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364B1 -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364B1
KR100304364B1 KR1019980052243A KR19980052243A KR100304364B1 KR 100304364 B1 KR100304364 B1 KR 100304364B1 KR 1019980052243 A KR1019980052243 A KR 1019980052243A KR 19980052243 A KR19980052243 A KR 19980052243A KR 100304364 B1 KR100304364 B1 KR 100304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management data
change
data
system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612A (ko
Inventor
유찬형
예병호
김해숙
윤병남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8005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3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75Software application
    • H04Q3/54591Supervision, e.g. fault localisation, traffic measurements, avoiding errors, failure recovery, monitoring, statistical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75Fault management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9Networ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실시간 처리를 교환 분산 구조의 교환제어기에서 실행하고 정보처리 및 운용관리를 시스템 관리기에서 실행하는 교환시스템에서, 교환제어기가 교환기의 실시간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변경 및 복구함으로써, 데이터를 일치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적용되는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에서 실시간 기능을 교환제어기가 실행하고 실시간 특성이 적은 데이터 처리 기능을 시스템 관리기가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 데이터를 상기 교환제어기의 메모리에 위치시켜 실시간 처리를 진행하고, 정보 처리를 위한 입출력 위주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에 위치시켜 상기 교환시스템을 운용 관리하되, 상기 교환제어기의 사건 발생에 따라, 상기 교환제어기가 제어 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 및관리 데이터에 반영하는 제 1 단계;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부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실패시에, 상기 교환제어기가 실패결과를 제어 데이터에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변경 실패 운용 및 관리 데이터가 존재하는 제어 데이터에 대해, 상기 교환제어기가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요구하여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복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분산처리 교환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Method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data processing in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기능을 교환제어기에서 분산처리 실행하고 실시간 특성이 적은 데이터 처리 기능을 시스템 관리기에서 처리하는 교환시스템에서, 교환제어기와 시스템 관리기 사이의 정보 교류시나 상호 수행 제어시에, 교환제어기가 실시간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관리 데이터를 변경 및 복구함으로써, 데이터를 일치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음성교환에서 데이터 교환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교환기는 다양한 전송 방식으로 교환하는데, 이러한 교환기는 실시간 시스템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교환기는 실시간적인 동작을 위한 많은 데이터 작업이 또한 요구된다.
비동기전달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를 비롯한 전전자 교환기는 프로세서와 데이터의 교환을 담당하는 스위치와 외부의 가입자 및 중계선을 정합하는 정합 하드웨어가 있어서 프로세서에 실장되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서로 연관적 관계를 설정하면서 동작한다.
교환기 소프트웨어는 호의 발생에서 해제까지 직접적인 서비스를 실시간 적으로 수행시키는 호처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비정상 동작을 감지하여 격리하고 복구하는 일련의 절차를 제공하는 유지보수 소프트웨어, 서비스에따른 과금 수록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로 크게 분리할 수 있다.
종래의 교환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시스템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종속되어 기능 구현에 집중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실시간적인 기능과 실시간성이 약한 기능의 배분없이 교환기내의 모든 프로세서에 혼용하여 수용하도록 하는 기능 설계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은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므로 실시간적인 호 처리 기능이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제한을 받아서 동시 처리할 수 있는 호의 수가 제한되어 실시간적인 성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서비스와 시스템에 종속되어 제작된 소프트웨어들은 서비스와 시스템이 변경될 때에 재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에 맞는 형태로 다시 제작되어야 한다.
이처럼 종래의 교환시스템은 실시간 처리나 관리 부문에 관계없이 모든 시스템내의 소프트웨어를 교환시스템에 실장하여 수행함으로써, 교환시스템의 메모리의 많은 부분을 비실시간 기능이 점유하거나, 비실시간적이지만 종합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기능이 실시간 기능과 함께 동작하여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실시간 처리를 교환 분산 구조의 교환제어기에서 실행하고 정보처리 및 운용관리를 시스템 관리기에서 실행하는 교환시스템에서, 교환제어기가 교환기의 실시간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변경 및복구함으로써, 데이터를 일치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환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연한 교환시스템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중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중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실패시의 운용/관리 데이터 복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교환제어기 12 : 시스템 관리기
13 : 교환기 14 : 가입자 단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적용되는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에서 실시간 기능을 교환제어기가 실행하고 실시간 특성이 적은 데이터 처리 기능을 시스템 관리기가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 데이터를 상기 교환제어기의 메모리에 위치시켜 실시간 처리를 진행하고, 정보 처리를 위한 입출력 위주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에 위치시켜 상기 교환시스템을 운용 관리하되, 상기 교환제어기의 사건 발생에 따라, 상기 교환제어기가 제어 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에 반영하는 제 1 단계;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부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실패시에, 상기 교환제어기가 실패결과를 제어 데이터에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변경 실패 운용 및 관리 데이터가 존재하는 제어 데이터에 대해, 상기 교환제어기가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요구하여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복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교환시스템에, 상기 교환시스템에서 실시간 기능을 교환제어기가 실행하고실시간 특성이 적은 데이터 처리 기능을 시스템 관리기가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 데이터를 상기 교환제어기의 메모리에 위치시켜 실시간 처리를 진행하고, 정보 처리를 위한 입출력 위주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에 위치시켜 상기 교환시스템을 운용 관리하되, 상기 교환제어기의 사건 발생에 따라, 상기 교환제어기가 제어 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에 반영하는 제 1 기능;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부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실패시에, 상기 교환제어기가 실패결과를 제어 데이터에 표시하는 제 2 기능; 및 변경 실패 운용 및 관리 데이터가 존재하는 제어 데이터에 대해, 상기 교환제어기가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요구하여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복구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환기의 실시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범용 컴퓨터를 이용하고 교환제어기와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의 약한 종속성을 구현하고자 한다. 즉, 구조의 효율성과 데이터의 느슨한 결합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범용 운용체계를 이용한 시스템 관리기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고 교환 제어 프로세서와 시스템 관리기 사이의 기능적 특성에 따른 데이터 중복성을 처리한다. 즉, 소프트웨어 구성을 기능적 특성에 따라서 구성하는 것 외에 데이터의 종속성에 따른 느슨한 결합성을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기 내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위치하고 상호간의 데이터의 변경에 따른 중복된 관리를 느슨하게 할 수 있도록 기능을 배치하고데이터를 처리하여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살펴보면, 교환기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교환제어기와 구성된 교환기를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기로 분리된 시스템에서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스템 종속성이 약하면서 효율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키는 소프트웨어 구조를 바탕으로, 제어 데이터는 교환제어기의 메모리에 위치하여 실시간 처리를 진행하고 정보 처리를 위한 입출력 위주의 운용/관리 정보 데이터는 시스템 관리기에 위치하여 교환기를 운용 관리한다.
또한, 실시간 제어 데이터의 변경이 운용/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되어야 하는 경우와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관리 정보가 교환제어기의 제어 데이터에 반영되어야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또한, 시스템 관리기에서 운용 명령어에 따라서 운용/관리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운용/관리 정보를 제어 데이터에 반영하기 위하여, 시스템 관리기에서 교환제어기로 제어 데이터 변경을 요구하고 교환제어기에서 변경 여부를 응답하여 제어 데이터 변경에 실패한 경우에 운용/관리 정보에 실시간 제어 데이터 변경이 실패하였음을 표시하고 변경 결과를 출력하여 운용/관리 정보와 실시간 제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또한, 교환제어기에서의 사건 발생에 의하여 제어 데이터를 변경하고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관리 정보 변경을 위하여, 시스템 관리기에 정보 변경을 요구한 후에 그 결과를 수신하여 변경에 실패한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에 변경 실패를 표시하여 실시간 제어 데이터와 운용/관리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또한, 시스템 관리기와 교환제어기의 운용/관리 정보와 제어 데이터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이 정상적인 경우에 변경 실패로 표시되었던 운용/관리 정보는 시스템 관리기에서 교환제어기로 변경을 요구하고 변경 실패로 표시되었던 제어 데이터는 교환제어기에서 시스템 관리기로 변경을 요구하여 불일치 정보를 해결함으로써 일관성을 유지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환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환시스템은 데이터의 교환을 실행하는 스위칭부(113)와 스위칭부(113)에 연결된 정합부(111,112)와 교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14)로 결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교환제어기(11)와, 모니터(122)와 컴퓨터 본체(121)와 저장 장치(123)로 구성되어 정보 처리 및 시스템 관리를 담당하는 시스템 관리기(12)를 구비한다.
교환제어기(11)의 정합부(111,112)는 가입자 정합장치인 경우에는 외부의 가입자 단말(14)과 링크(132)로 연결되고, 중계선 정합장치인 경우에는 다른 교환기(13)와 링크(131)로 연결된다.
교환제어기(11)내의 정합부(111)와 스위칭부(113)는 내부 데이터 전송 링크(118)로 연결된다.
교환제어기(11)의 서브시스템의 프로세서(114)에는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소프트웨어(115)와 제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116)가 정합부(111)와 스위칭부(113)의 제어를 위하여 실장된다.
서브시스템이 다수인 경우에 교환은 3단계의 데이터 교환을 거칠 수 있다. 이때에 중앙의 스위칭부(117)를 구비하는 서브시스템이 존재하게 된다.
시스템 관리기(12)에는 교환제어기(11) 전체의 서비스 상태와 자원의 상태를 관리하거나, 교환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124)가 실장되어 정보 처리와 운용자 정합을 담당한다. 또한, 과금과 서비스 통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장치(123)에 저장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연한 교환시스템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을 실시간 부분과 데이터 처리 부분에 대한 기능간 분배를 명확하게 하는 구조에서, 상호간의 정보 교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응용 프로그램 편의를 위하여 설계하고 적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교환기를 구성하고 있는 하드웨어나 운용체계의 상이함에 최소 영향을 받으면서 교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응용 기능의 발전과 재사용성을 확보하게 되고 통일된 교환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통일된 교환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115,116,124)는 시스템 관리기(12)와 교환제어기(11)에 분리하여 위치한다.
교환제어기(11)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상주하여 동작하고, 시스템제어기(12)의 소프트웨어(124)는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만 메모리(123)에 상주하여 동작하고 응용 소프트웨어는 디스크에 있다가 인터페이스 기능에서 필요시에 수행시킨다.
교환제어기(11)의 프로세서(114)에는 실시간 운용체계(201)가 동작되고, 시스템 관리기(12)에서는 범용 운용체계(211)가 동작된다.
교환제어기(11)의 프로세서(114)와 시스템 관리기(12)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정보를 교류한다.
교환제어기(11)의 실시간 운용체계(201)가 수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서 응용 소프트웨어의 수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환제어기(11)내에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싱부(210)를 둔다.
시스템 관리기(12)의 소프트웨어(124)가 교환제어기(11)의 소프트웨어(115,116)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원격 라이브러리, 원격 공유 메모리, 원격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이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싱부(210)가 교환제어기(11)에 위치한다. 또한, 시스템 관리기(12)에도 교환제어기(11)에서 요구하는 통신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싱부(212)가 동작한다. 이때, 교환제어기(11)에서 시스템 관리기(12)에 접근하는 인터페이스는 원격 프로그램 수행과 원격 파일 접근 방식이다.
교환제어기(11)의 프로세서(114)는 신호 처리, 호 제어, 번호 번역, 루트 제어 등의 실시간 작업을 수행한다(203).
실시간 작업의 진행 상태는 호 서비스 통계 수집부(202)에 통보되고, 호 서비스 통계 수집부(202)에 통보된 통계 정보는 사전에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싱부(210)를 통해 시스템 관리기(12)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싱부(212)를 경유하여 과금/통계부(219)에 전달되고, 운용/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8)에 수록된다. 이러한 실시간 작업에서 참조해야 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는 메모리상의 공유 영역에 있는 제어 데이터(204)를 이용한다.
제어 데이터(204)는 시스템 관리기(12)를 통하여 변경되고 유지되는 것과 교환제어기(11)내에서 발생되는 사건에 의하여 변경된다. 여기서, 교환제어기(11)내의 사건은 실질적인 서비스와 장애 상태 변경이다.
장애 상태의 변경은 상태 감시부(205) 및 시험부(206)에 의하여 변경된다. 또한, 장애의 변경은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싱부(210,212)를 통하여 시스템 관리기(12)의 장애 분석 및 경보 출력부(217)에 전달되며, 전달된 내용은 운용/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8)에 수록됨과 동시에 공통 게이트웨이인 운용 인터페이싱부(225)를 경유하여 웹 서버(226)를 통해 운용 관리자의 웹 브라우저(228)로 출력되고 통합 망 관리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싱부(227)를 통하여 통합 망 관리부(229)에 전달된다.
시스템 관리기(12)에서 교환 제어기(11)의 제어 데이터(204)를 변경시에는, 운용 관리자나 망관리 센터에서의 요구에 의하여 변경된다.
운용 관리자의 요구는 웹 서버(226)와 웹 브라우저(228)를 이용하여 구현된 공통 게이트 웨이인 운용 인터페이싱부(225)를 경유하게 된다. 그리고, 운용 인터페이스는 입력된 명령어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시스템 관리기(12)내의 프로그램(213내지 216)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신호점 등록, 번호 등록, 루트 등록, 및 서비스 등록(213)의 운용자 요구가 입력되면, 운용 인터페이싱부(225)를 경유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213)이 동작되어 운용/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8)를 변경한 후에,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싱부(212,210)를 경유하여 교환제어기(11)의 서비스 제어부(207)를 통해 제어 데이터(204)를 변경하고, 변경된 제어 데이터(204)를 기반으로 실시간 기능이 동작된다.
한편, 시동 관리에 관련된 요구가 입력되면, 시동 관리부(214)가 교환제어기(11)의 시동 제어부(209)와 상호 교류하여 필요한 기능을 교환제어기(11)에 적재시킨다.
그리고, 교환기 구성 변경 요구가 입력되면, 형상 변경부(215)가 동작되어 교환제어기(11)의 형상 제어부(208)를 경유하여 제어 데이터(204)에 형상 관련 사항을 변경시킨다.
시험이나 감시의 진행 여부에 대한 제어 명령어가 입력되면, 시스템 제어부(216)가 동작되어 교환제어기(11)내의 상태 감시부(205) 또는 시험부(206)를 경유하여 제어 데이터(204)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 관리기(12)에서 운용자 명령어에 의하여 변경된 내용은 시스템 관리기(12)의 운용/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8)와 제어 데이터(204)에 반영되고, 교환제어기(11)에서 발생하는 사건도 제어 데이터(204)와 시스템 관리기(12)의 운용/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8)에 수록된다.
따라서, 각종 정보의 출력이나 서비스 및 자원의 상태에 관련된 명령어는 시스템 관리기(12)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관리기(12)의 기능으로 호 제어 정보 출력부(220), 자원의 상태 출력부(221), 과금 통계 정보 출력부(222), 형상 출력부(223), 시스템 제어 정보 출력부(224)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연한 교환시스템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는 교환제어기(11)의 프로세서(114)에 있는 소프트웨어 사이에 메시지 통신을 사용하지 않고, 시스템 관리기(12)내에 있는 소프트웨어 사이에도 메시지 통신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교환제어기(11)의 프로세서와 시스템 관리기(12)의 프로세서 사이에 메시지 통신을 직접적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사용하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싱부(210,212)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를 시스템 구조 독립적인 소프트웨어로 작성할 수 있어 교환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연한 교환시스템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는 교환시스템에 적재되어 수행되는 각종 소프트웨어를 실시간 특성과 정보 처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류하여, 실시간 성격이 강한 기능의 소프트웨어는 교환기에 적재하고 정보 처리 기능의 성격이 강한 기능은 범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교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취하고 실시간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교환 제어기와 정보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범용 컴퓨터인 시스템 관리기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통신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유연한 교환시스템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는 범용 컴퓨터에실장하는 소프트웨어는 교환제어기(11)의 구성과 독립적으로 항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교환제어기(11)에 있는 소프트웨어도 간략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갖게 되어서 재사용성이 향상되고, 범용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 정보 처리 관련 프로그램은 실시간 성격이 약하기 때문에 메모리에 상주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유연한 교환시스템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는 메모리에 상주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운용/관리상의 명령어에 의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웹 서버(226)를 이용한 공통 게이트웨이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범용 컴퓨터내에 각각 모듈화로 작성된 관리 프로그램을 별도의 변경없이 사용하기 위하여 통합 망 관리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설계 제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중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교환제어기(11)의 사건 발생에 의하여 제어 데이터를 변경하고, 시스템 관리기(12)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을 위하여, 교환제어기(11)가 시스템 관리기(12)에 정보 변경을 요구한 후에, 그 결과를 수신하여 변경에 실패한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에 변경 실패를 표시하여 실시간 제어 데이터와 운용/관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교환제어기(11)의 메모리에 위치하여 실시간 처리를 진행하고, 정보처리를 위한 입출력 위주의 운용 및 관리 정보 데이터는 시스템 관리기(12)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중 교환제어기(11)에서 시스템 관리기(12)의 운용/관리 데이터를 변경하는 과정은, 먼저 교환제어기(11)에서 교환제어기(11)내의 자원의 상태 변경이나 과금과 호처리 통계 정보가 생성되면(301), 교환제어기(11)가 내부의 메모리에 있는 제어 데이터를 변경한다(302).
이후, 교환제어기(11)가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시스템 관리기(12)에 요구한다(303).
이후에, 시스템 관리기(12)가 교환제어기(11)로부터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요구를 수신하면(307),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변경하고(308),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결과를 교환제어기(11)로 전송한다(309).
다음으로, 교환제어기(11)가 시스템 관리기(12)로부터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결과를 수신하면(304), 변경 결과를 분석한다(305).
분석결과, 변경 결과가 실패이거나 응답을 받지 못하면 변경된 제어 데이터에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이 실패하였음을 표시한다(306). 여기서, 제어 데이터의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는 시스템 관리기(12)에서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쓰기가 실패한 경우나 교환제어기(11)와 시스템 관리기(12) 사이에 통신이 두절된 상황에 해당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중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실패시의 운용/관리 데이터 복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교환제어기(11)의 제어 데이터와 시스템 관리기(12)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이 정상적인 경우에 변경 실패로 표시되었던 제어 데이터를 교환제어기(11)에서 시스템 관리기(12)로 변경을 요구하여 이를 복구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중 교환제어기(11)에서 시스템 관리기(12)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실패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복구하는 과정은, 먼저 교환제어기(11)에서 시스템 관리기(12)와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분석한다(401).
분석결과, 시스템 관리기(12)와의 통신이 비정상으로 판정되면 다시 교환제어기(11)에서 시스템 관리기(12)와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분석하고(401), 정상으로 판정되면 변경 실패로 기록되어 있는 운용 및 관리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402).
검사결과, 변경 실패 운용 및 제어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교환제어기(11)에서 시스템 관리기(12)와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분석하고(401), 존재하면 시스템 관리기(12)에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요구한다(403). 이후에, 시스템 관리기(12)로부터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결과가 수신되면(404), 교환제어기(11)가 시스템 관리기(12)로부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결과를 판단한다(405).
판단결과, 변경 결과가 실패로 판정되면 교환제어기(11)에서 시스템 관리기(12)와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분석하고(401), 성공으로 판정되면 제어 데이터에 변경 실패로 기록된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변경 성공으로 수정한 후에(406) 시스템 관리기(12)와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분석한다(401).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교환제어용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분산 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범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교환 제어기의 프로세서 및 통신 프로토콜의 제한 없이 시스템 구조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통하여 교환 제어기의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실시간 특성과 정보 처리 특성의 소프트웨어가 혼합 동작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실시간 성능을 소프트웨어 구조상에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특성에 따른 구성 배치를 통하여 교환제어기와 시스템 관리기의 데이터를 일관되는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교환시스템에 적용되는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에서 실시간 기능을 교환제어기가 실행하고 실시간 특성이 적은 데이터 처리 기능을 시스템 관리기가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 데이터를 상기 교환제어기의 메모리에 위치시켜 실시간 처리를 진행하고, 정보 처리를 위한 입출력 위주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에 위치시켜 상기 교환시스템을 운용 관리하되,
    상기 교환제어기의 사건 발생에 따라, 상기 교환제어기가 제어 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에 반영하는 제 1 단계;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부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실패시에, 상기 교환제어기가 실패결과를 제어 데이터에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변경 실패 운용 및 관리 데이터가 존재하는 제어 데이터에 대해, 상기 교환제어기가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요구하여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복구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교환제어기에서 상기 교환제어기내의 자원의 상태 변경이나 과금과 호처리 통계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교환제어기가 내부의 메모리에 있는 제어 데이터를 변경하는 제 4 단계;
    상기 교환제어기가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상기 시스템 관리기에 요구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시스템 관리기가 상기 교환제어기로부터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요구를 수신하면,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변경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교환제어기가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결과를 상기 교환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상기 교환제어기가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부터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결과를 수신하면, 변경 결과를 분석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의 분석결과, 변경 결과가 실패이거나 응답을 받지 못하면, 변경된 제어 데이터에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이 실패하였음을 표시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교환제어기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기와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분석결과, 상기 시스템 관리기와의 통신이 비정상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 10 단계로 넘어가고, 정상으로 판정되면 변경 실패로 기록되어 있는 운용 및 관리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의 검사결과, 변경 실패 운용 및 제어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 10 단계로 넘어가고, 존재하면 시스템 관리기(12)에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요구하는 제 12 단계;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부터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교환제어기가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부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결과를 판단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제 13 단계의 판단결과, 변경 결과가 실패로 판정되면 상기 제 10 단계로 넘어가고, 성공으로 판정되면 제어 데이터에 변경 실패로 기록된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변경 성공으로 수정한 후에 상기 제 10 단계로 넘어가는 제 14 단계
    를 포함하는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5.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교환시스템에,
    상기 교환시스템에서 실시간 기능을 교환제어기가 실행하고 실시간 특성이 적은 데이터 처리 기능을 시스템 관리기가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 데이터를 상기 교환제어기의 메모리에 위치시켜 실시간 처리를 진행하고, 정보 처리를 위한 입출력 위주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에 위치시켜 상기 교환시스템을 운용 관리하되,
    상기 교환제어기의 사건 발생에 따라, 상기 교환제어기가 제어 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 관리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에 반영하는 제 1 기능;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부터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 실패시에, 상기 교환제어기가 실패결과를 제어 데이터에 표시하는 제 2 기능; 및
    변경 실패 운용 및 관리 데이터가 존재하는 제어 데이터에 대해, 상기 교환제어기가 상기 시스템 관리기로 운용 및 관리 데이터의 변경을 요구하여 운용 및 관리 데이터를 복구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52243A 1998-12-01 1998-12-01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KR10030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243A KR100304364B1 (ko) 1998-12-01 1998-12-01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243A KR100304364B1 (ko) 1998-12-01 1998-12-01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612A KR20000037612A (ko) 2000-07-05
KR100304364B1 true KR100304364B1 (ko) 2001-09-24

Family

ID=1956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243A KR100304364B1 (ko) 1998-12-01 1998-12-01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407B1 (ko) * 2000-10-18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설교환기의 시스템 증설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275A (ko) * 1992-07-02 1994-02-21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 운용자 명령어에 의한 실행모듈 변경 제어 및 이력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275A (ko) * 1992-07-02 1994-02-21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 운용자 명령어에 의한 실행모듈 변경 제어 및 이력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612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7250A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management subsystem in signalling message exchange No. 1 system
US5928328A (en) Computer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US7188149B2 (en) Storage operating data control system
US5600808A (en) Processing method by which continuous operation of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is obtained
US5583986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uplex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signalling message exchange no. 1 system
KR100304364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관리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KR100336499B1 (ko)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간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200300463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tate of external apparatus
KR10029905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 제어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JP3164147B2 (ja) 網管理装置の構成情報管理方式および管理対象装置
KR100298208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원격프로그램수행인터페이싱방법
KR100308903B1 (ko) 객체지향 기법을 이용한 교환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교환기 자원 설치 방법
JPH06250886A (ja) 計算機システムの遠隔監視方法及び遠隔計算機管理システム
KR100316841B1 (ko) 관리 대행자의 재실행방법 및 장치
KR100279559B1 (ko) Lan을 이용한 교환기 소프트웨어 전송방법
KR100298206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원격라이브러리호출인터페이싱방법
KR100856258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그룹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수집방법
KR100267858B1 (ko) 동작중인시스템의테스트를위한프로세서간통신소프트웨어의구현방법
KR100241335B1 (ko) 교환기 데이터베이스 백업 시스템의 스탠바이 로딩을 위한 디스크 데이터 백업 금지 처리방법
KR10025812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측 프로세서 테스트 방법
JPS6143354A (ja) ロギング処理方式
KR100293912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 텍스트 입출력 명령어 처리 방법
EP1265140A2 (en) Switching between a base-host and a back-up host in a distribu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KR20000037614A (ko) 교환시스템에서의 텍스트 형식 입력 명령어 처리 방법
KR20000028319A (ko)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시뮬레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