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945B1 -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정화방법 및 그 지반구조 - Google Patents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정화방법 및 그 지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945B1
KR0175945B1 KR1019910004078A KR910004078A KR0175945B1 KR 0175945 B1 KR0175945 B1 KR 0175945B1 KR 1019910004078 A KR1019910004078 A KR 1019910004078A KR 910004078 A KR910004078 A KR 910004078A KR 0175945 B1 KR0175945 B1 KR 017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yer
green
golf cours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027A (ko
Inventor
도시끼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마에다 히로까쯔
오루가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에다 히로까쯔, 오루가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에다 히로까쯔
Publication of KR91001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골프장의 그린 및 티그라운드의 잔디밭 식생충으로부터 지하로 침투하는 물에 함유되는 농약을 지반내에 적층 또는 분산시킨 흡수재로 흡착제거하는 농약등의 정화방법, 상기 잔디밭 식생충의 하부에 침투가 용이한 수성층과 흡착재층을 적층하여 설치한 지반구조, 또 상기 잔디밭 식생층의 아래에 설치된 투수성층의 하부에 집수관과 이 집수관 위치로 부터 하부로의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불투수성층을 설치하고 다시 집수관으로 부터의 집수를 통수하여 이 집수에 함유되는 농약등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재층을 설치한 농약 정화설비.

Description

골프장의 그린 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정화방법 및 그 지반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그린 (제 1도 (a))과 티그라운드 (제1도 (b)) 의 지반 구조의 구성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지반 단면도.
제2도는 동실시예 1의 지반 구조의 상세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지반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지반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정화 설비의 구성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 : 잔디밭 식생층 2, 5 : 투수성층
3, 6 : 흡착재층 7 : 토양층
8 : 자갈층 9 : 혼합투수성층
10 : 불투수성시트 11 : 집수관
12 : 흡착재층 13 : 집수지
14 : 활성탄흡착조 15 : 활성오니조
16 : 유수지
본 발명은 골프장에 있어서 살포되는 농약을 정화하는 방법. 지반구조 및 농약 정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프장의 그린 및 티그라운드에 살포되는 농약이 빗물에 함유되어 그린수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정화방법. 이를 위한 지반 구조 및 정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근년, 골프 인구의 증대와 함께 골프장이 각지에 설치됨에 따라 골프장의 초지를 정비, 유지관리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약등의 화학 물질이 그린의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와서는, 이와같은 환경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골프장의 신설이 곤란하게 된다던지, 또 기존의 골프장에 있어서도 환경 오염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골프장 그린의 환경오염의 문제는 골프장에 광범위하게 농약을 살포하는 결과, 강우에 의하여 농약을 함유한 물이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맥에 달하여 지하수계를 오염한다던지,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서 하천을 오염하는 등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문제의 해결이 곤란한 이유의 하나는 일반적으로 수십만 ㎡ 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살포되는 농약이 빗물등에 함유되어서 희석되고, 도 골프장마다 지형이 다름에 따라 복잡한 경로로 흘러나가지 때문이다.
따라서, 공장등으로 부터의 농약을 함유한 배수를 처리할 목적으로 배수에 고분자 응집제등을 가하여서 배수중의 농약을 응집하고, 이것을 여과 분리하며, 여액중에 잔존하는 미량의 농약을 흡착재로 흡착하는 처리법 (예를들면 특개소 55-142588 호) 은, 상기와 같이 골프장에서 광범위하게 살포되는 농약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방책으로서는 적용할 수 없다.
이때문에 골프장에서 사용되는 농약으로 인한 근린 환경의 오염을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골프장의 특히 그린, 티그라운드는 육성, 보호하는 잔디밭의 정비, 유지의 관리를 위해 살수나 배수의 설비가 일반적으로 되어있고, 예를들면 그린상의 배수를 촉진할 목적으로 지반중에 집수관을 매설하는 방법(예를들면 특개소 61-195805호) 이나, 그린에서 필요로 하는 양의 물이 빗물, 지하수만으로는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 그린의 지반중에서 물을 집수, 저수하고, 이것을 관개수로서 순환 사용하는 방법 (예를들면 특개소 62-210930호 기타) 이 있는바, 후자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수를 순환 사용함에 따라 농약을 함유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근린의 환경오염의 문제가 방지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이 골프장에서 살포되고 지반중에 침투하는 물에 함유되는 농약 자체를 제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상술한 바와같이 골프장에서 살포된 농약을 함유한 물이 지하수맥이나 하천등의 근린 수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지반 침투수등에 함유된 농약을 이 물로 부터 제거하는 방법은 종래에는 전혀 없었다.
본 발명자는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골프장에서 사용된 농약을 함유한 지반 침투수등으로 부터 농약을 제거하는 것을 기술과제로서 연구를 거듭하였다.
즉 이러한 기술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먼저 골프장에 있어서는 농약등의 화학물질의 태반이 잔디밭의 유지 관리가 특히 요구되는 그린 및 티그라운드 (이하 「그린등」 이라고 한다) 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으로 골프장 전체의 60 ∼ 70 % 정도) 것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또 이 그린등에서는 잔디밭의 유지 관리와 함께 잔디밭 표면의 물체류가 경기에 지장이 됨에 따라 지반중에 모래나 자갈을 사용한 소위 샌드층이라고 하는 투수성층을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라고 하는 지반구조의 특수성을 검토사항으로 하였다.
또한, 골프장에서 사용되는 농약등에는 살충제나 제초제등의 본래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제재외에, 이들 제재를 잔디밭 식생충에 길게 부착시켜서 효과의 지속성을 높히는 점착제도 함유되는 것을 병행하여 검토사항으로 고려하였다.
이러한 여러가지의 사항을 검토하여 본 발명자는 종래에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던 새로운 발상에 의거하여 골프장에서 살포 농약의 태반을 점하는 그린등에 살포된 농약이 빗물에 함유되어서 지반으로 침투하고, 근린 수계로 흘러들어 간다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골프장의 그린등에 살포된 농약이 빗물등에 함유되어서 근린의 수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약의 정화방법, 이를 위한 지반구조 및 정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별도의 목적은 농약의 제거, 정화와 함께 그린등의 잔디밭의 유지 관리를 종래에 비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지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는 본 발명의 농약 정화 방법의 특징은 그린등의 잔디밭 식생층에 살포된 농약이 빗물등에 함유되어서 지반중으로 침투한 경우에 이 빗물등으로 부터 이것에 함유되는 농약을 지반중에서 흡착재로 흡착제거 하는데에 있다. 여기서, 흡착재란 제올라이트, 퍼라이트등의 무기계 흡착재, 활성탄, 골탄등의 탄소계 흡착재, 스티렌계, 페놀계, 아크릴계 등의 유기 합성 흡착재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특히 활성탄이 바람직하다. (이하 동일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그린등의 잔디밭 식생층의 하부에 흡착재층을 설치한 지반 구조에 있고, 이와같은 지반 구조는 그린등의 지반중에 설치하는 투수성층과 적층하여 설치하던가 혹은 투수성층을 구성하는 예를들면 모래와 흡착재를 혼합한 혼합층으로서 설치하므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지반구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투수성층에 적층 또는 혼합물 흡착재층의 하부에, 집수관을 설치함과 함께 이 집수관 위치로 부터 하부로의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불투수성층을 설치한다는 구성에 의해 한층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이와같은 지반 구조도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또한 흡착재층왁 함께 집수관 및 불투성층을 지반중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흡착재층을 지반 침투수의 통수경로가 되는 집수관의 주위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그린드에 살포되는 농약을 정화하는 것은 그린등의 지반중의 투수성층의 하부에 집수관과 이 집수관 위치로 부터 하부로의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불투수성층을 설치함과 함께, 이 집수관으로 부터 집수된 물을 흡착재조를 통하게 한 정화설비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농약 정화 설비를 설치할 경우에는 흡착재조를 통과하는 물로 부터는 농약이 실질적으로 흡착제거 되므로 흡착재에 흡착되지 않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할 목적으로 그 후단에 생물학적 처리조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구성이다.
이상의 몇가지의 특징적인 구성에 의해 설명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그린등의 잔디밭 식생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착재층은 일반적으로는 모래로 형성되는 수 10㎝ ∼ 1m 정도의 샌드층의 하부에 적층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나, 흡착재가 잔디밭의 식생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라면 흡착재층을 투수성층의 상층에 적층하여 설치할수도 있다. 상기의 악영향이란 잔디밭의 뿌리에 작용하여야할 농약등을 활성탄등이 흡착하여서, 그 결과 예를들면 잔디밭의 뿌리를 잘라 먹는 해충에 대하여 농약이 작용을 할수 없게 되는 문제를 말한다. 따라서 활성탄등을 잔디밭의 표면에 살포하는 것과 같은 방법은, 예를들면 농약을 살포하여 살충하는 경우에는 이 목적도 달성치 못하게 되므로, 살포 농약의 효과와, 이것이 지반중에 침투하는 단계에 있어서 농약을 제거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 수 없게 된다.
지반중에 흡착재를 적충하는 경우의 그 층 두께는 사용하는 흡착재의 직경등에도 의존하나, 일반적으로 흡착재로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 ∼ 100mm, 바람직하기는 10 ∼ 50mm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할 경우가 많다.
또, 투수성층을 형성하는 모래와 혼합하여 혼합층으로서 흡착재층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구성이다. 이것에 의하면, 흡착재가 지반의 상하 방향으로 넓게 분포하고, 빗물과 함께 지반중에 침투하는 농약과 접촉하는 시간이 얇은 흡착재층을 설치한 경우에 비해서 길게 얻어지는 때문이다.
이와같은 적층 혹은 혼합층으로서 흡착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흡착재는, 구상, 파쇄형의 입상, 분상의 어느것이라도 좋으나, 특히 혼합층에 있어서는 투수성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흡착 반응속도가 큰 분상 흡착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지반구조가 형성되는 경우의 흡착재의 필요량은 단위 면적당 살포되는 농약량과의 관계에서 계산될 수 있다. 예를들면 흡착재로서 활성탄을 상용하는 경우, 그 사용년수를 가령 10년으로 가정하면, 1년당 살포되는 농약등의 총량을 흡착하는데 필요한 활성탄량의 10배로 하면 좋다. 실제로 18 홀의 표준적인 골프장에서 필요로 하는 활성탄량은 계산상 약 140t 정도이다.
또한 골프장에 있어서의 그린등은 수년 (일반적으로는 5년 정도) 내에 다시파서 재구축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하는데 있어서 기술상, 자원상의 문제는 없고, 또 경제적으로도 현재의 흡착재의 비용으로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또 흡착재로서 활성탄을 이용한 지반은 그린등에 요구되는 물이 잘빠지는 성질 (투수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지반의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잔디밭의 식생관리가 유리하게 되는 이점도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그린등의 지반중에서 투수성층을 구성하는 재료인 모래에 비해 흡착재, 특히 입상 활성탄은 대략 동등한 투수성을 가지나, 보수성이 14 % 정도인 모래에 비하여 활성탄의 보수성은 2배 정도 크기 때문이다.
또 상기와 같은 흡착재층을 설치한 구조에 다시 집수관과, 이 집수관으로 부터 하부로의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불투수성층을 설치한 지반구조는 보다 뛰어난 농약의 흡착제거, 지하수계 등으로 농약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은 지반구조로서는, 상기 불투수성층에 합성 수지성의 시트등을 사용하여, 예를들면 그린등을 그의 약간 외측까지 양념털구 형상으로 싸 넣고, 그 중앙 저부등에 집수관을 배치함과 집수관의 주위에 합착재를 집중매설한 구조의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특히 이와같은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농약등이란, 잔디나 꽃 및 수목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등의 각종 농약을 들 수 있는 외에 계면 활성제등의 농약첨가제, 카제인, PVA, 젤라틴등의 점착제가 포함된다. 또한 점착제는 통상 흡착제에 흡착되지 않는 것이 많으나,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물질은 지반중에서 번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 제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착재층을 가지는 지반에 있어서는 농약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번식이 어려운 미생물도, 지반중에서 흡착재에 의해 농약등이 흡착제거 되기 때문에 번식에 적합한 환경이 제공되고, 본래 환경오염에는 직접 관계하지 않는 물질에 대하여도 분해제거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그린등에 있어서 살포되는 농약정화의 목적은 그린등의 지반중의 투수성층의 하부에 집수관과 이 집수관 위치로부터 하부로의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불투수성층을 설치함과 함께 이 집수관에서 집수된 물을 흡착재조에 통하게환 정화설비에 의하여도 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농약정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흡착재조를 통하여 수중으로 부터 농약이 실질적으로 흡착 제거되므로, 흡착재에 흡착되지 않는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는 목적으로, 그 후단에 생물학적 처리조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구성이다. 또한,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는 경우에는 집수관으로 부터 흡착재조에 이르는 도중에 버퍼조를 설치하므로써 흡착재조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흡착재의 농약제거 효율을 향상시켜서 보다 적은 양의 흡착재로 효율적인 제거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예는 그린등의 지반중에 흡착재로서 활성탄을 적충한 에를 도시한다.
제1도 (a) 는 티그라운드의 지반구조의 개요를 설명한 도면이며, 이 도면에 있어서 (1) 은 표면의 잔디밭 식생층, (2)는 투수층으로서의 샌드층, (3) 및 (6) 은 이 샌드층 (2)의 하부의 전역을 덮도록 적충하여 설치된 활성탄 층을 나타낸다.
제1도 (b) 는 그린의 지반구조의 개요를 설명한 도면이며, 상기 티그라운드의 지반구조와 동일하게 표면의 잔디밭 식생층(4), 그 하부의 투수층으로서의 샌드층(5), 다시 이 샌드층 (5) 의 하부의 전역을 덮도록 활성탄층(6)이 적충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표면의 잔디밭 식생층 (1), (4) 및 그 하부의 샌드층 (2), (5) 는 종래의 그린드의 지반에 있어서 설치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면 좋다.
제2도는, 이와같은 그린등에 있어서 형성된 지반구조의 수직 단면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 잔디밭 식생층 (1) 또는 (4), 그 하부의 샌드층 (2) 또는 (5) 및 이 샌드층 (2) 또는 (5)의 하부에 설치된 활성탄층 (3) 또는 (6) 이 있고 활성탄층의 하부는 통상의 토양층 (7), 자갈층 (8) 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지반 구조를 가지는 그린등에 있어서는, 지표의 잔디밭에 살포된 농약등이 강우시에 빗물과 함께 지반중에 침투하고, 빗물이 잔디밭 식생층 (1) 으로 부터 샌드층 (2)을 빨리 통과하여 활성탄층 (3) 에 이른다.
그리고 침투수가 이 흡착재층 (3)을 통과할때에 침투수중에 함유되는 농약등은 활성탄에 흡착되어 제거되어, 다시 하부로 침투하는 물에는 농약이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그 하부의 토양층 (7), 자갈층 (8)을 통과하는 물에는 농약이 함유되지 않으므로 이것이 지하수맥으로 흘러 들어가도 종래 문제가 되어 있던 농약에 의한 환경 오염의 문제는 전혀 생기지 않게 된다. 더구나 활성탄층 (3)의 하부의 토양층 (7)을 통화하는 물에는 농약이 없으므로, 일반 토양에 있어서의 유기물 분해 미생물의 번식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 할수 있게 되고, 활성탄에 흡착되지 않는 유기물도 분해되는 효과가 있다.
또, 활성탄은 샌드층에 비하여 2 배의 보수성이 있으므로 지반 자체의 보수능력이 향상되어 이것이 그린등의 잔디밭 육성, 유지에 유익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효과 확인의 시험
상기 구성에 의해, 활성탄층을 통과한 침투수에 함유되는 농약등이 흡착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의 골프장에 있어서의 살포 농약의 양과 흡착재양 및 제거 효율을 이하의 축소한 모델을 사용하여 확인 시험을 하였다.
(1) 모델 그린의 구조
모델 그린은 직경 30㎝의 원형 지반을 아래와 같이하여 제작하였다.
지반구조
잔디밭 식생층
잔디밭 식생 객토층은 뿌리 부분을 포함하여 약 2㎝ 로 하고, 그 아래에 약 2㎝ 의 모래층을 설치하였다.
활성탄층
상기 모래층의 아래에 직경 20 ∼ 30 메슈의 입상 활성탄을 각 두께 10mm, 30mm, 50mm, 100mm 로 적충하여 각각 모델 그린으로 하였다.
투수성층
활성탄층의 아래에 약 5㎝ 의 자갈층을 설치하였다.
(2) 사용 농약등의 종류 및 양
실제로 골프장에 있어서 사용되는 농약의 표준적인 농도는 사용 농약 원액으로서 약 200ppm 이나, 지반에 침투하는 물에 함유되는 농약이 빗물에 의해 희석되는 것을 고려하여, 하기의 3 가지와 같은 농약 각각에 대하여 50ppm, 200ppm, 500ppm 의 샘플 농약액을 제조하고, 이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시험에 제공하였다.
제초제 : 클레마이트 (스미또모화학에서 제조)
살충제 : 시미티온 (스미또모화학에서 제조)
살균제 : 글란사 (스미또모화학에서 제조)
(3) 강우조건
상기 샘플 농약액을 각가 별도로 200㎜ / hr 으로 간헐적으로 상기 모델 그린에 강하시켜 모델 그린의 투수성층 (자갈층)의 하부로 부터 물을 회수하고, 강우개시로 부터 12ℓ 회수시의 최후의 1ℓ을 잔류농약을 측정하는 시료액으로 하였다.
(4) 회수한 침투수중의 농약량
상기 복수의 시료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후, 가스크로마토그라프 시마즈 GC-14A (시마즈제작소 제조) 로 측정하였다.
측정의 결과, 어느 시료에 있어서도 잔류농약은 0.001ppm 이하의 검출한계 이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지반중의 샌드층의 하부에 활성탄층을 형성시킨 본예의 지반 구조에 의하면, 그린등에 살포되는 농약등이 빗물에 함유되어서 지반중을 침투하는 결과 지하수계로 흘러 들어간다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제3도는 흡착재 (예를들면 활성탄) 층과 샌드층을 형성하는데 모래를 혼합하여, 실질적으로는 모래와 흡착재를 혼합한 혼합 투수성층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9) 는 모래와 흡착재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투수성층 (동시에 흡착재층을 이룬다) 이며, 그 하부에 자갈층 (8) 이 존재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지반에 의하면, 샌드층과 흡착재층을 적층한 경우 보다도 지반의 수직 단면의 침투수중의 농약과 흡착재의 접촉율이 커져서 농약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 흡착재의 양을 삭감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동시에 투수성을 종래의 샌드층과 같은 정도로 유지하면서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으므로, 보다 적은 흡착재로 잔디 식생층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제4도에 나타내는 본 예는 상기 실시예 1, 2의 이점을 보다 유효하게 사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그린 (4)등의 잔디밭 식생층(5)을 싸 도록 불투수성 시트 (10)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불투수성 시트 (10)의 위에 집수관 (11)을 설치하고, 이 집수관 (11)의 주위에 통수중에 함유되는 농약을 제거하도록 흡착재 (예를들면 활성탄) 를 집중매설한 흡착재층 (12)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왁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집수관 (11) 메 모이는 물은 그 통수중에 반드시 흡착재층 (12) 과 접촉하게 되므로 확실하게 농약을 제거할 수 있고, 더구나 집수과 (11) 으로 부터의 집수는 인위적으로 제어할수 있기 때문에 흡착재층 (12) 에 있어서의 사용 흡착재의 양을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집수관 (11)으로 부터의 방출구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정하므로서 불투수성 시트 (10) 내의 지반중에 체류하는 보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지반중의 활성탄 등의 흡착재와 체류수가 장시간에 걸쳐 접촉하게 할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설명한 지반구조에 비해 지반중에 흡착재의 층을 설치하지 않는 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구성을 이루는 본 예의 특징은 제 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집수관 (11) 으로부터 집수된 물을 집수지 (13) 에 모아 이 저수를 활성탄흡착조 (14) 에 통하게 하여 농약을 흡착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또한 활성탄흡착조 (14) 에서 처리한 물은 활성오니조 (15) 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처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활성오니조 (15)에서 처리한 처리수는 유수지 (16) 에 저수하여 골프장의 물관리를 위해 재이용하던지, 방류하여도 좋다.
본 예에 의하면, 유수지 (16) 에 저수된 물에는 농약등의 골프장에서 살포된 화학물질이 실질적으로 제거되어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것을 방류하여도 문제는 없다. 혹은 필요에 따라서 골프장내의 잔디밭 식생에 필요한 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장에 있어서 농약등의 화학물질의 태반이 사용되는 그린등에 살포된 농약이 빗물등에 함유되어서 근린수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골프장 근린의 환경 오염의 문제가 해결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흡착재층을 설치한 본 발명의 지반 구조에 의하여 농약이 제거되며 지반의 보수성이 향상되고, 또한 미생물의 번식 환경이 종래의 샌드층에 비해 뛰어나게 되므로 농약 이외의 화학물질의 분해나, 그린등의 잔디밭의 유지 관리에도 유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그린등의 지반 구조는 신설의 골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기존의 골프장에서도 그 그린등을 다시 파서 재 구축할 때에 적용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골프장에 살포되는 농약등이 근린의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되므로 그 사회적인 의의는 극히 크게 된다.

Claims (10)

  1.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의 정화 방법에 있어서, 골프장의 그린 및 티그라운드의 잔디밭 식생충으로부터 지하로 침투하는 물에 함유되는 농약을 지반내에 적층 또는 분산시킨 흡수재로 흡착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의 정화방법.
  2.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의 정화를 위한 지반 구조에 있어서, 골프장의 그린 및 티그라운드의 잔디밭 식생충의 하부에 침투가 용이한 수성층과 흡착재층을 적층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를 위한 지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침투가 용이한 수성층과 흡착재층을 적층한 하부에 집수관과 집수관과 이 집수관 설치 위치로 부터 하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투수성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를 위한 지반구조.
  4. 골프장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를 위한 지반구조에 있어서, 골프장의 그린 및 티그라운드의 잔디밭 식생충의 하부에 흡착재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침투가 용이한 수성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를 위한 지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흡착재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침투가 용이한 수성층의 하부에 집수관과 이 집수관 위치로 부터 하부로의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불투수성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를 위한 지반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흡착재가 활성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를 위한 지반구조.
  7.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 설비에 있어서, 골프장의 그린 및 티그라운드의 잔디밭 식생충의 아래에 설치된 투수성층의 하부에, 집수관과 이 집수관 위치로 부터 하부로의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불투수성층을 설치하고, 다시 집수관으로 부터의 집수를 통수하여 이 집수에 함유되는 농약등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재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흡착재가 활성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흡착재가 활성탄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를 위한 지반구조.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흡착재가 활성탄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를 위한 지반구조.
KR1019910004078A 1990-03-14 1991-03-14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정화방법 및 그 지반구조 KR0175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3749A JPH07115010B2 (ja) 1990-03-14 1990-03-14 ゴルフ場のグリーン等における農薬浄化設備、浄化方法、及び地盤構造
JP2-63749 1990-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027A KR910017027A (ko) 1991-11-05
KR0175945B1 true KR0175945B1 (ko) 1999-04-01

Family

ID=1323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078A KR0175945B1 (ko) 1990-03-14 1991-03-14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정화방법 및 그 지반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15010B2 (ko)
KR (1) KR01759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439A1 (ko) * 2008-08-22 2010-02-25 Kim Seok Geun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KR101068758B1 (ko) * 2011-04-25 2011-09-28 이정환 천연잔디구장, 그 기초지반 조성방법 및 그 기초지반에 식재되는 천연잔디 식재방법
KR101068553B1 (ko) * 2011-01-18 2011-09-30 임남웅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애쉬를 사용한 골프장 그린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603A (ja) * 1990-05-15 1992-01-24 Koichi Kodama 水質汚染防止設備の埋設工法
JPH0430098U (ko) * 1990-07-05 1992-03-11
JPH07115012B2 (ja) * 1990-07-18 1995-12-13 鹿島建設株式会社 ゴルフ場農薬の流出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41Y2 (ko) * 1972-08-10 1977-01-14
JPH03259015A (ja) * 1990-03-07 1991-11-19 Suzuran Imaizumi 芝地の造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439A1 (ko) * 2008-08-22 2010-02-25 Kim Seok Geun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KR101068553B1 (ko) * 2011-01-18 2011-09-30 임남웅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애쉬를 사용한 골프장 그린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068758B1 (ko) * 2011-04-25 2011-09-28 이정환 천연잔디구장, 그 기초지반 조성방법 및 그 기초지반에 식재되는 천연잔디 식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62805A (ja) 1991-11-22
JPH07115010B2 (ja) 1995-12-13
KR910017027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ves et 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orm water from major land uses in South Florida 1
Norris The use of buffer zones to protect water quality: a review
US6569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tormwater runoff
Neary et al. An overview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Wood et al. Palm oil mill effluent disposal on land
KR100966646B1 (ko) 친환경적인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Grismer Vegetative filter strip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in agriculture
KR0175945B1 (ko)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정화방법 및 그 지반구조
Conrad et al. Assessment of the impact of agricultural practices on the quality of groundwater resources in South Africa
Miller et al. Influence of mowing and narrow grass buffer widths on reductions in sediment, nutrients, and bacteria in surface runoff
Petrovic et al. The role of turfgrass management in the water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Davis A handbook of constructed wetlands: A guide to creating wetlands for: agricultural wastewater, domestic wastewater, coal mine drainage, stormwater. In the Mid-Atlantic Region. Volume 1: General considerations
Line et al. Nonpoint sources
Newman et al. Controlling runoff and recycling water, nutrients, and waste
KR0173126B1 (ko) 골프장등의 초지살포농약의 제거법 및 살포농약제거를 위한 지반구조
Craig et al. Pesticide sustainable management practice (SMP) including porous biochar/geopolymer structures for contaminated water remediation
EP0159340B1 (en) Process for protecting lakes against eutrophization caused by subsoil water
KR100995649B1 (ko) 식생롤
ACT BE-INDEX
Line et al. Nonpoint sources
Switzer-Howse et al. Agricultural practi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Newman et al. Mitigating Pesticide Runoff from Nurseries
Cox Nonpoint pollution control: Best management practices recommended for Virginia
JPH0462206A (ja) 農薬浄化機能を備えたパッティンググリーン
Harvey et al. Things to consider before establishing a phytoremediation plantation for halogenated hydrocarb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