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675B1 - 비디오 테이프 분량 자동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분량 자동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675B1
KR0173675B1 KR1019950040031A KR19950040031A KR0173675B1 KR 0173675 B1 KR0173675 B1 KR 0173675B1 KR 1019950040031 A KR1019950040031 A KR 1019950040031A KR 19950040031 A KR19950040031 A KR 19950040031A KR 0173675 B1 KR0173675 B1 KR 0173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amount
video
video tape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9688A (ko
Inventor
권용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4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675B1/ko
Publication of KR970029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9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데크에 비디오 테이프를 넣으면, 자동으로 테이프의 분량을 나타내는 비디오 테이프 분량 인식장치로서, 일반 비디오 테이프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이 테이프를 비디오 데크에 밀어 넣으면 테이프 두께 감지봉이 이 홈에 들어가 비디오 두께를 측정한다.
이때, 테이프 두께 감지봉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출력전압이 각각 다른 조합으로 출력되고, 마이컴이 이 신호를 감지하여 테이프 분량을 사용자에게 통보해 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녹화전에 테이프의 분량을 자동으로 알수 있기때문에 테이프 부족으로 녹화를 실패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분량 자동 인식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비디오 테이프 외형도.
제2도는 본 발명을 도시한 비디오 테이프 분량 인식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테이프 2 : 홈
3 : 비디오 자기테이프 4 : 마이컴
5 : 스피커 6 : 표시장치
PD1,PD2 : 포토 다이오드 D1,D2 : 다이오드
VD: 다이오드 구동 전압단자 7 : 테이프 두께 감지봉
8 : 스위칭부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의 분량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더욱 자세히는 비디오 테이프의 비재생부분 쪽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으로 비디오 테이프의 분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로서, 사용용도에 따라 테이프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었다. 즉, 비디오 녹화내용의 길이에 따라 15분용, 20분용, 60분용, 90분용, 120분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60분, 90분, 120분용 비디오 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비디오 테이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테이프를 녹음할 경우에 녹화진행되는 테이프의 분량이 적어서 완전한 분량의 녹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종종 있었다.
비디오 테이프에 일정분량의 프로그램을 녹화할때에, 프로그램의 진행시간에 비하여 비디오 테이프의 잔여녹화량이 적을 경우, 즉 프로그램의 진행시간이 60분이나, 이를 녹화하는 비디오 테이프는 120분용을 사용한다면, 잔량으로 60분 녹화분이 남게되나,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하나의 비디오 테이프에 주제별로 프로그램을 녹화하기때문에, 잔량으로 남게되는 60분은 사용되지 못한채 폐기되는 실정이다.
다른한편으로 프로그램의 진행시간이 120분이나 이를 녹화하는 비디오 테이프는 60분용을 사용한다면, 녹화도중에 새로운 비디오 테이프로 교체하여야 할뿐 아니라, 하나의 주제로 된 프로그램을 2개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음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는, 첫째, 녹화대상 프로그램에 비하여 비디오 테이프의 잔량이 지나치게 남게 될경우 매우 비경제적인 폐단이 노출되고 있었으며, 둘째, 프로그램에 비하여 비디오 테이프의 녹음량이 부족하면 완전한 녹화를 할수 없는 문제가 노출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비디오 테이프의 녹음량이 60분, 90분, 120분으로 구분된 것이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이러한 구분은 그 선택의 폭이 좁다.
즉 프로그램의 시간이 65분일 경우에도 90분용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잔량으로 남게되는 25분은 일반적으로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디오 테이프의 녹음량을 보다 세분하여 불필요하게 폐기되는 부분을 해결하려하여도 프로그램의 진행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으므로 개략적으로 구분된 비디오 테이프중에서 대략적으로 녹음량이 부족하지 않을 정도의 비디오 테이프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폐단을 극복하고자 브이씨알(VCR) 데크(Deck)에 구비되어 녹화될 비디오 테이프 삽입시 자동으로 테이프의 잔여분량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비디오 테이프 분량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1)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울 수 있어 비디오 테이프(3)의 분량을 감지하는 테이프 두께 감지봉(7), 상기 감지봉(7)의 이동거리에 따라 이에 상응하도록 복수개의 전압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칭부(8), 상기 스위칭부(8)의 출력신호의 조합을 판독하여 테이프 분량 감지신호를 표시장치(6)에 나타내는 제어부(4)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의 분량 인식장치의 구성도이며,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및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녹화할 것이 있어 비디오 테이프(1)를 브이씨알 데크로 밀어 넣으면, 이 비디오 테이프(1)의 일측에 구비된 홈(2)으로 테이프 두께 감지봉(7)이 자동으로 삽입된다. 홈에 삽입된 테이프두께 감지봉(7)은, 그 일단부가 권취된 비디오 테이프(1)의 외면에 밀착되므로 홈(2)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정도가 비디오 테이프(1)의 권취량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고, 테이프두께 감지봉(7)의 타단부는 발광용 다이오드(D1,D2)의 출력을 차단시키거나 개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비디오 테이프(1)의 권취량에 따라 테이프두께 감지봉(7)이 진입되므로, 테이프두께 감지봉(7)에 의하여 모든 발광다이오드(D1,D2)의 출력이 차단되거나, 일측 발광용 다이오드(D1)만을 개통시키거나, 모든 발광용 다이오드(D1,D2)를 개통시키거나 하는 것이며, 발광용 다이오드(D1,D2)를 통하여 출력, 즉 빛이 방출되면 포토다이오드(PD1,PD2)에 광신호가 전달되는 것이다.
여기서, 테이프의 분량이 120분 용량인 경우 테이프 두께 감지봉(7)이 전체 발광용 다이오드(D1,D2)의 출력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마이컴(4)은 120분짜리 비디오 테이프임을 감지하고 표시장치(6)와 스피커(5)를 통하여 이를 각각 전달하게된다.
만일, 테이프의 분량이 90분 용량인 경우라면 다이오드(D1)만이 도통되고, 마이컴(4)은 이를 인식하여 90분짜리 비디오 테이프임을 표시장치(6)와 스피커를 통해 이를 나타낸다.
즉, 마이컴(4)은 양 입력단자(A,B)의 입력신호가 모두 없을때는 90분짜리 테이프로, 입력단자(A,B) 모두에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60분짜리로 간주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비디오 테이프를 이용하여 어떤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전에 손쉽게 테이프 잔여분량을 확인할 수 있게되므로 녹화대상 프로그램의 방영시간을 감안하면서 잔여녹화량이 가장알맞게 남아있는 테이프를 선별하여 녹화에 사용할수있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편리성 증대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용 다이오드와 포토다이오드의 갯수를 증가시키면 비디오 테이프의 권취량을 60분, 90분, 120분 용량 뿐 아니라, 더욱 다단계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비디오 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울수 있어 테이프의 두께를 감지하는 테이프 두께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의 이동거리에 따라 이에 상응하도록 복 수개의 전압출력단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신호 조합을 판독하여 테이프 분량 감지신호를 표시장치에 나타내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의 분량 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테이프 분량을 제어부에 메모리된 음성신호로서 상기 표시장치에 전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의 분량 인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분량 감지 신호는 상기 감지봉의 이동거리에 상응하여 복수개의 포토 다이오드의 온/오프 동작이 조합됨에 따라 미리 메모리 된 테이프의 분량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의 분량 인식장치.
KR1019950040031A 1995-11-07 1995-11-07 비디오 테이프 분량 자동 인식장치 KR0173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031A KR0173675B1 (ko) 1995-11-07 1995-11-07 비디오 테이프 분량 자동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031A KR0173675B1 (ko) 1995-11-07 1995-11-07 비디오 테이프 분량 자동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688A KR970029688A (ko) 1997-06-26
KR0173675B1 true KR0173675B1 (ko) 1999-04-15

Family

ID=1943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031A KR0173675B1 (ko) 1995-11-07 1995-11-07 비디오 테이프 분량 자동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6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688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675B1 (ko) 비디오 테이프 분량 자동 인식장치
KR900001260B1 (ko)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CA1232680A (en) Detecting circuit for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058317U (ja) テープエンド検出装置およびビデオカセット再生装置
KR100325947B1 (ko) 브이씨알의테이프스타트/앤드센서구동방법
KR100233525B1 (ko) 자기기록매체의 기록가능영역 양끝단 검출용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
JPH05282740A (ja) テープエンド検出装置
JP3045139U (ja) ビデオカセットテープのテープエンド検出装置
JPS56107343A (en) Repetitive device for tape recorder
KR940000243Y1 (ko) 무신호시 녹화방지 및 표시회로
KR890006636Y1 (ko) 전화 자동 응답 및 녹음장치의 전원 상태 판별 제어 장치
KR19980055101A (ko) 오디오 테이프의 녹음가능영역 자동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86771B1 (ko) 매일 예약 녹화용 테이프의 판별장치 및 녹화방법
KR870002148Y1 (ko)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의 흠집 검출장치
KR930009104B1 (ko) 브이씨알 예약녹화시 테이프 잔량 탐색 방법
JP2004054989A (ja) テープ端検出装置
KR0148309B1 (ko) 종류 판별이 가능한 비디오테이프 및 그 판별장치
KR960014386B1 (ko) 브이씨알의 자동녹화 재생방법
KR0155705B1 (ko) 자기테이프 기록재생장치의 고속주행 제어방법
JPS582418B2 (ja) ジキテ−プ
KR910006362Y1 (ko) 자동되감기 시험용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KR830002543B1 (ko) 기록 재생장치
JP2864645B2 (ja) テープレコーダ
KR970007142Y1 (ko) 비디오테이프 탭감지 레코딩장치
KR100207318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차기모드 예약기능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