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024B1 -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 Google Patents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024B1
KR0177024B1 KR1019960027998A KR19960027998A KR0177024B1 KR 0177024 B1 KR0177024 B1 KR 0177024B1 KR 1019960027998 A KR1019960027998 A KR 1019960027998A KR 19960027998 A KR19960027998 A KR 19960027998A KR 0177024 B1 KR0177024 B1 KR 017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string
reinforcing material
soil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544A (ko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영 filed Critical 정재영
Priority to KR101996002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024B1/ko
Publication of KR97002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목적]
조립식 보강토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가공이 쉽고 보강재의 손실이 적어 경제적이며 작업이 간편하고 꼬이지 않는 호환성 보강재와 코일상의 부착고리, 및 이들과 부자재를 사용하여 보강토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보강재(a)를 절반 길이로 접어서 고리(5a, b)부분을 전면판(11)의 부착고리(9) 사이사이에 끼워 걸친 다음 고리(5a, b)와 부착고리(9) 사이에 빗장걸이(10)를 끼워 고리끼리 연결하고, 각클립(3a, 3b)를 잡고 보강재(a)의 길이가 같도록 조정한 후 보강재(a)의 양쪽 가닥을 동시에 지층단면(12)쪽으로 힘껏 잡아당겨 긴장시킨 다음 클립(3a, b)의 앵커공(4)의 앵커핀(7a, b)을 꽂아 고정하고, 지층단면(12)과 전면판(11)과의 사이에 흙을 채워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이다.

Description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가공이 쉽고 끈보강재의 손실이 적어 경제적이며 작업이 간편하고 꼬이지 않는 호환성 끈보강재와 코일상의 부착고리, 및 부자재를 사용하여 보강토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공사란, 단층지면과 적층되는 콘크리트 전면판간에 보강재(예; 합성수지 밴드 등)를 부설하고, 단층지면과 전면판과의 사이에 자갈, 토사 등을 채우고 다져서 보강재와 토사가 일체화되도록 축성하는 축대축성법의 일종이다. 이같은 보강토공사에 있어서 보강재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실용신안공보 제 89-4931호는 합성수지 보강사로 된 파라스트립(Parastrip) 보강재에 관한 것이고, 실용신안공보 제 93-1531호는 보강재에 토목섬유를 씌운 철제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철제 스트립 보강재는 표면이 평활한 것과 돌기가 있는 것이 있다. 표면이 평활한 스트립의 경우 겉보기 마찰계수는 작은 인발량에 비하여 현저한 피크를 나타내며, 겉보기 마찰계수의 잔류치는 피크치의 대략 절반 정도이다. 돌기형 스트립은 평활형 스트립에 비하여 피크치와 잔류치의 차이가 적고, 피크치에 달할 때까지의 인발량은 비교적 크다. 평활형 스트립의 경우 피크응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낮은 잔류응력때문에 빠지기 쉽다.
이에 대하여, 파라스트립(Parastrip) 보강재는 돌기가 있는 스트립 보강재보다도 피크치가 적고 피크치와 잔류치와의 차이도 적다.
철제 스트립은 얇고 세장한 것으로, 가공·포장·상하차·운반·부설·보관이 까다롭고, 안전상 위험이 따르며, 소운반 및 부설시에는 적어도 2인 이상이 동원되어야 하며, 부식에 대해 취약하다. 또, 부설방법은 간단하지만 부착고리의 가공이 어렵다.
이에 비해서 파라스트립은 가공은 쉽지만 부설방법이 복잡하고 꼬이기 쉬우며, 부재의 폭이 양 손으로 잡기에 버거울 정도로 커서 수작업이 매우 곤란하다. 또, 전면판의 연결점에는 폭이 넓은 파라스트립이 V형으로 연결되며, 단위면적당 보강재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서 보강재의 구속응력이 중복되므로 보강재 1본이 발휘하는 겉보기 마찰계수는 감소된다. 뿐만아니라 보강재가 띠상 면이기 때문에 타공법에는 적용하기 곤란하고, 원형단면의 철근을 이용한 부착고리의 가공도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이 용이하고, 보강재의 손실이 적으며, 작업이 단순하고, 기술적이고 논리적이며, 꼬이지 않는 호환성 끈보강재와 클립, 그리고 이 끈보강재를 이용한 코일상의 부착고리와, 상기한 끈보강재와 콘크리트 전면판으로 보강토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럭형 보강토공법의 지오그리드 보강재에 의한 전단강도의 저하방지에 유효한 줄홈이 있는 블럭과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약지반에서 앵커바와 보조장치없이 용의 주도하게 보강토보호용 전면판을 축성할 수 있는 끈보강재를 이용한 다수앵커식 보강토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끈보강재의 전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의 절단면도.
제3도는 클립의 앵커공에 쐐기형 앵커핀이 꽂힌 상태로 나타낸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부착고리의 정면도.
제5도는 콘크리트제 전면판의 시공도.
제6도는 앵커블럭에 고리를 꽂은 끈보강재의 다른 실시예시도.
제7도는 줄홈이 있는 블럭형 전면판의 사시도.
제8도는 블럭형 전면판의 시공도.
제9도는 연약지반에 대한 다수앵커식 보강토옹벽의 시공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끈보강재 3a, b : 클립
4 : 앵커공 5a, b, 30 : 고리
7, 7a, b : 앵커핀 9 : 부착고리
10 : 빗장걸이 11 : 전면판
31 : 단관 32 : 스페이서
33 : 횡보강재 34 : 섬유시트
35 : 흙포대
* 끈보강재와 클립 및 부착고리
실용신안공보 제 89-4931호에 공고된 보강재는 웹솔 프릭셔널 앵커 시스템(Websol Frictional Anchor System)에서 사용하는 파라스트립 보강재로, 영국에 소재한 소일 스트럭춰스 인터내셔널사(Soil Structures International Ltd)가 1977년에 설립해서 설계, 시공, 판매하고, 아이 씨 아이 화이버스(ICI Fibres)에서 제조하여 상업화에 성공한 것이다.
파라스트립 보강재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부식성과 무신축성, 그리고 내구력이 큰 합성수지 밴드내에 신축성 억제 및 내구성보강용 합성수지 보강사 10다발을 삽입하고 합성수지 밴드의 표리면에 요철을 부여한 띠모양의 밴드이다.
끈보강재는 포장단위의 길이가 대략 100m 이상이고, 폭은 90mm에 이른다. 부설은 콘크리트 전면판에 수직되는 소정의 거리에 길이 45mm로 절단된 철근앵커를 45mm 간격으로 촘촘히 박은 후 끈보강재 다발을 길게 풀어내서 전면판과 철근앵커 사이를 되풀이 왕복하며 대략 지그재그상(W형)으로 부설한다. 상기 끈보강재는 띠상이므로 다발을 풀고 지그재그로 부설하는 과정에서 꼬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각별히 유념한다.
끈보강재의 반전부분은 루프형의 고리가 생긴다. 이 고리에 길다란 철근을 끼워서 철근앵커 뒤에 걸친다. 끈보강재의 부설시점은 약 2m를 반전시켜 겹치고 여러 개의 클립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전면판에 매입된 한 쌍의 부착고리 사이에 보강재를 넣고 빗장걸이를 끼운 다음 보강재를 힘껏 당겨서 긴장시키는 동시에 끈보강재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부착고리와 철근앵커의 양쪽 부분을 인력 또는 쐐기로 억지시킨다.
전면판의 다음 부착고리에 대해서도 끈보강재를 빗장걸이식으로 연결하고 차례로 끈보강재의 긴장작업을 반복하여 한다발의 끈보강재를 모두 부설하면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다시 다른 다발의 끈보강재를 풀어서 전면판과 철근앵커 사이를 왕복해서 지그재그 형태로 위 작업을 반복한다. 이때, 끈보강재의 이음부가 발생한다. 이음부는 보통 보강재는 100m 혹은 150m마다 생긴다. 이음부는 가급적 철근앵커쪽에 위치하게 한다.
끈보강재의 겹침부분중 약 2m를 다수의 클립으로 고정하고, 남는 부분은 절단하여 방수처리한다. 끈보강재에 대한 긴장작업이 완료되면 노출된 철근앵커의 끝부분을 바깥으로 휘어서 느슨해진 끈보강재를 더욱 긴장시킨다.
끈보강재는 폭이 90mm인데, 수작업하기엔 폭이 너무 넓고 폴리에틸렌수지 피복은 경도가 너무 크므로 장시간 작업시에는 손바닥에 내상을 입는등 시공상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한 끈보강재는 겹이음과 절단길이로 인하여 기하학적인 수량보다 통상 약 10%의 길이가 증가한다.
철근 앵커쪽에서 반전된 끈보강재는 같은 면으로 서로 겹쳐서 흙과의 유효마찰면적이 적어지며, 끈보강재는 폭이 크고 1본의 끈보강재의 인장력도 커 배치간격이 넓고 배치밀도가 불균등해진다.
일본 토질공학회편 소화 63년 8월 25일자 발행의 「보강토옹벽」의 40쪽과 51쪽, 및 1983년도판 사이언스지의 Developements in Soils Mech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I의 제6장 「Behaviou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from MOdel Studies」의 197-229쪽에 기술된 내용에 의하면, (끈보강재가 점하는 면적/보강재가 존재하는 면적) 즉 평면충진율(m) = n * D / W 이다. 여기서, n은 폭 W상에 있는 끈보강재의 수량, D는 보강재의 폭이다. 시험결과에 의하면, m = 0.18 까지는 개개의 끈보강재가 구속하는 주위의 흙 범위는 중복되지 않으며, m 값이 그 이상 큰 경우의 끈보강재의 구속범위는 중복되고, 1본의 끈보강재당 보강율이 저하된다. 이를 군효과(群效果: group effect)라고 한다. 즉, 일방향 끈보강재가 존재하는 평면을 한가닥의 평면상의 끈보강재라고 가정하면, 그 끈보강재의 마찰계수 μ0= Tmax× n / 2σnιaW = m × μmob*로 구한다. 여기서, σn은 평균직응력, ιa는 끈보강재의 유효길이, T는 끈보강재의 인장력이다. m의 증가와 함께 동원된 겉보기 마찰계수(μmob*)는 감소하며, 끈보강재의 마찰계수(μ0)가 m의 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것은 일종의 군효과이다.
끈보강재의 밀도가 적을 때(m = 0.18 이하)는 동원된 겉보기 마찰계수의 값이 1이상 되므로 tanø(1.0, ø는 흙의 내부마찰각)보다 커진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일본철도시설협회발행 보강토공법「보강토 설계, 시공방법」의 34쪽과 76쪽에는 하나의 평면상에 배치된 다수의 끈보강재를 아래위 2단으로 배치하고 m의 값이 적게 하여 끈보강재에 동원된 겉보기 마찰계수를 최대로 크게 하며, 배치간격과 배치밀도를 균등하게 시공토록 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끈보강재를 사용하는 전면판은 가로 1.5m × 세로 1.5m이며, 기본적으로 끈보강재의 연결고리는 하나의 평면상에 2개의 구성되며, 끈보강재를 지그재그(W형)상으로 왕복하면 4줄이 되므로 끈보강재의 m = (90mm × 2 × 2개) / 1,500mm = 0.24 가 된다. m = 0.24인 경우의 겉보기 마찰계수는 약 0.88이 된다. 설계시에는 겉보기 마찰계수가 1이 작용하는 것으로 계산하지만 끈보강재의 독특한 부설방법으로 실제로는 0.88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연결고리가 3개(m = 0.36)이면 겉보기 마찰계수는 약 0.79로 급격히 감소되어 실제로 작용하는 마찰력은 계산된 것과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끈보강재의 폭은 더 좁아져야 하고 좁아진 단면적에는 인장력과 마찰력이 크도록 구성해야 한다.
[실시예 1]
제1, 2도에서, 끈보강재(a)의 소재는 인장강도가 큰 폴리에스터사(2)를 둥근 다발을 4개 만들고, 이 폴리에스트사(2)의 겉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1)로 에워싼 다음 폴리에틸렌수지(1)의 표면을 요철화한 것이다. 이 소재의 양단을 클립(3a, b) 내부로 통과시킨 뒤 U턴시켜 다시 클립(3a, b)안으로 밀어넣고 U턴된 소재부분이 클립(3a, b)에 의해 고리(5)가 형성되게 하면 끈보강재(a)가 된다.
마찰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제7도와 같이, 상기 고리(5)를 크게하여 고리부분에 앵커블록(13)을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끈보강재(a)용 소재의 직경은 약 10mm이며, 완성품은 환봉상이다. 원형은 꼬이기 어렵고, 설사 꼬였더라도 쉽게 풀어진다.
이같은 구조의 끈보강재(a)는 방향성과 유연성이 우수하여 장애물을 잘 통과하고, 끈이므로 어떤 형태의 부착고리에도 사용이 가능한 만치 호환성을 갖는다. 또, 이음부가 없으므로 작업의 연속성이 유지돼 시공이 원활하고, 끈보강재(a)가 겹치는 반전부도 없어 흙과의 유효마찰면적이 계산치와 일치한다.
상기 끈보강재(a)는 평면충진율 m의 공식에서 끈보강재의 폭(D)이 작기 때문에 끈보강재의 수 n이 증가한다. n이 많으면 끈보강재(a)의 배치간격이 좁아져 배치간격이 양호하다. 또, 배치 밀도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끈보강재(a)를 분산배치하면 m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겉보기 마찰계수를 최대화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매우 경제적이고 안정된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다. 작은 원형단면으로 가볍고 취급하기 쉬워 작업자 1인으로도 인장이 가능하다. 그래서 끈보강재(a)의 부설과 인장작업에 많은 인원을 동원할 필요가 없다. 날개로 제작되어 분할작업도 가능하므로 작업인원을 적절히 배치할 수가 있다.
제1, 3도에서, 클립(3a, b)의 내부통로는 끈보강재(a)가 쌍방향으로 자유롭게 통하고, 중앙부는 도너스형으로 형성하며, 앵커핀(7)을 박을 수 있게 몸체의 중앙에 앵커공(4)를 뚫은 구조이다. 내부 통로의 면은 마찰력을 유발(증대)하기 위하여 요철을 형성한다. 그리고 쌍방향으로 끈보강재(a)가 들어간 클립(3a, b)의 앵커공(4)에는 쐐기형 앵커핀(7)을 박아서 도너츠형 부분의 양쪽 벽면으로 끈보강재(a)의 가닥(8a, b)이 밀려서 그 내부의 요철면과 압밀착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클립(3a, b)의 양쪽 입구에서 2번 꺾여 끈보강재(a)의 가닥(8a, b)에 대한 압착강도 및 마찰력이 대폭 증대된다.
제2, 4도에서, 부착고리(9)는 상기 끈보강재(a)를 코일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종래의 부착고리는 콘크리트 전면판의 배면에 노출된 철제품이다.
적치된 전면판과의 사이에는 부착고리(9)를 보호하기 위하여 높이 10∼15cm의 고임목으로 받친다. 지반이 평탄치 못하든가 겨울철 지반의 동결로 인하여 적치된 콘크리트 전면판은 편심력때문에 전도될 가능성이 높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잠재해 있다. 그러므로 통상 5∼6단 이상의 적치를 금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코일형 부착고리(9)는 자유롭게 휠 수 있으므로 적치된 전면판의 고임목의 높이를 5cm이내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무게중심이 낮아져서 1단 이상을 더 높이 쌓을 수가 있음은 물론 전면판용 적치장치의 면적도 줄일 수 있으며, 철제 부착고리의 전면판의 쌓기보다 무게의 중심이 낮은 관계로 운반시에도 유리하다.
제5도에서, 공장에서 규격별로 제작한 끈보강재(a)는 반으로 접힌 부분을 전면판(11)의 부착고리(9) 사이 사이에 끼워 걸친 다음 빗장걸이(10)를 끼운다. 두 사람이 각기 클립(3a, b)를 잡고 끈보강재(a)의 길이가 같도록 양분한 후 적당한 간격을 정한 다음 동시적으로 끈보강재(a)를 잡아당겨 긴장시킨 후 땅에 내려놓고 발로 밟아 잠정적으로 고정한 다음, 즉시 앵커핀(7a, b)을 클립(3a, b)의 앵커공(4)에 꽂고 망치로 내려쳐서 지층단면(12)에 고정한다. 그 다음에는 옆으로 위치를 옮겨서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후속 끈보강재(a)의 설치 작업을 속행한다.
「키스톤(Keystone) 블럭형 보강토옹벽의 설계요령」 에 의하면, 상,하층 전면판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단저항은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에 매우 중요하다. 적정한 전단저항이 부재할 경우, 보강재가 없는 부분의 벽체가 옹벽의 앞면으로 돌출하거나, 무보강재가 중력식인 경우는 지면 위에서 전단 파괴를 일으킨다. 벽체에 그리드가 부설될 때에는 블럭간의 전단저항을 감소시키고 토양의 결속력을 악화시키며, 블럭과 블럭사이의 마찰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옹벽 구조물은 보강재료로 인하여 옹벽 앞면의 안정도가 감소하게 된다. 지오그리드(geogrid)에 의하여 상하의 블럭간 전단력의 감소는 25∼50%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의한 블럭형 보강토공법은 제7, 8도에서 보듯이, 블럭(21)의 상면에 줄홈(22)을 형성하여 끈보강재(a)가 상층 블럭의 밑면과 접촉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하층 블럭(21)간의 직접접촉에 의하여 전단저항이 향상돼 돌출에 의한 전단파괴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끈보강재(a)를 절반 길이로 접어서 블럭(21)의 줄홈(22)에 들어앉히고 상층 블럭(21a)을 올려쌓은 다음 상층 블럭(21)의 저면 면에 뚫린 핀공(도시없음)을 앵커핀(20)에 꽂아 상,하층 블럭을 연결한다. 이어서 두 사람이 클립(3a, b) 한쪽씩을 잡고 끈보강재(a)의 길이가 같도록 조정한 후 적당한 간격을 정하고, 끈보강재(a)를 잡아당겨서 긴장시킨 다음 발로 밟아 임시로 고정한 후 곧바로 앵커핀(7a, b)을 클립(3a, b)의 앵커공(4)에 꽂고 때려박아 지층단면에 고정한다. 그 후에도 계속 옆으로 위치를 옮겨가며 상기의 작업을 되풀이 한다. 상층 블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 연약지반의 복수 앵커식 보강토공법
연약지반에서의 보강토공법은 끈보강재(a)와 흙포대를 사용하여 성토층을 형성하고 프리로딩(Preloading)에 의하여 지반을 압밀착하여 안정시킨 다음에 다수의 앵커(Tie-rod)에 의하여 조립식 보강토 판넬을 축조 시공하는 방법(Multi-anchored wall)이 응용되고 있다.
시공의 첫단계는 보강재(보통 Geogrid 또는 Geotextile)를 부설하고, 그 위에 흙을 담은 흙포대를 3-4단(대략 30-40cm 정도의 높이) 쌓아 임시벽을 형성하며, 밑에 깔린 보강재로 흙포대가 전도되지 않도록 감싼 다음에 흙포대 뒤로 뒷채움다짐을 한다. 보강재와 흙포대쌓기, 앵커바를 매입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성토 작업도 계속한다.
시공의 두번째 단계는 프리로딩에 의하여 지반의 압밀이 완료된 후 조립식 보강토공법의 시공방법으로 흙포대의 2-3m 앞에서 판넬을 조립하고, 타이로드와 콘크리트 판넬을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축조하는 방법이다.
미리 매입된 타이로드의 위치는 일정하지 않아 성토층내에 콘크리트 판넬과의 조립을 위하여 타이로드에 턴버클을 연결해 사용한다.
이 공법은 흙포대, 보강재, 타이로드, 보울트, 턴버클로 되는 다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며, 타이로드와 턴버클은 고가이므로 자재의 비용부담이 문제다.
[실시예 3]
제9도에서 보듯이, 제1단계로서는, 흙포대(35)를 다단(예;4단)으로 쌓은 후 지층단면(12)과 흙포대(35) 사이를 흙으로 채우고, 절반 길이로 접은 끈보강재(a)의 접힌 고리(30)가 흙포대(35)의 전면으로 드러나게 배치한다. 그 위에 섬유시트(34)를 놓고 다시 흙포대(35)를 다단(예;4단)으로 쌓은 다음 섬유시트(34)로 흙포대(35)를 충분히 감싼다. 단관(31)에 스페이서(32)를 매달고, 끈보강재(a)의 고리(30)에 단관(31)을 내리끼우고 흙포대(35)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지층단면(12) 쪽에 부설된 끈보강재(a)의 양 클립(3a, b)을 각기 하나씩 동시에 당긴 다음 지층단면(12)에 보강재(a)의 클립(3a, b)에 앵커핀(7a, b)을 내리박아 고정시킨다. 이어서 흙포대(35)와 지층단면(12)과의 공간에 흙을 부어 다지면 목표 높이까지 앞서의 방법으로 축성한다.
제2단계 조립식 보강토의 시공은, 흙포대(35) 앞에 전면판(11)을 놓고 아랫단의 흙포대(35)에 밀착된 단관(31)의 스페이서(32)를 제거하고 보강재(a)의 고리(30)에 횡보강재(33)를 꿴다. 횡보강재(33)에서의 시점인 클립(3a, b)에 앵커핀(7)을 박아 고정하고, 횡보강재(33)를 보강재(1a)의 고리(30)사이에서 V형으로 당겨서 전면판(11)의 부착고리(9) 사이에 하나씩 넣고 빗장걸이(10)로 연결한다. 또, 보강재(1)의 고리와 횡보강재와 부착고리(9) 사이에 하나씩 넣어 빗장걸이(10)로 연결한다. 끈보강재(a)의 고리와 횡보강재(33)와 부착고리(9)는 상호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되는 보강재-전면판 연결 방법이다. 끈보강재(a)는 방향성과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전면판 부착고리의 위치에 관계없이 연결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끈보강재의 보강토 공법에 있어서, 끈보강재는 손실이 없고, 부설방법이 단순하며 이음부가 없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원활하다. 또, 끈보강재가 가늘어서 수작업하기가 수월하고, 낱개로 제작되어 한 사람이 취급할 수도 있으므로 분할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진행상황에 따라 인원을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 방향성과 유연성으로 다양한 부착고리와 연결이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좋고, 보강재의 배치간격와 밀도를 균등 시공하며 평면 충진율은 Parastrip에 비하여 매우 적기 때문에 겉보기 마찰계수값이 최대로 발휘되므로서 매우 기술적이고 논리적인 끈보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면이 원형이므로 동일한 인장력에 대하여 파라스트립에 비해 가공재료인 폴리에틸렌이 적게 들고, 동일 조건하의 응력 계산에서도 파라스트립에 비해서 적은 수량의 끈보강재로 구조물의 내적, 외적 안정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안정된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같은 끈보강재로 만든 부착고리의 기능은 고임목의 규격축소가 가능하므로 개소당 적치량이 많아 결과적으로 전면판 적치면적이 줄고 부지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무게의 중심이 낮아 운반이 용이하다.
그리고 클립용 보강재 고리는 마찰력 부족시 고리를 크게하여 그 안에 앵커블록을 넣을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클립을 사용하면 끈보강재의 연결에도 활용할 수가 있다.
또, 줄홈이 형성된 블럭형 전면판은 끈보강재의 걸침에도 불구하고 상, 하층 블럭간의 직접 마찰력이 변하지 않으므로 전단강도의 저하와 돌출로 인한 전면판의 전단 파괴가 방지되며, 또 상기한 끈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기에 수입자재에 의한 공급 불안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연약 지반의 끈보강재 보강토공법은 부등침하에도 시공성이 아주 우수하고 또한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인장강도가 큰 폴리에스터사(2)를 4개의 둥근 다발로 만들고, 이 다발의 외면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1)로 에워싼 후 폴리에틸렌수지(1)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한 환봉상의 끈보강재(a)와 ; 쌍방향 통과용 내부통로의 내면에 마찰력 증대용 요철을 부여하고, 내부 통로속으로 상기 끈보강재(a)의 양 단부를 U턴시켜 삽통후 압착하여 고리(5a, b)를 형성하고 중앙의 도너츠부분에다 앵커공(4)을 천공함과 동시에 내부 통로한 클립(3a, b)과 ; 상기 끈보강재(a)와 동질의 소재를 코일상으로 성형한 부착고리(9)로 이뤄지는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용 부재.
  2. 상기 끈보강재(a)를 절반 길이로 접힌 부분을 전면판(11)의 부착고리(9) 사이 사이에 끼워 걸친 다음 접힌 부분과 부착고리(9) 사이에 빗장걸이(10)를 끼워 고리끼리 연결하고, 각 클립(3a, b)를 잡고 끈보강재(a)의 길이가 같도록 조정한 후 보강재(a)의 양쪽 가닥을 동시에 지층단면(12)쪽으로 힘껏 잡아당겨 긴장시킨 다음 클립(3a, b)의 앵커공(4)에 앵커핀(7a, b)을 꽂아박아 고정하고, 지층단면(12)과 전면판(11)과의 사이에 흙을 채워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3. 흙포대(35)를 다단으로 쌓은 후 지층단면(12)과 흙포대(35)사이에 흙을 채우는 과정과 ; 절반 길이로 접은 끈보강재(a)의 접힌 고리(30)가 흙포대(35)의 전면으로 드러나게 배치하고 보강재(a) 위에 섬유시트(34)를 놓고 다시 흙포대(35)를 다단으로 쌓아 섬유시트(34)로 흙포대(35)를 감싸는 과정과 ; 상기 고리(30)에다 겉에 스페이서(32)가 매달린 단관(31)을 내리끼우고, 상기 단관(31)을 흙포대(35)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과 ; 지층단면(12)쪽에 부설된 끈보강재(a)의 양 클립(3a, b)을 당긴 다음 상기 클립(3a, b)의 앵커공(4)에 앵커핀(7a, b)을 내리박아 고정시키고, 흙포대(35)와 지층단면(12)과의 사이에 흙을 부어 다지는 과정과 ; 상기 흙포대(35)의 앞에 전면판(11)을 배치하고 아랫단의 흙포대(35)에 밀착된 단관(31)의 스페이서(32)를 제거하고 끈보강재(a)의 고리(30)에 횡보강재(33)를 꿰는 과정과 ; 횡보강재(33)의 시점을 클립(3a, b)으로 앵커핀(7)을 박아 고정하고, 횡보강재(33)를 보강재(a)의 고리(30) 사이에서 V형으로 당겨서 전면판(11)의 부착고리(9) 사이사이에 하나씩 넣고 빗장걸이(10)를 끼워 걸어서 지그재그상으로 연결하고 흙포대(35)와 전면판(11)사이에 흙을 채워 다지는 순서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4. 절반 길이로 접은 끈보강재(a)를 블럭(21)의 줄홈(22)에 들어앉혀 걸고 상층 블럭(21a)을 올려 쌓은 다음 상층 블럭(21a)의 저면 핀공을 기층 블럭(21)의 앵커핀(20)에 꽂아 연결하고, 클립(3a, b) 한쪽씩을 끈보강재(a)의 길이가 같게 조정한 후 적당한 간격을 정하고, 끈보강재(a)를 잡아당겨서 긴장시킨 다음 임시로 고정하고 앵커핀(7a, b)을 클립(3a, b)의 앵커공(4)에 꽂아 박아 지층단면에 고정하는 일을 되풀이하여 옆과 윗쪽으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KR1019960027998A 1996-07-11 1996-07-11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KR017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998A KR0177024B1 (ko) 1996-07-11 1996-07-11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998A KR0177024B1 (ko) 1996-07-11 1996-07-11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544A KR970027544A (ko) 1997-06-24
KR0177024B1 true KR0177024B1 (ko) 1999-04-01

Family

ID=1946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998A KR0177024B1 (ko) 1996-07-11 1996-07-11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0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639A (ko) * 2003-02-14 2004-08-21 (주)동방에스엔씨 로프나 와이어를 사용한 옹벽구조
KR100497796B1 (ko) * 2000-11-02 2005-06-29 김학준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KR101111161B1 (ko) * 2009-02-12 2012-03-15 함흥식 토목섬유 콘테이너를 이용한 수충부 세굴방지공법
KR20210155627A (ko) * 2020-06-16 2021-12-23 서정훈 셀구조체의 적층에 의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744B1 (ko) * 2006-10-10 2007-09-06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보강토 옹벽 공법
KR100857919B1 (ko) * 2007-04-04 2008-09-10 참빛동아산업 주식회사 보강토 옹벽 공법
KR100938829B1 (ko) * 2009-05-12 2010-01-26 유황섭 옹벽 조립체
KR20170002806A (ko) 2015-06-30 2017-01-09 제코산업주식회사 지반보강재 루프용 어댑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796B1 (ko) * 2000-11-02 2005-06-29 김학준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KR20040073639A (ko) * 2003-02-14 2004-08-21 (주)동방에스엔씨 로프나 와이어를 사용한 옹벽구조
KR101111161B1 (ko) * 2009-02-12 2012-03-15 함흥식 토목섬유 콘테이너를 이용한 수충부 세굴방지공법
KR20210155627A (ko) * 2020-06-16 2021-12-23 서정훈 셀구조체의 적층에 의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544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3497A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4834584A (en) Dual swiggle reinforcement system
US4324508A (en) Retaining and reinforc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arthen formations
JP2784315B2 (ja) セル材料構造体
WO1999019578A1 (e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KR0177024B1 (ko) 끈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공법
KR101122263B1 (ko) 보강토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00036494A (ko) 부착고리 없는 패널에 띠형섬유보강재를 결속하는 보강토옹벽 구조.
AU2010349356B2 (en) Building with reinforced ground
US20120167520A1 (en) Tie linking filled sandbags and use in a barrier formed from filled sandbags
CN108603351B (zh) 包含泥土加强构件的土工合成加强墙板
KR20150121191A (ko) 지하 보강 콘크리트 건축물을 위한 보강물, 구조물 및 방법
JP3857679B2 (ja) 補強土壁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0196460A (ja) 斜面保護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網状体並びに斜面保護構造体
US4126001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soil structure
JPH03180617A (ja) 急勾配盛土
JP3853304B2 (ja) 補強土構造物
KR20000075357A (ko) 블록식 보강토 앵커공법
CN114635437A (zh) 一种柔性水泥织物面层的用于土质边坡防护的施工方法
EP1340857A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JPH11336084A (ja) コンクリート用布製型枠
JP3892152B2 (ja) 既設柱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既設柱の耐震補強方法
JP4252060B2 (ja) 補強土工法
RU224783U1 (ru) Модульный блок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KR0136772Y1 (ko) 보강토공사용 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