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906B1 - 세계시계 - Google Patents

세계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906B1
KR0177906B1 KR1019960011909A KR19960011909A KR0177906B1 KR 0177906 B1 KR0177906 B1 KR 0177906B1 KR 1019960011909 A KR1019960011909 A KR 1019960011909A KR 19960011909 A KR19960011909 A KR 19960011909A KR 0177906 B1 KR0177906 B1 KR 017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r hand
city
hand gea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177A (ko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이세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엽 filed Critical 이세엽
Priority to KR101996001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906B1/ko
Publication of KR97007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2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 G04B19/223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with rotary disc, rotary bezel, or rotary dial
    • G04B19/2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with rotary disc, rotary bezel, or rotary dial driving mechanism for the bez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 도시의 현재시각을 선택된 도시의 지방시로 수정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세계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계시계는 시계본체와, 상기 시계본체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계 주요 도시명이 각각 인쇄된 표시부 및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내접기어부를 갖는 도시명 표시 링과, 시침을 일체로 지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시계본체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시침기어와, 분침을 일체로 지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시침기어와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분침기어와, 상기 분침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시침기어로 전달하게 되며, 시침기어 및 분침기어에 대하여 맞물림 위치와 이탈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분침/시침 전동기어와, 도시명 표시 링을 돌려서 시차수정을 행할 때 상기 도시명 표시 링의 회전운동이 상기 시침기어로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침/시침 전동기어가 상기 시침기어 및 분침기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클러치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계시계에 의하면, 도시명 표시 링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서 특정 도시를 선택함에 따라 시침이 그에 연동해서 회전하여 선택된 도시의 시각을 즉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Description

세계시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계시계를 숫자판, 분침 및 초침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제1도의 Ⅱ-Ⅱ선 및 Ⅲ-Ⅲ선 단면도이다.
제4도의 시계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도시명 표시 링과 이것을 설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탄성 가압 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계본체 16 : 도시명 표시 링
22 : 시침 24 : 시침기어
26 : 분침 28 : 분침기어
30 : 분침/시침 전동기어 52 : 클러치장치
54 : 제1의 고정 클러치 기어 56 :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
58 : 가동 클러치 기어 60 : 클러치 레버
본 발명은 임의로 선택된 세계 각 지역 또는 도시의 지방시를 표시하는 세계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편한 조작으로 세계시각을 즉시 확인 할 수 있고 원하는 도시의 지방시에 맞게 시차수정을 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세계시계에 관한 것이다.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계시계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시간을 확인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1시간의 차이로 설정된 세계 주요 도시의 표준시에 근거하여 원하는 지역의 지방시를 확인하는 용도로서 사용된다.
근래에는 사업이나 관광의 목적으로 세계각지를 여행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국제교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에 비례해서 세계시계에 대한 수요도 점증하는 추세이다. 또한 미국 등과 같이 영토가 넓어져서 국내 지역간에 조차 시차가 발생하는 나라에서는 해외여행이나 외국과의 교류에 관계없이 세계시계를 착용하는 것이 생활에 편리하다.
이러한 세계시계는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5-172954호에는 도시간의 시차에 대응하는 각도차를 두고 복수개의 치침을 시침에 일체로 형성시켜서 세계 주요도시의 시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세계시계가 기술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3-39685호는 논리회로를 이용해서 지정된 지역의 날짜를 시간에 맞춰서 정확히 표시하는 지침식 세계시계를 제안하고 있다. 이 시계에 의하면, 지정된 지역의 시각과 날짜를 완전히 동기시켜서 표시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타지역의 현재시각 뿐만 아니라, 날짜나 요일까지도 알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4-42088호는 통상의 시침, 분침 및 초침외에도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는 부시침과 세계 각 지역의 현재 시각을 동시에 표시하는 지명판을 구비한 세계시계를 제안하고 있다. 이 시계에 있어서 부시침과 지명판은 24시간당 1회전을 하도록 되어 있고, 지명판의 둘레에는 15°간격으로 구분된 세계시각 표시 눈금을 갖는 숫자판이 배열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222,227호에는 숫자판의 둘레에 지명판을 설치하고, 이 지명판에는 30°의 간격으로 세계주요 도시의 지명이 기입된 반원부재를 고정하고, 이 반원부재에는 오전/오후 표시용 회전부재를 12시간마다 180°씩 회전하도록 부착한 세계시계가 언급되어 있다.
위에서 인용한 종래의 세계시계는 나름대로의 특징을 갖는 것이기는 하지만, 세계 24개 주요도시의 시각을 간편, 신속하게 확인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을 안고 있다. 더구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시각을 표시하는 시침, 분침 및 초침외에도 별도의 보조 표시침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표시부가 복잡해져서 미관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현재 시각의 판독에 지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보조표시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한 세계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침이나 초침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시침만을 별도로 회전시켜서 선택된 도시의 시각에 맞춰 시차를 정확하게 수정할 수 있는 세계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택된 도시의 날짜 또는 요일을 시차수정에 동기시켜서 수정할 수 있는 세계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도시의 현재시각을 선택된 도시의 지방시로 수정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세계시계에 있어서, 시계본체와, 상기 시계본체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계 주요 도시명이 인쇄된 표시부 및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내접기어부를 갖는 도시명 표시 링과, 시침을 일체로 지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시계본체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시침기어와, 분침을 일체로 지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시침기어와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분침기어와, 상기 분침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시침기어로 전달하게 되며, 시침기어 및 분침기어에 대하여 맞물림 위치와 이탈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분침/시침 전동기어와, 상기 도시명 표시 링을 돌려서 시차수정을 행할 때 상기 도시명 표시 링의 회전운동이 상기 시침기어로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침/시침 전동기어가 상기 시침기어 및 분침 기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는 세계시계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계시계가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세계시계는 원형의 림(12)과 시계줄 고정부(14)를 갖는 시계본체(10)를 구비하며, 이 시계본체(10)의 원형 림(12)에는 도시명 표시 링(1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명 표시 링(16)은 세계 주요도시, 예를 들면, 런던(LON), 파리(PAR), 모스크바(MOW)등이 시차순으로 차례로 인쇄된 표시부(18)와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내접기어부(20)를 갖는다. 상기 표시부(18)는 내측 표시영역(18a)과 외측 표시영역(18b)으로 구분되며, 내측 표시영역(18a)에는 제1열의 도시명이 30°간격으로 인쇄되고, 외측 표시영역(18b)에는 제2열의 도시명이 30°간격으로 인쇄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18)에는 날짜변경표시가의 기호로 인쇄되어 있는데,기호는 날짜가 하루 더 빨라지는 것을 의미하고,기호는 반대의 경우를 의미한다.
시계본체(10)의 중앙에는 시침(22)을 일체로 지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시침기어(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분침(26)을 일체로 지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분침기어(28)가 상기 시침기어(24)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제2도 참조).
그리고, 상기 분침기어(28)의 회전력은 분침/시침 전동기어(30)를 통해서 1/12의 감속비로 시침기어(24)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침기어(28)의 하부에는 대직경 기어(32)가 부착되고, 이 대직경 기어(32)는 초침/분침 전동기어(34)를 통해서 초침기어(36)와 연결되어 있다. 초침기어(36)의 상단에는 초침(38)이 고정되고, 그 중간에는 대직경 기어(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기어(40)는 중간기어(42)를 통해서 스텝핑 모터(44)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각각의 기어는 시계본체(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측 지지판(46)과 하측 지지판(4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계본체(10)의 원형 림(12)에는 1시에서 12까지의 시각이 숫자로서 표시된 숫자판(50)이 설치된다.
제1도 및 제3도를 보면, 상기 도시명 표시 링(16)과 시침기어(24) 사이에는, 시차수정을 행하고자 할 때 상기 도시명 표시 링(16)의 회전운동이 상기 시침기어(24)로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침/시침 전동기어(30)가 상기 시침기어(24) 및 분침기어(28)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클러치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이 클러치 장치(52)는 상기 도시명 표시 링(16)의 내접기어부(20)에 맞물려 있는 제1의 고정 클러치 기어(54)와, 상기 시침기어(24)에 맞물려 있는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56)와,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54, 56)에 대하여 맞물림위치와 이탈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클러치 기어(58)와, 일단부에서 상기 시침/분침 전동기어(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가동 클러치 기어(5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중간부가 상기 시계본체(10)의 상측 지지판(46)에 선회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클러치 레버(60)와, 이 클러치 레버(60)를 정상위치와 시차수정위치 사이에서 선회운동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계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구동 노브(62)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 구동 노브(62)는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누름위치로부터 인출위치로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버 구동 노브(62)가 누름위치에 있을 때에는 클러치 레버(60)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이에 따라 가동 클러치 기어(58)는 제1 및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54, 56)로부터 이탈되는 반면, 분침/시침 전동기어(30)는 시침기어(24)에 맞물리게 된다. 반대로, 레버 구동 노브(62)가 인출위치에 있을 때에는 클러치 레버(60)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고, 이 결과, 가동 클러치 기어(58)는 제1 및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54, 56)에 맞물리게 되는 반면, 분침/시침 전동기어(30)는 시침기어(24)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54, 56)와 상기 가동 클러치 기어(58)의 기어비는, 상기 도시명 표시 링(16)이 1회전 할 때 시침기어(24)도 1회전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제4도에는 도시명 표시 링(16)이 저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도시명 표시 링(16)의 내주면에는 위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열의 도시명에 대응해서 12개의 위치 설정 홈(16a)이 30°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계본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위치설정 홈(16a)중 선택된 것과 결합할 수 있도록 탄성 가압 볼(10a)이 설치된다. 이 탄성 가압 볼(10a)은 도시명 표시 링(16)이 시계의 사용중 부주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도시명 표시 링(16)의 위치를 확실하게 설정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탄성 가압 볼(10a) 대신에 굴곡형의 판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5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계시계가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의 세계시계는 도시명 표시 링(16)을 돌려서 시차수정을 할 때 날짜 및 요일도 동시에 수정되도록 한 점에서 제1실시예의 세계시계와 다르다.
즉, 제2실시예의 세계시계는 시침기어(24)가 2회전 할 때마다 1회전하는 날짜/요일 변경기어(64)와, 이 날짜/요일 변경기어(64)에 일체로 고정되어 날짜 표시판(66) 및 요일 표시판(68)을 회전구동하는 구동판(70)과, 상기 클러치 장치(52)의 가동 클러치 기어(58)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60)의 선회운동에 따라 상기 날짜/요일 변경기어(64)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날짜/요일 클러치 기어(7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판(70)은 날짜 표시판(68)에 걸려서 그것을 회전시키는 제1의 핑거(70a)와 이 제1의 핑거(70a)보다 높게 위치하며 요일 표시판(68)에 걸려서 그것을 회전시키는 제2의 핑거(70b)를 갖는다. 상기 날짜/요일 변경기어(64)와 상기 날짜/요일 클러치기어(72)의 기어비는 시침기어(24) 또는 도시명 표시 링(16)이 2회전 할 때 날짜/요일 변경기어(64)가 1회전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세계시계를 이용해서 시차를 수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레버 구동 노브(62)를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위치에 유지하여 클러치 레버(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해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 클러치 기어(58)가 제1 및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54, 56)로부터 이탈해 있게 되므로 도시명 표시 링(16)을 잘못해서 회전시키더라도 그 회전력은 시침기어(24)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분침/시침 전동기어(30)는 시침기어(24)와 분침기어(28)에 동시에 맞물리고, 이 결과, 분침기어(28)의 회전력을 시침기어(24)로 전달되어 시계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게 된다. 제1도에서는 도시명 표시 링(16)의 런던(LON)과 웰링턴(WLG)이 기준위치(삼각형 표시)에 맞춰져 있으므로, 현재의 시각은 런던시간으로 1시이거나 웰링턴 시간으로 13시이다.
만약, 파리(PAR)의 현재의 시간을 알고 싶거나 시계가 파리시간으로 작동하도록 하려면, 먼저 레버 구동 노브(62)를 제1도의 누름위치로부터 인출위치로 약간 잡아 당긴다. 이에 따라, 클러치 레버(60)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여 분침/시침 전동기어(30)를 시침기어(24) 및 분침기어(28)로부터 이탈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동 클러치 기어(58)를 제1 및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54, 56)에 맞물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시명 표시 링(16)을 반시계 방향으로 30°만큼 회전시키면 PAR라는 표시가 기준위치로 오게 된다. 이 때 시침기어(24)는 제1의 고정 클러치 기어(54), 가동 클러치 기어(58) 및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56)를 통해 도시명 표시 링(16)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서 시계방향으로 30°회전하고, 시침(22)은 2시방향을 가리키게 된다. 이로써 런던시간의 1시가 파리시간의 2시로 수정된 것이며, 다른 도시의 시차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정할 수 있다. 시차의 수정 또는 확인이 종료되면, 레버 구동 노브(62)를 다시 눌러서 시계가 선택된 도시의 시간으로 정상작동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시차수정 또는 시차확인 과정중에는 시침기어(24)가 분침기어(28)로부터 완전히 단절되므로, 분침기어(28)는 정상적인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제5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세계시계에 의하면, 시차의 수정 또는 확인시 날짜 및 요일도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시명 표시 링(16)을 제5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시킨 다음 다시 30°를 회전시키면, 웰링턴(WLG)의 날짜가 미드웨이(MDY)의 날짜보다 하루 늦춰져야 한다. 날짜의 늦춤은 날짜/요일 클러치 기어(72)와 날짜/요일 변경기어(64)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즉, 날짜/요일 클러치 기어(72)가 날짜/요일 변경기어(64)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도시명 표시 링(16)을 런던(LON)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230°회전시켜 미드웨이(MDY)위치로 설정하면, 날짜/요일 변경기어(64)의 구동판(70)이 날짜표시판(66)과 요일표시판(68)을 소정의 각도 만큼씩 회전시켜 날짜 및 요일을 하루 만큼 늦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명 표시 링(16)을 런던(LON)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230°회전시키면 날짜 및 요일이 자동적으로 하루 당겨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계시계는 조작이 극히 용이하게 때문에, 원하는 도시 또는 지역의 시각, 날짜 및 요일을 간편하게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차의 수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별도의 보조 표시 침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계의 전체구조 및 디자인을 단순화 할 수 있다.

Claims (3)

  1. 시계본체와, 상기 시계본체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계 주요 도시명이 각각 인쇄되어 있는 제1열의 내측표시영역과 제2열의 외측표시영역을 구비한 도시명 표시 링과, 시침을 일체로 지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시계본체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시침기어와, 분침을 일체로 지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시침기어와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분침기어와, 상기 분침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시침기어로 전달하며 시침기어 및 분침기어에 대하여 맞물림위치와 이탈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분침/시침 전동기어로 구성되는 기준 도시의 현재시각을 선택된 도시의 지방시로 수정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세계시계에 있어서, 상기 도시명 표시 링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내접기어부; 및 상기 도시명 표시 링을 돌려서 시차 수정을 행할 때 상기 도시명 표시 링의 회전 운동이 상기 시침기어로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침/시침 전동기어가 상기 시침기어 및 분침기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시명 표시 링의 내접기어부에 맞물려 있는 제1의 고정 클러치 기어와, 상기 시침기어에 맞물려 있는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 클러치 기어에 대하여 맞물림 위치와 이탈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클러치 기어와, 일단부에서 상기 시침/분침 전동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가동 클러치 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중간부가 상기 시계본체에 선회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클러치 레버와, 상기 클러치 레버를 정상위치와 사차수정위치 사이에서 선회운동시킬 수 있는 상기 시계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구동 노브로 구성되는 클러치 장치를 구비하는 세계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및 제2열의 도시명에 대응해서 상기 도시명 표시 링의 내주면에 30°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위치 설정홈과, 상기 위치 설정홈 중 선택된 설정홈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시계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 가압 볼을 추가로 포함하는 세계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침기어가 2회전 할 때마다 1회전하는 날짜/요일 변경 기어; 상기 날짜/요일 변경 기어에 일체로 고정되어 날짜 표시판 및 요일 표시판을 회전구동하며, 상기 날짜 표시판에 걸리는 제1의 핑거 및 이 제1의 핑거보다 높게 위치하여 상기 요일 표시판에 걸리는 제2의 핑거를 구비하는 구동판; 및 상기 클러치 장치의 가동 클러치 기어에 동축으로 부착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의 선회운동에 따라 상기 날짜/요일 변경 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날짜/요일 클러치 기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계시계.
KR1019960011909A 1996-04-19 1996-04-19 세계시계 KR017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909A KR0177906B1 (ko) 1996-04-19 1996-04-19 세계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909A KR0177906B1 (ko) 1996-04-19 1996-04-19 세계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77A KR970071177A (ko) 1997-11-07
KR0177906B1 true KR0177906B1 (ko) 1999-05-15

Family

ID=1945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909A KR0177906B1 (ko) 1996-04-19 1996-04-19 세계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9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77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7198B2 (ja) タイムゾーン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時計
US4945521A (en) Watch
US20090010109A1 (en) Timepiece provided with a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and/or time indications
JP2541568Y2 (ja) 時 計
JP4312849B2 (ja) 腕時計
JP2011174932A (ja) 時計の主針によるオンデマンドの時間帯表示
JP6889545B2 (ja) 時計のカレンダーシステム
US10809665B2 (en) Timepiece movement
US11868090B2 (en) On-demand horological display mechanism
US5345429A (en) Astronomic timepiece having a visible element simulating the displacement of a star
US5210721A (en) Analog universal timepiece
KR0177906B1 (ko) 세계시계
US5297112A (en) Setting a double face watch
KR100205711B1 (ko) 세계시계
US3756015A (en) Time correcting device for a watch having plural time-displays
US6597635B2 (en) Timepiece
CN110501893A (zh) 用于显示周期性事件的显示机构和包含显示机构的钟表
US3848400A (en) Control mechanism for watch movements
US20240036520A1 (en) Device enabling a timepiece movement to display the time in a predefined time zone
JP2615840B2 (ja) 指針式世界時計
JP5681266B2 (ja) 時計表示機構の修正デバイス
CN219978705U (zh) 包括月相显示机构的钟表机芯和包括此类钟表机芯的时计
JPH0648458Y2 (ja) 指針式時計
JPH04340493A (ja) 機械式及び/または電気機械式の時計
JPH0648459Y2 (ja) 時計における歯車の回転位置規制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