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576B1 -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576B1
KR0175576B1 KR1019960043442A KR19960043442A KR0175576B1 KR 0175576 B1 KR0175576 B1 KR 0175576B1 KR 1019960043442 A KR1019960043442 A KR 1019960043442A KR 19960043442 A KR19960043442 A KR 19960043442A KR 0175576 B1 KR0175576 B1 KR 0175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execution
signal
sta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417A (ko
Inventor
예병호
김해숙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4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57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체기능이 각각의 세부적인 기능단위로 설계되고 구현된 기능에 대한 수행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기능수행 제어방법의 실장된 기능에 대한 수행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고 단지 해당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모듈에서 배제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패키지 제작단계에서 소스 파일을 변경하거나 형상 파일을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고 제작과정에서의 오류를 유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비효율적인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 정의된 기능단위의 수행제어를 함으로써 대형 장치들을 대상으로 축적 프로그램 제어방식에 의한 기능수행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기능요구 사항에 따라 가변적으로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도록 기능구성이 가능하며,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이 가능해지고 패키지 제작단계에서 기능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형상정보의 변경없이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전체 패키지를 하나의 규격으로 제작함으로써 형상관리의 편이성을 제공하며, 시스템 운용중인 상태에서 필요 및 용도에 따라 융통성 있게 기능을 구성할 수 있는 가변적인 구조를 제공하여 기능확장 및 변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전체적인 제어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행억제 제어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기능수행등록 제어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프로세스 수행제어 제어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시그널접수 제어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그널접수 초기화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제어 스위치 서브시스템 200 : 접속처리 스위치 서브시스템
300 :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 400 : 호처리 접속 및 제어 프로세서
500 : 기능수행 관리기능부 600 : 기능수행 제어기능부
700 : 운영체계부 800 : 웅용기능부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체기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현된 기능에 대한 수행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능수행 제어방법은 개발이 완료된 기능을 실행단위인 실행모듈 단위로 구성하여 시스템에 실장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실장된 기능에 대하여 수행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고, 단지 해당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모듈에서 배제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 수행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제작단계에서 소스 파일을 변경하거나 항상 파일을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고 동시에 제작과정에서 오류를 유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행모듈에 포함된 전체기능을 대상으로 세부기능 단위로 수행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능중에서 시스템의 운용특성 및 서비스 구성요소에 따라 불필요한 기능을 억제하고 임의의 기능장애로 인하여 상호연동되는 다른 기능으로 장애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기능 단위로 대응되는 프로세스 및 시그널 정보가 별도의 데이터로 구성되고 동시에 이들 기능에 대한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실제적인 기능제어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생성 및 시그널 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운영체계와 연계를 통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특성상 실행모듈단위로 구성되는 기능들이 하나의 프로세스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와 하나의 프로세스에 다수의 기능이 포함되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방법에 따라 수행제어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각각의 세부적인 기능의 수행은 프로세스 단위의 기동 방법과 프로세스내 세부적인 기능으로의 시그널 전달에 의한 방법으로 나눌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요소에 따라 기능수행을 제어할 수 있는 적용범위를 프로세스 및 시그널에 의한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조도이다.
상기의 구조는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분산된 구조의 시스템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서, 중앙제어 스위치 서브시스템(ACS, ATM Central Switch)(100)과 접속처리 스위치 서브시스템(ALS, ATM Local Switch)(200)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각 서브시스템에는 응용기능의 수행제어를 위하여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OMP, Operation Maintenance Processor)(300)와 호제어 접속 및 제어 프로세서(CCCP, Call Connection Control Processor)(400)가 실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분산된 구조에서 각 프로세서에 공통적으로 기능수행 관리기능부(500)를 두고 운용자 요구에 의한 기능수행 제어요구를 받아 이들 기능간의 제어기능은 상기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300)에 기능수행 제어기능부(600)를 두어 처리하는 구성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각 기능에 대한 수행제어 억제 및 등록은 기능수행 관리기능부(500)를 통해 운영체계부(700)와의 연동으로 수행되는 구조를 가지며, 실제적인 기능수행 제어는 기능단위가 속한 응용기능부(800)가 동작되는 시점에서 운영체계를 통해 프로세스를 생성요구하거나 시그널을 접수받는 과정에서 기능수행이 제어된다.
상기 [표 1]은 기능수행 제어를 위하여 관리되는 정보들을 설명한 것으로서 각각의 개별적인 기능단위로 기능구분을 위한 기능번호가 주어지며, 각 기능들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단위의 실행화일 명칭과, 각각의 개별 기능을 구성하는 프로세스 정의번호(PDF, Process Definition Identification)가 주어지며 이것은 동일한 실행모듈내에 다수의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기능수행을 위하여 입력되는 시그널의 접속을 위한 프로세스 인스턴스 번호인 프로세스 인스턴스 정의(Process Instance Definition, PID)가 주어지며, 이것은 프로세스 정의번호를 이용하여 운영체계를 통해 프로세스가 생성된 결과정보로써 주어지는 정보이다.
또한 기능수행을 위하여 입력되는 시그널번호는 하나의 기능이 특정 포로세스내에서 시그널이 입력됨으로 기능수행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경우에 해당된다.
그리고 프로세스의 수행상태를 나타내는 제어상태 정보는 실제적으로 각각의 개별 기능들에 대한 수행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이 정보를 이용하여 운영체계와의 연동을 통해 프로세스 및 시그널에 대한 기능수행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정보는 동일한 프로세스에 대하여 입력되는 시그널이 다수개 존재가 가능하며, 관리대상이 되는 시그널정보는 프로세스간 통신방법에서 초기 시그널(Inital Signal)에 해당되며, 프로세스 인스턴스값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일반적인 시그널(Normal Signal) 및 타이머 시그널(Timer Signal)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리고 기능단위가 프로세스만 구성된 경우에는 시그널 번호에 해당되는 값은 h' 0000으로 채워지게 되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제어가 프로세스 및 시그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들은 시스템 패키지 제작단계에서 해당 기술문서 및 공통화일 정보로부터 추출되어 구성되며, 실제적으로 시스템 운용형태에 따라 기능단위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동작이 억제된 상태이면 제어상태 정보가 true로 변경되도록 관리된다.
그러므로 수행제어 상태는 시스템 초기동작 시점에서 억제되거나 정상적인 운용상태에서 운용자의 명령어를 통해 억제 및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의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전체적인 제어흐름도이다.
상기의 흐름을 보면, 프로세스가 기동되는 시점에서 구동되어 시스템 초기 정보로써 구성된 기능수행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시그널 접수처리를 위한 시그널 접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S1) 기능수행 제어요구를 위한 접수 대기상태(S2)로 천이된다.
상기 접수 대기상태(S2)로 천이한 후 기능수행 제어요구를 접수하면(S3), 요구한 기능에 대한 제어유형을 분석하여(S4) 제어유형에 대한 억제(S5)와 등록(S6) 각각의 경우에 대한 처리과정을 수행한 후 다음 요구에 대한 처리를 위하여 기능수행 제어요구 대기상태로 천이된다(S7).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행억제 제어흐름도로서, 상기 제2도의 처리흐름에서 기능수행 억제 처리요구에 대한 상세 처리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먼저 기능수행 억제요구를 접수하면(S8), 기능별 수행관리를 위한 정보를 읽어(S9) 해당 기능의 존재여부를 확인을 판단하고(S10), 이때 요구한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의되지 않은 기능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 요구하고(S11) 종료한다(S12).
반면에 상기의 요구한 기능이 존재하면 현재의 기능수행 상태가 억제상태인지를 확인한 후(S13) 이미 억제상태이면 이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요구한 후(S14) 종료한다(S15).
만일 억제상태가 아니면 억제대상 정보를 확인한 후(S16) 프로세스에 대한 경우이면 기능수행 관리정보에 프러세스 수행억제 상태를 갱신하고(S17), 시그널에 대한 처리이면 시그널 억제상태정보를 갱신한 후(S18) 운영체계를 통해 현재 접수대기중인 시그널에 대한 접속연결을 해제요구한 후(S19) 정상처리 완료 메시지를 출력요구하고(S20) 종료한다(S21).
다음의 제4도는 본 발명의 기능수행등록 제어흐름도로서, 상기 제2도의 처리흐름에서 기능수행 등록 처리요구에 대한 상세 처리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그 흐름을 보면 기능수행 등록요구를 접수하면(S22), 기능별 수행관리를 위한 정보를 읽어(S23) 해당 기능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고(S24), 이때 요구한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의되지 않은 기능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 요구하고(S25) 종료한다(S26).
반면에 요구한 기능이 존재하는 기능인 경우에는 현재의 기능수행 상태가 등록상태인지를 확인한 후(S27), 이미 등록상태이면 이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요구한 후(S28) 종료한다(S29).
만일 등록 상태가 아니면 억제대상 정보를 확인한 후(S30) 프로세스에 대한 경우이면 기능수행 관리정보에 프로세스 수행등록 상태를 갱신하고(S31), 시그널에 대한 처리이면 시그널 등록 상태정보를 갱신한 후(S32) 운영체계를 통해 접수대기를 위한 시그널로 접속연결을 요구한 후(S33) 정상처리 완료 메시지를 출력요구하고(S34) 종료한다(S35).
제5도는 본 발명의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프로세스 수행제어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제5도는 상기 제3도와, 제4도에서 처리된 결과인 기능별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단위의 수행제어 과정에 대한 상세 제어 흐름도로써, 응용기능과 운영체계간의 상호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먼저 응용기능 측면에서 프로세서가 기동되면(S36) 실행모듈 단위의 응용기능에서 각 프로세서 단위로 프로세서 생성요구를 수행한 후(S37) 프로세서 생성결과 접수를 위한 대기상태로 천이한다(S38).
그리고 운영체계에서는 응용기능으로부터의 프로세스 생성요구를 접수받아(S39) 기능별 수행제어 관리정보를 읽어(S40) 프로세스 수행억제 상태를 판단한 후(S41) 억제상태이면 이에 대한 리턴 값을 갖도록 한다(S42).
반면에 정상수행 상태이면 요구한 프로세스 정의번호를 이용하여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S43) 생성된 프로세스의 인스턴스 값을 리턴값으로 설정한 후(S44) 결과정보를 요구한 응용기능으로 생성 결과를 되돌려주고(S45) 처리결과를 종료한다(S46).
상기의 응용기능에서는 운영체계로부터 프로세스 생성 요구에 대한 생성 결과를 접수받아(S47) 결과를 확인한 후(S48) 정상적인 생성결과이면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수행을 하고(S49), 억제상태이면 요구한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바로 종료한다(S50).
다음의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행제어를 위한 시그널접수 제어흐름도이다.
상기 제6도는 상기 제3도와 제4도에서 처리된 결과인 기능별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스에 포함된 시그널 단위의 수행제어 과정에 대한 상세 제어흐름도로써, 운영체계에서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이것은 운영체계를 통해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전달되는 시그널을 접수받아 해당되는 응용기능이 수행되므로 시그널에 대한 접수방법을 이용한 기능수행 제어를 하게 된다.
상기의 흐름을 보면 운영체계에서는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시그널을 접수하면(S51) 기능관리 정보를 통해 시그널 등록여부를 확인하고(S52) 응용기능으로의 전달을 위한 접속상태이면 요구한 응용기능으로서 시그널 정보를 전달하여(S53) 기능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에 접속이 억제된 상태이면 접수된 시그널에 대한 응용기능으로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종료한다(S54).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그널접수 초기화 제어흐름도로서, 상기 제2도의 전체 기능수행 제어도에서 시그널접수 처리 초기화를 위한 수행을 호출받아 수행되는 상세 제어흐름도이다.
먼저 기능별 수행제어를 위한 정보에서 첫 번째 기능번호에 해당되는 정보를 읽어(S55) 시그널에 의한 기능수행 제어인지를 시그널 번호가 h' 0000인 것으로 확인한 후(S56), 시그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운영체계를 통해 접수처리가 억제될 수 있도록 요구한다(S57).
만일 시그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과정이 생략된 후 전체 기능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S58).
확인 후 전체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다음 기능번호에 대한 정보를 읽어(S59) 시그널접수 억제처리를 위한 반복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완료된 상태이면 초기화 처리가 종료된다(S60).
본 발명에서 제안한 기능수행 제어방법은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용이하게 기능단위의 기능수행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각종 개별적인 기능단위의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및 부하측정을 통해 효율적인 기능설계를 위한 자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기능단위의 수행과정에서 긴급한 장애발생으로 인하여 그 영향이 시스템 전체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기능억제 방법을 통해 사전에 격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구조로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행 제어방법은, 교환시스템과 같은 대형 장치들을 대상으로 축적 프로그램 제어방식에 의한 기능수행이 필요한 기능요구 사항에 따라 가변적으로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도록 기능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환경은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키지 제작단계에서 기능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형상정보의 변경없이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전체 패키지를 하나의 규격으로 제작함으로써 형상관리의 편이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시스템 운용시작 및 운용중인 상태에서 필요 및 용도에 따라 융통성 있게 기능을 구성할 수 있는 가변적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능확장 및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의 기능수행 처리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초기정보로 구성된 기능수행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시그널 접수처리를 위한 초기화 과정 후 기능수행 제어요구를 접수받기 위해 대기하는 제1과정과, 상기 대기중에 접수된 기능수행 제어요구의 제어유형이 기능수행 억제처리일 경우, 시스템의 운용특성 및 서비스 구성요소에 따라 불필요한 기능을 억제하기 위하여 기능수행 억제처리를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접수된 제어유형이 기능수행 등록처리의 요구일 경우 기능수행 등록처리를 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접수 초기화는 기능별 수행제어를 위한 정보에서 첫 번째 기능번호에 해당되는 정보를 읽어 시그널에 의한 기능수행 제어에 해당한 시그널번호인지를 판단하여 시그널이 존재할때에는 운영체계를 통해 접수처리가 억제될 수 있도록 요구하는 제2단계와, 시그널이 존재하지 않을때에는 상기 운영처리가 생략된 후 전체기능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다음 기능번호에 대한 정보를 읽어 시그널 접수 억제처리를 반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전체기능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상태이면 초기화 처리를 종료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수행 억제처리는 기능수행 억제요구를 접수하여 기능별 수행관리를 위한 정보를 읽어 해당기능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을 때 정의되지 않은 기능메시지를 출력하고 종료하는 제1단계와, 상기 해당기능이 존재할때에는 현재의 기능수행 상태가 억제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억제상태일때에는 이에 대한 억제상태 메시지를 출력하고 종료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능수행 상태가 억제상태가 아니면 억제대상 정보를 확인하여 프로세스에 대한 경우이면 기능수행 관리정보에 프로세스 수행 억제 상태를 갱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억제대상이 시그널에 대한 처리이면 시그널 억제 상태정보를 갱신한 후 운영체계를 통해 현재 접수 대기중인 시그널에 대한 접속연결을 해제 요구한 후 정상처리 완료메시지를 출력요구하고 종료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수행 등록처리는 기능수행 등록요구를 접수하여 기능별 수행관리 정보를 읽어 해당 기능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요구한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의 되지 않은 기능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요구하고 종료하는 제1단계와, 존재하는 기능이면 현재의 기능수행 상태가 등록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이미 등록상태이면 이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요구하고 종료하는 제2단계와, 등록상태가 아니면 등록대상 정보를 판단하여 등록대상이 프로세스이면 기능수행 관리정보에 프로세스 수행등록 상태를 갱신하는 제3단계와, 등록대상이 시그널이면 시그널 등록 상태정보를 갱신하고 운영체계를 통해 접수대기를 위한 시그널로 접속연결을 요구한 후 정상처리 완료메시지를 출력요구하고 종료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행제어 처리는 응용기능 측면에서 프로세서가 기동되면 실행모듈 단위의 응용기능에서 각 프로세스 단위로 프로세스 생성요구를 수행한 후 프로세스 생성결과 접수를 위한 대기롤하는 제1단계와, 운영체계에서 상기 응용기능으로부터의 프로세스 생성요구를 접수하여 기능별 수행제어 관리정보를 읽어 프로세스 억제상태를 판단하여 억제상태이면 이에 대한 리턴값을 갖도록하는 제2단계와, 정상수행 상태이면 요구한 프로세스 정의번호를 이용하여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 생성된 프로세스의 인스턴스 값을 리턴값으로 설정한 후 결과정보를 요구한 응용기능으로 생성결과를 되돌려주고 처리과정을 종료하는 제3단계와, 응용기능에서 운영체계로부터 프로세스 생성요구에 대한 처리결과를 접수받아 결과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결과이면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수행을 하는 제4단계와, 억제상태이면 요구한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바로 종료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접수 처리는 운영체계에서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시그널을 접수하여 접수한 시그널을 기능관리 정보를 통해 시그널 등록상태를 판단하여 응용기능으로의 전달을 위한 접속상태이면 요구한 응용기능으로 시그널을 전달하여 기능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단계와, 접속이 억제된 상태이면 접수된 시그널에 대한 응용기능으로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종료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KR1019960043442A 1996-10-01 1996-10-01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KR0175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442A KR0175576B1 (ko) 1996-10-01 1996-10-01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442A KR0175576B1 (ko) 1996-10-01 1996-10-01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17A KR19980025417A (ko) 1998-07-15
KR0175576B1 true KR0175576B1 (ko) 1999-04-01

Family

ID=1947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442A KR0175576B1 (ko) 1996-10-01 1996-10-01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643B1 (ko) 2019-10-15 2021-04-15 한국전력공사 애자 절연 보강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643B1 (ko) 2019-10-15 2021-04-15 한국전력공사 애자 절연 보강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17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2317B2 (ja) ローカルまたは分散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柔軟なノード構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57900B1 (ko) 엘리베이터 제어 프로그램의 원격 갱신 시스템
US5928335A (en) Client/server system having middleware-based interface between client and server image processing objects
US5483647A (en)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two different operating systems by invoking the server to determine physical conditions to initiate a physical connection transparent to the user
US56491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microcode in a distributed nodal network while the network continues operation
CN100485583C (zh) 并行处理系统中的电源管理系统及电源管理程序
CN100524219C (zh) 执行不同版本软件的冗余处理器的配置同步的方法和装置
US20080140760A1 (e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s supporting dynamic service provider versioning
EP0676692A1 (en) Execution control system
US20080140759A1 (en) Dynamic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ystem configuration and proxy object generation server architecture and methods
JPH0934700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A2975071A1 (en) Management of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and orchestration apparatus,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H086796A (ja) ダウンロード方法、そ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データファイル更新方法
CN110990081A (zh) 微服务注册、发现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010080469A (ko) 작업-병렬 프로세서
US5764914A (en) Network system for connecting to a network node from terminal
KR0175576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기능수행 제어방법
JP2009032253A (ja)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アーキテクチャに使用するためのミドルウェア
JPH10269045A (ja) ネットワーク分散型画像処理システム
JP3020402B2 (ja) 状態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状態管理システム
KR100194603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감시기능 수행제어 방법
KR100443633B1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의 서브 시스템 추가 방법
KR100304364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KR100285333B1 (ko) 전전자교환기의텔레포니프로세서데이터로딩방법
CN117311747A (zh) 具灰度发布的业务流程控制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