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439B1 -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 Google Patents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439B1
KR0176439B1 KR1019960002541A KR19960002541A KR0176439B1 KR 0176439 B1 KR0176439 B1 KR 0176439B1 KR 1019960002541 A KR1019960002541 A KR 1019960002541A KR 19960002541 A KR19960002541 A KR 19960002541A KR 0176439 B1 KR0176439 B1 KR 017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guide rail
loading means
wire bonder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626A (ko
Inventor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6000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439B1/ko
Publication of KR97006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다수의 적치되어 있는 리드 프레임을, 와이어 본딩 작업을 위해 적치수단으로부터 와이어 본더로 공급하기 위한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에 대해 개시한다.
본원의 가이드 레일은, 와이어 본더에 의해 본딩될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1적재수단과 와이어 본더에 의해 본딩된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2적재수단 사이에서 그 리드 프레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제1적재수단에 인접된 부하는, 그 부위에 가이드된 리드 프레임이 수직상방으로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적재수단에 인접된 부위에는 그 부위에 가이드된 리드 프레임의 수직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의 구조를 가지는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은 리드 프레임의 이송시 발생될 수 있는 잼(jam)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제1도는 리드 프레임 이송장치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종래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발췌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 가이드 레일의 단면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 가이드 레일의 타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공급장치의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5a도는 사시도, 제5b도는 좌측면도, 제5c도는 우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공급장치의 가이드 레일의 타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6a도는 사시도, 제6b도는 좌측면도, 제6c도는 단면도, 제6d도는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가이드 레일 10a, 100a : 입측 장공부
10b, 100b : 출측 장공부 100c : 중앙 장공부
1 : 리드 프레임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적치되어 있는 리드 프레임을, 와이어 본딩 작업을 위해 적치수단으로부터 와이어 본더로, 또는 와이어 본더에서 적치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리드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드 프레임(lead frame)은 반도체 소자(IC 칩)의 기능을 외부회로에 전달해줌과 아울러 독립된 하나의 부품으로써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드 프레임은 통상 IC 칩이 안착되는 패드부와, 주변에 이 IC 칩과 와이어 본딩되는 인너 리드(inner lead)와, 이 인너 리이드와 연결되고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아우터 리드(outter lead)로 구성되어진다.
통상적인 리드 프레임의 제조는, 스템핑(STAMPING)에 의한 방법 또는 에칭(ETCHING) 즉, 식각에 의한 방법에 따라 리드 형상을 각인하는 공정에서 시작된다.
여기서 스템핑 방식은 순차 이송형 프레스 금형장치에 의해 소재를 순차시켜 타발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으로 제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주로 대량생산에 많이 이용된다.
한편 상기 에칭방식은 식각에 의한 화학적 부식방법에 의한 것으로 미세한 패턴의 리드 프레임의 제조에 적합하다. 이 제조공정은 리드 프레임의 설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소재를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 레지스트 코팅(RESIST COATING)단계, 노광단계, 현상단계, 에칭단계, 박리단계 그리고 후처리단계로서 프레이팅 단계(plating step), 테이핑 단계(taping step)등을 포함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제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된 리드 프레임은, 그 리드 프레임과 리드 프레임의 패드부에 고정되는 반도체칩을 다수의 도선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 본딩 공정을 거치에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본딩을 위해서는, 낱장의 리드 프레임을 소정의 적치장소로부터 한 장씩 순차적으로 와이어 본더로 공급해 주는 리드 프레임 공급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리드 프레임 공급장치의 배열을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본더(W)에 의해 본딩될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1적재수단(s1)과 와이어 본더(W)에 의해 본딩된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2적재수단(s2) 사이에서 그 리드 프레임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다.
여기서 종래의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로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L)이 수납되어 가이드 될 수 있는 홈(la)을 구비한 구조의 가이드 레일(l)이 채용되었다.
즉, 소정 적재수단(제1도;s1)에 적재된 리드 프레임(L)은 와이어 본딩 작업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본더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의 홈(1a)을 따라 이송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홈(1a)은 일반적으로 0.4~0.6mm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L)을 가이드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 레일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가공이 어렵다. 즉, 높이 0.4~0.6mm의 홈을 가이드 레일(1)전장에 걸쳐서 균일하게 가공하기가 난해하며, 홈의 표면처리 또한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내측부분(1a')이 홈가공의 특성상 직각이 되지 못하여 상기 리드 프레임(L)이 정확히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지 못하며, 초기위치 설정시 상기 가이드레일(1)의 폭을 리드 프레임(L)보다 넓게 설정해야 되므로써 피딩(feeding)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을 레일부(1b)와 덮개부(1c)로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하므로써, 상기와 같은 홈 내측부분(1a)의 직각도를 유지하려고 하는 시도가 행해졌으나, 이는 가이드 레일 자체의 두께가 얇아져서 와이어 본더로부터의 열전달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열변형 문제점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리드 프레임의 공급 도중 트러블이 발생했을 경우, 그 리드 프레임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즉, 리드 프레임(L)이 가이드 레일(1)상에서 진행상의 간섭이 발생되어 리드 프레임의 이송이 정지되게 되면, 그 가이드 레일(1)의 입측에 위치된 적치수단(제1도;s1)을 제거한 후 가이드 레일(1)상의 리드 프레임(L)을 인출해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리드 프레임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개선하여, 리드 프레임이 와이어 본더로 이송될 시의 트러블을 감소시킨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 본더에 의해 본딩될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1적재수단과 와이어 본더에 의해 본딩된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2적재수단 사이에서 그 리드 프레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제1적재수단에 인접된 부위는, 그 부위에 가이드된 리드프레임의 수직상방으로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적재수단에 인접된 부위에는 그 부위에 가이드된 리드프레임의 수직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에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을 도시하였다. 상술한 제1도 및 상기 제5도를 참조하면, 이는 통상의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과 마찬가지로, 와이어 본더에 의해 본딩될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1적재수단(제1도;s1)과 와이어 본더에 의해 본딩된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2적재수단(제1도;s2) 사이에서 그 리드 프레임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로소, 이 가이드 레일(10)의 상기 제1적재수단(제1도;s1)과 인접된 부위, 즉 가이드 레일(10)의 입측은, 그 부위에 가이드된 리드 프레임(L)이 수직상방으로 이탈 가능한 공간부(10a)를 가지며, 상기 제2적재수단(제1도;s2)에 인접된 부위, 즉 출측에는 그 부위에 가이드된 리드 프레임(L)의 수직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0b)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리드 프레임(L)이 상기 제1적재수단(제1도;s1)에서 푸셔(pusher)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입측 공간부(10a)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 때 입측 공간부(10a)는 리드 프레임(L)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므로, 리드 프레임(L)이 레일홈에 걸릴 수 있는 종래와는 달리 원활하게 리드 프레임(L)을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출측 이탈방지부(10b)는 상기 리드 프레임(L)의 상하좌우를 가이드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리드 프레임(L)이 이 가이드 레일(10)의 출측으로 빠져나갈 시, 위치 이탈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2적재수단(제1도;s2)으로의 이송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입측에는 상기 리드 프레임(L)과의 간섭부를 줄여 잼(jam)현상을 방지하고, 출측에서는 리드 프레임(L)이 정확한 위치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6a도, 제6b도, 제6c도 및 제6d도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제4도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10)과 같이 출측 이탈방지부(100b)와 입측 공간부(100a, 100c)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유사하나, 그 입측 공간부의 일단부(100a)를 소정 각도로 테이퍼지게 형성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가이드 레일(100)로 인입되는 리드 프레임(L)이 보다 원활화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리드 프레임(L)이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정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첫째, 가공이 용이하여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가이드 레일에 홈을 장공부로 대체함으로써 기계가공이 용이해진다.
둘째, 리드 프레임의 잼(jam)현상이 감소하며, 만약 잼(jam) 발생시 리드 프레임의 제거가 용이하다.
셋째, 와이어 본더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한 열변형이 적다. 즉, 가이드 레일을 상부와 하부로 분할하여 제작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열변형의 우려가 제거된다.
넷째, 가이드 레일의 폭 조정이 용이하다. 즉, 상부에서 리드 프레임의 전체가 보이게 되므로 레일 폭 설정이 용이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은 리드 프레임의 이송시 발생될 수 있는 트러블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와이어 본더에 의해 본딩될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1적재수단과 와이어 본더에 의해 본딩된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제2적재수단 사이에서 그 리드 프레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제1적재수단에 인접된 부위는, 그 부위에 가이드된 리드 프레임이 수직상방으로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적재수단에 인접된 부위에는 그 부위에 가이드된 리드 프레임의 수직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제1적재수단에 인접된 부위는, 상기 리드 프레임이 안착되는 레일면에서부터 상측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뻗은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KR1019960002541A 1996-02-02 1996-02-02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KR017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541A KR0176439B1 (ko) 1996-02-02 1996-02-02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541A KR0176439B1 (ko) 1996-02-02 1996-02-02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626A KR970063626A (ko) 1997-09-12
KR0176439B1 true KR0176439B1 (ko) 1999-04-15

Family

ID=1945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541A KR0176439B1 (ko) 1996-02-02 1996-02-02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6593A (ja) * 1999-01-22 2000-08-04 Shinkawa Ltd 帯状部材搬送用ガイドレ―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626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353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hip package
US8624363B2 (en) Method for semiconductor leadframes in low volume and rapid turnaround
US744596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000012745A (ja) 半導体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58714A (ko)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절단 펀치를 포함하는 게이트 잔여물절단 장치
KR0176439B1 (ko) 리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
JPH065645A (ja) 半導体素子の樹脂成形方法
KR100246694B1 (ko) 절연형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3161914B2 (ja) Icカード製造装置
US6540927B2 (en) Semiconductor packaging part and method producing the same
US20020158315A1 (en) Lead frame having semiconductor device mounted there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606670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20548Y1 (ko) P.l.c.c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포밍장치
KR200160429Y1 (ko) 리드프레임 패드 챔퍼용 금형
KR100243370B1 (ko) 반도체 리드 프레임의 제조 방법
KR0125114Y1 (ko) 반도체 팩키지의 리드성형장치
KR100450088B1 (ko) 트랜지스터용리드프레임제작방법
KR0123314Y1 (ko) 반도체 제조장비에 있어서의 더블 포밍장치
JPH06314762A (ja) リードフレーム供給装置
KR19980020732A (ko) 상면에 플라스틱 판이 체결된 와이어본딩 장치의 리드 프레임 이송단
JP3546747B2 (ja) メッキステージと剥離ステージとを備えた位置決め装置
CN113851443A (zh) 引线框架及其制造方法以及引线框架封装件的制造方法
JP3929257B2 (ja) インダクタの搬送方法およびインダクタの外装成形方法
JPH038364A (ja) 半導体装置に用いるリードフレーム
KR19980026366A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피더핀과 다이핀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