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608B1 -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608B1
KR0173608B1 KR1019950053807A KR19950053807A KR0173608B1 KR 0173608 B1 KR0173608 B1 KR 0173608B1 KR 1019950053807 A KR1019950053807 A KR 1019950053807A KR 19950053807 A KR19950053807 A KR 19950053807A KR 0173608 B1 KR0173608 B1 KR 017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upply pipe
fuel supply
cutting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651A (ko
Inventor
이철
황진곤
전종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608B1/ko
Publication of KR97003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공급관용 호스절단장치(10)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는 호스(H)를 권취한 보빈(35)이 축착되도록 고정축(1)을 부착하고 상부에는 관통공(2A)을 형성한 받침대(2)를 부착하였으며 상기한 받침대(2)의 일측으로는 고정부재(3A)를 부착시킨 프레임(3)과, 상기한 프레임(3)의 받침대(2) 상부에 설치되며 정면으로는 호스(H)의 인출구(5A)를 형성한 블록체(5)와, 상기한 블록체(5)의 하부에 회동가능케 축착되며 선단 일측에는 링크(6)를 구비한 칼날체(7)와, 프레임(3)의 고정부재(3A)에 설치되며 선단의 램(8)이 상기한 칼날체(7)의 링크(6)와 연결되도록 한 유압실린더(9)로 이루어져 유압실린더(9)의 작동에 따른 칼날체(7)의 회동에 의해 보빈(35)으로부터 인출되는 양측의 호스(H)를 동시에 절단시키므로써 연료공급관(15)을 구성하기위한 호스(H)의 절단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인력의 소모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제1도는 차량용 연료공급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의 정면도.
제4도의 (a)도 및 (b)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축 2 : 받침대
2A : 관통공 3 : 프레임
3A : 고정부재 5 : 블록체
5A : 인출구 6 : 링크
7 : 칼날체 8 : 램
9 : 유압실린더
본 발명은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다라회동하는 칼날체에 의해 보빈으로부터 인출되는 양측의 호스를 동시에 절단시키므로써 연료공급관을 구성하기위한 호스의 절단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공급관은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차량의 엔진에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므로써 연료탱크로부터 엔진까지의 연료공급라인을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과의 연결 작업시 오조립을 방지하도록 각기 다른 색상을 갖는 2개의 호스(H)를 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호스(H)의 외부에는 각 호스(H)간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테이프(T)가 권취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은 연료공급관(15)의 제작시에는 보빈에 권취된 호스(H)를 외부로 인출한 다음 일정한 길이로 각각 절단하고, 상기한 호스(H)의 일측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외부에 테이프(T)를 권취시켜 제작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연료공급관(15)을 구성하기위한 호스(H)의 절단작업시, 작업자가 보빈에 권취된 호스(H)를 적정길이로 인출하여 커터등의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일측의 호스(H)를 절단하였으며, 상기한 과정후에는 절단된 호스(H)으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타측에 위치한 호스(H)를 절단시켜 연료공급관(15)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작업방법에 따른 호스(H)의 절단시에는 절단된 각 호스(H)의 길이가 일치하지 않아 호스(H)의 절단작업후 후처리작업을 통해 절단된 각 호스(H)의 길이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번거러움 따랐으며, 또한 호스(H)의 절단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써 절단면이 불규칙한 형상을 갖게 되어 차량과의 원활한 연결이 곤란하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호스(H)의 재질이 경질일 경우에는 호스(H)의 절단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므로 장시간의 작업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공급관(15)을 구성하는 양측의 호스(H)를 동시에 절단하도록 하므로써 호스(H)의 절단작업시 작업효율을 높이는 한편, 균일한 절단면을 얻게 되므로써 차량과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호스(H)의 절단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호스(H)를 절단하도록 한 칼날체의 작동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써 인력을 절감하도록 한 호스(H)의 절단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의 특징은, 내측으로는 호스(H)를 권취한 보빈이 축착되도록 고정축을 부착하고 상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한 받침대를 부착하였으며 상기한 받침대의 일측으로는 고정부재를 부착시킨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의 받침대 상부에 설치되며 정면으로는 호스(H)의 인출구를 형성한 블록체와, 상기한 블록체의 하부에 회동가능케 축착되며 선단 일측에는 링크를 구비한 칼날체와, 프레임의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선단의 램이 상기한 칼날체의 링크와 연결되도록 한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료호스 공급관용 절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10)는, 프레임(3)의 내측으로는 호스(H)가 권취된 보빈(35)의 자유로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보빈(35)이 축착되는 고정축(1)을 수평으로 부착하고, 정면에는 핀에의해 칼날체(7)를 회동가능하게 축착하도록 한 받침대(2)의 상부에 칼날체(7)와의 접촉에 따라 호스(H)를 절단하도록 엣지역할을 하는 블록체(5)를 설치하였으며, 칼날체(7)의 선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링크(6)에는 고정부재(3A)에 의해 프레임(3)의 일측에 부착된 유압실린더(9)의 램(8)을 연결하므로써 유압실린더(9)의 작동에 따라 칼날체(7)가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므로써 인출구(5A)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양측의 호스(H)를 동시에 절단시키게 되는데, 이와같은 유압실린더(9)를 작동시키도록 한 유압회로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1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캐스터이고, 부호(12)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위한 레버이며, 부호(20)은 호스(H)의 인출을 안내하는 한편, 호스(H)의 인출길이를 측정하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한 측정장치(20)는 받침대(2)의 후방에 설치되고 그 저면은 프레임(3)에 부착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로울러(22)와 하부 로울러(도면에 미도시)와, 상기 상부 로울러(22)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미터기 로울러(23)와, 상기 미터기 로울러(23)의 회전에 의해 호스(H)의 인출길이가 수치되는 미터기(2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로울러(22)에는 호스(H)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호스끼움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1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차량용 연료공급관(15)을 구성하기 위해 호스(H)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시킬 경우에는, 먼저 보빈(35)에 권취된 호스(H)의 선단을 상부 로울러(22)의 호스 끼움홈을 통해 관통시키고, 관통된 호스(H)의 선단을 블록체(5)의 인출구(5A)를 통해 외부로 돌출시킨다.
상기한 보빈(35)에 권취된 호스(H)의 선단이 블록체(5)의 인출구(5A)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 제4도의 (a)도와 같이, 상기한 호스(H)를 전방으로 당겨 제작을 요하는 연료공급관(15)의 길이를 미터기(24)를 보면서 적절한 길이로 인출시킨다.
즉, 블록체(5)의 인출구(5A)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호스(H)의 선단을 전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부 로울러(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하부 로울러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상·하부 로울러(22)의 회전에 의해 상부 로울러(22)의 상부에 설치된 미터기 로울러(2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미터기 로울러(23)가 회전하게 되면 이 미터기 로울러(23)에 연결된 미터기(24)에 수치가 표시되어 작업자기 미터기(24)에 표시된 수치를 보면서 호스(H)의 길이를 정확히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보빈(35)에 권취된 호스(H)가 적절한 길이로 인출되면 레버(12)를 조작하여 유압실린더(9)에 유압을 인가시키게 되는데, 이와같이 유압실린더(9)에 유압이 작용하면 유압실린더(9)의 램(8)은 전방으로 돌출하게 되는 한편, 제4도의 (b)도와 같이, 링크(8)를 개재하여 연결된 칼날체(7)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칼날체(7)는 블록체(5)의 정면과 밀착되어진 한편, 블록체(5)가 엣지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칼날체(7)와의 조합에 따라 블록체(5)의 인출구(5A)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호스(H)를 절단시키게 되며, 상기한 과정후 유압실린더(9)에 작용하는 유압을 해제하면 칼날체(7)는 초기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호스(H)의 절단작업이 완료되며, 상기한 과정의 반복에 따라 연료공급관(15)을 구성하기 위한 호스(H)의 절단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관용 호스절단장치(10)는 연료공급관(15)을 구성하는 양측의 호스(H)의 길이를 측정장치(20)에 의해 정확히 외부로 인출시켜 절단하므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호스(H)의 절단면이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되므로써 차량과의 연결작업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호스(H)의 절단에 필요한 가압력이 유압실린더(9)의 작용에 의해 제공되므로 경질의 호스(H)의 절단에 필요한 가압력이 유압실린더(9)의 작용에 의해 제공되므로 경질의 호스(H) 절단작업이나 장시간의 작업시에도 작업자의 인력소모를 방지하게 된다.

Claims (1)

  1. 내측으로는 호스(H)를 권취한 보빈(35)이 축착되도록 고정축(1)을 부착하고 상부에는 관통공(2A)을 형성한 받침대(2)를 부착하였으며 상기한 받침대(2)의 일측으로는 고정부재(3A)를 부착시킨 프레임(3)과, 상기한 프레임(3)의 받침대(2) 상부에 설치되며 정면으로는 호스(H)의 인출구(5A)를 형성한 블록체(5)와, 상기한 블록체(5)의 하부에 회동가능케 축착되며 선단 일측에는 링크(6)를 구비한 칼날체(7)와, 상기한 프레임(3)의 고정부재(3A)에 설치되며 선단의 램(8)이 상기한 칼날체(7)의 링크(6)와 연결되도록 한 유압실린더(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KR1019950053807A 1995-12-22 1995-12-22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KR017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807A KR0173608B1 (ko) 1995-12-22 1995-12-22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807A KR0173608B1 (ko) 1995-12-22 1995-12-22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651A KR970033651A (ko) 1997-07-22
KR0173608B1 true KR0173608B1 (ko) 1999-02-18

Family

ID=1944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807A KR0173608B1 (ko) 1995-12-22 1995-12-22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6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651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608B1 (ko)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DE10208607C1 (de) Vorrichtung zum Absaugen eines von einer laufenden Warenbahn abgetrennten Randstreifens
ITTO950693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tranciatura trasversale di un nastro di carta continuo
KR0173644B1 (ko) 연료공급관용 호스 절단장치
US4548114A (en) Tool for notching and slitting tubing
CN112758767A (zh) 一种电缆线的收卷机构
EP0855458A3 (en) Apparatus for sewing a thread chain into a seam by an overlock sewing machine
JP3294631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案内装置
US20090183372A1 (en) Tool for severing a hose square to its length
CN112390060A (zh) 一种织布设备
JP2587199B2 (ja) 紙シート切断機
KR200169824Y1 (ko) 봉제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CN214692520U (zh) 一种可在线监测的缠绕膜自动分切设备
JP3066632U (ja) コ―ド及びホ―スのはみだし防止金具
CN219972573U (zh) 卷丝轴
CN219100300U (zh) 一种两污管道疏通机
CN213381798U (zh) 一种柔性卷材自动裁断装置
CN218492127U (zh) 一种智能裁床的自清理圆刀装置
CN212003861U (zh) 一种应变片粘贴装置
CN218115754U (zh) 一种高上染率弹力织带的制备装置
CN218344813U (zh) 一种用于小型卷状胶纸的二次分切设备
CN216266318U (zh) 一种模切机后置式废料整理装置
CN216502670U (zh) 一种防松动的金属管切割机
JP2587686B2 (ja) タツグ取付機
CN212294151U (zh) 面料用裁切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