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955B1 -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955B1
KR0176955B1 KR1019980014890A KR19980014890A KR0176955B1 KR 0176955 B1 KR0176955 B1 KR 0176955B1 KR 1019980014890 A KR1019980014890 A KR 1019980014890A KR 19980014890 A KR19980014890 A KR 19980014890A KR 0176955 B1 KR0176955 B1 KR 017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s
item
cue sheet
program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끼 다까노
구니하루 오노즈까
후미히로 나가사와
아끼히꼬 마쓰모도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941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9802B2/ja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955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송출소재를 큐시트에 따라 차례로 송출하는 텔레비전프로그램 송출시스템에 있어서, 표시수단과, 상기 큐시트를 작성하여, 상기 복수의 송출소재를 상기 큐시트에 따라 순번으로 배열하는 배열수단과, 배열된 상기 복수의 송출소재를 상기 표시수단상에 동일한 순번으로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과를 가짐으로써, 보도부원이 필요에 따라 매뉴얼적으로 확인하면서 온에서에 이르기까지의 뉴스소재를 자동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제1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에 사용되는 뉴스정보의 종별을 나타내는 계통도.
제2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뉴스제작시의 ID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도는 뉴스프로그램제작작업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5도-제10도는 워크스테이션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약선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소재모니터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약선도.
제13도 및 제14도는 항목모니터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약선도.
제15도-제18도는 소재모니터의 표시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약선도.
제19도는 소재모니터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약선도.
제20도 및 제21도는 소재모니터 및 항목모니터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약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스트워크스테이션 2 : 자동제어장치
3 : 본선스위치 5A-5K : 워크스테이션
14 : VTR 카드시스템 21 : 정지화작화편집장치
27 : 정지화송출장치 31 : 아나운드원고테이블
32 : 스튜디오카메라시스템 35 : 날씨카메라시스템
36 : 소재분배스위치 41 : 긴급송출장치
본원 발생는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전방송시스템에 적용되는데 적합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에 있어서, 큐시트의 작성시 및 뉴스소재의 편집시에 참조코드를 부여하고, 뉴스소재의 송출시에 이 참조코드를 자동조회(照會)하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또한 간편하게 뉴스소재를 관리하면서 송출할 수 있다.
텔레비전방송에 있어서의 뉴스프로그램은 여러가지 잡다한 뉴스소스를 시청자에게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며,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정해진 제한시간의 범위에서 뉴스소스를 초단위(炒單位)로 집약하여 편집된 순위에 따라서 온에어(on air)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실제상 뉴스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에는 방송하려고하는 뉴스의 종별에 따라서 시청자의 관실에 적응될 수 있는 분위기를 가진 화면을 필요에 따라 알기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한정된 시간내에 배열시키는 것이 필요한 동시에, 시시각각 발생하는 뉴스소스를 될 수 있는한 신속하게 뉴스프로그램에 편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예측할 수 없는 내용 및 발생시점, 발생장소를 갖는 뉴스소스를 소정시간내에 뉴스프로그램으로써 구성해가기 위해서는 기자나 편집자등의 보도부원이 뉴스소스를 구성하는 소재를 될 수 있는한 간편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뉴스프로그램에 정리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정리된 각 뉴스프로그램을 을 중단되는 일없이 순차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긴급성이 발생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각 프로그램의 송출순서를 교체할 수 있는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으면, 시청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뉴스프로그램을 방송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뉴스프로그램은 여러가지 잡다한 뉴스소스를 그 긴급성이나 시청자의 관심도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면서 뉴스소스전체중에서 방송해야 할 뉴스소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정해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온에어시 또는 그 직전에 있어서도, 뉴스프로그램을 순번에 따라 자동적으로 송출하고 있는 장치에 대하여 보도부원이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송출상태를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집된 여러가지 잡다한 뉴스소재를 혼란없이 관리하면서 기자, 편집자등 보도부원이 필요성을 느꼇을 때 이에 따라 될 수 있는 한 간편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뉴스프로그램에 편입해 갈 수 있도록 한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생에 있어서는 복수의 뉴스소재 (SMI)-(SMN)을 큐시트(CUS)에 따라 차례로 송출하는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NEWS)에 있어서, 큐시트(CUS)를 작성할 때에 이 큐시트(CUS)를 구성하는 뉴스소재 (SM1)-(SMN)에 각기 제1의 참조코드를 부여하는 동시에, 큐시트(CUS)를 구성하는 뉴스소재 (SMI)-(SMN)을 편집할 때에 제1의 참조코드와 동일한 제2의 참조코드를 부여하고, 편집된 뉴스소재 (SMI)-(SMN)의 송출시에, 큐시트(CUS)에 의해서 지정되는 뉴스소재 (SMI)-(SMN)에 부여된 제1의 참조코드를 편집된 뉴스소재 (SMI)-(SMN)에 부여된 제2의 참조코드와 자동조회하도록 한다.
큐시트(CUS)를 작성할 때에 각 뉴스소재 (SMI)-(SMN)에 부여한 참조코드와 동일한 참조코드를 편집된 뉴스소재 (SMI)-(SMN)에 부여하는 동시에 뉴소소재 (SMI)-(SMN)의 송출시에 제1 및 제2의 참조코드를 자동조회하도록 함으로써, 확실하게 큐시트(CUS)에 의해서 지정된 뉴스소재 (SMI)-(SMN)를 차례로 송출할 수 있는 동시에, 뉴스소재 (SMI)-(SMN)의 편집에서 송출에 이르는 동안까지의 뉴스소재 (SMI)-(SMN)의 관리를 참조코드에 의거하여 행할 수 있음으로써, 뉴스소재 (SMI)-(SMN)의 처리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원 발생의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1) 관리용데이타의 구성
뉴스프로그램에 있어서 송출되는 뉴스소스정보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항목 소재로 분류되며, 이 분류에 따라서 모든 뉴스소재를 각별히 구별할 수 있는 참조데이타(이것을 ID데이타라 함)를 할당하는 동시에, 이 ID데이타에 의거하여 뉴스소재의 관리 및 처리를 실행한다.
방송국 1국에 있어서의 1일분의 뉴스프로그램은 그 방송시각의 순서에 따라서 제1, 제2..... 제L의 프로그램정보로 분류되며, 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명칭, 예를들면, 뉴스/스포쓰, 아침뉴스.... 특별프로그램이라고 호칭되는 동시에, 고유의 프로그램코드(PR1), (RP2), ...... (PRL)이 부여된다.
제1, 제2..... 제L의 프로그램정보는 제1, 제2.... 제M의 항목정보로 구성되며, 각 항목정보는 뉴스내용을 나타내는 항목명칭 예를들면 엔고 120엔 돌파, D 항공기, ........ 날씨라고 호칭되는 동시에, 고유의 항목코드(IT1), (IT2),..... (ITM)이 부여된다.
또한, 각 항목정보의 내용은 VTR영상, 정지화그래픽, 카메라영상 ...... 중계영상 등의 소재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소재에 대하여 소재코드(SM1), (SM2), (SM3), ..... (SMN) 및 넘버코드(NO)가 부여된다.
참언하면, 소재넘버코드는 같은 소재에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이것을 구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제상 각 항목정보는 소재의 시간열(時間列)을 나태내는 큐시트정보와 아나운스원고로 이루어지며, 큐시트정보는 소재정보와 스위치정보로 구성된다.
이리하여 뉴스프로그램의 모든 뉴스소재는 프로그램코드 PRL(L=1,2,........L)와, 항목코드 ITM(M=1,2,.......M)와, 소재코드 SMN(N=1,2,.......N)와, 소재넘버코드(=NO1,2,......)로 이루어지는 ID데이타에 의해서 특정할 수 있고, 이 실시예의 경우의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은 이 ID데이타를 기준으로 하여 소재의 처리를 실행한다.
(2)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의 전체구성
제2도에 있어서, NEWS는 전체로서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을 표시하며,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의한 관리하에 각 프로그램정보를 구성하는 항목정보가 작성준비되는 동시에, 온에어시, 이 작성준비된 항목정보에 포함되는 소재정보가 자동제어장치(2)에 의해서 본선스위치(3)를 통해서 본선출력(BDOUT)으로서 하나씩 송출된다.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NEWS)은 전송라인(4)을 통해서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접속된 워크스테이션(5A),(5B).....(5K)을 가지며, 각 항목을 담당하는 기자가 이 워크스테이션(5A),(5B)........(5K)를 사용하여 수집한 소재정보를 처리하여 각 항목마다 큐시트(CUS)를 작성하고, 이 큐시트(CUS)의 데이타를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축적한다.
여기서 큐시트(CUS)는 하나의 항목마다 소재정보의 송출시각을 스케들로서 정한 것이며, 온에어시 큐시트(CUS)에 따라서 각 항목에 포함되는 소재정보가 송출된다.
실제상 보도부에 있어서는 보도데스크가 뉴스프로그램의 전체구성을 관리하고, 각 프로그램의 항목을 결정하는 동시에 항목마다 담당기자 및 시간을 정한다. 정해진 기자는 담당할 항목에 대해 소재구성플랜을 세움으로 항목내용(즉, 뉴스소재, 시간, 아나운스원고)을 작성하여 보도데스크에 피드백한다.
통상 이 작업을 반복한 후 보도데스크는 항목할당최종판을 결정하고, 이 최종판에 의거하여 기자는 큐시트를 작성하는 동시에, 소재구성플랜에 따라 전자영상소재(ENG소재)를 전자영상편집실ENG편집실에 편집의뢰를 하는 동시에, 텔롭(telop), 정지화등을 콤퓨터그래픽스 편집실(CG편집실)에 제작의뢰를 한다. 이리하여 항목할당최종판에 포함되는 소재가 편집된다.
전자영상소재는 취재에 의해 수집된 소재테이프(11A),(11B),(11C)를 편집부스(12A),(12B),(12C)에 있어서 송출용테이프(13)에 편집하고, 이 송출용테이프(13)가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카트시스템(14)에 세트되며, 온에어시 본선스위치(3)를 통해서 송출된다.
또, 긴급취재에 의해서 반입된 긴급반입테이프(15)는 긴급송출용 테이프(16)로서 직접 VTR 카트시스템(14)에 세트된다.
또, 텔롭, 정지화는 정지화작화편집장치(21)에 의해서 콤퓨터그래픽스(22), 캐릭터제너레이터(23), 텔롭장치(24)를 동작시키면서 작성되어 정지화템퍼러리스토리지(25)를 통해서 정지화마스터파일(26)에 격납된다.
이리하여 격납된 정지화소재는 온에어시, 정지화작화편집장치(21)에 의해서 정지화템퍼러리스토리지(25)를 통해서 정지화마스터파일(26)로부터 독해되어서 정지화송출장치(27)를 통하여 본선스위치(3)에 송출된다.
또, 카메라영상소재는 아나운드원고테이블(31)에서 얻어지는 아나운스정보(ANN)와 함께, 스튜디오카메라시스템(32)을 통해서 본선스위치(3)에 송출된다.
또한, 날씨정보는 전용회선(33)으로부터 모뎀(34)을 통해서 날씨카메라시스템(35)에 입력하거나, 소재분배스위치(36)를 통해서 마이크로회선(37)으로부터 입력된 날씨카메라정보를 날씨카메라시스템(35)에 공급함으로써 본선스위치(3)에 송출된다.
또한, 중계정보는 마이크로회선(37)이나 네트회선(38), 외부회선(39)으로부터 소재분배스위치(36)을 통해서 직접 본선스위치(3)에 공급된다.
실제상 소재분배스위치(36)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으로부터 부여되는 회선예약정보(S1)에 의거하여 회선제어회로(40)를 제어함으로써 입력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긴급송출장치(41)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긴급정보를 자동제어장치(2)의 제어하에 필요에 따라 본선스위치(3)에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은 입출력장치(1X)로서 수서(手書) 입력테블리트(101), 마우스(102), 이미지티더(103) 및 프린터(104)를 갖는다.
(3) ID 데이타에 의한 뉴스소재의 관리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NEWS)에 있어서는 뉴스제작시의 뉴스소재의 관리를 제3도에 나타내는 ID데이타의 관리순서(RTO)에 따라 실행한다.
먼저 처리스텝(RT1)에 있어서, 보도데스크가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을 사용하여 제작하려고하는 뉴스프로그램명칭 및 이 뉴스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뉴스항목명칭을 수서에 의해 입력하고 확인한 후 등록한다.
이 등록시에 프로그램에 대하여 프로그램 코드 (PR1),(PR2),(PRL)이 부여되는 동시에, 배열된 항목의 순서에 따라 항목코드(IT1),(IT2),......(ITM)이 부여된다.
다음에, 처리스텝(RT2)에 있어서 보도데스크가 각 뉴스항목에 대하여 기자를 할당함으로써 할당된 기자가 각 뉴스항목에 대하여 원고를 작성하고, 정지화, VTR 테이프등의 뉴스소재를 수집한다.
이어서, 기자는 처리스텝(RT3)에 있어서 수집한 뉴스소재에 의거하여 항목내에 있어서의 송출스토리를 생각하여 소재 및 그 송출시의 효과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재의 송출순서가 결정되면 그 송출순서에 따라 소재코드(SM1),(SM2),......(SMN)이 결정되는 동시에 이 소재의 넘버코드(NO)가 결정된다.
여기서, 기자는 다음의 스텝(RT4)에 있어서 워크스테이션(5A)-(5K)를 사용하여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배설되어 있는 ID파일에 소재코드 및 넘버코드를 등록함으로써 코드를 부여한다.
이어서, 처리스텝(RT5)에 있어서 기자는 소재의 편집을 편집실에 의뢰하고, 편집실은 소재를 편집한다. 여기서, 편집실의 편집부스(12A)-(12C) 및 정지화작화편집장치(21)에는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으로부터 각 소재코드 (SM1)-(SMN) 및 소재넘버코드(NO)를 표시하는 코드데이타(DCODE)가 전송되며, 편집실은 이 편집된 소재에 소재코드 및 넘버코드를 부여하여 VTR 카트시스템(14), 정지화마스터파일(26)에 격납한다.
이러한 편집의뢰와 함께 기자는 스텝(RT6)에 있어서 워크스테이션(5A)-(5K)를 사용하여 큐시트(CUS)를 작성한다.
큐시트(CUS)는 온에어시의 소재송출순서 및 부가할 효과를 시간순서에 따라 프로그래밍한 데이타로 이루어지며, 기자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동시에 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술항목을 선택하여 이 뉴스항목을 구성하는 소재를 차례로 입력해 간다.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있어서 보도데스크에 의해 이미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명칭 및 항목명칭을 워크스테이션(5A)-(5K)으로부터 전송라인(4)을 통해서 독해하는 동시에, 이 항목을 구성하는 소재를 차례로 입력함으로써 큐시트(CUS)를 작성해 간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큐시트(CUS)를 구성하는 각 소재에는 프로그램코드/항목코드/소재코드/넘버코드가 부여되어 있으므로써 큐시트전체에는 이 코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소재(ID)가 온에어시의 송출순서에 따라 배열된다.
이리하여 작성된 큐시트(CUS)를 나타내는 데이타는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전송격납되며,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은 이 큐시트로부터 디바이스제어파일(각 디바이스의 제어순서와 스위치전환시의 효과가 기술되어 있음) 및 소재(ID) 파일(제어순서에 따라 소재(ID)가 배열되어 있음)을 작성하여 보존한다.
뉴스소재의 송출시에는 스텝(RT7)에 있어서 보도부원이 워크스테이션(1)을 통해서 자동제어장치(2)에 의해서 큐시트(CUS)상의 소재(ID)와, 편집된 소재의 소재(ID)와의 자동 ID대조를 실행시키는 동시에, 이 대조결과를 모니터표시시킴으로써 확인을 한 후, 처리스텝(RT8)에 있어서 소재를 송출시킨다. 이리하여 처리스텝(RT9)에 있어서 이 ID의 관리처리수순을 종료한다.
(4) 자동제어계에 의한 작업
제2도의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NEWS)은 뉴스서브에 호스트워크스테이션(1)과 함께 설비되어 있는 자동제어장치(2)를 중심으로 하는 자동제어계가 보도부원의 메뉴얼조작에 응동(應動)하면서 제4도에 나타내는 작업순서를 실행함으로써, 자동적으로서 송출정보를 작성처리, 본선스위치(3) 및 이것에 접속된 기기를 자동제어하면서 온에어처리를 실행해간다. 그렇게함에 따라 보도부원은 각 항목을 구성하는 소재의 제작상황이나, 송출준비되고 있는 소재의 내용이 모니터에 표시됨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제4도의 스텝(SPI)에 있어서, 보도데스크가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의 수서입력태블리트(I01)(제7도) 및 마우스(I02)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및 항목을 수서로 입력한다.
즉,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서입력태블리트(I01)의 표시화면(DSIN)에 등록할 항목형칭(예를들면, 엔고 1달러 120엔 돌파 3:00)을 수서하는 동시에,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의 표시화면(DDS)상의 프로그램등록 입력표시부(DS1) 및 프로그램표시 입력표시부(DS2)(초기화면에 있어서 표시되어 있음)에 커서(cursor)를 놓고, 마우스의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행한다(이것을 클릭입력이라 함).
즉,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의 초기화면(제5도)에 있어서, 프로그램입력표시부를 클릭입력하면 태블리트(I01)에 수서된 프로그램명칭이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등록되고, 그 등록조작순서에 따라서 제1, 제2...... 제L의 프로그램(제1도)의 프로그램명칭 뉴스/스포쓰아침뉴스.......특별프로 및 그 방송시간을 각기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표시화면(DDS)의 프로그램표시입력표시부(DS2)를 클릭입력하면,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은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된 프로그램명칭 및 방송시간을 예를들면 하루의 시각의 순서에 따라서 표시하는 동시에, 항목등록 입력표시부(DS3) 및 항목표시 입력표시부(DS4), 종료입력표시부(DS5)를 표시한다.
제6도에 있어서, 항목등록입력표시부(DS3) 및 프로그램명칭을 클릭입력하면 표시화면(DSS)에 수서입력래블리트(I01)로부터 이 프로그램명칭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항목명칭(예를들면 엔소 1달러 120엔 돌파 3:00)를 표시화면(DDS)에 표시하는 동시에 이것을 등록한다(제7도).
이와 같이 해서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등록된 항목은 제6도에 있어서 항목입력표시부(DS4)를 클릭함으로써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DDS)상에 일제히 표시된다.
제6도에 있어서 종료입력표시부(DS5) 또는 (DS14)를 클릭하면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은 제5도의 초기화면에 복귀한다.
제8도의 경우, 프로그램명칭 저녁뉴스의 프로그램으로서 8개의 항목 즉 엔고 1달러 120엔 돌파 3:00, D 항공기 K 회견 5:00........날씨 5:00가 이미 등록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을 사용하여 보도부데스크가 항목을 수서입력한 상태에 있어서, 뉴스프로그램제작작업(제4도)은 다음의 스텝(SP2)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SP2)는 입력된 항목에 할당된 기자가 항목의 원고를 작성하는 동시에 소재를 선택하고, 다음의 작업스텝(SP3)에 있어서 소재의 편집을 의뢰하며, 이 때 편집실은 소재를 편집한 후 스텝(SP4)에 있어서 각 소재에 ID코드를 부여한다. 이리하여 편집된 소재는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에 등록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기자는 작업스텝(SP5)에 있어서 워크스테이션(5A),,(5B).........(5K)를 사용하여 할당된 항목마다 큐시트(CUS)를 작성한다.
이 작업은 제6도 및 제8도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보도데스크에 의해서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있어서 등록된 항목을 워크스테이션 (5A),,(5B).........(5K)에 있어서 전송라인(4)을 통해서 독해함으로써, 제8도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항목화면을 워크스테이션(5A),,(5B).........(5K)의 표시화면(DDSX)상에 표시한 후, 이제부터 작성하려고 하는 항목명칭 예를들면 엔고 1달러 120엔 돌파 3:00를 클릭입력하는 동시에, 큐시트입력표시부(DS21)를 클릭입력한다.
이 때 워크스테이션(5A),,(5B).........(5K)의 표시화면(DDSX)에는 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큐시트(CUS)의 화면이 표시된다.
이 큐시트(CUS)의 화면은 프로그램명칭 저녁뉴스 및 항목명칭 엔고 1달러 120엔 돌파 3:00의 표시와 함께 각 소재 즉 스튜디오 카메라, VTR, 정지화, 텔톱, 스위치에 대하여 횡장(橫長)의 시간대(時間帶)표시를 차례로 중방향으로 배열한 구성을 가지며, 이 큐시트(CUS)에 의해서 이 항목에 대해 사용되는 소재의 시간적인 배열구성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이 큐시트를 작성할 때에는 기자는 삽입, 이동, 삭제, 교체, ←, →, 인쇄입력표시부(DS31), (DS32), (DS33), (DS34), (DS35), (DS36), (DS37)을 필요에 따라 클릭조작한다.
여기서, 삽입입력표시부(DS31)를 클릭하면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큐시트(CUS)의 표시화면의 우측부분에 윈도(WD)가 열림으로써 소재 및 스위치효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소재로서 4대의 스튜디오카메라(C1)-(C4)와, 4개의 VTR(V1)-(V4)와, 4매의 정지화(S1)-(S4)와, 2개의 중계화면(NET1), (NET2)와, 2개의 텔롭(FRU1), (FRU2)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12개의 효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각 소재 및 스위치효과를 표시하는 선택마크가 윈도(WD)에 배열되어 있으며, 기자가 이 마크를 클릭입력함으로써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를 선택지정하면, 이 선택지정된 소재 및 스위치효과의 시간대에 커서가 이행하여 그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의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을 클릭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0도의 실시예의 경우, 항목 엔고 1달러 120엔 돌파 3:00는 3분간의 소재배열하여 이루어지며, 스튜디오의 시간대중 타임 0.00으로부터 1분 10초(1:10)의 시간동안 스튜디오카메라(C1)의 사용이 등록되고, 이 스튜디오카메라(C1)의 사용종료타임 1:10으로부터 1분 10초(1:10)동안 VTR(V1)의 사용종료시점 2분 20초(2:20)로부터 이 항목의 종료타임 3:00동안까지의 중계네트워크(NET1)의 사용이 등록되며, 그 사이에 10초간의 정지화(S1) 및 5초간의 텔롭(T1)이 스위치효과와 함께 인터럽트 삽입되는 등록이 되어 있다.
이 큐시트(CUS)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는 소재의 시간배열의 등록데이타는 시간배열을 표시하는 타임코드와, 각 소재 및 스위치효과에 할당된 소재코드에 의해서 표현되어 있으며, 이 큐시트(CUS)의 작성이 종료되면 이 큐시트데이타가 워크스테이션(5A)-(5K)로부터 전송라인(4)를 통해서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전송격납된다.
그리고,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이동입력표시부(DS32)를 클릭입력하는 동시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의 표시상에 커서를 옮겨서 클릭입력하면, 그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는 화면상 시간측방향(즉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리하여 소망의 위치에 이동시킨 후 클릭입력하면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의 시간축상의 이동처리가 실행된다.
또, 삭제 입력표시부(DS33)를 클릭입력하는 동시에 삭제하려는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의 표시에 커서를 옮겨서 클릭입력함으로써 이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를 삭제처리할 수 있다.
또, 교체입력표시부(DS34)를 클릭입력하고, 이어서 교체하고 싶은 제1 및 제2의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를 표시를 차례로 클릭입력하면 이들 소재 또는 스위치효과를 서로 교체할 수 있다. 및 입력표시부(DS35) 및 (DS36)은 클릭입력조작중에 시간측이 진행하는 방향 또는 복귀하는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다.
인쇄 입력표시부(DS37)을 클릭입력하면 표시화면(DDSX)상의 큐시트(CUS)가 그대로 프린트아웃된다.
이와 같이 하여 큐시트(CUS)의 작성이 종료되어 종료입력표시부(DS38)를 클릭입력하면 표시화면(DDSX)는 제5도의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워크스테이션(5A)-(5K)를 사용하여 작성된 큐시트(CUS)가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등록격납되면,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은 작업스텝(SP6)(제4도)에 있어서, 각 항목마다 작성된 큐시트(CUS)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의 ID코드와 상술한 스텝(SP3) 및 (SP4)에 있어서 편집된 소재에 부여된 ID 코드를 자동조회함으로써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리하여 일치하면, 작성된 큐시트(CUS)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가 편집된 상태로 등록완료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이 큐시트(CUS)를 사용하여 소재를 차례로 송출할 수 있는 스탠드바이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항목마다 큐시트(CUS)상의 소재가 스탠드바이상태로 되어있는지 여부는 작업스텝(SP7)이후의 작업스텝에서 확인된다.
즉, 스텝(SP7)이후의 작업스텝(온에어시의 작업스텝에 해당됨)에 있어서, 보도부원은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소재 및 항목마다 큐시트(CUS)에 의해서 송출할 예정으로 되어있는 소재가 스탠드바이상태가 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일하는 동시에, 긴급시에 있어서의 항목변경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배려를 하면서, 항목을 구성하고 있는 소재를 큐시트(CUS)로 표시되어 있는 순서로 테이크기(TAKE)(송출용스위치)를 조작할 때마다 하나씩 송출해 갈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자동제어장치(2)에는 항목모니터(MR1) 및 소재모니터(MR2)를 가지며, 작업스텝(SP7)에 있어서 다음의 순서에 의해서 각 항목에 포함되는 소재가 스탠드바이상태가 되었는지 여부를 정지화로 된 표제화(表題化)를 표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은 제8도의 항목화면을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 항목표시 예를들면 중의원예산위 H 위원장 1:30을 클릭입력하는 동시에, 소재모니터입력표시부(DS26)을 클릭입력했을 때, 소재모니터(MR2)에 제11도 또는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재일람화면을 표시한다.
제11도의 소재일람화면은 항목표시 중의원예산위 H 위원장 1:30의 표시와 함께 이 항목에 대해 작성된 큐시트(CUS)에 의거하여 사용되고 있는 소재 즉 카메라1, 정지화1, 정지화2, VTR1에 대한 소재명표시가 일람표처럼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스텝(SP6)에 있어서 큐시트(CUS)상의 소재코드와 편집소재의 소재코드사이의 ID 코드자동조회의 결과, 조회를 취할 수 없었던 것에 대해서는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소재명을 문자로 표시한채 그대로 둔다(이 화상을 소재명화상이라고 호칭함).
이에 대해 자동 ID조회가 취해진 것이 발생하면, 그때마다 소재표시로서 소재명화상(IND1), (IND2), (IND3)이 표시되어 있던 위치에 소재표제화상(IND1X), (IND2X), IND3X)를 표시하고, 이에 대해 여전히 자동 ID조회가 취해지지 않는 소재에 대해서는 소재명화상(IND4)를 그대로 남기도록 한다.
여기서, 소제표제화상(IND1X), (IND2X), (IND3X)로서는 이 항목정보의 내용을 간명하게 표시하는 화상 예를들면 선두화로 이루어지는 정지화를 사용하여 이것에 의해 일견해서 뉴스항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 항목을 구성하는 소재의 제작작업이 종료되어 스탠드바이상태로 되었는지 여부의 진척상황을 자동제어장치(2)의 소재모니터(MR2)를 감시함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은 작업스텝(SP8)에 있어서, 모든 항목에 대해, 소재화스탠드바이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감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스텝(SP8)에 있어서의 작업은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있어서 제8도의 항목화면을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 항목표시를 차례로 클릭입력해감으로써 소재모니터(MR2)의 표시를 전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자동제어장치(2)는 항목모니터(MR1)를 사용하여, 각 항목에 대해 스탠드바이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각 항목의 표제화상 예를들면 최초의 소재의 표제화상을 사용하여 작업스텝(SP9)에 있어서 모니터한다.
이 항목모니터(MR1)는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수서선택에 의해서 항목명이 등록되었을때, 이 항목명화상(HED1)-(HED8)을 항목모니터(MR1)의 표시화면상에 일람표로서 항시 표시해둔다(제13도).
그리고, 그후 각 항목에 대해 모든 소재가 스탠드바이상태로 되었을때, 제12도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항목에 포함되는 모든 소재에 대한 표제화상(IND1X), (IND2X), (IND3X)중 예를들면 최초의 표제화상(IND1X)으로 이루어진 항목표제화상(HED1X)을 그때까지 표시되고 있던 항목명화상(HED1)과 교체하여 그 위치에 표시한다.
이리하여 보도부원은 항목모니터(MR1)을 감시함으로써 이 뉴스프로그램전체에 대한 제작작업의 진척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리하여 항목모니터(MR1)의 항목일람화면의 전체가 항목표제화상으로 치환된 상태가 되었을때, 이 항목에 대한 소재가 스탠드바이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 때 보도부원은 자동제어장치(2)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크키(TAKE)를 조작함으로써, 큐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항목에 포함되는 소재를 최초의 소재부터 차례로 테이크키(TAKE)가 조작될때마다 본선스위치(3)를 통해서 본선출력(BDOUT)으로서 작업스텝(SP10)에 있어서 송출해간다.
이러한 온에어상태에 있어서 예를들면 긴급반입테이프(15)가 반입되었을 경우에는 제2도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ID 데이타를 부여하지 않은 긴급송출용테이프(16)로서 VTR 카드시스템(14)에 장착됨으로써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NEWS)에 긴급등록된다.
이 때, 보도부원은 필요에 따라 작업스텝(SP11)에 있어서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을 조작함으로써 항목의 교체작업을 실행한다.
즉,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에 있어서 제8도에 따라 상술한 항목화상을 독해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교체입력표시부(DS22)를 클릭입력한 후 교체하고 싶은 항목표시를 차례로 클릭입력한다.
이와같이 하여 교체조작되면, 호스트워크스테이션(1)의 소재(ID)파일에 기입되어 있는 소재(ID)중, 교체할 ID를 가진 항목에 포함되는 소재가 긴급용테이프에 일괄변경된다.
이리하여 온에어상태에 있어서 긴급한 뉴스소스가 반입된 경우, 이것을 이미 등록되어 있는 소정의 ID가 부여된 소재로 바꾸어서 이것을 긴급소재와 일괄해서 교체함으로써 긴급히 송출할 수 있다.
(5)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편집에 앞서 기자가 소재에 소재(ID)를 부여하는 동시에 이 소재(ID)를 사용하여 큐시트(CUS)를 작성한 후, 이 큐시트(CUS)의 소재(ID)와 편집소재의 소재(ID)와의 자동 ID 조회가 취해진 소재에 대해 이것을 본선출력(BDOUT)으로서 송출하도록 하였으므로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NEWS)전체로서 소재의 관리를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송출할 소재의 작성작업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이나, 긴급소재의 교체등을 소재에 부여된 소재(ID)를 기준으로 하여 실행해 가면 되므로, 필요에 따라 보도부원의 내뉴얼의 모니터동작에 의한 판단을 조합하면서 뉴스소재의 처리을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에 의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큐시트(CUS)에 따라서 송출순서가 결정된 뉴스소재를 그 순서에 따라 소재일람화면으로서 소재모니터(MR2)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각 항목을 구성하는 뉴스소재의 제작진척상황을 소재모니터(MR2)의 표시에 의해서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재모니터(MR2)에 있어서 소재를 소재일람화면으로서 배열표시함에 있어, 자동 ID 조회가 취해진 소재에 대해서 이 배열위치에 표제화상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스탠드바이상태로 된 뉴스소재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ID 조회가 취해지지 않는 뉴스소재에 대해서는 ID 조회가 취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수서입력된 문자표시를 그대로 소재명화상(IND4, 제4도)으로서 계속 표시하도록 함), 스탠드바이상태로 된 소재의 확인을 더욱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항목모니터(MR1)를 설정하고, 이 항목모니터(MR1)에 의해 하나의 뉴스프로그램에 있어서 사용하는 뉴스항목을 송출순서를 표시하도록 배열표시하는 동시에, 제작이 완료된 뉴스항목에 대하여 이 항목표시위치의 표시를 표제화상(HEDIX)(제14도)으로 치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뉴스프로그램의 제작진척 상황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리하여 불안없이 이 뉴스프로그램을 온에어할 수 있다.
(6) 다른 실시예
1)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는 소재모니터로서 1대의 소재모니터(MR2)를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이 대신에 제15도 및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대의 소재모니터(MR11) 및 (MR12)를 설치하고, 제1의 소재모니터(MR11)에 온에서하는 뉴스항목 즉 온에어항목(ONAIR)의 소재를 소재일람화면으로서 표시하는 동시에, 다음에 송출할 뉴스항목 즉 넥스트항목(NEXT)을 구성하는 소재를 일람화면으로서 표시하고, 다시 제2의 소재모니터(MR12)에 다음다음에 송출한 뉴스항목 즉 세컨드항목(SECOND)을 구성하는 소재를 소재일람화면으로서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5도 및 제16도에 대응시켜서 제17도 및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에어항목(ONAIR), 넥스트항목(NEXT), 세컨드항목(SECOND)에 대한 소재일람화면으로서 일람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현재 온에서하려고 하는 뉴스항목에 한하지 않고, 그다음 및 그 다음다음으로 차례로 송출되는 뉴스항목에 대해서도 그 스탠드바이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써, 그 뉴스프로그램의 소재의 송출을 한층 높은 인식감 가지고 송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온에어시에 뉴스항목의 송출순서를 교체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8도에 대응시켜서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컨드항목(SECOND)에 이 교체하려고 하는 소재의 소재일람화면을 표시함으로써, 그 스탠드바이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온에어하고 있는 온에어항목(ONAIR)에 대해 항목교체의 영항을 표시하지 않게 할 수 있다.
2) 제11도 및 제12도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동 ID 조회가 얻어진 소재에 대하여 소재명화상(IND1)-(IND3)과 같은 위치에 표제화상(IND1X)-(IND3X)를 치환표시하도록 하고, 또 제13도 및 제14도에 있어서는 항목명화상(HED1)과 같은 위치에 항목표제화상(HEDIX)를 치환표시하도록 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소재표제화상 및 항목표제화상의 표시방법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0도 및 제21도의 소재모니터(MR2) 및 항목모니터(MR1)에 소재일람화면 및 항목일람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화상표시영역(ARA1) 및 (ARA11)을 설정하는 동시에, 그 근방위치 예를들면 하측위치에 소재명표시영역(ARA2) 및 항목표시영역 (ARA12)를 설정하여, 화상표시영역(ARA1) 및 (ARA11)에 각기 소재명화상 및 항목명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재표제화상 및 항목표제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표시되는 화상의 내용이 변화해서 소재명표시영역(ARA2) 및 항목명표시영역(ARA12)의 표시위치에 변화가 없으므로 소재 및 항목의 확인을 한층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ID조회가 되기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소재명화상 및 항목명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백지화(白紙化)를 표시하도록 해서 된다.
3) 제6도 및 제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및 항목을 입력함에 있어, 태블리트에서 수서입력을 사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이 대신에 키보드, 문자인식수단등을 사용하여 입력하도록 해서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편집된 소재에 대하여 큐시트를 구성하는 소재의 ID 코드와 동일한 ID 코드를 부여하는 동시에, 이 ID코드에 의거하여 뉴스소재제작작업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보도부원이 필요에 따라 매뉴얼적으로 확인하면서 온에어에 이르기까지의 뉴스소재를 자동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의 송출소재를 큐시트에 따라 차례로 송출하는 텔레비전프로그램 송출시스템에 있어서, 표시수단과, 상기 큐시트를 작성하여, 상기 복수의 송출소재를 상기 큐시트에 따라 순번으로 배열하는 배열수단과, 배열된 상기 복수의 송출소재를 상기 표시수단상에 동일한 순번으로 동시에 표시되는 표시제어수단과를 가지는 텔레비전프로그램 송출시스템.
  2. 복수의 송출소재로부터 큐시트에 따른 순번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뉴스항목으로 이루어지는 뉴스프로그램 송출시스템에 있어서, 표시수단과, 상기 큐시트를 작성하여, 상기 뉴스항목내의 상기 복수의 송출소재를 상기 큐시트에 따라 순번으로 배열하는 배열수단과, 송출될 제1의 뉴스항목내의 배열된 상기 복수의 송출소재를 상기 표시수단의 상부에 표시하고, 송출될 제2의 뉴스항목내의 배열된 상기 복수의 송출소재를 상기 표시수단의 하부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과를 가지는 뉴스프로그램 송출시스템.
KR1019980014890A 1988-04-16 1998-04-27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KR0176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94156 1988-04-16
JP63094156A JP2629802B2 (ja) 1988-04-16 1988-04-16 ニユース番組放送システム
KR1019890004975A KR0153281B1 (ko) 1988-04-16 1989-04-15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975A Division KR0153281B1 (ko) 1988-04-16 1989-04-15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6955B1 true KR0176955B1 (ko) 1999-05-01

Family

ID=2643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890A KR0176955B1 (ko) 1988-04-16 1998-04-27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95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281B1 (ko)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US6441832B1 (en) Hierarchical processing apparatus and hierarchical processing method for video and audio data
US6460018B1 (en) Program produ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US85609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video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S8726187B2 (en) Building macro elements for production automation control
US20040027368A1 (en) Time sheet for real time video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EP2061032A1 (en) Full news integration and automation for a real time video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US70246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video production and multicasting
US9098193B2 (en) Broadcast control
US8726332B2 (en) Broadcast programming delivery apparatus, switch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60184497A1 (en) Network-information-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CN101742118B (zh) 切换器控制装置、切换器控制方法和图像合成设备
DE60131251T2 (de) System zur echtzeit-videoproduktion
JP2629804B2 (ja) ニユース番組放送システム
KR0176955B1 (ko) 뉴스프로그램방송시스템
WO2001061896A1 (fr) Dispositif et procede pour emettre des donnees
JP2699395B2 (ja) ニユース番組放送システム
JP2629803B2 (ja) ニユース番組放送システム
JP3006757B2 (ja) 編集装置
CN101410796B (zh) 构建用于制作自动化控制的宏组件
CA1335838C (en) News program broadcasting system
JP2007142580A (ja) 送出リスト編集装置及び送出リスト編集方法
JP3467999B2 (ja) ニュース制作支援システムおよびニュース制作支援方法
JPH10308909A (ja) 番組付帯情報作成装置
JP2001067839A (ja) データ記録管理装置及びデータ記録管理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