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21439A1 -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 Google Patents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21439A1
WO2010021439A1 PCT/KR2009/000176 KR2009000176W WO2010021439A1 WO 2010021439 A1 WO2010021439 A1 WO 2010021439A1 KR 2009000176 W KR2009000176 W KR 2009000176W WO 2010021439 A1 WO2010021439 A1 WO 20100214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een
putting
water
layer
putting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1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석근
Original Assignee
Kim Seok Ge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Seok Geun filed Critical Kim Seok Geun
Publication of WO20100214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214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10Pre-cultivated sod or turf;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면적으로 터파기 되고 다짐되어 조형된 그린공간의 바닥 및 벽면에 지수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는 구배에 맞추어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수판을 매립한 상태에서 상기 그린공간의 바닥면 위에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그린공간의 바깥으로 이어지는 지중급수관; 및 상기 지중급수관을 매립한 상태에서 배수층 상에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어 상면에 잔디가 생육하고 홀컵이 형성되는 혼합상토층;으로 이루어져, 퍼팅그린의 조성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며, 퍼팅그린의 관리상 물, 비료, 농약을 절약하고 관리작업을 줄이면서 그린면의 퍼팅품질을 높이고, 시공후 즉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본 발명은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배수판을 사용하는 배수층과 지중급수관을 포함하는 혼합상토층을 적층하고 지중급수관을 통하여 급수, 시비, 통풍, 온수, 오존 등의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용수와 비료 등의 자재가 절감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시공 후 그린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을 건설함에 있어 각 홀마다 설치하는 퍼팅그린은 가장 중요한 공사로써 대부분은 미국골프협회의 그린분과에서 발행되는 퍼팅그린(USGA)의 시방서를 기준하여 설계되고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시방서에 따르면, 종래 퍼팅그린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팅그린을 형성하도록 터파기 되어 다짐된 그린공간(100)의 최하단부에 배수를 위해 2종류의 유공관(102)을 포함한 맹암거층(101)을 설치하고, 그 위에 배수층(104), 중간층(105) 및 혼합상토층(106)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즉, 배수를 위해 상기 맹암거층(101)에 설치된 유공관(102)은 밤자갈층(103)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유공관(102)은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린공간(100) 내의 2~3개 구역에서 바깥을 향해 뻗어 있는 간선(102a)과 상기 각 간선(102a)에 다수개가 연결되어 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선(102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맹암거층(102) 위에는 콩자갈이 쌓여 이루어지는 10㎝ 정도 높이의 배수층(104)이 적층되고, 상기 배수층(104) 위에는 왕사(굵은 모래)가 쌓여 이루어지는 5㎝ 정도 높이의 중간층(105)이 적층되며, 상기 중간층(105) 위에는 모래인 그린사와 토양개량제가 서로 혼합된 상토재가 쌓여 이루어지는 혼합상토층(106)이 적층되고, 상기 혼합상토층(106)에 홀컵(107)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에 잔디(108)를 파종하여 퍼팅그린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4개의 적층구조를 갖는 종래 퍼팅그린은 퍼팅그린의 신규 조성 및 개선작업에 있어서, 터파기 - 조형 및 다짐 - 간선과 지선을 별도로 하는 맹암거층 설치 - 자갈층 설치 - 중간층 설치 - 혼합 상토층 설치 - 잔디파종 - 잔디의 조성관리로 이루어지는 많은 단계의 작업공정으로 진행되며, 그린공간의 터파기의 깊이가 깊고, 추가로 별도의 지선과 간선을 터파기 함으로써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공기가 많이 소요되며 정확성이 낮아진다. 또한 규격이 다른 2종류의 유공관과 밤자갈, 콩자갈, 왕사 등의 여러 종류의 골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작업의 속도와 장비 사용의 효율성이 낮아 골프장 전체의 공정을 지연시키게 되며, 골프장 공사 전체의 경제성을 낮추게 된다.
또한, 퍼팅그린의 운영관리에 있어서, 종래 퍼팅그린의 경우 지상에서 스프링클러로 잔디잎에 직접 물을 뿌려주므로 상기 잔디잎에 남아있는 수분으로 인해 병원균사가 활성화되는 조건을 제공하게 되어 많은 농약사용의 원인이 되고, 잔디 위로 뿌려주는 물은 금방 증발하게 되므로 물을 많이 사용하게 되며, 상기 잔디 위로 살포되는 알갱이 비료의 용해를 위해 추가적으로 물을 뿌려주어야 하므로 물을 낭비하게 된다.
더욱이, 퍼팅그린 표면에 대한 통기작업은 그린 면의 상태를 한동안 좋지 않게 하는 원인이 되어 그 사용을 제한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주목적은, 골프장의 퍼팅그린의 적층구조를 단순화하여 상기 퍼팅그린의 조성을 간편하게 규격화시킴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상기 퍼팅그린의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이로 인해 골프장 공사기간의 획기적인 단축으로 공사비를 절감하며 시공 후 즉시 사용 할 수 있는 퍼팅그린 조성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퍼팅그린의 잔디관리를 위한 물과 비료의 공급이 지상이 아닌 지중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과 비료 및 농약을 절약하는 한편, 그린 표면에서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통기작업을 줄이고, 대부분의 관리작업이 보이지 않는 지중에서 이루어지므로 퍼팅그린을 항상 사용대기 상태에 있을 수 있고, 그린의 운영관리가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퍼팅그린 조성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퍼팅그린을 조성하기 위한 조성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구조는, 일정한 면적으로 터파기 되고 다짐되어 조형된 그린공간의 바닥 및 벽면에 차례로 하부직포와 지수판 및 상부직포를 설치하고, 그 위에는 구배에 맞추어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수판을 매립한 상태에서 상기 그린공간의 바닥면 위에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그린공간의 바깥으로 이어지는 지중급수관; 및 상기 지중급수관을 매립한 상태에서 배수층 상에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어 상면에 잔디가 생육하고 홀컵이 형성되는 혼합상토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그린공간은 적어도 2~4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되고, 분리되는 각 구역마다 별도로 배수판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판의 하부 끝단부에 배수개폐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지중급수관은 2개의 라인이 별도로 설치되고, 각 라인의 급수관은 그린공간의 외부에 설치되는 그린컨트롤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그린컨트롤러는 비료공급장치, 공기공급장치, 온수공급장치 및 오존공급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그린공간의 각 구역별로 퍼팅그린의 혼합상토층의 수분상태와 지온을 감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센서가 혼합상토층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센서는 상기 그린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잔디는 롤잔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공법은, 지정된 퍼팅그린의 면적만큼 터파기하고 조형하면서 다짐하여 그린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면과 벽면에 하부직포와 지수판 및 상부직포를 차례로 겹쳐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지수판 위에 2~4개의 지역으로 분리하여 구배에 맞추어 간선과 지선으로 연결되는 배수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판을 매립하면서 상기 그린공간의 바닥면 위로 일정한 높이의 배수층을 형성하여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배수층 상에 2개의 별도 라인으로 서로 교차하여 지중급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중급수관을 매립하면서 상기 배수층 상으로 일정한 높이의 혼합상토층을 형성하여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상토층의 상면에 잔디를 조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에 의하면, 종래의 4개 층의 구조에서 2개의 층으로 단순화 하여 공사가 간편하고, 작업지역 외부에서 지중급수관과 배수판의 규격화가 가능함으로써 층 구조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 공사기간도 단축 되어 골프장의 건설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잔디의 생육을 위한 용수와 비료의 공급이 지중에서 이루어지므로 잔디잎은 항상 마른 상태에 있어 광합성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병충해에 강하게 되어 농약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공기의 공급에 의한 통기 및 오존의 공급에 의해 잔디뿌리의 살균도 지중에서 이루어지며, 그린의 동결을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을시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잔디의 생육상태를 항상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잔디가 롤잔디로 시공되면서 퍼팅그린의 시공 후 즉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골프장을 종래보다 훨씬 앞서 개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골프장의 그린을 하루에 한 홀씩 순차적으로 재조성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영업의 중단 없이 새로운 골프장으로 탈바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구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구조 중 배수판 등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구조 중 지중급수관 등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종래 퍼팅그린 조성구조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및 운영관리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구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퍼팅그린 조성구조는 그린공간(10) 내의 바닥 및 벽면에 배치되는 하부직포(2a), 지수판(1) 및 상부직포(2b) 상에 배수판(3), 배수층(4), 지중급수관(5) 및, 혼합상토층(6)이 차례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수판(1)과 하부직포(2a) 및 상부직포(2b)는 퍼팅그린의 바닥면부터 하부직포(2a)와 2겹의 비닐로 된 지수판(1) 및 상부직포(2b)가 차례로 적층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부직포(2a)에 의해 상기 그린공간의 바닥면 흙으로부터 상면에 밀착된 지수판(1)을 보호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직포(2a)에 밀착된 지수판(1)에 의해 물이 그린공간 아래의 지하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상부직포(2b)에 의해 그 위로 적층되는 후술의 배수층으로 부터 상기 지수판(1)을 보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그린공간(10)의 벽면에 배치되는 상부직포(2b)와 지수판(1) 및 하부직포(2a)에 의해 물이 상기 그린공간의 옆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그린공간(10)의 외부 벽면 일부에 하부직포(2a) 바깥으로 세로로 세운 배수판(3a)을 배치하여, 그린공간(10)의 바깥에서 지수판(1)에 의해 상기 그린공간(10) 내로 유입되지 못하는 물이 상기 배수판(3a)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층(4)은 배수판(3)을 매립한 상태에서 규정된 콩자갈(또는 파쇄석)을 채워 적층시킴으로써, 상기 배수판(3)을 보호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상부의 혼합상토층으로 부터 모래 등으로 인해 상기 배수판(3)의 유입공이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혼합상토층(6)은 지중급수관(5)을 매립한 상태에서 배수층(4) 위에 정해진 규격의 그린사라고 하는 모래와 토양개량제를 서로 혼합한 혼합토양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기 혼합상토층(6)의 상면에는 그린잔디(8)를 심어 생육시킴으로써 그린표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잔디는 시공 후 즉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준비 된 롤잔디를 심고, 조성의 시간이 충분할 때는 파종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판(3)과 지중급수관(5)의 보다 상세한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구조 중 배수판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판(3)은 상기 상부직포(2b) 상에서 기본적으로 어골형(魚骨形) 또는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ㄷ자 형상으로 표면에 많은 유입공이 형성된 일명 ADS파이프라고 불리는 종류를 이용하며, 상기 배수판은 그린표면의 구배에 따라 2~4개의 구역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그린공간의(10) 바깥으로 이어지는 배수판(3)의 하부 끝단부에는 배수개폐장치(14)를 설치하여 구역별로 그린컨트롤러(13)에 의해 개폐를 조정한다.
예컨대, 상기 퍼팅그린의 그린공간(10)을 3개의 구역으로 분리하여 각 구역마다 별도로 배수판(31)(32)(3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배수판(31)(32)(33)의 아래쪽 끝단부에 배수개폐장치(1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수개폐장치(14)에 배수관(11)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각 배수관(11)은 주변에서 구배가 유지되면서 가장 가까운 집수정(12)으로 연결되어 배수가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그린 조성구조 중 지중급수관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판(31)(32)(33) 위의 혼합상토층(6) 내에는 바깥에 설치된 그린컨트롤러(13)에 2개의 라인으로 연결되어 그린공간(10) 내에서 2개의 라인이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지중급수관(50)(51)이 설치되며, 이와 같이 2개의 라인으로 지중급수관(50)(51)을 구성하는 것은 한쪽의 라인은 용수를 공급하고 다른 쪽은 라인은 비료 또는 공기 등을 공급하는 라인으로 사용하거나, 한쪽의 라인이 고장에 의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수리 전까지 다른 쪽의 라인을 사용하여 용수와 비료 공급 등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중급수관(50)(51) 내부에는 용액은 분출하지만 이물질은 유입하지 못하는 필터구조(5a)가 설치되어 이물질로 인해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중급수관(50)(51)에는 그린컨트롤러(13)가 연결되어 퍼팅그린 내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 용수를 통제하게 되고, 상기 배수판(3)(31)(32)(33)의 배수개폐장치(14), 도시하지 않았지만 비료공급장치, 공기공급장치, 온수공급장치 및 오존공급장치 등이 상기 그린컨트롤러(13)에 부착 연결되어 그 작동이 종합적으로 제어된다.
도 2 및 도 3의 미설명 부호 3a는 그린공간(10)의 벽면 일부에 지하로 유입되는 용출수를 배수하는 세로로 세워 배치되는 배수판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퍼팅그린의 그린공간(10)의 구조를 수월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배수판(31)(32)(33)과 지중급수관(50)(51)을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그린공간(10) 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2~4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그린공간(10)의 각 구역별로 혼합상토층(6)의 수분상태 및 지온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혼합상토층(6)에 설치하여 그린컨트롤러(13)와 연결시킴으로써, 용수와 비료, 공기 및 오존공급 등이 상기 그린컨트롤러(13)에 의해 종합적으로 적절하게 제어되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센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퍼팅그린의 관리자가 센서를 들고 다니면서 수동으로 혼합상토층(6)의 수분상태 및 지온을 체크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되는 퍼팅그린을 조성하기 위한 조성공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퍼팅그린의 면적만큼 약 35~40㎝ 깊이로 터파기하여 그린표면의 조형에 맞추어 공간을 형성한 후, 지반침하 방지를 위해 충분히 다짐을 한다.
다음에, 상기 지수판(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직포(2a)를 먼저 깔고 그 위로 2겹으로 된 지수판(1)을 설치하고, 상기 지수판(1)의 상부로는 지수판(1)의 손상을 방지하는 상부직포(2b)를 설치하며, 상기 그린공간(10)의 벽면에도 하부직포(2b), 지수판(1) 및 상부직포(2b)를 설치한다.
다음에, 상기 상부직포(2b) 상에 배수판(3)을 배수 지역별로 구배에 맞추어 설치하되, 그린표면의 경사에 따라 가장 높은 지점에서 가장 낮은 지점으로 주관을 설치하고 4∼6m의 간격으로 지관을 상기 주관에 연결함으로써 어골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수판(3)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필요한 지역에는 그린공간의 벽면에 설치된 하부직포(2a)의 바깥에 배수판(3)을 세로로 세워 설치한 후 주변의 집수정으로 배수관을 연결하여 배수한다.
다음에, 그린공간(1)의 바깥으로 이어지는 상기 배수판의 끝단부에는 퍼팅그린 내 토양의 수분함량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배수개폐장치를 설치하여, 그린 표면에서 5㎝ 아래의 토양수분 함량이 예를 들어 12% 이하가 2시간 이상 지속될 때는 상기 배수개폐장치로 배수판(3)을 막아 수분상승을 유도하고, 15% 이상이 일정시간 계속 유지되면 상기 배수개폐장치로 배수판(3)을 열어 퍼팅그린 내의 과다한 토양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그린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부직포(2b)의 위로 그린표면의 조형적 높이를 가늠하는 막대(미도시)를 세우고 배수층과 혼합상토층의 높이를 표시한 후, 배수판(3)을 매립하면서 바닥면 전체에 깨끗하게 세척한 콩자갈(또는 파쇄석)을 50㎜ 내지 100㎜의 균일한 두께로 덮어 배수층(4)을 형성하고, 상기 파쇄석을 사용할 때 너무 모난 것은 가급적 피하고 부스러기가 많거나 연약한 석회석이나, 사암, 혈암은 적합하지 않으며, 확신할 수 없는 자재에 대해서는 황산조사실험(ASTM C-88)을 실시하여 풍화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하도록 한다.
또한, 중량을 기준으로 12% 이상 감소 자재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콩자갈의 입도기준은 다음의 표 1과 같으며, 이 입도기준을 반드시 만족함과 동시에 다음의 표 2와 같이 지지요소, 투수요소, 균일요소를 만족하도록 한다.
표 1. 배수층의 콩자갈 입도 기준
Figure PCTKR2009000176-appb-I000001
표 2. 콩자갈(또는 파쇄석) 사용 기준
Figure PCTKR2009000176-appb-I000002
위의 표 2에서 지지요소는 배수층의 콩자갈이 혼합상토층의 모래를 지지하여 상기 혼합상토층의 모래가 배수층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이고, 투수요소는 혼합상토층과 배수층 사이의 투수를 원활히 하기 위한 요소이며, 균일요소는 배수층의 콩자갈의 입도분포가 균일하게 이루도록 하기 위한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표 2에서 D15라는 용어는 배수층의 콩자갈 중에서 콩자갈의 입도가 가장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15% 사이에 있는 입자의 평균직경을 의미하고, D85 또는 D90은 배수층의 콩자갈 중에서 콩자갈의 입도가 가장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85% 또는 90% 사이에 있는 입자의 평균직경을 의미한다.
다음에, 퍼팅그린 표면의 조형에 맞추어 다짐된 배수층(4) 위에 지중급수관(5)을 최소 30㎝에서 최대 100cm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상기 지중급수관(5) 내부에 급수관의 설치 간격에 따라 분출필터(5a)가 적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최소 25㎜에서 최대 50㎜의 직경을 갖는 지중급수관(5)을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설치한다.
한편, 상기 지중급수관(5)은 비료, 공기, 온수, 오존공급장치가 설치되는 그린 그린컨트롤러(13)에 연결되고 이 그린컨트롤러(13)에 의해 적절하게 용수와 비료, 공기, 온수, 오존 등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에, 상기 혼합상토층(6)은 배수층(4) 위에 지중급수관(5)을 매립한 상태에서 모래로 된 그린사와 토양개량제를 서로 혼합한 혼합토양을 30㎝의 두께로 균일하게 다지며 적층시켜 형성하고, 적절한 물다짐을 실시하며, 상기 혼합상토층(6)은 퍼팅그린표면의 조형적 높낮이에 맞추어 조성 되어야 한다.
또한, 혼합상토층(6)에 사용되는 모래는 다음의 표3의 기준에 적합한 모래를 사용하도록 하며, 토양개량제의 혼합함량은 5∼10%로 하며, 혼합 후 반드시 토양 물리성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의 표 4와 같은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도록 한다.
유기성 토양개량제의 품질조건은 유기물 함량이 건조무게의 86% 이상이 되어야 하고, 퇴비화가 1년 이상 경과되어 완전히 부숙된 것을 사용하며, 기준은 다음의 표 5에 준한다. 무기성 토양개량제는 그 기능성에 따라 혼합할 수 있되, 전체 혼합상토의 3%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한다.
표 3. 혼합상토층의 모래 입도 기준
Figure PCTKR2009000176-appb-I000003
표 4. 혼합상토층의 물리성 기준
Figure PCTKR2009000176-appb-I000004
표 5. 토양개량제의 기준
Figure PCTKR2009000176-appb-I000005
따라서, 상기 배수판(3)을 배수개폐장치(14)로 막은 상태에서 지중급수관(5)을 통해 잔디의 생육을 위한 용수를 상기 그린컨트롤러(13)를 통해 2~6㎏/㎡의 압력으로 공급하면, 상기 혼합상토층(6)에 모세관현상으로 물이 차오르게 되어 잔디뿌리에 물을 공급하게 되고, 과다한 물을 배수하고자 할 때는 상기 배수개폐장치(14)로 배수판(3)을 열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혼합상토층(6) 위에 잔디(8)를 파종하거나 심게 되는데, 시공 후 바로 그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당초에 정한 초종으로 롤잔디 품질기준에 따라 미리 생산되어 골프장의 공사현장에 반입한 롤잔디를 심는다. 롤잔디의 심기는 롤잔디의 사이에 빈틈이 없도록 혼합상토층(6)의 위에 100% 피복되게 펴고 적절한 무게로 다짐한 후 1∼3㎜의 두께로 상기 혼합상토층(6)과 같은 상토를 배토하고, 배토사가 잔디잎 사이로 충분히 들어가도록 지상관수를 실시한다.
식재후 1∼3주간의 식재관리를 실시하되 바로 사용할 경우는 식재관리와 운영관리를 병행하여 실시한다.
이상과 같은 조성공법에 의해 조성되는 본 발명의 퍼팅그린의 운영관리방법은 종래 퍼팅그린의 운영관리방법과는 전혀 다르게 이루어진다.
즉, 잔디 깍기와 농약의 살포 및 통기작업의 방식은 종래와 같으나 작업 횟수는 줄이면서 용수와 비료의 공급은 지상이 아닌 지중에서 지중급수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더욱이 상기 지중급수관을 통해 공기의 공급에 의한 통기 및 오존의 공급에 의한 잔디뿌리의 살균소독이 이루어지게 되며, 필요한 경우 온수를 공급하여 그린의 지온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퍼팅그린 운영관리방법은 그린컨트롤러에 의해 지역과 계절 및 그린사용빈도에 맞추어 정해진 품질목표와 퍼팅그린의 혼합상토층에 설치된 수분 및 온도 센서에 따라서 용수량과 용액비료, 공기, 오존, 온수의 공급을 통제하고, 퍼팅그린의 품질상태를 항상 요구하는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용수, 비료, 농약을 절감하며, 퍼팅그린상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상기 퍼팅그린의 사용자에게 언제나 최상의 그린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장의 퍼팅그린의 적층구조를 단순화하여 상기 퍼팅그린의 조성을 간편하게 규격화시킴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퍼팅그린의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골프장 공사기간의 획기적인 단축으로 공사비를 절감하며 시공 후 즉시 사용 할 수 있는 퍼팅그린 조성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일정한 면적으로 터파기 되고 다짐되어 조형된 그린공간의 바닥 및 벽면에 차례로 하부직포와 지수판 및 상부직포를 설치하고, 그 위에는 구배에 맞추어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수판을 매립한 상태에서 상기 그린공간의 바닥면 위에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는 배수층;
    상기 배수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그린공간의 바깥으로 이어지는 지중급수관; 및
    상기 지중급수관을 매립한 상태에서 배수층 상에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어 상면에 잔디가 생육하고 홀컵이 형성되는 혼합상토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조성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공간을 적어도 2~4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하여, 분리되는 각 구역마다 별도로 배수판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판의 하부 끝단부에 배수개폐장치를 설치하는 퍼팅그린 조성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급수관은 2개의 라인이 별도로 설치되고, 각 라인의 지중급수관은 그린공간의 외부에 설치되는 그린컨트롤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조성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컨트롤러는 비료공급장치, 공기공급장치, 온수공급장치 및 오존공급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조성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공간의 각 구역별로 퍼팅그린의 혼합상토층의 수분상태와 지온을 감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센서가 혼합상토층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센서는 상기 그린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조성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는 롤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조성구조.
  7. 지정된 퍼팅그린의 면적만큼 터파기하고 조형하면서 다짐하여 그린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면과 벽면에 하부직포와 지수판 및 상부직포를 차례로 겹쳐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지수판 위에 2~4개의 지역으로 분리하여 구배에 맞추어 간선과 지선으로 연결되는 배수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판을 매립하면서 상기 그린공간의 바닥면 위로 일정한 높이의 배수층을 형성하여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배수층 상에 2개의 별도 라인으로 서로 교차하여 지중급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중급수관을 매립하면서 상기 배수층 상으로 일정한 높이의 혼합상토층을 형성하여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상토층의 상면에 잔디를 조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조성공법.
PCT/KR2009/000176 2008-08-22 2009-01-13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WO20100214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14A KR100875967B1 (ko) 2008-08-22 2008-08-22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KR10-2008-0082314 2008-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1439A1 true WO2010021439A1 (ko) 2010-02-25

Family

ID=4037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0176 WO2010021439A1 (ko) 2008-08-22 2009-01-13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5967B1 (ko)
WO (1) WO20100214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0838A (zh) * 2013-10-18 2014-03-26 北京东方利禾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沙培冷季型草坪种植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1602A (ja) * 1991-06-20 1992-12-24 Sanki Syst Prod Kk ゴルフ場のグリーン床構造
JPH05148827A (ja) * 1991-11-29 1993-06-15 Sanki Syst Prod Kk ゴルフ場の排水床構造
US5489317A (en) * 1992-06-22 1996-02-06 Turf Systems International, Inc.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US5617670A (en) * 1994-01-05 1997-04-08 Benson; William M. Mobile unit for treating soil
KR0175945B1 (ko) * 1990-03-14 1999-04-01 마에다 히로까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정화방법 및 그 지반구조
KR20070111262A (ko) * 2006-05-17 2007-11-21 한국난방필름 주식회사 동절기 잔디 보호를 위한 지중 온도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945B1 (ko) * 1990-03-14 1999-04-01 마에다 히로까쯔 골프장의 그린등에 있어서의 농약 정화설비, 정화방법 및 그 지반구조
JPH04371602A (ja) * 1991-06-20 1992-12-24 Sanki Syst Prod Kk ゴルフ場のグリーン床構造
JPH05148827A (ja) * 1991-11-29 1993-06-15 Sanki Syst Prod Kk ゴルフ場の排水床構造
US5489317A (en) * 1992-06-22 1996-02-06 Turf Systems International, Inc.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US5617670A (en) * 1994-01-05 1997-04-08 Benson; William M. Mobile unit for treating soil
KR20070111262A (ko) * 2006-05-17 2007-11-21 한국난방필름 주식회사 동절기 잔디 보호를 위한 지중 온도조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0838A (zh) * 2013-10-18 2014-03-26 北京东方利禾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沙培冷季型草坪种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967B1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CN109315200A (zh) 青海高原地区公路边坡植被修复方法
CN205124576U (zh) 边坡自灌溉种植结构
CN206196294U (zh) 稻田径流氮磷格田控排与农田渗滤组合拦截去除系统
CN106134556A (zh) 稻田径流氮磷格田控排与农田渗滤组合拦截去除系统及其应用方法
KR101215777B1 (ko) 지중 관?배수 시스템
WO2017052473A1 (en) A ba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12942017B (zh) 一种足球场锚固式混合草坪及其施工方法
WO2010021439A1 (ko) 퍼팅그린 조성구조와 조성공법
CN103603328A (zh) 潜层式农田丰产永久性排水沟
CN111887067B (zh) 高陡岩石边坡人工植被生态修复的方法
CN109168381A (zh) 防治土壤干层的地面开孔聚流入渗方法
CZ2008145A3 (cs) Vegetacní strecha, zejména sklonitá a zpusob její výroby
CN112840937A (zh) 一种市政种植结构及种植方法
CN204707558U (zh) 移动式生态型屋面绿化模块
CN217217731U (zh) 一种给排水智能控制装置
US8192109B2 (en) Subsurface irrigation system
KR101040812B1 (ko) 잔디구장 및 그 시공방법
CN207331617U (zh) 一种露天采场水土流失防治装置
CN113508700A (zh) 一种适于银杏的栽植系统及栽植方法
US6142703A (en) Encapsulated turf maintenance system
CN111374020A (zh) 一种吹填土绿化造林工艺方法
CN1806502A (zh) 种植塔
CN205305502U (zh) 应用于坡面结构的燕巢绿化构筑槽
CN215454195U (zh) 一种防沙治沙培草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083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083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