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800B1 - 온수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온수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800B1
KR0174800B1 KR1019960011531A KR19960011531A KR0174800B1 KR 0174800 B1 KR0174800 B1 KR 0174800B1 KR 1019960011531 A KR1019960011531 A KR 1019960011531A KR 19960011531 A KR19960011531 A KR 19960011531A KR 0174800 B1 KR0174800 B1 KR 0174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ank
water
storage tank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220A (ko
Inventor
유따까 다까하시
미쯔히로 오까자끼
다이헤이 하세가와
도시히사 이마이
아끼라 이노꾸마
히데또시 요시후꾸
쥰이찌 이나미
Original Assignee
기따오까 다까시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까와 히로아끼
미쯔비시덴끼홈끼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06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532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2143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600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283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71991A/ja
Application filed by 기따오까 다까시,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까와 히로아끼, 미쯔비시덴끼홈끼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따오까 다까시
Publication of KR97001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화장실에 설치해서 세정용의 온수를 분출하는 온수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미 설치된 변기에 대해서도 변기의 앉는부를 떼어내지 않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범용성이 우수하고, 전력소비를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탱크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고, 물로 가득차게 되어도 급수탱크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서브탱크를 구비하고, 온수저장탱크의 열이나 온수저장탱크등의 물의 누수로 인한 영향을 받는 일이 없는 프린트기판을 구비한 신뢰성이 높으며, 세정 기본체와 조합된 서브탱크에서 흘러 넘친 물을 세정수탱크로 되돌림과 동시에 흘러넘치고 있는 물을 외부에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도물이 급수되는 서브탱크, 서브탱크에서 급수된 물은 히터로 가열하는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의 온수를 노즐로 보내는 급수폄프등을 내장하고 변기본체의 근방에 설치되는 세정기본체 및 세정기본체에서 보내진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변기본체상에 탑재되는 노즐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설치함과 동시에 서브탱크와 세정기본체의 커버사이에 전기부품등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을 마련하고, 또 세정수탱크상에 뚫린 주급수구 및 분기구를 구비하고,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분배기를 갖고, 세정기본체의 급수구와 분배기의 분기구를 급수파이프로 연결함과 동시에 오버플로파이프의 한쪽끝을 세정기본체의 오버플로구멍에 연결하고, 다른쪽끝을 분배기의 근방에 배치하였다.
상기에 의해, 이미 설치된 변기에 대해서도 변기의 앉는부를 떼어내지 않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범용성이 우수하고, 전력소비를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탱크의 표면에 결로가 잘 생기지 않고, 보조탱크의 표면에 결로가 생겼다고 해도 트레이의 바닥을 적시는 등의 불합리가 발생하지 않고, 물로 가득차게 되어도 세정수탱크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온수저장탱크의 열이나 온수저장탱크등의 물의 누수로 인한 영향을 받는 일이 없는 프린트기판을 구비한 신뢰성이 높으며, 세정기본체에서 흘러 넘친 물을 세정수탱크로 되돌림과 동시에 흘러넘치고 있는 물을 외부에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온수세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를 변기에 세트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자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계통도.
제4도는 제3도의 블록도.
제5도는 제2도의 세정기본체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A-A단면도.
제7도는 세정기본체의 상면도.
제8도는 서브탱크의 다른 배치의 설명도.
제9도는 세정기본체에 설치되는 압력밸브의 일부 단면도.
제10도는 세정기본체에 마련한 노즐유닛을 부착하는 부착부의 사시도.
제11도는 노즐유닛의 사시도.
제12도는 노즐유닛에 마련한 노즐수용실의 배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하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중앙 단면도.
제15도는 노즐유닛의 한쪽끝에 마련한 연결부의 사시도.
제16도는 부착부와 연결부의 작용설명도.
제17도는 부착부와 연결부의 작용설명도.
제18도는 부착부와 연결부의 작용설명도.
제19도는 분배기의 종단면도.
제20도는 크린노즐의 작용설명도.
제21도는 둑판의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정기본체 5 : 단차부
6 : 오목부 7 : 배수저장실
15 : 온수저장탱크 17 : 온수저장실
18 : 온수공급실 21 : 둑판
23 : 물통과구멍 25 : 커버
28 : 히터 29 : 더머스탯
30 : 온도센서 31 : 플로트스위치
33 : 퓨즈 35 : 트레이
37 : 배수구 38 : 배수파이프
40 : 서브탱크 46 : 공기배출파이프
48 : 전원기판 49 : 조작기판
50 : 조작패널 60a, 60b : 급수펌프
62a, 62b : 압력밸브 65 : 노즐유닛의 부착부
70 : 노즐유닛 71 : 지지판
72 : 노즐수용실 73a, 73b : 앞면패널의 둥근부
74 : 크린노즐 80 : 유지실
83 : 연결부 86 : 밸런서
90 : 분배기 97 : 급수파이프
98 : 오버플로파이프 100 : 변기
101 : 변기본체 102 : 변기의 앉는부
본 발명은 화장실에 설치해서 세정용의 온수를 분출하는 온수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이미 설치된 변기에 설치해서 유효한 온수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설치된 온수세정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변기의 않는부를 떼어내고 노즐을 구비한 지지판(노즐을 별도로 마련한 것도 있다)을 변기본체에 고정한다. 그리고, 이 지지판의 한쪽끝을 히터, 급수펌프등을 갖고 변기본체의 근방에 설치된 세정기 본체의 측벽에 고정하고, 재차 변기의 앉는부를 변기본체에 부착해서 지지판을 양자 사이에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온수세정기에 있어서는 우선 세정기본체내에 세정수탱크(로우탱크)에서 급수해서 히터에 통전하고, 세정기본체내의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해둔다. 그리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정기본체에 마련한 버튼을 누르면 급수펌프가 작용하여 노즐로 온수를 보내서 분출한다(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56-40941호,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58-49267호,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61-33101호,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평성3-49176호,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성5-40090호).
또,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63-35085호나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평성3-51420호에는 수도의 수도꼭지에서 급수탱크로 급수하는 과정에 있어서 손을 씻고, 이 손을 씻은 물이 국소의 세정수로써 사용되므로 비위생적인 것을 감안해서 급수 탱크의 측벽에 오버플로부재를 거쳐서 급수보조탱크를 설치하고, 또 변기의 측부에 국부세정부를 마련하고,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착한 분기마개에 의해 급수탱크로 급수함과 동시에 그 일부를 급수보조탱크에 급수하고, 이 수돗물을 국소세정부로 급수하도록 한 인체의 국부세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보조탱크에서 흘러넘친 물은 오버플로부재에 마련한 오버플로구멍에서 급수탱크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평성4-21907호에는 온수탱크에 근접해서 제어유닛(제어회로기판)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작부케이싱의 이면에 제어회로기판과 코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각 스위치 및 수세조정손잡이의 회로기판을 고정한 위생세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미 설치된 변기에 온수세정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의 앉는부를 착탈하거나 지지판을 변기본체에 고정하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공사하는 사람에게 의뢰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공사가 번거롭고 게다가 불결한 작업이므로 고액의 공사비가 필요하다.
또, 보조탱크를 설치하는 구조의 것에서는 보조탱크의 물을 따뜻하게 하는 조치는 특별히 강구되어 있지 않아 보조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세정기본체내에서 히터로 데우는데 시간이 걸려 전력소비량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세정수탱크의 측부에 설치된 보조탱크에 차가운 물이 공급되면 보조탱크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63-35085호에는 보조탱크의 내부에 원통형상의 이슬방지시트를 삽입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도 보조탱크표면의 결로를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고 결로가 발생할 경우의 이슬의 처리에 대해서는 어떤 조치도 강구되어 있지 않아 트레이의 바닥을 적시는 문제가 있었다.
이미 설치된 변기에 온수세정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의 앉는부를 착탈하거나 지지판을 변기본체에 고정하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공사하는 사람에게 의뢰해야만 하지만 공사가 번거롭고 게다가 불결한 작업이므로 고액의 공사비가 필요하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63-35085호나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평성3-51420호에 기재된 고안은 손을 씻은 물을 세정수로써 사용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지만, 급수보조탱크를 급수탱크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급수보조탱크가 물로 가득차게 되었을때에는 급수탱크에 큰 부하가 걸려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평성4-21907호에 기재된 고안은 온수탱크에 근접해서 제어회로기판과 조작회로기판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온수탱크의 열에 의해 이들 회로기판에 탑재된 전기부품의 특성이 변동할 염려가 있고, 또 어떤 이유에 의해 온수탱크나 그 접속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전기부품등에 녹이 발생하거나 회로패턴이 단락하는 경우도 있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63-35085호에 기재된 고안은 손을 씻은 물을 세정수로써 사용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기는 하지만 급수보조탱크를 급수탱크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급수보조탱크가 물로 가득차게 되었을때 급수탱크에 큰 부하가 걸려 바람직하지 않다.
또, 급수보조탱크가 흘러넘칠때에는 급수탱크에 걸린 오버플로부재에 마련한 오버플로구멍을 거쳐서 직접 급수탱크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으므로 분기마개에서 급수탱크로 급수되는 물의 양이 적고, 또 외부에서는 흘러넘치고 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이미 설치된 변기에 대해서도 변기의 앉는부를 떼어내지 않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범용성이 우수한 온수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소비를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탱크의 표면에 결로가 잘 발생하지 않는 온수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탱크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했다고 해도 트레이의 바닥을 적시는 등의 불합리가 발생하지 않는 온수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로 가득차게 되어도 세정수탱크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서브탱크를 구비한 온수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저장탱크의 열이나 온수저장탱크등의 누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프린트기판을 구비한 신뢰성이 높은 온수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기본체에서 흘러넘친 물을 세정수탱크로 되돌림과 동시에 흘러넘치고 있는 물을 외부에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온수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는 물이 급수되는 서브탱크, 상기 서브탱크에서 급수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는 온수저장탱크 및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온수를 노즐로 보내는 급수펌프등을 내장하고, 변기본체의 근방에 설치되는 세정기본체 및 상기 세정기본체에서 보내진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변기본체상에 탑재되는 노즐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탱크를 상기 오수저장탱크의 근방에 배치한 것이다.
(2) 또, 서브탱크와 온수저장탱크를 세정기본체내의 동일 실에 배치한 것이다.
(3) 또, 서브탱크를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배치한 것이다.
(4) 또, 상기 (1)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탱크의 근방에 상기 온수저장탱크와 상기 급수펌프를 배치한 것이다.
(5) 또, 상기 (1)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수저장탱크와 상기 급수펌프를 병설하고, 상기 병설된 온수저장탱크와 급수펌프의 위쪽에 상기 서브탱크를 배치한 것이다.
(6) 또, 상기 (1)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탱크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배치하고, 상기 서브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사이에 상기 서브탱크에서 결로한 물방울을 받는 접시를 마련한 것이다.
(7) 또, 상기 (6)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서브탱크와 온수저장탱크를 접시를 관통해서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접시를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기 접시의 높은 부분측으로 상기 서브탱크와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접속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접시의 낮은 부측으로 배수구를 마련한 것이다.
(8) 또, 상기 (6)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배수저장실을 세정기본체의 바깥쪽에 마련한 것이다.
(9) 또, 상기 (6)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서브탱크의 상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10)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는 물이 급수되는 서브탱크, 이 서브탱크에서 급수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는 온수저장탱크 및 온수저장탱크의 온수를 노즐로 공급하는 급수펌프등을 내장한 세정기본체 및 세정기본체에서 보내진 온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노즐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서브탱크를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서브탱크와 세정기본체의 커버사이에 전기부품등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을 배치한 것이다.
(11) 또, 상기 (10)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서브탱크를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12)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는 공급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는 온수저장탱크 및 온수저장탱크의 온수를 노즐로 보내는 급수펌프등을 내장하고, 변기본체의 근방에 설치되는 세정기본체, 이 세정기본체에서 보내진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변기본체상에 탑재되는 노즐유닛 및 세정수탱크상에 뚫린 주급수구 및 분기구를 구비하고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분배기를 갖고, 세정기본체의 급수구와 분배기의 분기구를 급수파이프로 연결함과 동시에 오버플로파이프의 한쪽끝을 세정기본체의 오버플로구멍에 접속하고, 다른쪽끝은 분배기의 근방에 배치한 것이다.
(13) 또, 상기 (12)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오버플로탱크의 다른쪽끝을 분배기에 부착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를 이미 설치된 변기 (100)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101)은 변기본체, (102)는 변기의 앉는부, (103)은 커버, (104)는 세정수탱크(로우탱크)이다. (1)은 변기본체(101)의 근방에 설치된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의 세정기본체로써, 세정수탱크(104)에 급수하는 수도꼭지(105) 사이에는 급수파이프(97)이 연결되어 있다. (98)은 한쪽끝이 세정기본체(1)에 연결되고, 다른쪽끝이 수도꼭지(105)의 근방에 뚫린 오버플로파이프, (70)은 세정기본체(1)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변기본체(101)의 뒷부측(세정수탱크(104)측)에 있어서 변기의 앉는부(102) 사이에 세트된 노즐유닛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계통도, 제4도는 제3도의 블럭도, 제5도는 세정기본체(1)의 실시형태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제2도∼제5도에 따라서 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세정기본체(1)은 편평한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본체(2), 베이스대(3) 및 커버(4)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본체(2)는 상하가 뚫리고 뒷벽면(제도의 좌측)의 위쪽으로 돌출한 볼록부에 의해 손잡이부인 단차부(5)가 형성되어 있고, 앞벽면(제5도의 우측)은 완만하게 뒤쪽으로 경사져서 하부로 됨에 따라서 후퇴하고,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6)은 앞벽면의 단차부(5)와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한 손잡이부인 오목부, (7)은 앞벽면의 하단부에 마련한 배수저장실이다. 이 배수저장실(7)을 착탈이 자유롭게 마련해도 좋고, 이렇게 하면 배수저장실(7)에 모인 물을 버리는데 편리하다.
케이스본체(2)의 하단부에는 베이스대(3)이 고정되어 개구부가 막혀져 있고, 이 베이스대(3)의 하면에는 다리(8)이 부착되고,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구멍(9)가 또 상면의 앞부 근방에는 원통형상의 펌프지지부(10a), (10b)가 마련되어 있다. (11)은 펌프지지부(10a), (10b)의 바닥부에 마련한 통기구멍, (12)는 상면에 마련된 후술하는 온수저장탱크의 지지대이다.
(15)는 케이스본체(2)내에 설치된 온수저정탱크로써, 온수저장실(17)과 그 상부가 앞부측으로 돌출된(도면에는 앞부측으로 돌출한 경우를 도시) 온수공급실(18)로 이루어지는 대략 역L자형상의 탱크본체(16) 및 상면판인 커버(25)로 이루어지고, 탱크본체(16)의 온수저장실(17)의 바닥부에는 베이스대(3)에 마련한 관통구멍(9)에서 돌출한 물배출구(19)가 마련되어 있고, 온수공급실(18)에는 펌프의 흡입구(20a), (20b)가 마련되어 있다.
(21)은 온수저장실(17)과 온수공급실(18)의 경계부근방에 마련된 둑판이다.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A-A단면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둑판(21)의 하부에는 물통과구멍(23)이 마련되어 있다. 또, 둑판(21)의 상단과 커버(25)사이에는 물통과로(2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둑판(21)은 열전도가 양호한 재료, 예를들면, 동, 알루미늄등을 사용해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열전도가 양호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저장실(17)측의 온수의 열이 둑판(21)을 거쳐서 온수공급실(18)측의 온수로 전달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서, 온수공급실(18)측의 온수의 온도를 효율 좋게 상승시킬 수 있다.
탱크본체(16)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25)는 온수저장실(17)측이 낮고 온수공급실(18)측이 높게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도면에는 계단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도시). 또, 이 경사 또는 계단은 커버(25)의 일부(예를들면 폭방향의 중앙부의 전후방향)에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온수저장실(17)측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서브탱크의 급수관이 접속되는 연결부(26)이 마련되어 있고, 하면에는 이 연결부(26)과 연통해서 동심적으로 형성되고, 탱크본체(16)의 온수저장실(17)내에 삽입되는 급수관(27)이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25)를 온수저장실(17)측이 낮고 온수공급실(18)측을 높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온수저장실(17)의 수량을 적게 해서 후술하는 히터(28)에 의한 물의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 온수공급실(18)측에 충분한 온수를 저장하는 것에 의해 급수펌프에서 노즐로 보내는 온수에 여유를 갖게할 수 있다.
또, 커버(25)는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상, 불등변, 삼각형상등의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그 가장 높은 곳 근방에 공기배출구멍(32)를 마련해도 좋다.
(28)은 급수관(27)에 근접해서 커버(25)에 부착되고, 온수저장실(17)내에 마련된 히터, (29), (30)은 온수저장실(17)의 위쪽에 있어서 커버(25)에 부착된 더모스탯 및 온도센서이다. (32)는 커버(25)의 가장 높은 곳 근방에 마련된 공가배출구멍으로써, 후술하는 공기배출파이프(46)이 접속된다. (31)은 온수공급실(18)의 위쪽에 있어서 공기배출구멍(32)의 근방에 마련되어 커버(25)에 부착된 프로트스위치, (33)은 히터(28)에 근접해서 커버(25)에 마련된 온도퓨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히터(28), 더모스탯(29), 온도센서(30), 플로트스위치(31) 및 온도퓨즈(33) 등의 전기부품을 커버(25)에 부착했으므로 배선이 용이하고, 또 이들 전기부품을 세트한 커버(25)를 패킹을 거쳐서 탱크본체(16)의 개구부에 부착되면 좋으므로 조립 및 배선처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후술하는 전원기판(48)에서 히터(28), 급수펌프(60a), (60b)등에는 통전선이, 또 조작기판(49)에서 더모스탯(29), 온도센서(30), 플로트스위치(31) 등에는 신호선이 각각 배선되어 있다.
온도센서(30)은 온수저장실(17)내의 온수의 온도를 항상 측정하고 있고,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를들면 42℃)를 넘으면 후술하는 조작기판에 마련한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서 히터(28)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온수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되면 재차 통전해서 온수의 온도를 대략 소정온도로 유지한다.
더모스탯(29)는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넘어도 어떤 이유에 의해서 히터(28)로의 통전이 정지하지 않고 온수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고 있는 온도(예를들면 50℃)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작동해서 히터(28)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온도퓨즈(33)은 온수의 온도가 더욱 상승해도 더모스탯(29)가 작동하지 않고 더욱 상승해서 어떤 온도(예를들면 70℃)에 도달하면 히터(28)로의 통전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온수저장실(17)내의 온도에 따라 온도센서(30), 더모스탯(29) 및 온도퓨즈(33)의 3단계의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안전을 기하고 있다.
또, 플로트스위치(31)은 온수저장탱크(15)내의 물의 수위를 항상 감시하고 있고, 수위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때(ON상태)에는 후술하는 급수펌프로의 통전을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수위가 하강해서 플로트스위치(31)이 하한에 도달하면(OFF상태)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어 급수펌프로의 통전을 불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물없음 표시기에 표시한다. 또, 더모스탯(29)는 온수저장탱크(15)내의 수위가 저하해서 플로트스위치(31)이 OFF해도 그 일부가 여전히 물속에 있는 높이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세정기본체(1)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등의 상태에 있어도 수위의 변동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둑판(21)의 높이는 플로트스위치(31)이 하한에 도달했을때의 수면위치보다 낮게 설정해둔다. 즉, 급수펌프 가동중에는 둑판(21)의 상단부가 항상 수몰되어 있도록 설정해두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저장실(17)의 온수가 온수공급실(18)측으로 항상 공급되어 효율이 좋은 온수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35)는 온수저장탱크(15)상에 설치된 트레이로써, 후술하는 서브탱크(4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한 경우에 그 이슬을 받는 것이다. 트레이(35)의 둘레벽의 상단부는 비스듬하게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후술하는 서브탱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그 뒷부측에는 후술하는 서브탱크의 급수관(42)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멍(36)이 마련되어 있다. 또, 관통구멍(36)은 급수관(42)를 삽입통과했을때 수밀상태로 되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37)은 트레이(35)의 앞부측에 마련된 배수구로써, 배수구(37)에는 배수파이프(38)의 상단이 접속되고, 배수파이프(38)의 하단부는 탱크본체(2)의 앞벽면에 마련한 개구부(2a)에 부착되고, 배수저장실(7)을 향하고 있다. 또, 도면에는 트레이(35)를 대략 수평하게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앞부측을 낮게 경사지게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급수관(42)와 관통구멍(36)의 접합부로 부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트레이(35)에 모인 물을 배수구, 배수파이프(38)을 거쳐서 배수저장실(7)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40)은 트레이(35)내에 수용된 서브탱크로써, 뒷부측에는 위쪽으로 돌출한 돌출부(41)이 마련되어 있고, 돌출부(41)의 아래쪽에는 트레이(35)의 개구부(36)에 삽입통과되고, 0링과 같은 실재를 거쳐서 온수저장탱크(15)의 연결부(26)에 연결되는 급수관(42)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돌출부(41)에는 급수파이프(97)이 접속되는 급수구(43), 오버플로파이프(98)이 접속되는 오버플로구멍(44) 및 공기배출파이프(46)의 접속구(45)가 마련되어 있고, 이 공기배출파이프(46)의 다른쪽끝은 온수저장탱크(15)의 커버(25)에 마련한 접속구(32)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서브탱크(40)이 온수저장탱크(15)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온수저장탱크(15)의 열이 서브탱크(40)으로 전달되기 쉽고, 더나아가서는 서브탱크(40)내의 물의 온도를 높이는 것으로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브탱크(40)과 온수저장탱크(15)가 케이스본체(2)내의 동일 실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열의 대류에 의해서 온수저장탱크(15)에서 서브탱크(40)으로의 열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이것은 겨울철에 있어서의 서브탱크(40)내의 물의 동결방지로 되고, 또 온수저장탱크(15)에 있어서의 히터에 의한 소비전력의 저하에 이바지하는 것으로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브탱크(40)의 상면은 평면형상의 것을 설명했으나, 이것을 경사면형상, 예를 들면 원호형상(퀀셋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서브탱크(40)의 상면에서 결로한 물방울이 떨어지기 쉽고 트레이(35), 배수파이프(38)을 통해서 바로 배수저장실(7)로 배출된다. 따라서, 케이스본체(2)내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후술하는 전원기판(48)등의 전기부품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8)은 전기부품등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으로써, 예를들면, 전원회로등이 마련된 전원기판(48)과 제어회로등이 마련된 조작기판(49)로 이루어지고, 서브탱크(40)과 커버(4)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본체(2)의 상단 개구부를 막는 커버(4)의 하면에는 조작기판(49)가 부착되어 있고, 상면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패널(5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패널(50)에는 조작기판(49)와 연동해서 후술하는 엉덩이용 및 비데용 노즐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버튼(51), (52), 물의 분사를 정지하는 버튼(53), 수세조정용(54), 수온조정용 버튼(55), 탈취용 버튼(56)이 마련되어 있다. (57)은 전환밸브(64)를 전환하는 전환스위치(580 (제2도)을 조작하는 크린버튼이다.
(60a), (60b)는 후술하는 엉덩이용 노즐, 비데용 노즐 및 크린노즐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로써(단, 크린노즐은 어떤 급수펌프가 겸용) 온수저장탱크(15)의 온수저장실(17)과 온수공급실(18)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부에 있어서 그 흡입구가 온수공급실(18)에 마련한 온수급수구(20a), (20b)에 실재를 거쳐서 결합되어 아래로 매달려(공중에 매달림) 있다. 그리고,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의 하부는 펌프지지부(10a), (10b)내에 위치하고, 모터의 하단부와 펌프지지부(10a), (10b)의 바닥판(바닥판(3)) 사이에는 예를들면 스프링과 같은 진동흡수용의 탄성부재(61a), (61b)가 장착되어 있다. 또, 이 급수펌프(60a), (60b)는 온수급수구(20a), (20b)에서 후술하는 압력밸브까지 항상 온수저장탱크(15)내의 온수가 연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급수펌프(60a), (60b)는 온수저장실(17)과 온수공급실(18)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있고, 서브탱크(4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급수펌프(60a), (60b)의 가동에 의해서 발생한 열이 서브탱크(40)에 전달되기 쉬워 서브탱크(40)내의 수온의 상승에 이바지 하게 된다. 그 결과, 상술한 서브탱크(40)내의 물의 동결방지, 전력소비량의 저하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수펌프(60a), (60b)와 온수저장탱크(15)가 함께 서브탱크(4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예를들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탱크(40)의 양측에 온수저장탱크(15)와 급수펌프(60a), (60b)를 배치하고, 서브탱크(40)을 온수저장탱크(15)와 급수펌프(60a), (60b) 사이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온수저장탱크(15)와 급수펌프(60a), (60b)의 열이 서브탱크(40)의 양측에서 서브탱크(40)으로 전달되어 효과적이다.
또, 양 급수펌프(60a), (60b)의 배출구에는 압력밸브(62a), (62b)가 장착되어 있고, 이 압력밸브(62a), (62b)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접속구에는 급수펌프(60a), (60b)의 배출구가 접속되고, 상부 접속구와의 사이에는 스프링(63a)에 의해서 원추형상의 밸브시트(63b)에 압착된 밸브체(63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압력밸브(예를들면 (62a))의 상부접속구는 전환밸브(64)를 거쳐서 세정기본체(1)의 측벽에 마련한 접속부(69)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압력밸브(62b)의 상부접속구는 접속부(69)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펌프(60a), (60b)에서 압송된 온수는 밸브체(63)을 밀어올리고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만약 급수펌프(60a), (60b)에 급수파이프(97) 및 오버플로파이프(98)로부터의 헤드압이 가해져도 후술하는 엉덩이용 노즐, 비데용 노즐 및 크린노즐에서 온수가 누수하는 일은 없다.
또, 변기본체(101)을 청소할때에는 노즐유닛(70)을 변기본체(101)에서 떼어내고 트레이의 바닥면에 배치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 경우에도 노즐유닛(70)에 부착된 각 노즐에서 온수가 누수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스프링(63a)의 밸브체(63c)를 압압하는 힘은 수도꼭지(105)와 트레이의 바닥면의 헤드에 상당하도록 설정해둔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원기판(48)에서 히터(28), 급수펌프(60a), (60b) 등에는 통전선이, 또 조작기판(49)에서 더모스탯(29), 온도센서(30), 플로트스위치(31) 등에는 신호선이 각각 배선되어 있다.
(65)는 세정기본체(1)에 마련한 노즐유닛(70)의 부착부로써, 제2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의 변기본체(101)측의 측벽상부의 앞뒤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한 부착부(65a)와 커버(4)의 이 부착부(65a)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한 부착부(65b)로 이루어져 있다. 이 부착부(65)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다리부와 그 선단부의 상하방향에 마련된 원주부에 의해 평면매치봉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66a)와 그 양측에 마련된 평면이 대략 정삼각형상의 상하 방향으로 긴 삼각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67a), (67b)와 유지부(67a), (67b)의 바깥쪽에 마련된 걸림부(66a)와 동일한 구조의 걸림부(66a), (66c)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부착부(65)를 케이스본체(2)와 커버(4)에 각각 연속하도록 마련한 경우를 기술했지만, 케이스본체(2) 또는 커버(4)중 어느 한쪽에만 마련해도 좋다. 또, 걸림부(66a), (66b) 및 유지부(67a)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와 걸림부(66a), (66c) 및 유지부(67b)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에 의해 앞뒤방향으로 2조의 부착부(65) (단, 걸림부(66a)는 양자 겸용)를 병설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부착부(65)는 1조라도 좋고 또는 3조이상 병설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세정기본체(1)은 뒷면부와 앞면부에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단차부(5)와 오목부(6)을 마련했으므로, 세정기본체(1)의 설치위치의 조정이 용이하고, 또 앞면부의 하부를 오목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서서 용변을 볼 때 다리의 발끝이 닿는 일이 없다.
또, 온수저장탱크(15)의 온수저장실(17)을 뒷부측에 마련하고, 급수펌프(60a), (60b)를 앞부측에 마련함과 동시에 온수저장실(17)과 급수펌프(60a), (60b) 상에 이들에 걸쳐서 서브탱크(40)을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져 있어 잘 넘어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70)은 노즐유닛으로써, 제2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큰 반경의 원호부에 의해 뒤쪽으로 만곡한 지지판(71), 그 대략 중앙부의 앞부측에 아래로 늘어드린 노즐수용실(72), 세정기본체(1)측에 마련되고 세정기본체(1)의 부착부(65)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연결부(82)를 구비한 유지실(80) 및 다른쪽 끝에 마련된 밸런서(86)으로 이루어져 있다.
노즐수용소(72)를 제12도∼제14도에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12도, 제13도는 각각 노즐수용실의 배면도, 그 하면도, 그 중앙 단면도이다. 이 노즐수용실(72)는 하부와 뒷면이 뚫린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노즐수용실(72)의 앞면에 마련된 앞면패널(73)은 폭방향의 중앙부가 낮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측면 끝부(73a), (73b)에는 둥근부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크린노즐(74)에서 분출하는 세정수가 주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앞면패널(73)의 중앙부 위쪽에 마련한 구멍에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끝부가 막히고 이것에 이어지는 하면의 대략180。의 범위에 노즐구멍(75)가 마련된 크린노즐(74)가 노출되어 있고, 노즐구멍(75)의 뒷부는 앞면패널(73)의 앞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76a), (76b)는 크린노즐(74)의 양측에 마련된 노즐가이드로써, 아래쪽의 앞면측에 소정의 가도로 노즐구멍이 마련된 엉덩이용 노즐(77a) 및 비데용 노즐(77b)가 상하로 슬라이드가 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양 노즐(77a), (77b)는 노즐가이드(76a), (76b)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항상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사용을 위해 온수가 급수되어 수압이 가해지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해서 노즐구멍에서 물을 분출한다. (78a), (78b), (78c)는 노즐(74) 및 노즐가이드(76a), (76b)에 접속된 급수파이프로써, 지지판(71)의 하면에 마련되고, 연결부(80)을 거쳐서 세정기본체(1)의 접속부(69)에 접속된다.
지지판(71)의 세정기본체(1)측에는 제11도,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및 뒷면이 뚫리고 지지판(71)에서 90。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박스형상의 유지실(80)이 마련되어 있고, 그 하부 개구부에는 예를들면 합성수지제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81)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81)의 세정기본체(1)측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선단부에 아래로 늘어뜨린 원주부를 갖고, 소정의 간극W2를 두고 돌출된 2개의 암부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부(83)이 마련되어 있고, 또 그 양측에는 연결부재(81)의 끝부에는 아래로 늘어뜨린 지지기둥의 하단부 양측의 선단부에 아래쪽으로 늘어뜨린 원주부를 갖는 각각 원호형상의 암부가 마련한 걸어맞춤부(84a), (84b)로 이루어지는 연결부(8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양 걸어맞춤부(84a), (84b)의 원주부사이의 간극은 W3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의 끼워맞춤부(83)의 원주부사이의 간극W2는 세정기본체(1)에 마련한 부착부(65)의 유지부(67a), (67b)의 베이스부의 폭W1보다 좁고, 또 걸어맞춤부(84a), (84b)의 원주부사이의 간극W3은 부착부(65)의 결림부(66a)∼(66c)의 원주부의 바깥직경d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85)는 유지실(80)내에 마련되어 있고, 세정기본제(1)의 접속부(69)에 접속된 급수파이프와 각 노즐(74), (77a), (77b)에 접속된 급수파이프(78a)∼(78c)의 접속부이다.
(86)은 지지판(71)의 좌우의 균형을 취함과 동시에 지지판(70)이 변기본체(10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런서로써, 제11도에는 지지판(71)의 다른쪽끝에 마련된 커버체(87)과 커버체(87)의 하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박스체(88)에 의해 기능부품등의 수납부에 의해서 구성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박스체(88)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탈취제, 팬모터, 히터, 화장실용 휴지등이 적절히 수용되고, 지지판(71)의 좌우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수납부(86)에 팬모터, 히터가 수용되었을 때에는 지지판(70)의 하면을 따라서 전원선이 배치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노즐유닛(70)의 세정기본체(1)로의 부착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지지판(71)에 마련한 연결부(82)를 세정기본체(1)의 부착부(65)의 위쪽에 위치시키고,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82)의 걸어맞춤부(84a), (84b)의 원주부를 부착부(65)의 걸림부(66z), (66b)의 원주부와 세정기본체(1)의 측벽사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걸어맞춤부(83)의 암부를 부착부(65)의 가이드부(67a)의 양측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지지판(71) 의 유지실(80)을 누르면 노즐유닛(70)은 세정기본체(1)에 연결된다.
또,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82)를 부착부(65)에 대향시키고 지지판(71)을 세정기본체(1)과 직교시켜서 유지하고, 연결부(82)의 걸어맞춤부(84a), (84b)의 원주부를 부착부(65a)의 걸림부(66a), (66b)의 원주부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끼워맞춤부(83)의 암부를 가이드부(67a)와 대향시키고, 이 상태에서 지지판(71)을 세정기본체(1)측으로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부(84a), (84b)는 탄성변형해서 그 간극W3을 두고 전진하고, 걸림부(66a), (66b)의 원주부를 통과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제16도의 상태로 되어 노즐유닛(70)은 세정기본체(1)에 연결된다.
노즐유닛(70)을 세정기본체(1)에서 떼어내는 경우는 장착시와 반대로 노즐유닛(70)의 연결부(82)를 세정기본체(1)의 부착부(65)를 따라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던가 또는 노즐유닛(70)을 바로 앞으로 강하게 끌어당기면 좋고, 이와 같이 노즐유닛(70)에 상하방향 또는 바로 앞으로 소정의 부하를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노즐유닛(70)을 세정기본체(1)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세정기본체(1)과 노즐유닛(70)의 연결수단에 있어서, 가령 변기본체(101)의 상면이 높은(또는 낮은)경우에는 노즐유닛(70)의 연결부(82)를 세정기본체(1)의 부착부(65)를 따라서 위쪽(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위치조정을 실행하면 좋다.
또, 변기본체(101)와 세정기본체(1)의 앞뒤의 상대위치가 어긋나 있으므로 노즐유닛(70)을 변기본체(101)의 뒷부측의 소정의 위치에 세트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노즐유닛(70)의 연결부(82)를 세정기본체(1)의 가이드부(67a)와 걸림부(66a), (66b)로 이루어지는 부착부 또는 가이드부(67a)와 결림부(66a), (66b)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중 어느것인가를 선택해서 장착하면 노즐유닛(70)의 앞뒤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연결부(82)는 탄성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유닛(70)의 다른쪽끝을 연결부(82)를 지점으로 해서 앞뒤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노즐유닛(70)을 평면에 대해서 비틀어도 연결부(82)가 부착부(65)에서 빠지거나 파손될 염려가 없다. 그러나, 노즐유닛(70)에 가해지는 앞뒤방향 또는 비틀림이 소정의 부하로 되면 노즐유닛(70)은 세정기본체(1)에서 이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세정기본체(1)와 노즐유닛(70)의 연결수단은 착탈이나 위치조정이 용이하고, 게다가 노즐유닛(70)을 연결부(82)를 지점으로 해서 앞뒤로 이동시키거나 비틀거나 해도 즉시 연결부(82)가 빠지거나 파손되는 일도 없으므로 노즐유닛(70)을 포함하는 변기의 청소가 용이하다.
제1도에 있어서, (90)은 수도의 수도꼭지(105)에 부착된 분배기로써,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방향으로 주급수구(92)와 분기구(93)을 갖는 분배기본체(19)이 실부재(95)를 거쳐서 박스넛(96)에 의해 수도꼭지(105)에 부착되어 있다. 또, (94)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둑이다. 주급수구(92)는 세정수탱크(104)상에 뚫리고, 분기구(93)에는 한쪽끝이 세정기본체(1)의 급수구(43)에 접속된 급수파이프(97)의 다른쪽끝이 접속되어 있고, 한쪽끝이 세정기본체(1)의 오버플로구멍(44)에 접속되고, 급수파이프(97)과 일체적으로 결합된 오버플로파이프(98)의 다른쪽끝은 주급수구(92)의 근방에 뚫려 있다.
또, 오버플로파이프의 다른쪽끝은 분배기(90)에 부착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의 설치순서 및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세정기본체(1)의 단차부(5)와 오목부(6)에 손을 걸고 세정기본체(1)을 화장실내로 반입하여 변기본체(101)의 근방(우측 또는 좌측)에 설치한다.
계속해서, 변기의 앉는부(102)를 열고 변기본체(1)의 상면을 개방하고, 노즐유닛(70)의 연결부(82)를 세정기본체(1)의 부착부(65)에 끼워맞춰서 부착하고, 상하, 앞뒤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유닛(70)을 변기본체(101)의 가장 뒷부상에 세트하고, 변기의 앉는부(102)를 닫는다. 이때, 노즐수용실(72)는 변기본체(1)내의 뒤쪽에서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밸런서(86)은 세정기본체(1)의 반대측에 있어서 변기본체(101)의 상단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좌우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세정기본체(1)의 커버(4)에서 돌출한 서브탱크(41)의 접속구(43), (44)에 급수파이프(97) 및 오버플로파이프(98)의 한쪽끝을 접속하고, 급수파이프(97)의 다른쪽끝을 수도꼭지(105)에 부착한 분배기(90)의 분기구(93)에 접속한다. 이때, 급수파이프(97)과 일체화된 오버플로파이프(98)의 다른쪽끝은 분배기(90)의 주급수구(92)의 근방에 뚫는다. 이것에 의해, 온수세정장치의 설치가 완료한다.
또, 도면에는 세정기본체(1)을 변기본체(101)의 좌측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했지만, 우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세정기본체(1)의 부착부(65) 및 노즐유닛(70)의 연결부(82)가 도면과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
또, 필요에 따라서 부착부(65)를 세정기본체(1)의 좌우 양측벽에 마련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해서 설치된 온수세정장치는 온수저장탱크(15), 급수펌프(60a), (60b) 및 서브탱크(40)이 세정기본체(1)내에 균형 좋게 마련되어 있고, 또 노즐유닛(70)이 세정기본체(1)의 앞뒤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유닛(70)의 다른쪽끝에는 밸런서(86)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 이 밸런서(86)은 변기본체(101)의 상단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매우 균형이 좋아 세정기본체(1)이 넘어질 우려가 없다.
이 상태에서 밸브(106)을 열어 세정수탱크(104)에 급수한다. 이때, 수도꼭지(105)에서 나온 물은 주급수구(92)에서 세정수탱크(104)에 급수되지만 그 일부는 둑(94)에 의해 방향을 바꿔서 분기구(93)에서 급수파이프(97)로 유입하고, 서브탱크(40)을 거쳐서 급수구(42), 접속구(26) 및 급수관(27)에서 온수저장탱크(15)에 급수된다. 그리고, 온수저장탱크(15)가 물로 가득차게 되면 계속해서 서브탱크(40)에 급수되고, 서브탱크(40)이 물로 가득차게 되면 흘러넘친 물은 오버플로구멍(44), 오버플로파이프(98)을 거쳐서 그 개구부에서 세정수탱크(104)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분배기(90)의 주급수구(92)에서 급수탱크(104)에 급수되는 물의 양, 따라서 수세용의 물이 증가하고, 또 분배기(90)의 주급수구(92)로 부터의 수류에 오버플로파이프(98)로 부터의 배출된 물이 가해지므로 흐르는 물의 형상이 변화하므로 서브탱크(40)에서 흘러넘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이때, 서브탱크(40)이 물로 가득차게 되어도 서브탱크(40)은 세정기본체(1)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세정수탱크(104)에는 전혀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온수저장탱크(15) 및 서브탱크(40)으로의 급수가 종료했을때에는 전원코드(99) (제2도)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해서 전원기판(48) 및 조작기판(49)에 급전하고, 또 전원기판(48)을 거쳐서 히터(28)에 통전한다. 또, 이때, 플로트스위치(31)은 상한위치에 있고 양 급전펌프(60a), (60b)는 작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히터(28)로의 통전에 의해 온수저장실(17)내의 물이 가열되고, 가열된 온수는 둑판(21)과 커버(25)사이의 물통과로(22)를 통해서 온수공급실(18)에 도달한다. 즉, 온수공급실(18)측으로 히터(28)에 의해 따뜻하게 된 온수가 효율 좋게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온수공급실(18)의 하부에 있는 차거운 물은 둑판(21)의 물통과 구멍(23)을 통해서 온수저장실(17)로 유입되어 가열된다. 이와 같이 해서 탱크본체(16)내의 물은 순환하여 온도센서(30)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제어되고 대략 소정의 온도(예를들면 42℃)로 유지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탱크(40)은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뒷부측에 돌출부(4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서브탱크(40)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이 돌출부(41)에 급수파이프(97)의 접속구(43), 오버플로파이프(98)의 접속구(44) 및 공기배출파이프(46)의 접속구(45)을 통합해서 마련했으므로 취급이 편리하다.
또, 서브탱크(40)을 온수저장탱크(15)의 위쪽에 설치하고, 서브탱크(40)과 커버(4)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전원기판(48), 조작기판(49)와 같은 전기부품이 탑재된 프린트기판(47)을 마련했으므로 공간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온수저장탱크(15)의 열은 물이 들어간 서브탱크(40)에 의해서 차단되므로 프린트기판(47) 및 이것에 탑재된 전기부품의 열의 영향을 받을 염려는 없다.
또, 프린트기판(47)은 세정기본체(1)내의 가장 상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령 서브탱크(40)이나 저장탱크(15)등에 누수가 발생해도 프린트기판(47)이나 이것에 탑재된 전기부품등에 물이 들어갈 염려가 없다.
이 때문에 프린트기판(47)이나 여기에 탑재된 전기부품의 특성이 변동하거나 녹에 의한 접촉불량이 생기거나 회로패턴이 단락할 염려가 없다.
이 동안 히터(28)의 주위에는 기포가 발생하지만 이 기포는 온수저장실(17)내를 상승한 후 커버(25)의 하면을 따라서 온수공급실(18) 방향으로 이동하고, 접속구(32)에서 공기배출파이프(46)을 통해서 서브탱크(40)의 돌출부(41)에 도달하고 오버플로파이프(98)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커버(25)는 앞부측이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승한 기포는 커버(25)의 하면을 따라서 앞부측으로 이동하고, 가장 높은 곳에 마련한 공기배출구멍(32)에서 대량의 기포를 효율 좋게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급수펌프(60a), (60b)에 기포가 침입해서 문제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
또, 다량의 기포가 이동할때, 공기배출구멍(32)의 근방에 마련한 플로트스위치(31)에 충돌해서 미소진동을 발행시키므로 플로트스위치(31)이 물리적인 동작불량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또, 온수저장탱크(15)내의 수온의 상승 또는 실온의 상승에 의해 서브탱크의 외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일이 있지만, 이 결로는 트레이(35)에 적하되어 앞부측으로 모이고, 접속구(37)에서 배수파이프(38)을 거쳐서 배수저장실(7)로 배수되어 증발한다.
이 때문에 세정기본체(1)내의 전기부품에 녹이 발생하거나 전원기판(48)이나 조작기판(49)가 단락하는 일도 없다.
용변이 끝났을때에 사용자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조작패널(50)의 엉덩이용 버튼(51)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 급수펌프(60a)에 통전되어 작동하고, 온수저장탱크(15)내의 온수를 흡입구(20a)에서 배출구, 압력밸브(62a), 전환밸브(64)를 거쳐서 엉덩이용 노즐(77a)에 공급한다. 또, 이때 전환밸브(64)는 엉덩이용 노즐(77a)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엉덩이용 노즐(77a)로 온수가 공급되면 그 수압에 의해 엉덩이용 노즐(77a)는 노즐가이드(76a)에서 하강하고 노즐구멍에서 온수를 분출해서 엉덩이를 세정한다.
세정이 끝났을때에는 조작패널(50)의 정지버튼(53)을 누르면 급수펌프(60a)가 정지하고 엉덩이용 노즐(77a)로 부터의 온수의 분출이 정지하고 엉덩이용 노즐(77a)는 상승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동안, 온수저장탱크(15)내의 물은 감소하지만 이것과 연통하는 서브탱크(40)에서 연속적으로 급수되므로 서브탱크(40)내의 수위는 저하하지만 온수저장탱크(15)내는 항상 물이 가득찬 상태에 있고 히터(28)로 가열되어 소정의 온도로 유지된다.
마지막에 세정수탱크(104)에서 변기본체(101)로 물을 흐르게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서브탱크(40)에 급수되고, 서브탱크(40)이 물로 가득차게 되면 오버플로파이프(98)에서 세정수탱크(104)내로 배수된다. 또, 다량의 온수를 사용해서 서브탱크(40)내의 물이 없어져 온수저장탱크(15)내의 온수의 수위가 저하하면 플로트스위치(31)이 하강하여 하한위치에 도달하면 급수펌프(60a), (60b)로의 통전을 불능으로 한다.
비데용 노즐(77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작패널(50)의 비데용 버튼(52)를 누르면 제2의 급수펌프(60b)가 작동하여 상기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세정할 수 있다.
또, 엉덩이용 노즐(77a) 및 비데용 노즐(77b)에서 분출하는 온수의 수세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패널(50)의 수세용 버튼(54)를 눌러 조정하면 되고, 온수의 온도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온용 버튼(55)를 눌러 조정하면 된다. 또, 밸런서(86)내에 탈취제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패널(50)의 탈취버튼(56)을 누르면 탈취제가 방출된다.
남성이 서서 사용했을때에는 노즐유닛(70)의 노즐수용실(72)의 앞면패널(73)등을 더럽히기 쉽다. 이 경우는 사용후 조작패널(50)의 크린버튼(57)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 전화밸브(64)에 의해서 엉덩이용 노즐(77a)에서 크린노즐(74)로 전환됨과 동시에 급수펌프(60a)가 작동해서 크린노즐(74)의 노즐구멍(75)에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면패널(73)을 따라서 온수가 사방으로 분출하여 노즐수용실(72)의 앞면패널(73) 및 그 근방을 세정한다. 이때, 앞면패널(73)의 측면끝부(73a), (73b)에 둥근부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온수는 그 점성에 의해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둥근부를 따라서 흘러 주위로 튀는 것이 방지된다.
세정이 끝났을때에는 재차 크린버튼(57)을 누르면 급수펌프(60a)가 정지함과 동시에 전화밸브(64)는 엉덩이용 노즐(77a)측으로 전환된다.
또, 이 경우에 세정기본체(1)의 앞면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하부가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보다 뒤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변기본체(101)의 앞에 서도 발끝의 장해로 되지 않아 전진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변기본체(1)의 앞면측이나 바닥면을 더럽히는 일도 없다.
또, 변기본체(101)을 청소할 때, 노즐유닛(70)을 변기본체(101)에서 떼어내고 트레이의 바닥면에 배치한 경우에도 압력밸브(62a), (62a)에 의해서 온수의 흐름이 차단되므로 노즐유닛(70)에 부착된 각 노즐에서 온수가 누수하는 일은 없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엉덩이용 노즐에 급수하는 급수펌프와 비데용노즐에 급수하는 급수펌프(단, 어느 한쪽은 크린노즐로의 급수를 겸함)를 각각 마련했으므로 전화스위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 급수펌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2대의 급수펌크(60a), (60b)는 온수저장탱크(15)에 매달리게 되고, 그 하단부와 바닥판(3) 사이에 탄성부재(61a), (61b)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급수펌프(60a), (60b)를 구동해도 이 진동은 탄성부재(61a), (61b)에 흡수되어 세정기본체(1)은 거의 진동하는 일이 없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를 이미 설치된 변기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새로 설치하는 변기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세정기본체(1)의 부착부(65)와 노즐유닛(70)의 연결부(82)를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탈이 용이하며, 또한 상하 또는 좌우방향 또는 뒷쪽 비틀림에 소정의 부하가 작용했을때에는 노즐유닛(70)이 세정기본체(1)에서 이탈하는 것이면 다른 구조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수펌프의 배출구와 노즐사이의 유로에 마련하는 뱁브체로써 압력밸브(62a), (62b)를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밸브체로써 전자밸브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양급수펌프(60a), (60b)의 가동에 연동해서 개폐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온수저장탱크(150의 천정면의 높이와 노즐유닛(70)을 변기본체(101)에 설치했을때의 각 노즐의 높이 위치(이하, 단지 「노즐의 높이 위치」라 한다)의 관게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하고 있는 않았다.
그러나, 온수저장탱크(15)의 천정면의 높이가 노즐의 높이 위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던 경우에 있어서, 만약 압력밸브(62a), (62b)가 파손되면 온수저장탱크(15)내의 물은 수면의 높이가 노즐의 높이 위치로 될때까지 노즐에서 누수된다. 그리고, 급수펌프(60a), (60b)의 흡입구(20a), (20b)가 수면에 노출되어 급수펌프(60a), (60b)에 공기가 들어가는 것이 고려된다.
그래서, 온수저장탱크(15)의 천정면의 높이를 노즐의 높이 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가령 압력밸브(62a), (62b)가 파손된 경우라도 노즐에서 온수가 누수해서 급수펌프(60a), (60b)의 흡입구(20a), (20b)가 수면에 노출하는 일이 없어 급수펌프(60a), (60b)에 공기가 들어가는 일도 없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둑판(21)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형상의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둑판(21)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1도에 둑판(21)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둑판(21)은 정면이 ㄷ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면부(21a), (21b)가 커버(25)에 맞닿고 있다. 그리고, 이 양 측면부(21a), (21b)가 커버(325)에 마련된 유지부(25a), (25b)에 표, 이면 양면에서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둑판(21)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온수세정장치를 이미 설치된 변기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새로 설치하는 변기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온수공급실에 매달리게 되고, 온수공급실에서 압력밸브까지 항상 온수가 연통하고 있는 급수펌프를 사용한 경우를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조의 급수밸브를 사용해도 좋다.
또, 서브탱크를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기술했지만 박스형상 또는 그밖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세정기본체에 내장된 서브탱크의 급수구와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착한 분배기의 분기구를 급수파이프로 연결하고, 한쪽끝이 서브탱크의 오버플로구멍에 접속된 오버플로파이프의 다른쪽끝을 분배기의 주급수구의 근방에 배치한 경우를 기술했지만 오버플로파이프의 다른쪽끝을 분배기에 부착해도 좋다. 또, 서브탱크를 세정기본체와 별도로 마련한 온수세정장치에도 상기 급수파이프와 오버플로파이프의 배치에 관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서브탱크를 생략하고 세정기본체(온수저장탱크)에 직접 급수파이프 및 오버플로파이프를 접속하고, 오버플로파이프의 다른쪽끝을 분배기의 근방에 배치하거나 또는 분배기에 부착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브탱크를 온수저장탱크의 근방에 배치했으므로 저장탱크의 열을 서브탱크로 전달시킬수 있고, 더나아가서는 서브탱크내의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브탱크내의 물의 동결 및 서브탱크표면에 있어서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온수저장탱크에 서의 가열의 소비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서브탱크와 온수저장탱크를 세정기본체내의 동일 실에 배치했으므로 온수정장탱크의 열을 서브탱크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 서브탱크를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배치했으므로 열의 대류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온수저장탱크의 열을 서브탱크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 서브탱크의 근방에 온수저장탱크와 급수펌프를 배치했으므로 온수저장탱크의 열에 부가되어 급수펌프에 의해 발생하는 열도 서브탱크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 온수저장탱크와 급수펌프를 병설하고, 상기 병설된 온수저장탱크와 급수펌프의 위쪽에 서브탱크를 배치했으므로, 열의 대류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온수저장탱크 및 급수펌프의 열을 서브탱크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 서브탱크를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배치하고, 상기 서브탱크와 상기 온수저장탱크사이에 상기 서브탱크에서 결로한 물방울을 받는 접시를 마련했으므로 가령 서브탱크에서 결로가 발생했더라도 세정기본체내로 누수하는 일이 없다.
접시의 높은부측으로 서브탱크와 온수저장탱크의 접속부를 위치시켰으므로, 가령 배수구가 막힌 경우에도 접시와 접속부의 접합구에서 누수하는 일이 없다. 또, 접시의 낮은 부측으로 배수구를 마련했으므로 접시에 모인 물을 배수구에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배수저장실을 세정기본체의 바깥쪽에 마련했으므로 배수저장실의 물이 증발한 경우에도 세정기본체의 전기부품등에 악영향이 미치는 일이 없다.
서브탱크의 상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했으므로 서브탱크상면에서 결로한 물방울이 접시로 떨어지기 쉬워 배수구에서 빠르게 배출되므로 세정기본체내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전기부품등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서브탱크를 세정기본체내에 마련했으므로 서브탱크가 물로 가득차게 되어도 세정수탱크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세정수탱크에 악영향이 미치는 일이 없다.
또, 서브탱크를 온수정장탱크의 위쪽에 설치하고, 서브탱크와 커버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전기부품등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을 마련했으므로 공간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온수저장탱크와 프린트기판사이에 개재하는 서브탱크에 의해 온수저장탱크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므로 프린트기판 및 이것에 탑재된 전기부품이 온수저장탱크의 열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또, 프린트기판을 세정기본체의 최상부에 마련했으므로, 가령 서브탱크나 온수저장탱크에서 누수해도 프린트기판이나 이것에 탑재된 전기부품등에 물이 들어갈 염려가 없다.
상기에 의해, 프린트이나 이것에 탑재되는 전기부품의 특성이 변동하거나 녹에 의한 접촉불량이 생기거나 회로패턴이 단락할 염려가 없어, 신뢰성이 높은 온수세정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의 온수세정장치에 있어서, 서브탱크를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서브탱크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부에 프린트기판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세정기본체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급수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는 온수저장탱크, 온수저장탱크의 온수를 노즐로 보내는 급수펌프등을 내장한 세정기본체, 세정기본체에서 보내진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변기본체상에 탑재되는 노즐유닛 및 세정수탱크상에 뚫린 주급수구와 분기구를 갖고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분배기를 구비하고, 세정기본체의 급수구와 분배기의 분기구를 급수파이프로 연결함과 동시에 오버플로파이프와 한쪽끝을 세정기본체의 오버플로구멍에 접속하고, 다른쪽끝을 분배기의 근방에 마련해서 흘러넘친 물을 세정수탱크로 배수하도록 했으므로 세정기본체가 흘러넘치고 있는 것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주급수구로 부터의 물과 흘러넘친 물에 의해 세정수탱크로 급수되는 물의 양이 증가하므로 손을 씻는 용으로써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오버플로파이프의 다른쪽끝을 분배기에 부착했으므로 상기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물이 급수되는 서브탱크, 상기 서브탱크에서 급수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는 온수저장탱크 및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온수를 노즐로 보내는 급수펌프등을 내장하고 변기본체의 근방에 설치되는 세정기본체 및 상기 세정기본체에서 보내진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변기본체상에 탑재되는 노즐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탱크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2. 상기 서브탱크와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상기 세정기본체내의 동일실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탱크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저장장치.
  4. 상기 서브탱크의 근방에 상기 온수저장탱크와 상기 급수펌프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5.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상기 급수펌프를 병설하고, 상기 병설된 온수저장탱크와 급수펌프의 위쪽에 상기 서브탱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6. 물이 급수되는 서브탱크, 상기 서브탱크에서 급수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는 온수저장탱크 및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온수를 노즐로 보내는 급수펌프등을 내장하고 변기본체의 근방에 설치되는 세정기본체 및 상기 세정기본체에서 보내진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변기본체상에 탑재되는 노즐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탱크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배치하고, 상기 서브탱크와 상기 온수저장탱크사이에 상기 서브탱크에서 결로한 물방울을 받는 접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상기 접시를 관통해서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접시를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기 접시의 높은부측으로 상기 서브탱크와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접속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접시의 낮은 부측으로 배수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8. 상기 접시에 배수구를 마련하고,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을 저정하는 배수저장실을 상기 세정기본체의 바깥쪽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탱크의 상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탱크를 온수저장탱크의 위쪽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탱크와 상기 세정기본체의 커버사이에 전기부품등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서브탱크를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12. 급수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는 온수저장탱크 및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온수를 노즐로 보내는 급수펌프등을 내장하고 변기본체의 근방에 설치되는 세정기본체, 상기 세정기본체에서 보내진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변기본체상에 탑재되는 노즐유닛 및 세정수탱크상에 뚫린 주급수구 및 분기구를 구비하고 수도의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분배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정기본체의 급수구와 상기 분배기의 급수파이프로 연결함과 동시에 오버플로파이프의 한쪽끝을 상기 세정기본체의 오버플로구멍에 접속하고, 다른쪽끝을 상기 분배기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13. 오버플로파이프의 다른쪽끝을 분배기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장치.
KR1019960011531A 1995-08-14 1996-04-17 온수세정장치 KR0174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06995 1995-08-14
JP7206995A JPH0953265A (ja) 1995-08-14 1995-08-14 温水洗浄装置
JP7221436A JPH0960083A (ja) 1995-08-30 1995-08-30 温水洗浄装置
JP95-221436 1995-08-30
JP7228317A JPH0971991A (ja) 1995-09-05 1995-09-05 温水洗浄装置
JP95-228317 1995-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220A KR970011220A (ko) 1997-03-27
KR0174800B1 true KR0174800B1 (ko) 1999-02-18

Family

ID=2732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531A KR0174800B1 (ko) 1995-08-14 1996-04-17 온수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08B1 (ko) * 2002-07-05 2005-05-30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격벽과 격막이 구비된 비데 물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08B1 (ko) * 2002-07-05 2005-05-30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격벽과 격막이 구비된 비데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220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83400A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0174800B1 (ko) 온수세정장치
KR0174798B1 (ko) 온수세정장치
JP2003064759A (ja) 便器用泡発生装置
JPH0960089A (ja) 温水洗浄装置
JPH0960083A (ja) 温水洗浄装置
JPH0971991A (ja) 温水洗浄装置
JPH0960084A (ja) 温水洗浄装置
JPH0953265A (ja) 温水洗浄装置
JP3196061B2 (ja) 水石鹸供給装置
JPH0953266A (ja) 温水洗浄装置
JPH0960090A (ja) 温水洗浄装置
JPH0953267A (ja) 温水洗浄装置
JP2003313921A (ja) 局部洗浄装置
JP7118773B2 (ja) 便器装置
JPH0968196A (ja) 給水ポンプ
KR101910528B1 (ko) 절수 양변기
KR20100106654A (ko) 수조 일체형 변기도기 및 이를 이용한 비데 겸용 양변기
JP3709763B2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JP2569229Y2 (ja) 衛生洗浄装置
CN219298365U (zh) 泡沫供给机构、清洗装置以及马桶设备
JP2020117921A (ja) 衛生洗浄装置
CN219011394U (zh) 坐便器装置
JP4857693B2 (ja) トイレ装置
JPH03293436A (ja) 温水洗浄装置付き便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