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388B1 -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388B1
KR0174388B1 KR1019910006978A KR910006978A KR0174388B1 KR 0174388 B1 KR0174388 B1 KR 0174388B1 KR 1019910006978 A KR1019910006978 A KR 1019910006978A KR 910006978 A KR910006978 A KR 910006978A KR 0174388 B1 KR0174388 B1 KR 0174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electric constant
tio
batio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534A (ko
Inventor
안기성
Original Assignee
황선두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두,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선두
Priority to KR101991000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388B1/ko
Publication of KR92002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94.6~94.8wt%의 BaTiO3, 3.20~3.50wt%의 CeO2, 2.0~2.1wt%의 TiO2를 혼합하여 800℃에서 하소분쇄한 조성물 25~50몰%와 94.2~94.6wt%의 BaTiO3, 3.30~3.50wt%의 Sm2O3, 1.90~2.30wt%의 TiO2를 혼합하여 900℃에서 하소분쇄한 조성물 50~75몰%을 혼합함으로서 94.30~94.70wt%의 BaTiO3, 0.80~1.75wt%의 CeO2, 1.60~2.63wt%의 Sm2O3, 1.80~2.25wt%의 TiO2조성의 갖도록 한 고유전율계자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체 자기조성물은 25℃, RMS Level(Oscillation voltage) 50mV에서의 유전상수가 4000이상이며, 큐리온도가 50~70℃정도 범위에 위치하고 큐리온도에서의 유전상수가 6500~8500정도이므로 반도체 IC가 작동하는 50~70℃범위에서 높은 유전율을 갖기 때문에 노이즈(Noise)제거용 바이패스(bypass) 자기축전기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본 발명은 반도체 바이패스(Bypass)용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94.6~94.8wt%의 BaTiO3, 3.20~3.50wt%의 CeO2, 2.0~2.1wt%의 TiO2를 혼합하여 800℃에서 하소분쇄한 조성물(이하 조성물A라 칭함) 25~50몰%와 94.2~94.6wt%의 BaTiO3, 3.30~3.50wt%의 Sm2O3, 1.90~2.30wt%의 TiO2를 혼합하여 900℃에서 하소분쇄한 조성물(이하 조성물B라 칭함) 50~75몰%을 혼합함으로서 94.30~94.70wt%의 BaTiO3, 0.80~1.75wt%의 CeO2, 1.60~2.63wt%의 Sm2O3, 1.80~2.25wt%의 TiO2조성을 갖도록 제조한 것으로 큐리(Curie) 온도가 50℃~70℃이고, 큐리온도에서의 유전율이 6500~8500인 반도체 바이패스용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반도체 IC용 바이패스 콘덴서로 EIA(Electronic Industry Association)규격의 Y5V(-30℃~+85℃ 까지 25℃에서 유전율을 기준으로 유전율 변화율이 -82%내지 +22%)또는 Z5U(-25℃~+85℃ 까지 25℃에서 유전율을 기준으로 유전율 변화율이 -56%내지 +22%) 온도특성을 만족시키는 유전체 자기조성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Y5V 또는 Z5U 특성의 유전체 자기조성물은 큐리온도가 13℃~35℃범위에 존재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반도체 IC가 정상 작동하는 50℃~70℃온도범위 내에서의 유전율이 작아서 바이패스 특성, 즉 노이즈(Noise)제거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전체 자기조성물의 큐리온도가 50℃~70℃에 위치하며 이때의 유전율이 비교적 높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IC가 정상 작동하는 50℃~70℃범위에서 큐리온도가 존재하고 높은 유전율(6500~8500)을 가지는 반도체 바이패스용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A 25~50몰%와 상기 조성물B 50~75몰%를 혼합하여 94.30~94.70wt%의 BaTiO3, 0.80~1.75wt%의 CeO2, 1.80~2.63wt%의 Sm2O3, 1.80~2.25wt%의 TiO2로 구성되는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반도체 바이패스용 사용함으로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먼저, 순도 99.5% 이상의 BaTiO394.6~94.8wt%, CeO23.20~3.50wt%와 TiO22.0~2.1wt%를 혼합하여 800℃에서 하소분쇄한 조성물A를 제조하고, BaTiO394.2~94.6wt%, Sm2O33.30~3.50wt%와 TiO21.80~2.30wt%를 혼합하여 900℃에서 하소분쇄한 조성물B를 제조한 다음, 조성물A25~50몰%와 조성물B 50~75몰%를 혼합하고, 적당량의 결합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테이프 캐스팅(tape casting)법으로 세라믹 시이트를 제작한다.
제작된 시이트를 여러장 적층하여 0.5㎜ 정도의 박판형 세라믹 콘덴서를 제조하여 표면 실장 기술로 PCB에 장착한 후, 반도체 IC를 장착한다.
상기 조성물A에서 액상을 형성하여 소결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CeO2와 TiO2가 각각 3.20, 2.0wt%이하일 경우에는 높은 소성온도를 필요로 하며, 각각 3.50, 2.1wt% 이상이 경우에는 소결성이 나빠지고 절연저항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CeO2는 조성물A의 큐리온도를 상온에서 위치하게 한다.
한편, 상기 조성물B에서 Sm2O3와 TiO2는 액상을 형성하여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첨가한 것으로 각각 3.30, 1.80wt%이하로 첨가될 경우에는 소성온도가 높아지며, 각각 3.50, 2.30wt%이상일 경우에는 소결성이 나빠지고 절연저항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Sm2O3는 조성물B의 큐리온도를 90℃정도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유전체 자기조성물은 25~50몰%의 조성물A와 50~75몰%의 조성물B를 혼합하여 제조하지만, 조성물A가 25몰%이하이거나 조성물B각 75몰%이상일 경우에는 큐리온도가 70℃이상에 위치하게 되고, 조성물A가 50몰% 이상이거나 조성물B가 50몰% 이하일 경우에는 큐리온도가 50℃ 미만에 위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유전체 자기조성물 및 이의 효능, 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순도 99.5% 이상의 BaTiO394.70wt%, CeO23.30wt%와 TiO22.0wt%의 조성이 되도록 각각의 물질들을 평량하여 혼합한 다음, 800℃에서 하소하고 분쇄하여 조성물A를 제조한다.
한편, BaTiO394.44wt%, Sm2O33.30wt%와 TiO22.26wt%의 조성이 되도록 각각의 물질들을 평량하여 혼합한 다음, 900℃에서 하소하고 분쇄하여 조성물B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조성물A 50몰%와 조성물B 50몰%를 혼합하고 혼합분말에 적당량의 결합제(아크릴계 바인더)를 첨가한 다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테이프 캐스팅(tape casting)하여 세라믹 시이트(ceramic sheet)를 제작한다. 제작된 시이트를 여러장 적층하여 1㎝ X 1㎝ X 0.1㎝(W X L X T) 크기의 K-플레이트(Plate)를 제작하고, 1300℃정도의 온도범위에서 2시간 소성하고, Ag전극을 도포하여 은소부하였다.
이에 대한 유전상수(K) 및 유전손실계수(tanδ)를 LCR Meter를 사용하여 1KHz, 25℃, 0.05V RMS(Oscillation Level)전계강도에서 측정하였고, 온도특성은 항온 항습조에서 25~125℃의 온도범위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2~6]
조성물A 및 조성물B의 조성비, 조성물A와 B의 혼합비, 소성온도를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것으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온소부 K-플레이트를 제조한 다음, 이에 대한 특성치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4]
조성물A 및 조성물B의 조성비, 조성물A와 B의 혼합비, 소성온도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난 것으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특성치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유전체 자기조성물은 25℃, RMS Level(Oscillation voltage) 50mV에서의 유전상수가 4000이상이며, 큐리온도가 50~70℃정도 범위에 위치하고 큐리온도에서의 유전상수가 6500~8500정도이므로 반도체 IC가 작동하는 50~70℃범위에서 높은 유전율을 갖기 때문에 노이즈(Noise)제거용 바이패스(bypass) 자기 축전기 제조가 가능하다.

Claims (3)

  1. 94.30~94.70wt%의 BaTiO3, 0.80~1.75wt%의 CeO2, 1.60~2.63wt%의 Sm2O3, 1.80~2.25wt%의 TiO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 자기조성물은 94.6~94.8wt%의 BaTiO3, 3.20~3.50wt%의 CeO2, 2.0~2.1wt%의 TiO2를 혼합하여 800℃에서 하소분쇄한 조성물A와 94.2~94.6wt%의 BaTiO3, 3.30~3.50wt%의 Sm2O3, 1.90~2.30wt%의 TiO2를 혼합하여 900℃에서 하소분쇄한 조성물B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A와 조성물B는 25~50wt% 대 50~75wt%의 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019910006978A 1991-04-30 1991-04-30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KR017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978A KR0174388B1 (ko) 1991-04-30 1991-04-30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978A KR0174388B1 (ko) 1991-04-30 1991-04-30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534A KR920020534A (ko) 1992-11-21
KR0174388B1 true KR0174388B1 (ko) 1999-04-01

Family

ID=1931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978A KR0174388B1 (ko) 1991-04-30 1991-04-30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6369B2 (en) 2015-04-16 2017-05-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contain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1237A (ja) * 2010-03-26 2011-10-13 Yamatake Corp 筐体組立構造及び筐体組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6369B2 (en) 2015-04-16 2017-05-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contain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534A (ko) 199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79555A (ja) 高誘電率のセラミック材料
JPH0745337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2003286079A (ja) 耐還元性誘電体磁器組成物
JPS60118666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210524B2 (ko)
US5130281A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electric ceramics
JPH0518201B2 (ko)
JPH0552604B2 (ko)
KR0174388B1 (ko)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KR20050034590A (ko) 희토류 이트륨 또는 비스무트를 함유한 나트륨 구리티탄산염 조성물
JPH0552602B2 (ko)
JPS63103861A (ja) 非還元性誘電体磁器組成物
US4017320A (en) Ceramic dielectric composition
JPH0680562B2 (ja) 非還元性誘電体磁器組成物
JPH0544764B2 (ko)
JP3157051B2 (ja) 高誘電率系セラミック組成物
KR900002517B1 (ko)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910001347B1 (ko) 초저온에서 소결되는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50000505B1 (ko)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KR900002518B1 (ko) 유전체 자기조성물
JP2893129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552603B2 (ko)
KR0161536B1 (ko) 고유전율계 자기 조성물
KR940004144B1 (ko) 유전체 자기조성물
JP2893130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