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135B1 -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 Google Patents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135B1
KR0177135B1 KR1019950045238A KR19950045238A KR0177135B1 KR 0177135 B1 KR0177135 B1 KR 0177135B1 KR 1019950045238 A KR1019950045238 A KR 1019950045238A KR 19950045238 A KR19950045238 A KR 19950045238A KR 0177135 B1 KR0177135 B1 KR 017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photolithography method
partition wall
mask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870A (ko
Inventor
주영대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5004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135B1/ko
Publication of KR97002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25Imaging strategies,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or resolution, printing product fields larger than the image field or compensating lithography- or non-lithography errors, e.g. proximity correction, mix-and-match, stitching or double patterning
    • G03F7/70466Multiple exposures, e.g. combination of fine and coarse exposures, double patterning or multiple exposures for printing a single fe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 등의 평판소자에 경사에지를 가지는 격벽 등의 기능층을 형성하는 신규한 사진식각방법을 개시한다.
격벽의 인쇄형성대신 사용되는 사진식각방법이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른 마스크로 반복 노광시키는 방법이 출연하였으나 공정이 번거롭고 계단형태의 격벽밖에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한 마스크로 정포커싱상태의 1차노광과 디포커싱 상태의 2차노광을 행함으로써 깨끗한 경사에지를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제1도는 평판소자의 일례로서 AC형 PDP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단면도.
제2도는 인쇄방법에 의한 격벽형성을 보이는 단면도.
제3도는 사진식각방법에 의한 격벽형성을 보이는 단면도.
제4(a) 내지 (c)도는 종래의 사진식각방법에 의한 경사에의 형성과정을 보이는 순차적 단면도들.
제5(a) 내지 (b)도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한 경사에지 형성방법을 보이는 순차적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 : 기판(substrate) I : 절연층(dielectric layer)
B : 격벽(barrier rib) M : 마스크(mask)
A : 어퍼츄어(aperture) S : 광원(light source)
L : 렌즈계(lens system)
본 발명은 평판소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에지(傾斜edge)를 형성하는 사진식각법(photo lithography)에 관한 것이다.
평판소자는 기판에 기능층을 적층하여 구성한 기능소자로 IC 등의 반도체소자로부터 CCD 등의 활성소자, 그리고 LCD나 PDP 등의 평판표시소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구성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기체방전현상을 화상표시에 이용하는 PDP는 그 구동전압의 형태에 따라 DC형과 AC형으로 구분되는데, 직류전압이 사용되는 DC PDP는 전극이 방전공간에 그대로 노출되어도 무방하나, AC PDP는 전자 스퍼터링에 의한 전극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이 방전공간으로부터 분리보호되어야 한다.
제1도에는 이러한 AC PDP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특히 형광체가 전면기판측에 형성된 투과형의 구성이다.
제1도에서, 전면기판(P1)에는 도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X)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절연층(I1)과 각 형광체(F)가 적층되고 각 화소는 격벽(B)으로 구획된다. 한편 배면기판(P2)에는 전면기판(P1)의 전극(X)에 교차하도록 연장된 전극(Y)상에 절연층(12)과 보호층(P)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격벽(B)은 일반적으로 인쇄방법으로 구성되는데, 1회의 인쇄로 적층이 가능한 두께는 한계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격벽(B)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G)상에 복수의 인쇄층(L)을 순차적으로 반복인쇄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각 인쇄층(L)을 인쇄할때마다, 이를 이송시켜 건조시킨 뒤 다시 아래층의 인쇄층(L)과 정합시켜 상부층을 인쇄시켜야 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격벽(B)의 피치(pitch)가 좁고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격벽(B)의 인쇄는 매우 많은 공수가 투입되면서도 불량률이 높아 수율(收率)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인쇄방법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식각법에 의해 격벽(B)을 형성하고자 하는 구성이 출현하였다.
이 방법은 기판(G)상에 감광물질(photo regist)이 포함된 절연층(I)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마스크(M)를 설치하여 절연층(I)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킨 뒤 현상함으로써 격벽(B)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불투명하면서 노광광에 통과할 수 있는 절연층(I)의 재질선택이 문제이긴 하지만 간단한 공정으로 격벽(B)을 형성할 수 있어서, 최근 PDP등 평판소자의 격벽(B) 형성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실용상 사진식각법의 다른 문제로서 형성되는 격벽(B)의 에지(edge)가 직벽(直壁)이 되므로 발광 및 투광경로를 감소시켜 PDP 등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B)의 에지를 경사상태로 형성하고자 하는 방법이 출현하였다.
이 방법은 제4(a)도와 같이 작은 어퍼츄어(aperture:A)를 가지는 마스크(M1)로 절연층(I)을 1차 노광시킨 뒤, 다시 제4(b)도와 같이 이보다 큰 어퍼츄어(A2)를 가지는 다른 마스크(M2)로 2차 노광하여 현상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그 결과 완성된 격벽(B)의 에지는 사면이 아니라 제4(c)도와 같은 불균일한 계단형이 된다. 이러한 구성역시 해상도의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만 그 형상이 불균일하며 그 모서리에서 절연층(I)이 잘 박리되어 소자내부에 이물질을 형성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원인을 고찰한 바, 본 발명자는 2차 노광의 노광패턴이 문제라는 결론을 내렸다. 즉 종래의 방법에서는 2차 노광시 큰 어퍼츄어(A2)를 가지는 마스크(M2)로 교체하여 동일한 광도로 노광을 수행하므로 그 노광패턴은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多段)이 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문제는 설사 2차노광의 광도를 저하시킨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단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격벽 등의 기능층에 경사에지를 형성할 수 있는 사진식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 방법은 정포커싱(de-focusing)상태로 2차노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5(a)도에서, 감광물질이 포함된 절연층(I)이 기판(G)상에 적층되면, 그 상부에 어퍼츄어(A)가 형성된 마스크(M)가 설치되어 노광된다. 노광광은 광원(光源)으로부터 발사되어 렌즈계(L)에 의해 포커싱(focusing)상태가 조절되는데, 먼저 렌즈계(L)가 노광광을 정포커싱하여 1차 노광하면 노광광은 마스크(M)의 어퍼츄어(A)를 통해 균일한 밀도로 투과되어 절연층(I)을 노광시키게 된다.
다음 제5(b)도와 같이 렌즈계(L)를 디포커싱시켜 2차 노광 시키게 되는데, 그러면 노광광은 확산된 상태로 어퍼츄어(A)를 투과하게 된다. 이때의 포커싱된 노광광의 밀도분포를 보면 중심부는 밀도가 높고 주변부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환산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확산된 노광패턴은 외측에서는 노광깊이가 낮고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노광깊이가 깊어져, 1, 2차 노광이 완료된 노광패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립된 사다리꼴형태가 된다. 이러한 절연층(I)을 현상하면 제5(c)도와 같이 깨끗한 경사에지(D)를 가지는 격벽(B)이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단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경사에지를 가지는 격벽 등의 기능층도 형성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PDP등 평판소자의 생산성과 품질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평판소자의 기판상에 감광물질이 포함된 절연층을 적층한 뒤 마스크를 통해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기능층을 형성하는 사진식각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를 설치하여 정포커싱상태로 상기 절연층의 1차 노광을 행한 뒤, 디포커싱상태로 2차노광을 행함으로써, 상기 기능층이 경사에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소자가 플라즈마 표시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이 격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KR1019950045238A 1995-11-30 1995-11-30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KR017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238A KR0177135B1 (ko) 1995-11-30 1995-11-30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238A KR0177135B1 (ko) 1995-11-30 1995-11-30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870A KR970028870A (ko) 1997-06-24
KR0177135B1 true KR0177135B1 (ko) 1999-04-01

Family

ID=1943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238A KR0177135B1 (ko) 1995-11-30 1995-11-30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1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870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255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의형성방법
JP200623702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0177135B1 (ko) 평판소자의 사진식각방법
US6428945B1 (en) Method of forming barrier ribs used in a plasma display panel
TW388049B (en) Plasma display panel
US7377831B2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378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JP2005019379A (ja) 電界放出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4680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rrier Ribs of A Plasma Display Panel
JP2008147061A (ja) 欠陥検査方法
JP200434234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709248B1 (ko) 다이렉트 이메이징 노광기를 이용한 노광 방법 및 이를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1004776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58319B1 (ko) 유전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US6727048B2 (en) Method for photo-imageable lacquer deposition for a display device
KR20060062700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유니트의 제조방법
JP200914668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719550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12719B1 (ko) 박막의 형성방법
US20070158672A1 (en) Flat light sour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207575B1 (ko) 플라즈마 표시소자
JPH10288842A (ja) 露光装置及び蛍光面形成方法
JP200428138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2402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8149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