璃定位加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05B1 (ko) * 2008-03-19 2010-01-13 주식회사 아이.티.피 공구 고속회전 마찰을 이용한 부도체 초경질 소재 홀 가공방법 및 그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960574A1 (it) 1998-01-05
IT1286150B1 (it) 1998-07-07
JPH09117896A (ja) 1997-05-06
ITTO960574A0 (ko) 1996-07-05
DE19627479A1 (de) 1997-03-27
KR970014966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378B2 (en) Polishing apparatus
US6354922B1 (en) Polishing apparatus
KR0177974B1 (ko) 글래스 드릴장치
US8088455B2 (en) Laser treatment apparatus
KR101886183B1 (ko) 터널 타입의 엔진 실린더 헤드 세척 장치
TWI394205B (zh) 基板處理裝置及基板處理方法
EP1738871B1 (en) Polishing apparatus
US6783427B2 (en) Polishing system with air exhaust system
US5290987A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20190086356A (ko) 산업용 로봇
JP5989501B2 (ja) 搬送方法
KR100458537B1 (ko) 평판표시패널의 유리기판 모따기장치
JPH0632499A (ja) 無接触保持装置
KR100706659B1 (ko) 피씨비 어셈블리의 절단장치
KR101832723B1 (ko) 진공 게이트 밸브
JP2022100939A (ja) ワークピース処理装置
JP7225359B2 (ja) 基板処理装置
JP7283951B2 (ja) 加工装置
CN221065666U (zh) 防水装置及包括该防水装置的倒角机
JP4327537B2 (ja) 基板処理装置
CN218363644U (zh) 一种沟槽法兰外径孔加工工装
KR102398263B1 (ko) 레이저 가공용 워크 테이블의 분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0184161Y1 (ko) 웨이퍼 이동용 트위저
KR200394891Y1 (ko) 피씨비 어셈블리의 절단장치
JP3558537B2 (ja) 基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