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969B1 -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969B1
KR0173969B1 KR1019950003043A KR19950003043A KR0173969B1 KR 0173969 B1 KR0173969 B1 KR 0173969B1 KR 1019950003043 A KR1019950003043 A KR 1019950003043A KR 19950003043 A KR19950003043 A KR 19950003043A KR 0173969 B1 KR0173969 B1 KR 017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antibacterial
antimicrobial
part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531A (ko
Inventor
이진국
Original Assignee
이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국 filed Critical 이진국
Priority to KR101995000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969B1/ko
Publication of KR96003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각종 음식물용기, 도마, 물통, 접시 등 식품이 접하는 주방용품의 재질 자체를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로 성형토록하므로써 음식물 등이 각종 세균 오염으로부터 최대한 보호될 수 있도록 한 폴리에치렌계,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통상의 폴리에치렌계 수지 콤파운더에 항균방취 첨가재를 3-5% 정도 첨가하되 상기 항균 발취 첨가재는 수세미 심재의 분쇄물 90부와 세라믹 분말 5부, 갑각류 껍질 분말 5부의 결합조성으로 이루어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각종 음식물 용기, 도마, 물통, 접시 등 식품이 접하는 주방용품의 재질 자체를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로 성형토록하므로써 음식물 등이 각종 세균 오염으로부터 최대한 보호될 수 있도록 한 폴리에치렌계,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플라스틱 제품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지재료에 항균성 제오라이트나 은이온 함유 용해성 무기제를 혼입하는 수지조성물은 종래에도 몇가지 선행된 기술이 알려져 있기는 하나 이들은 무기화학 재료의 조성물을 첨가하는 특성상 장기적으로는 인체에 각종 유해 요소를 유발할 수 있게 안전성면에서 미흡하고 또한 항균성 약제의 원가코스트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일반 폴리에치렌 수지제품에 무기화합물인 항균제를 일체 사용하지 아니하고 순식물성 또는 자연계에 산존(散存)하는 저렴한 유.무기재료를 배합하여 수지지자체가 항균성을 지니면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악취들을 제거하는 방취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수지조성물을 제공토록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 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PE계수지에 항균방취제를 적당량 첨가하여 콤파운더화 하므로서 일반 압출 또는 사출용 수지조성물을 형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균 방취 첨가제는 수세미 분말을 주제로하고 여기에 소량의 세라믹 분말과 갑각류 즉 게, 새우 등의 껍질을 이용한다.
주 조성물이 되는 수세미 식물은 생물학적으로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덩쿨 식물이며 이의 열매는 50-100㎝ 정도의 황봉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충분히 결실이 이루어진후 열매를 완전 건조 시키면 내부의 열매줄기가 망상(網狀) 심재를 이루어 통상 지금까지는 주방용 수세미 등 세척용구로 이용되고 있다.
수세미 식물의 성분이 항균 방취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고 있지는 않으나 화학적 성분으로서 다량의 식물성 사포닌 성분이 다른 식물에 비하여 월등히 많이 함류된 때문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사포닌은 감초와 같은 야생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소량 함류되어 강심제나 이뇨제 항암제의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특히 사포닌의 화학적 성분은 표면 활성제로서 작용하여 유해(有害) 세포막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번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질의 사포닌이 수세미 식물에 다량으로 함류되어 있다는 사실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따라서 이 식물을 소재로 하는 방부 방취제의 용도로 개발 및 실용화 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수세미 식물의 망상 심재나 씨앗의 분말이 다른 종류의 화학 탈취재보다 냄새 제거 효과가 우수하면서 인체에 아무런 유해요소가 없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수지 조성물의 항균 방취제로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재료에 첨가하는 세라믹 분말은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음식물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항균성을 촉진시키며, 게, 새우 등 갑각류의 껍질분말은 기토산이 합류되어 중금속을 중화하는 역할을 하여 용기에 담는 음식물이 기존의 농약 등에 오염되었을 경우 이를 중화 제거하는 상승적 효과를 가져오는 잇점이 있다.
이들 항균 방취수지 조성물의 배합비와 수지조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첨가 대상수지
열소성의 폴리에치렌계 수지를 주대상으로 한다.
b) 수지첨가제
수세미 식물의 열매를 충분한 결실후에 채취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나서 완전히 건조하여 내부에 잔유되는 망상심재와 씨앗을 함께 200매쉬이하의 고운입자로서 분쇄한다.
상기 수세미 식물의 분쇄물 90부에 세라믹 분말과 갑각류의 껍질분쇄물을 각각 5부씩 첨가하여 혼합 첨가물을 조성한다.
c) 상기(1)의 첨가대상 수지에 (2)의 첨가제를 3-5% 정도 혼합하여 콤파운더하므로서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수지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 소재로하여 주방용 도마, 물통, 찬합, 도시락, 접시, 식기 등 각종 주방용 용기나 기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수지조성물을 소재로하여 주방용기를 제조하였을 때 음식물의 보존성이 기존의 수지재료에 의한 용기보다 훨씬 더 연장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김치용기의 경우는 내입된 김치가 여러날을 경과하여도 잘 쉬지 않으며 방취효과가 우수하였다.
대상 물품은 음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주방용기 또는 주방용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 주방용품에 음식물을 넣어 보관하는 경우 수세미 분말 성분이 음식물에서 번식되는 유해 세균을 살균하거나 번식 억제시키는 항균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이로부터 발산하는 악취를 억제 및 제거하는 효과를 갖게되고, 이에 첨가하는 세라믹 분말과 갑각류의 껍질분쇄물은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기토산의 함류성분에 의해 중금속에 오염된 음식물을 중화시키는 부수적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각종 주방용품의 성형재료로서 그 사용가치가 우수하고 이로 인하여 국민 보건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통상의 폴리에치렌계 수지 콤파운더에 항균방취 첨가재를 3-5% 정도 첨가하되 상기 항균 발취 첨가재는 수세미 심재의 분쇄물 90부와 세라믹 분말 5부, 갑각류 껍질 분말 5부의 결합조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KR1019950003043A 1995-02-14 1995-02-14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KR017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043A KR0173969B1 (ko) 1995-02-14 1995-02-14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043A KR0173969B1 (ko) 1995-02-14 1995-02-14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531A KR960031531A (ko) 1996-09-17
KR0173969B1 true KR0173969B1 (ko) 1999-04-01

Family

ID=1940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043A KR0173969B1 (ko) 1995-02-14 1995-02-14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42A (ko) * 2000-12-27 2002-07-06 박영복 별갑석 성분이 포함된 플라스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23245B1 (ko) * 2002-05-03 2005-10-24 전병철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포장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531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93638A (zh) 一种天然葡萄清洗粉及其制备方法
DE60200915T2 (de) Kombinierter Köder mit Ratten vergiftender Wirkung
US5951946A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removing odors
DK2806735T3 (en) Device for the control of rodents
CN105028533A (zh) 一种防治草莓白粉病的微生物农药
KR0173969B1 (ko) 항균 및 방취수지 조성물
CN104186524B (zh) 含聚六亚甲基双胍或其盐的杀菌组合物
JP2004049148A (ja) 食品等の処理剤
CN103333750A (zh) 一种中药餐具洗涤剂
US4169898A (en) Animal repellant mixture of undecanone-2 and 3-phenylpropenal
WO2005009124A2 (en) Environmentally safe fungicides
JP3672891B2 (ja) 機能性木酢液
CH467621A (de) Aus Drückzerstäuberdose aussprühbares Mittel zur Pflege und Behandlung von Lebewesen
CN103114003A (zh) 海洋生物果蔬祛农残留消毒剂
JP2010001263A (ja) 野菜及び花卉植物の食害防止剤
CN105685115A (zh) 一种复方香椿消毒液
CN111357769A (zh) 一种杀蟑螂药剂的制备方法及应用
CN101147493A (zh) 一元包装高效消毒粉及其制备方法
CN109122848A (zh) 一种天然粮食防腐剂的加工方法
CN1106994A (zh) 参酮精液剂及其制备方法
CN104026221A (zh) 果蔬花卉保鲜包
JP3239986U (ja) 除菌剤袋体及び入浴剤袋体
CN109260494A (zh) 一种柚子皮冰箱除臭剂及制备方法
KR101413964B1 (ko) 마늘즙액을 포함하는 노린재 기피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마늘즙액을 포함하는 노린재 기피제
WO2024062502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herbal neutralizer for crop y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