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351B1 -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351B1
KR0174351B1 KR1019960008805A KR19960008805A KR0174351B1 KR 0174351 B1 KR0174351 B1 KR 0174351B1 KR 1019960008805 A KR1019960008805 A KR 1019960008805A KR 19960008805 A KR19960008805 A KR 19960008805A KR 0174351 B1 KR0174351 B1 KR 0174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niline
composite
conductive polymer
producing
polym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386A (ko
Inventor
이서봉
이창진
왕샨홍
Original Assignee
이서봉
재단법인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봉, 재단법인한국화학연구소 filed Critical 이서봉
Priority to KR101996000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351B1/ko
Priority to JP9077359A priority patent/JPH10101793A/ja
Publication of KR97006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중합법으로 생성되는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아닐린 유도체염을 디도핑하여 얻어진 에머랄딘 염기와 수소산, 이어서 유기염기와 반응시킨 후,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용융가공이 가능하고, 전도도가 우수한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에머랄딘 염기를 제조할 때에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옥틸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트리옥틸아민 중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과 함께 용액상에서 또는 기계적으로 혼합시킨 후, 감압 건조시켜서 얻는 폴리아닐린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닐린 복합체에 열가소성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후, 150∼200℃의 온도에서 30∼90rpm으로 혼합하여서 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는 용융가공이 가능하고, 전도도가 우수한 잇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닐린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대전방지용 소재, 전자기파 파단소재, 이차전기 전극물질, 센서, 전도성 도료, 플라스틱 발열체, 플라스틱 스위치, 부식방지용 도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용융가공기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아닐린 또는 그의 유도체로부터 제조되는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서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물질은 중합하지 쉽고, 상당히 우수한 전기 전도성과 산화 안정성을 가진 이유로 계속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 물질 중에서 폴리아닐린은 그 단량체인 아닐린의 가격이 저렴한 까닭에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그 열적 안정성이 상당히 우수하여 가장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폴리아닐린의 응용분야로는 이차전지의 전극물질, 전자파 차폐용 소재, 유연성을 가지는 전극, 대전방지용 소재, 부식방지용 코팅제, 전기변색 소재 등으로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
폴리아닐린이나 폴리아닐린 유도체는 아닐린이나 아닐린 유도체로부터 산화중합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닐린은 그 산화상태에 따라 류코에머랄딘 (leucoemeralidine), 에머랄딘 (emaraldine) 및 퍼니그르아닐린(pernigraniline) 등의 구조를 갖는다. 이 중에서 에머랄딘 구조를 갖는 폴리아닐린이 도핑시에 가장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며, 공기 중에서 안정하므로 가장 유용하다.
이러한 에머랄딘 염기의 구조를 갖는 폴리아닐린은 전기 전도도가 10-10S/cm 정도로 아주 낮으나, HCl, HNO3, H2SO4, HClO4, HBF4, HPF6, 인산, 유기술폰산, 피크린산 및 폴리머산 등의 양성자산으로 도핑을 함으로서 그 전기 전도도를 103S/cm 까지 높힐 수 있다. 에머랄딘 염기를 양성자산으로 도핑하여 얻는 에머랄딘염의 구조와 전기 전도도의 증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되어있다(미국특허 제3,963,498호, 동 제4,025,463호 및 동 제4,983,322호).
아래에, 에머랄딘 염기와 도핑된 에머랄딘염의 구조를 갖는 폴리아닐린의 구조식을 나타냈다.
그러나, 폴리아닐린은 그 구조적으로 고분자 사슬의 강직성이 매우 크고, 또한 양성자산으로 도핑이 되어야 전기 전도도를 갖는데, 도핑된 폴리아닐린은 전하를 띠고 있어 고분자 사슬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가공성을 감소시켜 그 실용성에 많은 제한을 갖고 있다. 실제로, 중성인 에머랄딘 염기는 극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며, 200℃ 이상의 온도에서도 안정하여 어느 정도 용융가공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전도도가 부여된 에머랄딘염은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으며, 200℃ 이하의 온도에서 열분해가 일어나서 용융가공에 적합하지 않다. 즉, 일반적인 플라스틱을 가공하는 방법인 용매에 용해시켜서 가공하는 방법과 용융가공 같은 방법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것이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실용화에 가장 중요한 관건으로 되어있다.
특히, 압축, 압출 및 사출성형과 같은 가공법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것이 고분자 물질이 갖는 최대 장점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가공성, 특히 용융가공성의 향상은 폴리아닐린의 실용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해결 과제이다.
이러한 용융가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폴리아닐린을 후중합공정(post polymerization precess) 을 통하여 폴리아닐린에 가공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 경우, 아주 잘 정제된 폴리아닐린과 분산제를 사용하여 폴리아닐린을 열가소성 수지에 적절히 분산시키는 방법이다(Synth. Met. 15 (1986) 183; Synth. Met. 18(1987) 671). 그러나, 이 방법은 분산의 정도가 낮으며,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수지와는 잘 분산이 되나, 기타 다른 수지와의 혼합에서는 분산의 정도가 낮아서 원하는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가 어렵다.
또 다른 방법은 중성인 에머랄딘 염기의 열적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이용하여 먼저 에머랄딘 염기와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가공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필요한 형태, 즉 시트나 또는 섬유의 헝태로 가공한 후, 적절한 양성자산과 접촉시켜서 전기 전도도를 부여하는 것이다(유럽 특허 공개 제536,915 A2).
이 방법으로 나일론 6, 6/6, 11, 1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프로락토노 등의 수지와 블렌딩이 가능하다고 발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성형시킨 후, 양성자산이 녹아 있는 용액과 접촉해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에 전기 전도도를 부여함으로서 이 고분자 복합체 내에서 산이 확산되는 정도에 따른 전도도의 차이가 있고, 제품 형성후, 양성자산과 용액과의 접촉으로 인한 미관 손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가장 범용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과의 블렌딩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이 최근 발표되었는데, 이 방법은 폴리아닐린을 도핑시킬때 사용하는 수소산의 상대 음이온의 분자 크기가 큰 것을 이용하여 가공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실제로 수소산으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을 사용하여 도핑한 폴리아닐린은 LDPE, PP, HDPE 및 PVC 등과 용융 가공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제5,232,631호, 국제특허공개 제92/22911호). 이 방법은 현재까지 알려진 방법 중 가장 우수한 폴리아닐린과 열가소성 수지와의 블렌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에머랄딘 염기를 도핑할 때 필요한 양보다 훨씬 과량의 도데실벤젠술폰산을 사용하여야 전도성이 부여된, 용융가공이 가능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 폴리아닐린 복합체는 접촉시 얼룩을 남기고, 매우 부식성이 강한 점액성의 유체로 얻어진다. 이러한 유동성을 갖는 유체는 용융가공에는 별로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부식성이 강한 과량의 술폰산이 최종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에도 존재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최종 응용 분야가 전자기기 제품에의 사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부식성이 강한 재료의 사용은 매우 큰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체의 형태를 갖는 도데실벤젠산으로 도핑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40∼220℃에서 열처리를 함으로서 고형화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유럽특허 제545,279호). 이와 같이 고형화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는 분말이나 과립상 입자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용융가공 공정에서의 취급이 훨씬 용이하다.
또한, 과량으로 존재하는 산을 중화시키면서 전도도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ZnO나 Na2CO3, CaCO3등을 같이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유럽특허공개 제627,746 Al; 동 제627,745 Al). 이 경우 고체 염기를 사용함으로서, 염기가 폴리머에 분산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중화시에 발생하는 CO2가 공정에 문제가 된다. 또한,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가 100배 정도 감소함이 관측되었는데, 이와 같은 전도도의 감소는 전도성 고분자의 효율을 매우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銳意) 연구한 결과, 과량의 유기산을 유기 염기인 알킬아민을 사용하여 중화시키면 전도도의 감소가 거의 없음을 발견하고,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할 때 용매에 팽윤이 되어있는 에머랄딘 염기는 추후 용융가공시 분산의 정도가 우수하다는 사실도 발견하고, 폴리아닐리니 복합체 제조시 팽윤된 상태의 에머랄딘 염기를 유지하는 방법을 창안하여 용융가공이 가능하며, pH가 4-7의 범위를 갖는, 전도도가 우수한 폴리아닐린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을 완성하게 되어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하여 공정상에서 취급이 용이하며, 표면에서의 산성도 (pH) 범위가 4∼7이며, 10-1∼101S/cm의 전기 전도도를 갖는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와 쉽게 용융가공법으로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고분자 복합체 내에서 잘 분산되어 높은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와의 용융가공법으로 제조되어서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닐린 복합체는 다음의 두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방법 1]
1) 폴리아닐린염의 제조
0.05M 내지 1M의 아닐린이 함유된 아닐린 수용액 1ℓ를 만든 후, 수소산, 일반적으로는 HCl을 0.3M 내지 1M, 그리고 산화제로서 암모늄퍼설페이트를 0.5M 내지 1.5M을 상기 아닐린 수용액에 1 내지 2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 후, -10℃ 내지 8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된 폴리아닐린을 여과해서 수소산으로 도핑된 폴리아닐린을 합성했다. 이와 같이 합성된 폴리아닐린을 증류수와 메탄올로 세척한 후, 과량의 용매를 감압 여과로 제거한 후,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아래의 방법으로 디도핑(dedoping) 작업을 행하였다. 여기서, 폴리아닐린이 완전히 건조되면 추후의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도 용융가공에서 분산성이 감소하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2) 디도핑으로 에머랄딘 염기의 제조
수소산으로 도핑된 폴리아닐린, 즉 에머랄딘염을 수용액에서 염기를 사용하여 중화시켜서 디도핑을 행했다. 여기서, 사용되는 염기는 NaOH, Na2CO3, NH4OH, Et3N 등 물에 잘 용해되는 염기는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Na2CO3, NH4OH, Et3N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도핑된 폴리아닐린을 상기 염기가 1% 내지 20% 정도로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첨가한 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내지 24시간 정도 반응시킨 후, 디도핑된 폴리아닐린, 즉 에머랄딘 염기를 감압여과로 여과시켰다. 여과된 에머랄딘 염기를 증류수와 메탄올로 세척했다. 여기서도 여과된 에머랄딘 염기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도록 적절한 주의를 해야 한다.
3) 분산에 적합한 에머랄딘 염기의 제조
약간 축축한 상태의 에머랄딘 염기를 무게비로 약 2 내지 10%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th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PEG-OMe: polythyleneglycol monomethyl ether), 폴리비닐알콜 (PVA: polyvinyl alcohol), 디옥틸프탈레이트(DOP), 유기 알킬아민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과 1시간 내지 3시간 정도 잘 혼합시켰다. 용매로서는 탄소수가 1개 내지 5개인 알코올이나, 또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에서 에탄올이 가장 유용하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건조하여 상기 분산제가 잘 분산된 에머랄딘 염기를 제조하였다.
4) 도핑으로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
위에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를, 폴리아닐린내에 존재하는 아닐린 단량체와 유기 술폰산(1:1.5)과 잘 혼합했다. 이때, 혼합하는 방법으로는 에탄올에 분산시켜 40 내지 70℃에서 4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진한 초록색의 도핑이 된 폴리아닐린을 제조하고, 여기에 과량의 산을 중화시키기 위해 정확한 양의 유기 알킬아민을 첨가한 후, 다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분산 용액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5)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고형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는 점액성이 큰 유체로 얻어지는데, 이 유체를 약 50 내지 150℃ 사이에서 경화시키면 고체로 변하여 취급이 용이해지며, 전도도 또한 증가되었다. 이때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10-1내지 101S/cm의 범위를 갖는다.
[방법 2]
방법 2에서 단계 1)과 2)는 상기 방법 1의 단계 1) 및 2)와 동일하게 행하였다.
3) 분산성이 좋은 에머랄딘 염기의 제조
건조되지 않은 축축한 상태의 에머랄딘 염기를 무게비로 약 5% 내지 20% 정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폴리비닐알콜, 디옥틸프탈레이트, 유기 알킬아민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과 볼 밀(ball mill), 브라벤더 믹서 (Brabender mixer), 또는 반바리 믹서 (banbary mixer)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혼합했다. 이 경우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제조된 분산성이 좋은 에머랄딘 염기를 진공 건조했다.
4) 도핑으로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에 유기 술폰산과 과량의 유기 술폰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유기 알킬아민을 첨가하고, 직접 볼 밀, 브라벤더 믹서, 또는 반바리 믹서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혼합했다. 도핑이 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는 점액성의 유체로 얻어졌다.
5)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고형화
상기 방법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술폰산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2개 사이인 알킬술폰산 ; 톨루엔술폰산, 도데실벤젠술폰산 등을 포함한 알킬벤젠술폰산 등이 있으나, 이 중에서 알킬벤젠술폰산이 바람직하며, 특히 톨루엔술폰산과 도데실벤젠술폰산이 가장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갖는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생성함으로 가장 바람직하였다. 또한, 유기 알킬아민은 탄소수가 2 내지 12개 사이의 알킬기를 갖는 삼급 아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열안정성과 가격면에서 트리부틸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이소부틸아민, 트리이소옥틸아민, 트리이소도데실아민 등이 가장 유리하였다.
방법 1의 장점은 용액상에서 도핑 반응이 진행되므로 완전히 도핑이 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하므로 전도도가 우수하며, 방법 2의 장점은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혼합법을 사용함으로 약간의 전도도 감소는 있지만 대량생산에 적합한 것이다.
상기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제조한 폴리아닐린 복합체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LDPE, HDPE, PP 및 PVC 등과 모두 용융 가공이 가능하였다.
원하는 비율의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EVA수지 또는 LDPE, 그리고 산화방지제로서 0.1wt%의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메탄(일명IR 1010)을 혼합한 뒤, 브라벤더 혼합기나 또는 반바리 혼합기 등을 사용하여 140∼180℃사이의 온도에서 약 50∼90rpm으로 5분 내지 30분동안 혼합했다. 최적의 결과는 150℃, 80rpm에서 10분 동안 혼합하였을때 얻을 수 있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두가지 방법이 이용되었다. 먼저,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후, 이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18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얻었다. 이 경우, 폴리아닐린의 분해 온도가 200℃ 근처이지만,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미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해두면 열적 안정성이 향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직접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한 뒤, 19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는 200℃까지 안정한 것으로 관측되었다.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가소제 등이 첨가된 폴리염화비닐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시킨 후, 160℃에서 3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폴리염화비닐 복합체를 얻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에머랄딘 염기를 제조할 때, 건조시키기 전에 분산제와 같이 혼합하여 줌으로서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아닐린 복합체 보다 분산성이 훨씬 우수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결과로, 열가소성 수지와의 용융가공시 다른 방법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보다 훨씬 우수한 분산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분자 복합체에서의 분산성은 최종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지전도도와 직접 연관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무기 염기 대신에 유기 알킬아민 염기를 사용하여 과량의 유기 술폰산을 중화시키기 때문에 산도를 5 내지 7 사이로 유지할 수 있고, 10-1S/cm 내지 101S/cm의 전도도를 갖는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 있다. 또한, 사용된 유기 알킬아민은 분산작용을 같이 하므로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유기 염기를 사용하여 중화시킨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열처리하여 고형화시킬 수 있으므로, 공정상 취급이 용이하므로 실제적인 응용에 크게 도움이 된다.
이러한 폴리아닐린 복합체 및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대전방지용 소재, 전자기파 차단소재, 이차전지 전극물질, 센서, 전도성 도료, 플라스틱 발열체, 플라스틱 스위치, 부식방지용 도료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금속이나 무기 반도체 소재와 비교하여 가벼우며,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합성 및 가공에 있어서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비제한 실시예에 의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에머랄딘 염기의 제조(제조예 1)
아닐린 93g과 35% 염산 수용액 87㎖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 1ℓ에 암모늄 퍼설페이트 228g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 600㎖를 0℃에서 3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적하했다. 적하가 끝난 후, 12시간 동안 더 기계적으로 교반시켜 주면서 반응시킨 뒤, 석출된 폴리아닐린을 감압하에서 여과해서 모았다. 여과된 폴리아닐린을 건조되기 전에 축축한 상태에서 증류수 3ℓ에 넣고, 충분히 교반하여 세척한 후, 다시 여과했다. 이 세척공정을 2회 더 반복하고, 이어서 아세톤 4ℓ로 세척한 후, 다시 증류수 1ℓ로 세척했다.
이와 같이, 세척된 폴리아닐린을 건조되기 전에 0.5∼1% 암모니아 수용액 10ℓ에 첨가하고, 10시간 정도 충분히 교반시켰다. 이와 같이 반응시켜 디도핑된 폴리아닐린, 즉 에머랄딘 염기를 감압하에서 여과해서 모았다. 여과된 에머랄딘 염기를 증류수 10ℓ, 아세톤 4ℓ와 프로필알콜 1ℓ로 순서적으로 세척했다. 에머랄딘 염기를 세척한 후, 완전히 건조시켰다.
[실시예 2]
에머랄딘 염기의 제조(제조예 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되, 예외로 폴리아닐린을 건조되지 않은 축축한 상태에서, 무게비로 10% 정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분자량 20,000), 디옥틸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또는 트리옥틸 아민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에탄올 100㎖에 용해시킨 용액에 분산시켜 3시간 정도 잘 교반시켰다. 이 혼합물을 감압하에 건조해서 에머랄딘 염기를 제조했다.
[실시예 3]
에머랄딘 염기의 제조(제조예 3)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되, 예외로 폴리아닐린을 건조되지 않은 축축한 상태에서, 무게비로 약 10% 정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분자량 20,000), 디옥틸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또는 트리옥틸 아민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에 첨가하고, 기계적으로 혼합했다. 이 혼합물을 감압하에 건조해서 에머랄딘 염기를 제조했다.
[실시예 4]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제조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에 톨루엔술폰산 또는 도데실벤젠술폰산을 1.5:1의 비율(톨루엔술폰산과 폴리아닐린내에 존재하는 아닐린 단량체의 몰 비율)로 첨가해서 잘 혼합했다. 이때, 혼합하는 방법으로는 20wt%의 에탄올 분산 용액을 만들어 50℃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진한 초록색의 도핑된 폴리아닐린을 제조하고, 여기에 과량의 산을 중화시키기 위해 트리옥틸아민을 사용된 톨루엔술폰산의 1.0 몰비로 첨가한 후, 다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이 분산용액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매우 점액성이 큰 유체를 얻는데, 이 유체를 80℃에서 열처리하면 고체로 변하여 취급이 용이해지며, 전도도 또한 증가했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0.5S/cm이였다.
[실시예 5]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제조예 2)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4의 방법으로 행하여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1S/cm이였다.
[실시예 6]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제조예 3)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4의 방법으로 행하여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0.3S/cm이였다.
[실시예 7]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제조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에 도데실벤젠술폰산 또는 톨루엔술폰산(폴리아닐린내에 존재하는 아닐린 단량체의 몰의 1.5배)을 첨가한 후, 볼 밀, 브라벤더 또는 반바리 혼합기 등을 이용하여 혼합했다. 여기에 과량의 산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트리옥틸 아민을 첨가한 후, 계속 혼합했다. 여기서, 산으로 먼저 도핑한 후, 나중에 아민을 첨가하거나, 산과 아민을 동시에 첨가하여 도핑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렇게 제조된 점도가 높은 유체를 80℃에서 열처리여 고형화시켜 얻은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1∼10S/cm이였다.
[실시예 8]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제조예 5)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7의 방법으로 행하여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얻었으며, 이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1S/cm이였다.
[실시예 9]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제조예 6)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를 사용하고, 실시예 7의 방법으로 행하여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얻었으며, 이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0.5S/cm이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에머랄딘 염기와 폴리아닐린내에 존재하는 아닐린 단량체의 몰의 1.5배에 해당하는 도데실벤젠술폰산을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점도가 높은 유체를 얻고, 이 유체를 80℃에서 열처리하여 고형화시켰다. 이때, 얻어진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5S/cm이였다.
[비교예 2]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예외로 트리옥틸아민 대신에 CaCO3와 ZnO를 사용하여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했다. 이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10-3S/cm이였다.
[비교예 3]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예외로 트리옥틸아민 대신에 톨루엔술폰아미드를 사용하여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제조했다. 이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전도도는 0.1S/cm이였다. 그러나, 이 복합체는 150℃ 정도에서 분해가 일어나서 전도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4 또는 7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원하는 비율로, 그리고 산화방지제로서 0.1wt%의 IR 1010을 혼합시킨 후, 브라벤더 혼합기나 또는 반바리 혼합기 등을 사용하여 150℃에서 약 50∼9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혼합했다. 얻어진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열 압축기에서 압축시켜 필름으로 제조한 후,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함량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5 또는 8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사용하고,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에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함량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6 또는 9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사용하고,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에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함량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사용하고,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에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함량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비교 2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사용하고,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에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함량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사용하고,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에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함량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0∼12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 30wt%를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 하나와 원하는 비율로 혼합해서 18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얻었다. 하기 표 2에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부터 제조된 필름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4 또는 7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시킨 후, 19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2에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부터 제조된 필름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5 또는 8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시킨 후, 19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2에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부터 제조된 필름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6 또는 9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시킨 후, 19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2에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부터 제조된 필름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리아닐린 30wt%를 함유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블렌딩을 행하였으며, 표시된 폴리아닐린 복합체 함량은 최종 블렌드에서의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함량을 나타낸 것임.
[실시예 20]
실시예 4 또는 7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폴리프로필렌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시킨 후, 19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부터 제조된 필름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1]
실시예 5 또는 8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폴리프로필렌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시킨 후, 19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3에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부터 제조된 필름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2]
실시예 6 또는 9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폴리프로필렌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시킨 후, 190∼200℃에서 6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3에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부터 제조된 필름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9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가소제, 안정제, 산화안정제 등이 미리 혼합된 폴리염화비닐을 원하는 비율로 혼합시킨 후, 160℃, 3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혼합하여 전도성 PVC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에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부터 제조된 필름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9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를 원하는 비율로, 그리고 산화방지제로서 IR 1010 0.1wt%를 첨가한 후, 브라벤더 혼합기나 또는 반바리 혼합기 등을 사용하여 150℃에서 약 50∼9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혼합했다.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열 압축기에서 압축하여 필름으로 제조한 후,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함량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와 필름 표면에서의 pH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들로 부터 본질적인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아닐린 복합체를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과 용융가공하여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낮은 함량에도 불구하고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대전방지용 소재 (전도도 요구범위 : 10 ∼10 S/cm)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부식방지용 소재, 이차전지 전극물질, 전자파차폐 소재 등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산화중합법으로 생성되는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아닐린 유도체염을 디도핑하여 얻어진 에머랄딘 염기와 수소산, 이어서 유기염기와 반응시킨 후,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용융가공이 가능하며, 전도도가 우수한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산이 톨루엔술폰산 또는 도데실벤젠술폰산인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염기가 트리옥틸아민인 폴리안일린 복합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염기를 사용하여 중화시킨 표면에서의 산도가 pH4 내지 7인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머랄딘 염기를 제조할 때에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옥틸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트리옥틸아민 중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과 함께 용액상에서 혼합시킨 후, 건조시켜서 팽윤이 된 상태를 유지하는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머랄딘 염기를 제조할 때에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폴리비닐알콜, 디옥틸프탈레이트, 트리옥틸아민 중 하나 또는 두가지 이상과 함께 기계적으로 혼합시킨 후, 건조시켜서 팽윤이 된 상태를 유지하는 폴리아닐린 복합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서 얻어진 에머랄딘 염기와 수소산 및 유기염기를 반응시킬 때 용액상에서 교반, 혼합시킨 후, 감압건조시켜서 얻는 폴리아닐린 복합체.
  8. 제1항에서 얻어진 에머랄딘 염기와 수소산 및 유기염기를 반응시킬 때 기계적으로 혼합시킨 후, 감압건조시켜서 얻는 폴리아닐린 복합체.
  9.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수소산이 톨루엔술폰산 또는 도데실벤젠술폰산인 폴리아닐린 복합체.
  10.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유기염기가 트리옥틸아민인 폴리아닐린 복합체.
  11. 제1항에서 얻어진 폴리아닐린 복합체에 열가소성 수지 및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후, 고온에서 30∼90rpm으로 혼합하여서 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폴리아닐린 복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된 복합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첨가 혼합하여서 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이 150∼200℃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15. 제1항에서 얻어진 폴리아닐린 복합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수지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열가소성 수지와 산화방지제로서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메탄을 첨가, 혼합시킨 후, 용융가공해서 얻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KR1019960008805A 1996-03-28 1996-03-28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017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805A KR0174351B1 (ko) 1996-03-28 1996-03-28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9077359A JPH10101793A (ja) 1996-03-28 1997-03-28 溶融加工の可能な導電性高分子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805A KR0174351B1 (ko) 1996-03-28 1996-03-28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386A KR970067386A (ko) 1997-10-13
KR0174351B1 true KR0174351B1 (ko) 1999-04-01

Family

ID=1945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805A KR0174351B1 (ko) 1996-03-28 1996-03-28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01793A (ko)
KR (1) KR01743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873A (ko) * 2000-03-25 2001-10-12 하재목 전자파 차폐용 수성 도료
KR20030014004A (ko) * 2001-08-10 2003-02-15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알콜 가용성 폴리아닐린염을 이용한 부식방지용 도료의제조방법
KR20030014811A (ko) * 2001-08-13 2003-02-20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수용성 폴리아닐린염을 이용한 금속 부식방지용 도료의제조방법
KR100644474B1 (ko) * 2004-12-20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498B1 (ko) * 2001-03-23 2004-12-03 이석현 전기전도도와 현상성을 향상시키는 산반응 분해성작용기가 치환된 전도성 고분자 및 그의 조성물
KR100450208B1 (ko) * 2002-09-23 2004-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JP5026054B2 (ja) * 2006-11-01 2012-09-12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導電性高分子塗料の製造方法、導電性塗膜の製造方法
JP5795495B2 (ja) * 2010-06-04 2015-10-14 住友化学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変性物、レドックス触媒、燃料電池用電極触媒および燃料電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873A (ko) * 2000-03-25 2001-10-12 하재목 전자파 차폐용 수성 도료
KR20030014004A (ko) * 2001-08-10 2003-02-15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알콜 가용성 폴리아닐린염을 이용한 부식방지용 도료의제조방법
KR20030014811A (ko) * 2001-08-13 2003-02-20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수용성 폴리아닐린염을 이용한 금속 부식방지용 도료의제조방법
KR100644474B1 (ko) * 2004-12-20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전도성 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386A (ko) 1997-10-13
JPH10101793A (ja) 199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aniappan et al. Polyaniline materials by emulsion polymerization pathway
Proń et al. Processable conducting polymers obtained via protonation of polyaniline with phosphoric acid esters
Tiwar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ical conducting chitosan-graft-polyaniline
Ito et al. Simple synthesis of water-soluble conducting polyaniline
US5595689A (en) Highly conductive polymer blends with 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JP3740509B2 (ja) 導電性組成物
JP4137583B2 (ja) ポリアニリンおよび導電性ポリアニリンベース複合材料のドーパントとしてのスルホン酸、ホスホン酸およびリン酸の使用
KR0174351B1 (ko) 용융가공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Gonçalves et al. Conducting blends of soluble polyurethane and poly (o-methoxyaniline)
Malmonge et al. Electroactive blends of poly (vinylidene fluoride) and polyaniline derivatives
EP0995769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water-soluble conducting polyaniline
JP2001278975A (ja) 溶融加工または溶液加工可能な高度に導電性のポリアニリ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pvcおよびevaとこれとのブレンド
US6586565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aniline salt
EP0673042A1 (en) Soluble and processable dop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and polymer blend thereof
JP3186328B2 (ja) 導電性複合物及びその製造法
KR0131419B1 (ko) 폴리아닐린 필름 및 복합체의 제조방법
US5670607A (en) Misci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JP2000204158A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可溶性導電性化合物
EP0545417A1 (en) Water-soluble conducting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0648893B1 (ko)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폴리아닐린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5413B1 (ko) 유기용제 가용형 폴리아닐린, 그 제조방법 및 그의 응용
JP2546617B2 (ja) 温度特性の向上された導電性高分子化合物
KR100481665B1 (ko) 전기전도성 폴리(싸이오펜) 비-수계 분산액, 이의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KR100490882B1 (ko) 폴리아닐린의 합성방법 및 그 응용
KR100823635B1 (ko) 이온 액체를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 컴퍼지트 물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